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최보민(Bomin Choi)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4 동국사학 Vol.80 No.-

        이 글의 목적은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과 노농운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3년 3월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 전반을 관장하고 새로운 공산당 결성을 담당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려총국의 국내 조직이다. 1923년 3월 설립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서울을 비롯한 각 지방에 세포단체를 마련하며 조직화를 진행했다.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에서 두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반도 남부지방에 집중적인 조직화 활동이 전개됐다. 두 번째는 조직화 사업의 주요 대상이 각 지역 노농단체였다. 이러한 특징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은 국내의 무산계급에 기반을 두고 전개해야 한다는 지침을 전달한 1922년 12월 코민테른 결정서에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조직화 활동을 통해 획득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1923년 9월 전국적 노농단체 연합체인 ‘조선노농총동맹’ 결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식민권력의 강력한 압박으로 실패했다.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4년 1월부터 남부지방의 노농단체를 중심으로 연맹체 결성을 추진했다. 이때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선 단결론’을 주장했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을 통해서 서울파 공산그룹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자신들의 주요한 세력 기반이었던 한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운동을 전개하려고 했다. 또 고려총국 내지부의 ‘남선 단결론’은 그들의 조직결성 정책, 코민테른과의 관계, 소작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운동론 등에 영향을 받았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에 기반해 1924년 3월 8일 대구 노동공제회 회관에서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 결정된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전조선노농단체 연합에 관한 것이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도 고려총국 내지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남선 단결론’이 제기됐다. 남선노농동맹은 창립총회 이후 곧바로 전국의 노농단체 연합을 위한 교섭위원회를 결성하고 서울파 공산그룹을 강하게 압박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in 1923-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armer-Labour Movement.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was the domestic organization of the Korean General Bureau, created in March 1923 to oversee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and to take charge of the formation of the new Communist Party. After its establishment in March 1923,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organized itself by establishing cell groups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Two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the organization of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The first is that organiz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is that the main targets of the organizing work were local farmer-labor organizations. These featur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intern Decision of December 1922, which directed that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should be based on the domestic working class.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used the networks it had gained through its organizing activities to attempt to form a nationwide feder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in September 1923, but it failed due to strong pressure from the colonial power. After the failed attempt to form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promoted the formation of a federation centered on farmer-labour organizations in the southern provinces from January 1924. At this time,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advocated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centered on the southern provinces. Through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sought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Seoul Communist Group and develop a movement centere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their main base of power.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s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organizational unity polic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intern, and their movement theory, which emphasized the issue of sharecropping.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held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Korean Farmer-Labour Confederation on March 8, 1924, at the Daegu Labor Mutual Aid Society Hall based on the South Korean Unity Theory.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made at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was to unite farmer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t the founding meeting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raised by officials from the Goryeo General Bureau.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immediately formed a bargaining committee for the unific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founding meeting and put strong pressure on the Seoul Communist Group.

      • KCI등재

        高麗人蔘·高麗紅蔘 및 total saponin의 抗酸化 作用

        金聖勳,曺永周,Bae, Ki-chae 대한동의병리학회 199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2 No.1

        臨床에서 補氣强壯劑로 널리 使用되고 있는 高麗人蔘, 高麗紅蔘 및 主要 構成成分인 total saponin의 抗酸化效能을 實驗的으로 比較하고자 이들을 試料로 使用하여, TBA法과 thiocynate法에 의한 抗脂質過酸化效果, DPPH(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消去效果, superoxide 生成沮害效果 및 t-BHP (tert-butylhydro-peroxide)로 인한 肝細胞毒性 保護效果를 測定하였다. TBA法에 의한 MDA定量에서는 total saponin, 高麗紅蔘, 高麗人蔘 投與群順으로 MDA 形成을 抑制하였고, thiocyanate法에 의한 脂質過酸化作用에서는 total saponin 處理群만이 30% 以上 抑制率을 나타내어, 高麗人蔘 處理群과 高麗紅蔘 處理群에 比하여 脂質過酸化 抑制率이 높았다. DPPH radical의 消去作用에서는 total saponin 處理群이 가장 有效하였으며 , superoxide 生成沮害作用은 total saponin, 高麗紅蔘, 高麗人蔘順으로 나타났다. t-BHP을 處理한 肝細胞에 對해 高麗紅蔘 處理群과 高麗人蔘 處理群은 거의 濃度에 比例하여 肝細胞 保護作用이 뚜렷하였지만 total saponin은 相對的으로 保護作用 이 微弱하였다. 以上의 結果로 보아 抗酸化作用에서는 total saponin이, 肝細胞 保護作用에서는 高麗紅蔘과 高麗人蔘이 더 效果的이어서 向後 肝細胞 保護作用에 對한 機轉은 더욱 硏究가 必要할 것으로 思料된다.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 Ginseng Radix(KGR), Korea Red Ginseng Radix(KRGR)and total saponin, the study was done through measurement of parameters such as MDA, lipid peroxide, DPPH((α, α-diphenyl-β-picryl hydrazyl) and protective effect on cytotoxicity against normal hepatocytes by t-BHP(tert-butyl hydroperoxid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inhibitory effect of MDA was shown in order of total saponin, KRGR and KGR. 2. The inhibitory rate of lipid peroxide was more effective up to 30% in total saponin-treated group than the other groups. 3. The scavenging effect of DPPH was shown most in total saponin treated group. 4. The inhibitory effect of superoxide was shown in order of total saponin, KRGR and KGR. 5. KRGR and KGR significantly protected the cytotoxicity agianst noraml hepatocytes by t-BHP, while total saponin didn'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otal saponin showed antioxidant effect more than KRGR and KGR, while KRGR and KGR showed protective activity on hapatocytes more than total saponin.

