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라신화(耽羅神話)에 보이는 여성성(女性性)의 역사문화적 의미

        전영준 ( Jeon Young-joon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6 동국사학 Vol.61 No.-

        제주의 문화자산으로서 신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재평가의 움직임은 다양한 탐라신화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가 당연한 자연법칙처럼 믿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격적이라 할 만큼 탐라신화에는 지혜롭고 강인한 여성상이 등장하며, 이들에 대해 주목하는 최근의 연구는 제주 사회의 구성요소에 대한 본질적 탐구라 할 만하다. 제주도의 독특한 종교문화는 열악한 제주여성들의 삶의 정황에 기인한 것이다. 絶海孤島의 지리적 제한, 척박한 자연환경과 어려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제주여성들은 집안일, 밭일, 바닷일에 더해 사회적 역할까지 감내해야 하는 고난의 삶을 살아내야 했다. 삶을 위협하는 자연의 변화에서 생명 보존과 풍요에 대한 강한 염원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신앙과 敬畏로 표현되었다. 다양한 성격의 신화와 공간이 창출되었고, 신앙 공간의 주된 행위자는 척박한 제주 사회를 이끌었던 여성이라는 점이다. 장기간에 걸친 여성 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인류역사 초기에 존재했었음을 알리는 증거들은 여러 민족의 건국신화에 잘 드러난다. 性的인 역할과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근래에 들어 크게 달라지면서 우리의 각별한 관심을 끄는 것은 인류 역사의 초기에는 여성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며, 더욱이 그런 시대가 아주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것 또한 역사적 사실이다. 인간생활의 총체적인 표현이 역사이며, 이것에는 생활습속을 포함한 신앙, 의식의 한 형식으로 신화를 품고 있다. 제주에 전승되고 있는 풍부한 내용의 신화는 그럴 만한 역사적 배경 위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원래 신화의 형성은 이성의 지배, 과학기술의 발달이나 산업화 현상 등 합리주의의 근대적 요소들과는 공존하기 어려운 것인데, 제주인의 역사는 이 같은 反신화적인 요인들이 비교적 약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탐라신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잘 드러나는 여성적인 감성요소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제주의 역사가 전근대적인 단계에 오래 머물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근대 유럽의 계몽적 합리정신이 추상적인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자연과학과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기계문명과 산업사회를 일으켰던 역사는 남성적인 이성능력의 소산이었다. 반면, 합리주의와 산업문명에 의해 마멸되지 않은 소박한 인간성의 온존상태와 같은 여성적인 감수성과 보호본능을 강하게 드러내는 탐라신화는 제주 역사문화의 전개과정에서 풍요를 담당하는 주체적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한반도의 여러 건국신화가 전쟁과 투쟁으로 점철되는 영웅신화로 여기의 여성상이 객체 또는 매개체의 역할에 제한되어 있지만, 탐라신화에 보이는 여성상은 여성영웅으로서 천지와 국토를 창조하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주체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미래의 제주사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가치 발견이라는 측면에서, 이제까지 홀대받았던 탐라신화의 가치는 새롭게 인식되고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주문화의 전승 기반으로서 탐라신화에 보이는 여성성의 역사문화적 이해는 제주문화의 외연을 확장하는 계기이면서도 탐라신화의 역사적·문화사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일정한 방향성을 提高할 수 있을 것이다. A move to newly perceive and reevaluate Jeju Island`s myths as Jeju Island`s cultural asset is based on previous scholars` studies of various Tamra mythologies. Tamra mythologies show such wise and strong feminine images as can be shocking to those who see male dominance over women as natural law. Recent studies focusing on these images deserve to be considered as intrinsic explorations into the components of Jeju Island`s society. Jeju island`s unique religious culture is based on bad life situations of the Jeju Island women. In the remote and isolated island with geographic limitations, harsh natural environment and turbulent history, the women of Jeju Island had to go through hardships