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만 정씨(鄭氏)집단 휘하 관상(官商) 임인관(林寅觀) 일행의 조선 표착(漂着) 사건(1667)과 조선 조정의 대응

        서원익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16세기 말부터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하였고, 17세기가 되자 서양 세력까지 동아시아로 들어왔다. 각국의 무역선이 당시 해상무역의 중심지였던 나가사키로 가는 도중 태풍이나 강한 조류에 휩쓸려 조선에 표류하였다. 임인관 일행의 표류 사건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첫째, 조선이 명나라와의 관계를 단절한 후 발생한 최대 규모의 한인 표착 사건이다. 둘째, 정씨집단이 대만으로 철수한 후 일어난 첫 한인 표착 사건이었다. 셋째, 조선이 청·일 양국과 외교적 갈등을 겪은 직후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넷째, 임인관 일행이 조선 사회에 머무르며 남긴 영향력이 상당하였다. 이런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조선 조정은 사건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존 연구는 주로 이 사건을 조선 위주로 사건을 서술하여 임인관 일행의 특수성이나 당시 중국 정세를 함께 살피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임인관 일행 자체의 분석에 집중하여 이들 집단이 가진 특수성을 밝힐 것이다. 조선 조정의 대응 과정을 통해 임인관 일행의 처분 문제에 대해 예측해보고, 마지막으로 임인관 일행 사건 이후로 조선 조정에서 정씨집단 관련 정보수집을 강화해나가는 과정도 살필 것이다. 서울로 송환되는 과정에서 많은 조선인이 임인관 일행에게 관심을 가졌다. 유생과 관리들은 송환 결정을 철회하라는 상소를 올렸고, 조선 백성들의 집단적 기억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등 민간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사건 종결 132년 후, 임인관 일행은 황조유민으로 지위가 격상되었지만, 이들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situation in East Asia changed drastically, and by the 17th century Western powers had entered the region. At that time, many merchant ships on their way to Nagasaki, the center of maritime trade, were caught in typhoons and strong currents and drifted to Joseon. Lim In-Koan(林 寅觀) and his sailors also encountered a typhoon on their way to Nagasaki and were stranded in Joseon. This is a historically significant event. First, it was the largest Chinese stranding incident after Joseon severed ties with the Ming Dynasty. Second, it was the first Chinese stranded after the Zheng group retreated to Taiwan. Third, it occurred shortly after Joseon's diplomatic conflict with both the Qing and Japan. Fourth, the influence of Joseon society was considerable. These complex factors made it difficult for the Joseon government to respond to the incident. Existing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Joseon side of the story,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Lim In-Koan's group or the Qing situation at the time.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group itself to reveal the uniqueness of the group. This paper will then examine the Joseon government's reaction to the group and speculate on its disposition, and final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Joseon government's intensification of intelligence gathering on the Zheng group in the aftermath of the Lim In-Koan incident. During the process of repatriation to Seoul, many Joseon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Lim’s group. Confucian scholars and officials appealed for the repatriation decision to be reversed, and the appeal was well received by the civilian population. Lim In-Koan and his group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Joseon people. 132 years after the end of the case, the group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Hwangjoyumin(皇朝遺民), but their identity remains controversial.

      • 근대시기 재중(在中) 서양인이 기록한 중국문화 경험담집의 체제와 성격에 대하여

        구현아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4 No.-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중국에서는 서양 외교관, 선교사, 작가 등에 의해 중국문화에 대한 다양한 경험담이 편찬되었다. 그중에서도 선교사는 포교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의 일반 서민과 가장 깊이 교류했던 직업군으로, 대부분의 중국문화 경험담집이 이들에 의해 지어졌다. 이들이 기록한 것은 중국 여성, 아이, 학교, 여가, 종교, 미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한 내용으로, 19세기 후반 대두된 ‘민속학(Folklore)’의 연구 사조와 궤를 같이 하고 있었다. 이 중, 선교사의 경험담에서 중국문화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미신적이며, 비이성적이며 낙후된 것으로 묘사되었고, 기독교가 제공하는 의료 선교와 학교 교육으로 인한 성공적인 선교담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중국에 복음을 전파해야 할 근거가 되었다.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재중(在中) 서양인 집단과 이들이 세운 학교, 의료 기관, 출판사와 그들이 남긴 중국문화 경험담은 기독교 전파뿐만 아니라 서양 열강의 지배라는 상위 논리를 더 공고화하는 거대한 사슬로 엮여 함께 움직이며, 19세기 에서 20세기 중국학을 탄생시킨 하나의 물결을 형성했다. 이 연구가 이제 학계에 서 조금씩 드러나는 서양인들만의 시각으로 남긴 이 흔적에 대한 우리의 시선과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작은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In China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stern diplomats, missionaries, and writers compiled a wide variety of accounts of Chinese culture. Missionaries, in particular, were the ones who interacted most deeply with the common people of China to fulfill the purpose of proselytizing, and most of the accounts of Chinese culture were written by them. What they recorded was what they saw, heard, and experien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hinese women, children, schools, leisure, religion, and superstition, which was in line with the research school of 'folklore' that emerged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them, the missionaries' experiences portrayed Chinese culture as superstitious, irrational, and backward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n stark contrast to the successful missionary stories of medical missions and schooling provided by Christianity, providing a rationale for spreading the gospel in China. The groups of Westerners in China, led by missionaries, and the schools, medical institutions, and publishing houses they established, along with their accounts of Chinese cultural experiences, were woven together in a vast chain that reinforced the overarching logic of not only the spread of Christianity but also the dominance of Western powers, forming the wave that gave birth to 19th- and 20th-century Chinese studie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 small step towards shaping our perspectives and discourse on this trace left by Westerners, which is now slowly emerging in academia.