      • KCI등재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일본 교류와 유통

        박용진(Park, Yo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 · 중 · 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록문헌 총람』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을 살펴보면, 고려와 일본은 공식적인 국교없이 주로 송상을 매개로 불교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교장의 일본 전래의 특징은 대재부를 통한 송상 중개의 장소 교류였고, 전래 기록상으로는 1097년에 『아미타경통찬소』등 법상종 장소류, 1103년 흥왕사 간행 교장 원간본 『화엄경수소연의초』의 필사, 1105년 『석마하연론통현초』와 『석마하연론찬현소』등 밀교 장소류, 1120년의 『홍찬법화전』등 불전 100여 권의 교류가 확인된다. 한편, 고려 교장의 송 중간본이 1140년을 전후하여 의화에 의해 간행되었고, 이러한 송나라 간행 장소류는 1254년 고잔지에서 송판대장경과 함께 수입되어 활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유통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래 경로에 있어, 고려 교장이 직접 전래된 사례와 고려 교장이 송으로 전래되어 송나라에서 중간된 판본이 일본으로 전래된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 교장은 그 중요성 때문에 간사의 형태로 원본과 함께 14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다. 둘째,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수입할 때 고려, 송, 일본등은 각국에 없는 장소를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려교장의 동아시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Goryeo and Japan exchanged Buddhism mainly through Songshang (宋商) without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Goryeo-gyojangs (高麗敎藏)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Japanese tradition ar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ion are exchanges of Hosso-shu (法相宗) commentaries such as Amituojing-tongzanshu (阿彌陀經通贊疏) in 1096, manuscripts from Huayanjing-Suishuyanyi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in 1103, esoteric commentaries such as Shi moheyanlun-tongxuanchao (釈摩訶衍論通玄鈔) in 1105, and commentaries such as HongChan-Beophwajeon (弘贊法華傳) in 1120. However,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as imported and used in Japans GosanJI Temple (高山寺) in 1254.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gyojangs distribution in Japan are divided into those brought directly from Goryeo and the import of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hen countries in East Asia import Gyojang, each country can see the tendency to supplement Gyojang since it is not produced in its own country.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East Asia can provide a perspective of mutual, and not one-sided, exchange.