to play social roles as well as to work around the house, in fields and at sea. Their strong desire for survival and abundance in the changes in nature that poses a threat to life was expressed in faith and awe of supernatural beings. Different types of myth and space were created accordingly, and major leaders in the space of faith were women that led the Jeju Island`s harsh society. Many tribes` state-founding myths clearly show proofs that there was a long-term female-dominating culture pattern in the early stage of human society. As the expectation of gender role and capacity has changed greatly these days, people are currently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facts that female-dominating culture pattern was natural in the early stage of human history and that such a stage lasted for a very long time. The comprehensive expression of human life is history, which contains myths as a form of faith and ceremony including manners and customs. Myths with rich contents inherited to the Jeju Island people have their sufficient historical backgrounds. The formation of a myth is difficult to coexist with modern factors of rationalism such as the rule of reas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or the phenomenon of industrialization. Nevertheless, these anti-mythical factors had relatively little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e Jeju Island people. Feminine emotional factors revealed well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inheritance of Tamra mythologies are found a lot;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Jeju Island was kept for a long time in the pre-modern stage. Enlightenment rationalism in modern Europe helped to discover abstract natural law and to develop machine civilization and industrial society using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ies. This history was the outcome of masculine reasoning ability. Meanwhile, Tamra mythologies clearly reveal feminine sensitivity and protective instinct such as the maintenance of simple humanity that is not destroyed by rationalism and industrial civilization. It is noteworthy that Tamra mythologies have been granted subjective roles in being responsible for abundance in the process of the Jeju Island people`s historico-cultural development. Many state-founding myths i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heroic myths filled with wars and strifes. Although feminine images in these myths are limited to the roles of objects or intermediaries, feminine images seen in Tamra mythologies are characterized as heroines having been granted the roles of entities to create heaven and earth and to bring about abundance. In terms of the discovery of a new value to lead the future Jeju Island`s society, it is necessary to newly perceive and reevaluate the value of Tamra mythologies that have been neglected up to now. So, a historico-cultural understanding of femininity seen in Tamra mythologies as the foundation for the inheritance of the Jeju Island`s culture will be a trigger to expand the realm of the Jeju Island`s culture and also to improve the sense of direction for reestablishing the cultural-historical status of Tamra mythologies.