      • 인도네시아의 설화 조사・편찬 작업 연구

        Theresia Margareth,권혁래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4 No.-

        설화는 한 나라, 또는 민족의 기층문화와 정서,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써 문학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기층문화 연구의 시각에서, 19세기 말부터 21세기 현재까지 이뤄진 인도네시아 설화 조사 및 연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말~20세기 초 네덜란드 학자들이 최초로 인도네시아 설화 수집 및 연구 작업을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설화 연구자 제임스 다난자야가 인도네시 아 설화 수집 및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 이뤄진 지역문화역사연구센터의 연구 및 기록 프로젝트에 의해 ‘인도네시아구비설화대계’ 47책이 간행되었다. 둘째, 2000년대 이후 설화집의 대중적 출판 및 무르티 부난타의 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1980~1990년 사이에 출판된 아동・청소년층을 대상으로 발굴・재화 된 인도네시아 옛이야기는 1,000여 편에 이른다. 『366편 인도네시아 설화집』(2015)은 인도네시아 전역의 설화 중에서 366편을 골라 대중적으로 소개했다는데 의미 있다. 무르티 부난타는 인도네시아 설화의 주요 작품들을 국내외에 소개하고 동화로 다시쓰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Penelitian cerita rakyat di Indonesia dimulai oleh peneliti Belanda pada zaman penjajahan Belanda, lalu dilanjutkan oleh peneliti Indonesia setelah Indonesia merdeka. Proyek pengumpulan cerita rakyat dari berbagai daerah di Indonesia dimulai pada tahun 1970-an, lalu penelitian terkait cerita rakyat Indonesia semakin berkembang setelahnya. Cerita-cerita rakyat Indonesia dari berbagai daerah dan bahasa daerah tersebut diterjemahkan ke dalam bahasa Indonesia dan Inggris. Peneliti yang berperan besar dalam meneliti cerita rakyat Indonesia adalah James Danandjaja dan Murti Bunanta.

      • A Travelling Concept - Resilience in the Academia of Taiwan and China

        Ya-Qing Zhan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4 No.-

        본 논문은 서구의 회복탄력성 개념이 대만과 중국 학계, 특히 사회생태계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분야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적용되었는지를 탐구 한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여행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전파 된 회복탄력성 개념이 저항 없이 수용된 과정을 분석한다. 대만과 중국의 학술 문헌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공통된 접근법과 상이한 접근법 을 확인했다. 대만은 주로 지수 기반 평가를 사용하는 반면, 중국은 수리 모델링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분석했다. 이러한 차이는 회복탄력성이 각 지역 담론에 통합되는 방식의 차이를 강조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학문적 헤게모니와 서구 학문을 배운 학자들이 동아시아 학계에서 회복탄력성 연구를 형성하는 데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두 지역에서 회복탄력성이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이론적 사고 과정을 잃고 기계적 도구로 변질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동아시아 맥락에 맞게 적응시키기 위한 지역화된 틀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는 서구와 동양의 학문적 관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resilience within Taiwanese and Chinese academia,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Drawing on Edward Said’s “traveling theory,” it examines how resilience as a concept has travelled from Western to Eastern contexts, highlighting the lack of resistance encountered in this trans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literature from Taiwan and China, the study identifies shared and divergent approaches to resilience, noting Taiwan’s tendency towards index-based evaluations and China’s focus on mathematical modelling. This difference underscores the distinct ways resilience is integrated into local discourse. Additionally, the paper considers the impact of academic hegemony and the influence of Western-trained scholars on shaping resilience research in Eastern academia.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ce, while broadly accepted in both regions, has become a mechanistic tool that risks losing its theoretical thinking process. The study calls for a localized framework to adapt resilience to Eastern contexts, potentially bridging Western and Eastern academic perspectives.