      • KCI등재

        고려 본궐 만월대 주요전각 위치와 배치체계

        남창근 중앙문화재연구원 2020 중앙고고연구 Vol.0 No.3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행된 만월대(고려 본궐) 서부건축군의 발굴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려황궁의 배치체계와 주요 전각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북한 개성시에 위치한 만월대는 고려의 황제와왕조를 상징하는 황궁터이다. 만월대는 전쟁, 내전, 화재 등 잦은 재난에도 불구하고, 강화천도를 제외한 919년부터 1392년까지 470여 년 동안 고려의 본궐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였다. 남북한은2007년부터 2018년까지 공동으로 만월대에 대한 8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중심건축군 일부를 비롯한 서부건축군 건물지와 배치를 확인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고려 본궐 제2정전인 건덕전의 위치는 정전이 갖는 위상과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였을때 서부건축군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A건물지로 판단되며, 그 북쪽으로 편전 일곽과 침전 일곽이 지형에 순응하며 자리잡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금원과 인접한 곳에는 왕실원묘인 경령전을 비롯해 궁궐내사찰인 내제석원 등이 위치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기존에 임천각터로 알려진 T건물지는 선정전일 가능성이 있으며, 임천각은 회경전 서쪽 U건물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 본궐 만월대는 지형에 순응하면서도 동시에 황궁으로서의 권위와 격식에 맞는 합리적인 배치체계를 구현하였다. 정전-편전-침전으로 그 권역이 구분되어 있는 중심건축군과 서부건축군은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결되는 유기적인 동선체계를 통해 두 영역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하였다. 또한 중심건축군과 서부건축군 사이에는 두 영역의 서비스공간이자 완충공간으로 보이는부속전각들이 배치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전-편전-침전영역으로 구성된 삼전체제의 2원 구성은 고려 본궐만의 배치특성으로 동아시아궁궐건축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고려만의 궁궐건축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는고려 본궐이 초창부터 최성기까지 약 100여년에 걸친 점진적 조영 과정과 창건당시의 궁궐영역인서부건축군 배치질서의 존중, 주어진 대지 조건에 순응한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This paper considers its layout system and location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imperial palace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based on the recent excavations on building group west of Manwoldae and previous studies on Manwoldae. Located in the Goryeo capital of Gaeseong, North Korea, Manwoldae is an imperial palace symbolizing Emperors and Dynasty of Goryeo. Although frequent disasters such as war, civil war, and fire, Manwoldae had faithfully served as the main palace of Goryeo (Goryeo bongwol) for more than 470 years from 919 through 1392, except when the capital of Goryeo was briefly on Ganghwa Island. North and South Korea have jointly conducted excavations of Manwoldae from 2007 to 2018. The location of Geondeokjeon Hall, the second main Hall of the Goryeo imperial palace, is determined to be the building site A located to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western building group of Manwoldae, considering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its status as the second main Hall. To the north of Gundeokjeon, it is believed that the area of Pyeonjeon Hall, emperor’s everyday office space, and Chimjeon Hall, building for the emperor’s rest, are located following the terrain. It is also believed that Gyeongryeongjeon Hall, where imperial ancestral rites were held, and Naejeseokwon, a Buddhist temple in the palace, we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Geumwon. Meanwhile, it is possible that the building site T, known so far as the Imcheongak Pavilion site, will be Seonjeongjeon Hall. Besides, Imcheongak is likely to be located at the building site U west of Hoegyeongjeon Hall. Manwoldae implemented a layout system that conforms to the topography and, at the same time, conforms to its authority and formality as an imperial palace. In particular, the central building group and the western building group,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zones of Jeongjeon-Pyonjeon-Chimjeon respectively,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through a flow system connecting the north-south and east-west direc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uxiliary buildings, which appeared to be service areas and buffer spaces, wer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uilding group and the western building group. The two-way configuration of the three halls, consisting of JeongjeonPyonjeon-Chimjeon, exhibi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oryeo, which is hard to find in other palaces in East Asia. This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Goryeo imperial palace are regarded as a result of the gradual development process spanning about 100 year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to its peak period, respect for the layout of the western building group, which was the palace area at the time of its founding, and efforts to adapt to the given topographical conditions.