      • KCI등재

        아프리카 역사의 역사교육적 가치

        이성재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0 No.-

        General image of Africa would be poor and miserable continent, which means the ignorance about Africa and the absence of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By the way, with intensifying globalization, the knowledge of African history and culture is being highly appreciated. However, it’s still difficult to get an access to concrete history or cultural contents of Africa. This situation would be linked to the fact that most of studies on Africa are based on the ‘Orientalism’ or the pursuit of ‘diversity’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Africa. To know concretely what is their history and how Africans accept their history are really important. With this problematic, this study analyzed African society without letters not as a primitive and underdeveloped society but as “a society which doesn’t need the letters.” Excessive emphasis on the letters often lead to the neglect of oral history but ironically the study of oral history can emancipate history from prison of letters. Another feature of African history is that it brings the mythological world into the real life and it justifies people’s activity using that world. In addition, African history makes mythological world rooted deeply into the real life through ceremonies. The colonialists deprived the historicity of the oral history from Africa. The third feature of African history is that Africans deal with the historical facts from the very practical point of view and from their social context. We explained these using the examples of tribes living along the Zaire river and Venda. History which seems to disappear, history which doesn’t make sense at all or ad-hoc selection of historical facts doesn’t generally appeal to us. However, it doesn’t allow us to neglect their unique attitude towards history. Rather than that, we should think seriously “what is living history” from studying African’s attitude towards the history.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mythological world and ad-hoc selection of history are still alive in our hearts in present-day society over the physically long period. 빈곤과 기아로 표상화된 아프리카의 이미지는 아프리카에 대한 무지이며 세계사적인 시각의 부재를 의미한다. 세계적 차원에서의 다양성이 강조되는 작금에 아프리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는 다시금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놀랍게도 아프리카에 대한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과 문화의 내용을 접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의 아프리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오리엔탈리즘이나 혹은 다양성의 관점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그들의 역사가 실제로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아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우선 무문자 사회를 문자가 없는 미개한 사회가 아니라 “문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회”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문자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종종 구술사에 대한 폄훼로 이어지기 쉽지만 역설적으로 구술사 연구야말로 역사를 문자의 감옥으로부터 해방시킨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역사의 두 번째 특징은 문자의 세계가 아닌 신화의 세계를 현실로 끌어들여 사람들의 활동을 정당화시키며, 더 나아가 의례를 통해 신화의 세계를 현실에 뿌리내리게 한다는 데 있다. 식민주의자들은 아프리카로부터 이러한 무문자 사회의 역사성을 빼앗고, 이에 대한 무시와 경멸을 주입했다. 아프리카 역사의 세 번째 특징으로 본 논문은 자이레 강 유역의 부족 사람들과 벤다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역사를 실용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진화와 전통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도 신화적 세계와 자의적인 역사 선택의 모습은 물리적인 시간의 흐름을 뛰어 넘어 여전히 우리의 마음에 살아 있다. 하지만 현재의 역사 연구는 이러한 역사에 대한 근본적인 갈망을 외면한 채 지나치게 객관과 논리에 빠져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실용적이지 않은 학문이라는 냉대를 받고 있는 우리의 역사 교육 현실에서 아프리카인들의 역사를 바라보는 태도는 단순한 신선함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역사관과 고대사 서술 -2011년 검정통과본의 분석을 중심으로-