      • A Conjuncture of Crises and a Region of Culture in Peradaban Baru Corona :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2020)

        Abdul Muhaiminul Aziz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4 No.-

        이 논문은 시집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코로나 신 문명: 인도네시아 기자 시인의 시 99편)에 나타난 인도네시아 지역문화 와 결합적 위기 개념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맥락적 분석에 따르면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은 인도네시아의 종교적 문학 전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 다. 사회정치적 맥락에서는 인도네시아 사회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고 대응 하는 상황을 담고 있는 시집이다. 문화적 맥락의 측면에서 이 시집은 위기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와 전통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도적 분석 결과, 인도네시아 정부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물질적 측면 외에도 영적 측면의 중요성을 제도적으로 강조하는 책임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속 국가와는 달리, 인도네시아 지역문화에서는 코로나19 위기와 앞으로 닥칠 위기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생존, 회복력, 지속 가능성을 위한 투쟁에서 영적 측면과 물질적 측면의 역할을 분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notions of a conjunctural crisis and Indonesia as a region of culture in an anthology of poetry entitled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Corona New Civilization: 99 Poems by Indonesian Journalist Poets). The contextual analysis found that the poems in the anthology have been influenced by religious literary tradition in Indonesia and socio-politically the anthology accommodates the circumstances of Indonesian society while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COVID-19 pandemic. As for the cultural context, the anthology seems to emphasize the role of religion and tradition in coping with any crisis. The institutional analysis found, among other things, that Indonesian government seems to be responsible to institutional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besides physicality to come to terms with crises. In conclusion, unlike a secular state, Indonesia as a region of culture does not separate the roles of spirituality and physicality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in dealing with COVID -19 crisis and with any crisis on the days to come.

      • 한중 노년소설 속의 노년 죽음의 의미

        조진화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본고는 송하춘의 「청량리역」, 김별아의 「끝나지 않은 노래」, 陳然 (천란)의 「祖父在彌留之際」 (임종을 앞둔 할아버지), 王子 (왕쯔)의 「弒父」 (시부)에 나타 난 노년 죽음을 중심으로 그 이면에 내재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본고는 우선 「청량리역」, 「끝나지 않은 노래」, 「祖父在彌留之際」, 「弒父」가 모두 노인의 죽음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노인의 죽음은 노년의 삶과 가장 근접하면서도 삶과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한중 노년소설 속의 노년 죽음 의미 연구는 유교적 전통문화를 공유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언어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유사점과 차이점의 발굴로 이어질 수 있다. 네 작품은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갈등을 문학적으로 재현하였다. 갈등 해소 를 위해 노인은 자발적으로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부모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 밖에도 노년 죽음을 다루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은 각각 노모의 죽음을 통한 희생과 인내를, 노부의 죽음을 토대로 한 유교 관습의 약화를 드러내 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 노년소설에서 반영한 노인의 죽음은 인생의 마지막 단계로 서 노년소설의 한 소재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된 공통점 및 차이점을 통해 현대 사회의 사회적·문화적 모습들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죽음은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한 한중 소설의 한 갈래로 노년의 가치에 대한 통찰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가치가 있다. Focusing on Song Ha-chun‘s 「Cheongnyangni Station」, Kim Byul-ah's 「Unending Song」, Cheonran's 「Grandfather Ahead of Imjong」, and 「Patricide」 of Wang Zi,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herent behind it.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Cheongnyangni Station」, 「Unending Song」, 「Grandfather Ahead of Imjong」 and 「Patricide」 are all related to the death of the elderly. The death of the elderly is closest to life in old age, but it reveals life and perception as it is. Based on this, the study on the meaning of old age death in Korean and Chinese old age novels shares a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but it can lead to the discovery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different languages and social backgrounds. The four works literarily reproduce the conflict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the elderly voluntarily chose to die, emphasizing the value of paren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old-age death, Korea and China revealed sacrifice and patience through the death of their elderly mother, respectively, and the weakening of Confucian customs based on the death of their elderly father. As such, the death of the elderly reflected in old age novels in Korea and China is the final stage of life, and it expresses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society through inheren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particular, research related to this can be said to be valuable because the death of the elderly is a branch of Korean-Chinese novels that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and can lead to insights into the value of old age.

      • 융복합시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 -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를 중심으로

        임영선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1 No.-

        이 연구는 21세기 문화융복합 시대에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신화는 인류가 세계와 삶에 대해 경험하고 인식해 온 것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오늘날 신화는 그 특유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 유입된 콘텐츠와 대중들의 다양한 요구가 결합되어 재창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가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에 수용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구체적 사례로,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매트릭스>, 그리고 게임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소재와 상상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Myths are stories that contain what mankind has experienced and perceived about the world and life. Today, based on its unique imagination, myths are being recreated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contents with various demands from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being accepted in TV dramas, movies, and game narratives. As a specific example, the drama “Toggaebi(Goblin)”, the movie “Matrix”, and the mythological material and imagination shown in the game narrative wer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