      • KCI등재

        고려∼조선 전기 발해사 자료에 인용된 중국 사서

        임상선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1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발간한 두 권의 『발해사 자료총서』 한국사료 편(2021)은 신라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동안 편찬된 발해사 자료의 원문과 역주 성과를 수록하고 있어, 국내 발해사 연구의 시대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글은 『발해사 자료총서』 한국사료 편에 수록된 조선 전기까지의 발해사 자료의 사료명이 있는 중국 측 인용 사서를 분석하였다. 발해사에 대한 초기 기록인 고려 시기 자료는 필요에 따라 서명이 없더라도 출전을 추정하여 내용을 검토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가탐(賈躭)의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 이외에 출전을 밝히지 않은 기록은 대체로 『신당서(新唐書)』와 『구당서(舊唐書)』 발해전(渤海傳)과 『책부원구(冊府元龜)』의 기록을 참조하였고, 최치원(崔致遠)의 글은 다른 계통의 자료를 참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의 발해 기사는 그 후의 발해사 자료에서도 재인용되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기이편(紀異篇)에 말갈발해(靺鞨渤海)조를 설정함으로써 발해의 역사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적극 반영하였다. 말갈발해조에 인용된 다양한 자료 가운데 중국 문헌은 『통전(通典)』, 『군국지(郡國志)』, 『후위서(後魏書)』, 『지장도(指掌圖)』가 있다. 이승휴(李承休, 1224∼1300)의 『제왕운기(帝王韻紀)』는 발해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 발해 건국과 발해 유민의 고려 내투에 대하여 기술하고, 『오대사(五代史)』에서 ‘발해본속말갈(渤海本粟靺鞨)’이라는 내용을 인용하였다. 발해의 건국이 태백산(太白山) 부근에서 있었다고 하는 것은 발해 건국 과정에서 이 부근에서 1차로 정착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제현(李齊賢, 1288〜1367)이 1342년에 편찬한 『역옹패설(櫟翁稗說)』에는 ‘발해와 고려가 혼인(婚姻)한 사이’라는 『자치통감(資治通鑑)』의 기록을 인용하였다. 고려에 이어 건국한 조선은 창업의 정당성을 역사상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 시기에 대한 역사 정리 작업에 나섰다.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발해에 대한 기본 인식인 『신당서』 발해전과 『요사(遼史)』의 내용과 통한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주요한 발해 인식인 ‘고구려인대조영(高勾麗人大祚榮)’은 『구당서』 발해전의 ‘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 그리고 『신당서』 발해전의 ‘渤海本粟末靺鞨’과도 부합되는 말이다. 결국 대조영은 속말말갈이며, 속말말갈은 고구려별종으로 고구려인이라는 의미가 된다.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는 1476년 간행된 편년체의 역사서로서 조선시대의 삼국시대 역사 인식의 기본 틀이 되었다. 『삼국사절요』도 『신당서』 발해전의 내용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삼국사절요』의 ‘渤海本粟末靺鞨, 卽高勾麗別種’은 ‘발해는 속말말갈이니, 곧 고구려별종’이라는 의미이니, 이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高勾麗人大祚榮’이라 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속말말갈이 고구려별종으로 고구려인이라는 인식은 조선 전기의 공통된 발해사 인식이고, 그 이후의 발해사 자료에서도 받아들여졌다. 나아가 조선 후기 발해사의 한국사 편입의 단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동국통감(東國通鑑)』의 발해사 관련 서술은 전체적으로 『삼국사절요』의 내용과 유사한 점이 많다. 『동국통감』은 『삼국사절요』와 마찬가지로 속말말갈을 ... The literature cited by the Chinese side with the name of the historical data of the period up to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included in the Balhae History Data Series, was analyzed. Samguksagi(『三國史記』) mostly referred to Shindangseo(『新唐書』), Gudangseo(『舊唐書』), Balhaejeon(渤海傳) and Chaebuwongu(『冊府元龜』) for the records that did not disclose the source other than Gatam(賈躭)’s Gogeumgungukji(『古今郡國志』). The article on Balhae in Samguksagi was re-quoted in later records of Balhae history. Samgukyusa(『三國遺事』) reflected the history of Balhae as part of Korean history by setting up the Malgal Balhae(靺鞨渤海) article in the Gii section(紀異篇). Among the various materials cited in Malgalbalhaejo, Chinese literature includes Tongjeon(『通典』), Gungukji (『郡國志』), HuWuiseo(『後魏書』), Jijangdo(『指掌圖』). Jewangungi(『帝王韻紀』) also deals with Balhae as part of Korean history. It describes the founding of Balhae and the refugees of Balhae, and quotes the contents of ‘Malgal from Balhae’s origin’ in Ohdaesa(『五代史』). The fact that Balhae was founded near Mt.Taebaek(太白山) indicates that Balhae was first settled in this area during the founding process. Yeokongpaeseol(『櫟翁稗說』) quoted the record of Zizhi-Tongjian(『資治通鑑』), ‘the time between Balhae and Goryeo(高麗) were married’. Joseon(朝鮮), which was founded following Goryeo, set out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Goryeo period in order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its founding in history. It is in line with the contents of Sindangseo Balhaejeon and Yosa(『遼史』), the basic perception of Balhae in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Koguryo Indaejoyeong(高勾麗人大祚榮)’, a major perception of Balhae in Goryeosa and Goryeosajeolyo, is ‘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 in Gudangseo before Balhae, and ‘渤海本粟末靺鞨’ in Shindangseo before Balhae. A word that is too congruent. In the end, Dae Jo-yeong(大祚榮) means Koguryo people(高句麗人). Samguksajeolyo(『三國史節要』) is a chronicle of history published in 1476, and it quotes a lot of contents from Shindangseo Balhaejeon. ‘渤海本粟末靺鞨, 卽高勾麗別種’ in Samguksajeolyo means ‘Balhae is the one who speaks secretly, that is, Koguryo byeoljong’, which is in line with Goryeosa and Goryeosajeolyo, ‘高勾麗人大祚榮’. The perception that Sokmalmalgal(粟末靺鞨) is a Koguryo byeoljong(高句麗別種) and a Koguryo people(高句麗人) is a common perception of Balhae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alhae history materials after that also followed. Furthermore, Balh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me a clue to the perception that it was Korean history.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Balhae in Dongguktonggam(『東國通鑑』)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contents of Samguksajeolyo as a whole. Dongguktonggam considers Sokmalmalgal as a Koguryo byeoljong, that is, Koguryo people, just like Samguksajeolyo. The fact that Dongguktonggam describes the history of Balhae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Silla is not small in terms of the systemic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It is clear that Dongguktonggam regards Silla as authentic among Silla and Balhae, but it does not exclude the history of Balhae from our history. Dongguktonggam cited Songsha(『宋史』)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in relation to Daenanha(大鸞河), a refugee from Balha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ounding of Balhae, Haedong Seongguk(海東盛國), geography, destruction, and Goryeo in Dongguktongga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alhae in Joseon.