        나행주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본고는 2011년 일본 문부성 검정통과본을 대상으로 일본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역사관과 고대사 서술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무엇보다도 금년에 검정을 통과한 일본중학교용 교과서는 2006년도에 성립된 개정 교육기본법과 이에 기초해 2008년에 새로 제정된 학습지도요령 및 동 해설서가 실제로 적용되는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특히 교육기본법 제2조 제5항에 명시된 교육목표(「전통과 문화의 중시」, 「애국심과 애향심」, 「타국 존중」, 「공공의 정신」, 「세계평화와 발전」)와 학습지도요령 및 동 해설서의 영토(독도)관련 사항이 실제 교과서 검정과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유의하면서, 일본우익의 역사관을 대변하는 소위 새역모계 교과서(자유사와 육붕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 2011년 검정 통과본 중학교교과서(역사·공민·지리)의 독도관련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영토관련 사항의 강조 및 교과서 검정의 결과로서 종래의 기술보다 한층 더 우경화의 경향이 강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새역모계를 포함한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가 독도(일본명 다케시마)를 ‘일본고유의 영토이자 이를 한국이 불법으로 점거·점령하고 있다’고 직접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2. 교과서검정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서 고조선 관련 서술의 삭제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지나치게 중시하여 역사의 유구성을 강조한 나머지 그보다 오랜 시기의 이웃나라의 역사에 대한 개악의 사례라 할 수 있다. 3. 일본중학교 교과서(역사·공민) 서술에 나타난 역사관은 전통문화의 중시, 애국심과 도덕의 강조, 국가와 천황의 중시, 자위대의 긍정, 자국의 위협론에 기초한 침략전쟁의 미화와 식민지배의 합리화 등에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역사인식에 입각해 한일관계나 한국관련 서술은 임나일본부(고대), 왜구(중세), 임진왜란과 조선통신사(근세), 일본군위안부, 식민지지배 문제 등(근대)으로 대표되는 사항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고대사서술상의 특징은 일본인·일본사회·일본문화·천황제국가 일본의 전통성·유구성·신성성·우수성·주체성을 강조하고 애국심과 도덕심과 자부심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화와 전승의 역사화, 성덕태자상의 창출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이며, 동시에 이웃나라에 대한 인식은 중국에 대해서는 대등의식을, 한반도에 대해서는 우월의식을 심어주는 서술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이러한 내용은 교육기본법이 제시한 또 다른 교육목표인 [이웃나라에 대한 존중]이나 [세계평화와 발전]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역사서술이며 역사교육이라 할 수 있다. 5. 결국, 일본우익세력의 역사관을 대변하는 새역모계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에 나타난 역사관은 여전히 종래의 일본고대사학계의 통설적 입장인 일본서기 사관(조공·헌상·하사·할양), 자국중심사관(대등론과 우위론), 천황중심사관(귀화인·번국관), 견당사중심사관(중국중시·한반도무시)에 머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새역모계 교과서 채택률의 급격한 증가와 교과서채택문제를 둘러싸고 야기된 오키나와에서의 지역간 대립과 갈등 사례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현재 일본의 역사인식은 국가주의와 세계주의의 대 ... This article was tying to figure out a view of history and ancient history on Japanese historical textbook through an authorized textbooks in 2011. Most of all, middle school textbooks authorized in this year were worth notice as the first case that government guidelines and manuals for teaching actually were applied to the textbook. Consequently, in this article, considering how authorizing textbook and narration in ti not only effectively reflected but also concretely were influenced by educational purpose clarified in the fifth clause of Article 2 of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importance of tradition and culture」, 「national and local patriotism」, 「respect to other countries」, 「public-spiritedness」,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and territory part (especially about Dogdo(獨島)) in government guidelines and manuals for teaching, the analysis on contents of textbooks from self-appointed Tsukuru-kai, representing the historical view of Japanese rightist, was intensively investigated. The result is summarized like that;1.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narration about Dogdo in middle school textbooks authorized in 2011 was that it has much more powerful tendency to turing to the right than previous one. on the other words, textbooks from all publishing company including Tsukuru-kai directly described Dogdo (Takeshima竹島 in Japanese) was illegally occupied by Korea, although it was Japanese territory. 2. The elimination of narration about Gojoseon (古朝鮮) was representative issue in authorizing textbook. It could be interperted as the case that history of a neighboring country (Korean history) was changed for the worse, to emphasize national history from time immemorial with valuing tradition and culture unreasonably. 3. The historical view in narration of middle school textbooks (History/ Civic education) had characters such as glamorization for aggressive war and rationalization about colonial rule based on significance of traditional culture, emphasis of patriotism and morality, importance of nation and Tenno (天皇), positive attitude for Japan Self-Defense Forces (JSDF, 自衛隊), controversy over treat on nation. Thus, resting on this historical view, the narrations about Korea and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still had considerable problems represented in Imnailbonbu (任那日本府, in antiquity), Japanese pirates (倭寇, in middle age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壬辰倭亂), and Joseon press agency (in modern ages). 4. The characteristic figure of narration for ancient times was it tried to make mythology and legend of history and to create great valuation of Shoutokutaishi (聖德太子). Also it was consistent in equality for China and superiority for Korea as historical awareness about neighboring countries. It was a way Japanese/ Japanese society/ Japanese culture/ Empire of Tenno emphasized tradition/ long history/ celestialness/ excellence/ independence of Japan and enticed patriotism, morality and self-respect. Finally, it seemed the narration and education of history were not match with 「respect to other countries」,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another educational purpose from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5. A view of history from narration of ancient time in Tsukuru-kai textbooks, speaking for the Japanese rightist still preserved the historical views, focusing on Nihonshoki (日本書紀), nation, Tenno, Kentoshi (遣唐使). 6. Like confrontation with each region in Okinawa (沖繩) among a boost in adoption of Tsukuru-kai textbook and problem of adopting textbook, current historical view of Japan is disoriented between pursuing tradition, culture, local and nation patriotism and pleading respect to other countries and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in conflict between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with matter about making patriot or citizen of the world.