      • KCI등재

        高麗 中期 靑磁花形楪匙 硏究

        전남언(Jun, Nam 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0 No.-

        고려시대 청자화형접시는 고려 전시기의 가마터에서 확인되는 기종으로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시기별 특징과 형태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중기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살펴봄으로써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의 양식 변천을 고찰하였다. 남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고려 중기 가마터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살펴본 결과 용운리 9호와 10호에 대해서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지만,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9호와 10호-Ⅰ층은 11세기, 10호-Ⅱ층은 12세기 전반∼13세기 전반으로, 부안 진서리 18호와 유천리 6구역․7구역은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의 기년명을 가진 정요와 경덕진요의 화판형접시를 통해 태안 대섬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의 시기를 12세기 전반으로 설정하는데 근거를 제시하였다. 석릉 출토 청자화형전접시는 기존에 부안 유천리 7구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언급되었으나, 부안 유천리 7구역의 청자화형접시와 강진지역의 유물을 면밀히 살펴 본 결과 강진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는 12세기 전반 요주요와 더불어 정요의 화형접시 특징이 나타나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12세기 전반 이후의 중국의 화형접시는 전 지역의 窯場에서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려와 중국 화형접시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국의 경우 고려에 비해 다양한 형식의 화형접시가 제작되었다. 고려의 청자화형접시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요소들이 확인되지만, 중국의 화형접시의 형태 중 고려의 미감으로 문양과 기형을 선택하고, 이를 변화시켜 청자화형접시를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살펴보았다. Ⅰ-1期(12세기 전반)는 고려 초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중국 요주요의 압출양각기법이 도입되면서 요주요와 유사한 화형전접시가 제작되며, 정요의 영향도 확인된다. Ⅰ-2期(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는 청자화형전접시가 전반적으로 유행한다. 금속기로 제작된 중국의 능화형전접시의 제작기법의 영향으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형태적인 면에서 고려만의 특징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12세기∼13세기 전반에 제작된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가마터의 운영시기를 살펴봄으로써 강진과 부안지역의 가마터의 구체적인 편년을 설정해 보았고,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분석함으로써 고려중기 청자화형접시의 시기별 양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Celadon foliate dishes from the Goryeo Dynasty have been excavated from kiln sites of early Goryeo, and show characteristics and change in shape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in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from mid-Goryeo kiln sites and ruins and discussed change in the celadon foliate dishes during mid-Goryeo. Regarding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from mid-Goryeo kiln sit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scholars have proposed various theories related to Yongun-ri 9 and 10. However, based on the celadon foliate dishes, it was agreed that no. 9 and 10-level 1 belong to the 11th century ; no. 10-level 2 to early 12th to early 13th century ; and Buan Jinseo-ri 18 and Yucheon-ri area 6 and 7 to late-12th to early-13th century. Based on the foliate dish of Dingyao and Jingdezhen that are dated late-11th to early-12th century, this study proposed a basis for estimating the time of celadon foliate dish excavated in Daeseam in Taean to be the early-12th century. Although it was suggested that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in SeokReung might have been originally made in the Buan Yucheon-ri area 7. However, based on close observation of the celadon foliate dish of the area and relics found in Gangji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it might have been made in Gangjin. Notably,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 show characteristics of foliate dishes of the early-12th century Yaozhouyao and Dingyao. Since the early-12th century, Chinese foliate dishes were made in similar shapes in klins in all regions of the country. Regarding the overall shapes of foliate dishes from Goryeo and China, Chinese dishes were more diverse in style in comparison to Goryeo dishes. Celadon foliate dishes from Goryeo show elements that were influenced by China. However, the patterns and formal elements were chosen and transformed based on the aesthetics of Goryeo to make celadon foliate dishes for Goryeo. This study investigated relics excavated from kiln sites and ruins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es. During the first period(early-12th century), the extrusion emboss technique of Yaozhouyao, which was not used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in troduced and adopted to make foliate dishes that are similar to Yaozhoyao. Also, the dishes show influence of Dingyao. During the secong period(early-12th to early-13th century), celadon foliate dishes was popular, overall. It is suggest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foliate dishes from China, which were made with metal, but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of Goryeo in terms of the shape. This study examined the periods of kiln sites based on celadon foliate dishes made between the 12th and early-13th century, based on which the specific chronology of the kilns sites in Gangjin and Buan were estimated. Also, by analyzing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in kiln sites and ruins, the study discussed the types of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 according to the relevant period.

      • KCI우수등재

        고려청자 연구에 있어서 『宣和奉使高麗圖經』의 활용양상과 가치

        박정민 한국미술사학회 2019 美術史學硏究 Vol.304 No.304

        In the dearth of textual evidence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the Illustrated Records of the Chinese Embassy to the Goryeo Court during the Xuanhe Era (Xuanhe fengshi Gaoli tujing, hereafter Illustrated Records)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in the field. Not only scholars of Korean ceramic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t late Joseon literati also came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Goryeo celadon through what was written in the Illustrated Records. Although it was initially designed to contain both texts and illustrations, its extant version no longer has the illustration potion. In this light, it is safe to assume that its textu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characters of Goryeo celadon is inevitably partial. Such an incomplete state of the Illustrated Records can generate much speculation and debate. It is imperative that the Illustrated Records be complemented by archaeological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or to be excavated. The Illustrate Records without illustrations, therefore, can continue to serve as the indispensable source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Meanwhile, it should be used in conjunction 『고려도경』은 문헌자료가 부족한 고려청자 연구 환경에서 매우 특별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도자기를 연구한 학자들은 물론 조선후기 일부 사대부들 역시 『고려도경』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고려청자를 인식했다. 현재 『고려도경』은 그림 없이 글만 전하지만, 애초에 그림과 글이 함께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렇다면 남아있는 『고려도경』의 글은 서긍이 전달하려던 고려청자의 특징을 완벽하게 담아내지못했을 것이다. 대신 글뿐인 『고려도경』의 불완전성은 고려청자 연구에 여러 추론과 논의를 만들어낼 수있다. ‘연구할 거리’를 제공해준 『고려도경』의 제한적 정보는 현재 남아있는, 혹은 앞으로 출토될 유물과만나 고려청자의 새로운 연구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견지에서 그림 없는 그림책 『고려도경』 은 앞으로도 고려청자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동시에 늘 실제 고려시대 청자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과 함께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219년(고종(高宗) 6) 고려-몽골 "兄弟盟約(형제맹약)" 再論(재론)

        이익주 ( Ik Joo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1219년 고려는 몽골과 ‘兄弟盟約’을 맺었다. 이것이 13ㆍ14세기의 200년에 걸친 고려-몽골 관계의 시작이었다. 따라서 형제맹약에 대한 연구는 고려-몽골 관계사의 첫 출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가 당시 고려-몽골 관계에서 고려의 입장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형제맹약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견해가 제시되어 재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고려와 몽골 사이에 형제맹약이 체결되었음 은 1218년 12월부터 1219년 1월 사이에 양국 간 에 오간 문서로부터 분명히 확인된다. 그 내용은 고려가 몽골과의 상하 관계를 인정하고 稱臣上 表하면서 공물을 납부하는 것이었다. 고려 국왕 의 親朝는 고려에서 거부함으로써 형제맹약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조건에 따라 1219년부터 몽골 사신이 고려에 와서 공물을 수령해 갔는데, 그 과정에서 공물의 종류와 양, 납부 회수 등을 둘러싸고 양국 간에 마찰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몽골에서 국왕의 친조를 추가로 요구하지 않았는데, 이로부터 형제맹약의 조건에 친조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할 수 있다.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에서 몽골의 정책이 고려에 그대로 적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위험하다. 몽골의 일관된 정책이 있었는지도 의문이지만, 고려-몽골 관계는 양국의 상호 작용 속에서 개별적으로 성립하였을 것이므로 몽골의 요구에 대한 고려의 대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The brotherly alliance of Goryeo and Mongolia sealed in January 1219marked the beginning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which spanned the 13th and 14th centuries. It has deserved and actually drawn academic attention ever since Byung-ik Go’s contribution in 1969. However, studies have failed to represent Goryeo’s side of the relationship and have sometimes been compromised by counterarguments questioning the brotherly alliance itself, bringing about a need for re-discussions. The existence of a brotherly alliance between Goryeo and Mongolia from December 1218 to January 1219 is clearly shown in documents exchanged by the Goryeo and Mongolian military camps led by Khachi’un and Jala. These documents state that Goryeo admitted Ching-shin-sang-pyo(稱臣上表, calling itself a vassal) against Mongolia and accepted to pay it tributes. As Mongolia failed to include Chin-jo(親朝, whereby the king visits and greets an emperor in person) due to Goryeo``s rejection, Mongolian ambassadors ended up traveling to Goryeo in order to collect tributes from 1219 onwards, despite continuous disagreements on the frequency and volume of the tributes. No additional demands for Chin-jo were made afterwards, suggesting that brotherly alliances did not necessarily include that condition.