      • KCI등재

        『중학 역사(상)』 교과서에 나타난 그리스사와 로마사 서술의 몇 가지 문제

        김덕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to form the view of history of students. Currently, 8 history textbooks is published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o study the world history only by using one of them. Unfortunately, I found a lot of inaccurate or misleading representations in the history textbooks, especially in the contents of Greek and Roman history. For example,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sites’ pictures are wrong, and there are much anachronistic descriptions. The most serious problems is that curriculum changes too frequently. But responsibility for the errors in textbooks are entirely to the authors. They should use exact historic terms and expressions. There is a need for the more strict certification system for history books. At that time we can eliminate unqualified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중학교의 역사교과서는 학생들의 역사관을 형성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8종의 『중학 역사(상)』 교과서에 있는 그리스사와 로마사 관련 내용을 검토한 결과 본문 내용이나 사진, 그림, 지도 등에서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표현이 많이 발견되었다. 문제는 8~12쪽의 적은 분량에서도 많은 잘못들이 ‘고르게’ 나온다는 점이고 그 중에 어떤 것들은 이미 이전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세계사 부분에 나오는 것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우선 2007 개정 이후, 교육과정의 수시개정제도가 도입되면서 2009, 2011 등 역사 교육과정이 너무 자주 바뀌고, 그에 따라 교과서 집필이 너무 급히 추진된다는 것이 지적될 수 있다. 교과서 집필진 구성 및 집필 작업 자체와 관련해서도 대책이 시급하다. 교과서집필 기간 자체가 촉박하다는 점 외에도 워낙 역사교과서가 다루는 범위가 넓은데 반해 해당 분야의 전공자를 모두 집필진으로 참여시킬 수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집필에 필요한 비용을 출판사가 무조건 떠맡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조건을 갖춘 출판사에 위임하면서 출판비용을 국가가 보전해 주는 것이다. 또한 각 분야의 전공자를 모두 다 골고루 집필진으로 참여시키지는 않는다 해도 적어도 교과서 심사본을 제출하기 전에 전공자의 감수를 받거나 검토를 받는 것이 차선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책임 집필의 관행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어느 부분은 누가 썼다는 식의 표시가 필요하다. 자연 전공자나 권위 있는 사람이 집필에 참여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교과서 용어나 표현의 준거가 될 수 있는 역사 용어사전이나 백과사전을 명시함으로써 논란이 되는 학설이나 이론 중에 교과서에 실릴 수 있을 정도의 ‘정설’에 대한 기준이 마련될 필요도 있다. 다른 교과도 마찬가지이지만 학생시절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기 때문에 교과서에 실리는 내용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오류들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 2013년 1학기부터 중학교에 배부될 『중학 역사』 교과서의 집필자들은 정확한 역사용어나 개념을 사용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가와 이론(Ⅱ)

        양홍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8 No.-

        Recently American History Researchers have greatly been effected by social science and its ideas. In this point, the essay is to rethink about wether this trend is good or not. So many critical history literature have owed magnificent ideas of social science. And so we historians have never escape these trends in the history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end, I selected the contemporary 7 critical history writings. Their new understandings and horizons of histories are resulted from indebting of social sciences’ ideas. Therefore I think that all these recently history books and their writers could not obtain their critical luminary status without obtaining social science ideas. Nevertheless, History disciple have developed since Greece its unique identity through sophisticate and elegance methodological approaches. Concretely speaking, social science researching methode are very deferent from humanist history approaches. The former, above all, construct hypotheses and accumulate its accurate material while history directly go to the manuscript and speak without special assumption. On conclusion, I think, we historians are very heed to catch social science ideas and instead should indulge our unique methodology to study past human beings and its relationship. And so, we historians could much more explains at the least in the problems about in the past than any other discipline such as social science. 본 비평논문은 왜 역사학에서 사회과학적 이론이 필요한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역사학자들은 왜 사회과학 이론에 빠져 들어가게 되는 것인가? 그리고 타 학문 분야에서 수용한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역사학의 지평확대에 미친 순기능과 역기능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확인하기 위해서 최근 역사학의 명저를 선택하여 확인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역사가들이 사회과학의 뛰어난 이론들을 수용하여 자신의 전문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이해와 지평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것은 매우 놀랍고 경이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이론에 대한 편집광적 몰입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런 추세로 인하여 역사학은 새로운 돌파구와 흥미를 유발하였고, 그 결과로 지금까지 본 것과 같이 값진 성과물들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역사학은 인문학의 정점에 있는 학문으로 과거를 공부하는 것이고 과거는 누구나 알다시피 현재의 관전 시점과는 완전히 다른 마치 이상의 나라의 엘리스가 보는 세계이다. 그런 세계를 관조하기에는 일찍이 그리스 시대부터 지금까지 준비되어온 독창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시대의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아주 혹독한 자기 검열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 무엇보다도 가설에서 시작해서 이론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학과는 완전히 다른 입장에서 서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 필자는 사회과학의 이론은 순기능에 비해서 역기능을 역사학에 제공하였다고 감히 말할 수 있었다. 특히나 여기에 소개하고 있는 최근 십년간의 약 7권의 주요저작들을 그런 측면에서 놀라운 보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허영호의 1930·40년대 불교교육 활동과 동국대