      • KCI등재

        고려·거란 ‘30년 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육정임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4

        고려․거란의 30년 전쟁은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역학 상 무게 중심이 중국에서 거란으로 옮겨가는 과정의 결정적인 단계였다. 30년 전쟁 과정에서 나타난 고려․거란 관계의 추이는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을 그대로 반영했다. 본 논문은 30년 전쟁의 배경과 과정, 그리고 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고려․거란의 전쟁은 1차~3차 전쟁으로 분류하는 것이 학계에서 통용되는 관행이지만 연구자들마다 그 구획하는 시점이 다르고 역사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데다, 단순히 순차적인 명칭은 연표적 구분일 뿐 전쟁의 역사적 흐름을 반영하지도 못한다. 고려와 거란이 관계한 200여년의 기간 중 특정한 시기, 즉 993년부터 1022년까지 30년의 기간에 집중되었던 양국의 전쟁을 분절이 아니라 전 과정을 연속된 국면으로 보아 ‘30년 전쟁’이라 칭하고, 그 안에서의 구분은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관점에서 ‘전연지맹' 체결을 기준으로 양분할 수 있겠다. 980년을 전후하여 동아시아 국제사회는 급변하게 된다. 송 태종이 북한 정벌에 성공해 중국을 통일하고 송과 거란이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되는 상황이 되었으며 거란은 요동의 여진 토벌에 나서면서 동방경략을 시작했다. 격동하는 국제정세에의 대응은 거란과 고려 모두에게 과제였다. 거란은 군사력 증진과 전쟁을 통해 역량을 확대하는 정책으로 나가며 요동 방면의 정복을 서둘렀다. 한편 고려는 보수적인 친중국 외교를 지키며 전통의 조공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거란은 986년 송태종의 북벌을 성공리에 막아낸 뒤 고려로 공격 방향을 바꾸어 993년 고려를 침공해 송과 고려, 송과 여진의 관계를 끊고자 했다. 고려는 거란에게 칭신납공할 것을 조건으로 강화를 맺는 대신 강동 6주의 영유권을 인정받았다. 거란이 고려의 조빙약속을 받는 선에서 물러난 이유는 송 쪽으로 전선을 돌려야 했고 고려의 저항력도 가벼이 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고려의 강동 6주 개척으로 여진 세력을 압록강 유역에서 몰아낸 것은 거란으로서도 전혀 손해날 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양측은 서둘러 강화를 체결할 수 있었다. 고려로서도 국제사회의 중심으로 주변국들 관계를 조정하는 맹주 역할을 송에게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러나 994년의 강화는 양쪽 모두에게 미봉책이었다. 고려는 태조 이래 금수지국이라며 소원했고 문화적으로도 이질적으로 느끼는 거란에게 臣服하는 것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형식적인 조공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기회를 보아 宋과 전통적인 사대조공관계를 회복하려고 애썼다. 거란은 송을 이기고 전연지맹을 체결하여 실질상 동아시아의 중심국이 되자 고려에 대한 압박을 재개했다. 1010년 고려에서 벌어진 목종 시해사건의 問罪를 구실로 시작했지만 사실상 고려를 완전히 종속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거란의 당초 예상과 달리 고려를 무력으로 제압하는 일은 훨씬 오래 걸렸다. 1019년 초까지 거란은 주요 전쟁만도 5차례 치루며 대대적인 공격을 단행했지만, 고려의 거센 반격으로 결국 전쟁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30년 전쟁은 양국의 충돌하는 외교 정책이 힘의 대결을 통해 조율되어 가는 긴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거란은 고려에 대해 완전한 종속이 아니라, 명분상의 상하질서인 조공관계로써 고려에게 상국이라는 지위를 인정받고 국제 사회의 중심임을 의례화하는 데서 만족해야 했다. 고려는 거란의 침략을 막아 ... The changes in the Khitans-Goryeo relations during their war of 994-1019 directly reflected the shift in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is author proposes to call this war the “Thirty Year War.” The customary designation among scholars is 1st~3rd war, with differing time periods depending upon who draws the line, but this does not agree with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 time-line division is nothing more than a chronology, and it does not reflect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200 years of Goryeo-the Khitans relation, the thirty-year war of 993~1022 should be considered as one continuous war, not a threepart episode. Thus this author believes the name “Thirty Year War”should be used and further subdivision should be divided by the Shanyuan Treaty from the aspect of East Asian politics. In 980, Song united China by defeating Northern Han, and Song and the Khitans now faced each other directly. The Khitans launched an eastward campaign against the Jurchens in Liaodong. Meeting this challenge brought about by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was the task for both the Khitans and Goryeo. The Khitans responded to this challenge by reinforcing their military forces and expanding their war effort, rushing the early completion of the eastward campaign in Liaodong. On the other hand, Goryeo stayed loyal to China and strengthened the traditional tributary relationship. The Khitans tried to sever the Song-Goryeo and the Song-Jurchen relationships by invading Goryeo in 993 after they had successfully repelled Song Taizong’s northern campaign in 986. Goryeo agilely signed a peace treaty with the Khitans, with the condition that Goryeo would pay tributes to the Khitans in return for the recognition for the right over six prefectures in Kangdong. the Khitans was in dire need to focus on the Song front, and the removal of the Jurchens from the Yalu River area by Goryeo’s opening of six prefectures Goryeo was a relief for them, and thus the peace treaty was agreeable for both parties. The peace treaty of 994 was but a temporary expedient for both parties. Goryeo had not been on favorable terms with due to their different cultural heritages, thus it was hard to accept the status of paying tribute. They tried to maintain the status quo by playing the official tributary card while seeking ways to restore the traditional tributary loyalty with Song. After the Khitans finally dismantled Song and rose to be the power of East Asia through the Shanyuan Treaty,they soon increased the pressure on Goryeo. The military campaign from 1010 was not very successful compared to their initial expectation. Until 1019, they launched a multitude of large scale military campaign only to retreat due to the strong resistance of Goryeo. The Khitans had to accept Goryeo’s recognition as the formal superior power by resorting to the tributary order, much less the absolute subordinate relationship. Goryeo was now in a better position in international political theater since they had repelled the Khitans out of Goryeo. Goryeo sent tribute to the Khitans and adopted the Khitans calendar, yet they could play their own cards to a certain extent. Song was kept in friendly terms, and the relations with the Jurchens was also kept open. Still, Goryeo sought to balance the 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politics by recognizing that the tributary order was now in the hands of the northern the Khitans. The new post-war the Khitans-Goryeo relationship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new East Asian international power order. Now the power hierarchy under a single power was difficult to achieve. Even if there were to be one power, now it was not the Chinese court, but the conquest dynasty of the north. The members of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al games, bound by treaties like the Khitans-Song as well as nominal tributary states such as Goryeo-the Khitans, Goryeo-Jurchen, or Song-Xixia, were all independent sovereign players who play...

      • KCI등재

        고려신사(高麗神社)와 고마이누(狛犬) - 『일본서기』의 고려(고구려) 인식과 관련해서

        김정희(Kim, Joung-he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6 No.-

        본고는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고전에서의 고(구)려 인식을 살펴보고, 현재의 ‘고려신사’ 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신사 앞 ‘고마이누(狛犬)’와의 관련성을 짚어보며 『일본서기』의 고구려 인식이 현재 일본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힌 논문이다. 첫째로 『송서(宋書)』『수서(隋書)』 광개토대왕비문의 기록에서 강대국으로서의 고구려 입지를 확인하고 『일본서기』에서 신의 자손이자 일본에 적대할 수 있는 강대국은 고구려라고 인식되고 있음을 보였다. 둘째로 고구려인들이 현재 고려신사가 있는 사이타마현에 거주하게 되었고, ‘백제군’ ‘신라군’은 헤이안 시대(794-1192)에 없어졌지만 고려군(高麗郡)과 고려신사가 다른 한반도계 마을 및 신사와 달리 사람들에게 특별하게 인식된 경위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신사 앞에 놓인 고마이누에 대한 전래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고마’의 ‘박(狛)’이라는 한자가 백제인의 고구려에 대한 멸시의 시선에서 나왔다는 점 등을 밝혀 고마이누가 고구려에서 왔을 것이라 추정했다. 신사의 수호신으로서의 당나라의 사자상과 고구려의 고마이누상은 현재 모두 ‘고마이누상’으로 부른다. 이는 고대 강대국이었던 고구려의 입지,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의 고려에 대한 멸시의 시선, 한반도의 영물이었던 ‘개’에 대한 인식의 전파, 고구려 멸망으로 인한 고려촌과 고려신사의 형성, 에도시대의 제국주의 확산 및 식민지 시대 상황 등이 맞물려 지금의 수호신으로서 ‘고마이누’가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상대 『일본서기』에 보이는 두려움과 멸시의 시선이 혼재된 고구려에 대한 인식은 시대를 지난 지금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manuscript is an article having demonstrated that Koguryeo recognition in Nihon Shoki is also currently affecting Japan while considering the recognition of Ko(gu)ryeo in classics with a focus on 『Nihon Shoki』 and touching on historical backgrounds for establishment of current ‘Koryeo shrine’ along with relationship with Komainu. First, In 『Nihon Shoki』 although Baekje is a family-like ally of Japan and amounts to a representative of Han(韓), the powerful country being a God’s offspring and capable of being hostile to Japan has been shown to be recognized as Koguryeo. Second, history has been considered where Koguryeo and Shilla came to reside in Saitama prefecture currently having Koryeo shrine, and Koryeo county and Koryeo shrine have come to be especially recognized by people unlike other villages and shrines of Korea peninsula although ‘Baekje county’ disappeared in Heian era. Third, tradition of Komainu has been considered, surmising that Komainu had originated from Koguryeo with clarification that Komainu originally had a from of having horns in forehead, was similar to ‘Haechi’ of Korea, having a nature of guardian, and particularly the chinese character of ‘Bak(狛)’ in ‘Koma’ having originated from the Baekje people’s sight of despise on Koguryeo. For the recognition of Koryeo shrine saying that worship leads to rising in the world, Gomainu as the shrine’s guardian, Ko(gu)ryeo that was once a powerful country, its influence can be viewed as still remaining in Japa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