        황인규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is dissertation is to trace back Heo Youngho’s buddhist educational activity in 1930~40, especially for Jung’ang Buddhist Special College and Hyehwa Special College, the previous models of Dongguk University, I looked over the story that he led this school and its significance. He led Dongguk University after his study in the department of Buddhism, Daejeong University, in the following year, 1934, Heo Youngho was designated as the dean of Jung’ang Buddhist special college, and then right after the Korea’s liberation, he was inaugura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Dongguk University. He was an educational doer who carried out his thought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by developing Buddhist activities with modern Buddhist recognition as a modern Buddhist educator. While re-serving a dean and a professor of Jung’ang Buddhist special college, he actively worked for Buddhist youth movements, Mandang and the 2nd director in the Confederation of Joseon Buddhism, General affairs in the alumni of Jung’ang Buddhist college etc. And also Heo Youngho worked for a director and a member of secretaries in Joseon Buddhism, inaugurated as the chief director of Hyehwa special college working for the librarian of Supreme Patriarch, Bang Han’am, he reinstated as the principal of Hyehwa special college after Korea’s emancipation, and he arbitrated the conflict between the religious body and the Confederation of Buddhist Innovation leading Dongguk University as the first president. He resisted against oppression of Japan,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he cooperated in the area of Japanese Buddhism, but he also was a scholar and a doer of innovation of modern Buddhism and Modern Buddhist Education. Heo Youngho shared an intention with Kim Beoprin, he insisted that the key factor of modern Buddhist innovation was Buddhist education recognizing the reality of Buddhism precisely participating into the Buddhist youth movement. His educational methodology and its conten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lasses of the current college course, especially by leading the foundation as the first president of Dongguk University, he tried to establish the symbol of school which had an intention to expand the range from the Buddhist study including ordinary people to the field of humanities after the claim as Jung’ang Buddhist special college. 본 연구는 허영호의 1930·40년대 불교교육 활동을 추적하고, 특히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중앙불교전문학교와 혜화전문학교, 동국대학을 이끌었던 내용과 그 의의를 살펴본 연구이다. 허영호는 대정대학 불교학과 유학 후 이듬해인 19334년 중앙불교전문학교의 학감에 보임되면서 해방직후 초대 동국대학 학장에 이르기 까지 동국대를 주도하였다. 근대 불교 교육가로서 근대 불교인식으로 불교계 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 현장에서 활동한 교육 실천가였다. 중앙불교전문학교의 학감겸 교수에 재임하면서 만당과 조선불교총동맹 제 2대 집행위원장, 중앙불전 교우회 총무 등 불교청년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허영호는 조선불교 교무원 평위원과 이사로, 종정 방한암의 사서로 활동하면서 혜화전문학교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 해방후 혜화전문학교의 교장으로 복교하였으며, 동국대 초대의 학장으로 동국대를 이끌면서 교단과 불교혁신총연맹의 알륵을 중재하기도 하였다. 허영호는 일제의 강압에 저항을 하였으며, 생애 후반부에 일제 불교라는 영역에서 협력하였지만 근대불교의 개혁과 근대 불교교육의 학자이자 실천자 였다. 허영호는 김법린과 뜻을 같이하며 불교청년운동에 참여하면서 불교 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근대 불교개혁의 요체가 불교교육이라고 주창하였다. 그의 교육 방법 및 내용은 현대 대학과정 수업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특히 동국대 초대 학장으로서 재단을 이끌면서 중앙불교전문학교 이래 표방해왔던 재가자를 포함한 불교학은 물론이고 인문학 분야 까지 확대하는 학교의 표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耽羅神話에 보이는 女性性의 역사문화적 의미

        전영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1 No.-

        제주의 문화자산으로서 신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재평가의 움직임은 다양한 탐라신화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가 당연한 자연법칙처럼 믿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격적이라 할 만큼 탐라신화에는 지 혜롭고 강인한 여성상이 등장하며, 이들에 대해 주목하는 최근의 연구는 제주 사 회의 구성요소에 대한 본질적 탐구라 할 만하다. 제주도의 독특한 종교문화는 열악한 제주여성들의 삶의 정황에 기인한 것이 다. 絶海孤島의 지리적 제한, 척박한 자연환경과 어려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제주 여성들은 집안일, 밭일, 바닷일에 더해 사회적 역할까지 감내해야 하는 고난의 삶 을 살아내야 했다. 삶을 위협하는 자연의 변화에서 생명 보존과 풍요에 대한 강한 염원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신앙과 敬畏로 표현되었다. 다양한 성격의 신화와 공 간이 창출되었고, 신앙 공간의 주된 행위자는 척박한 제주 사회를 이끌었던 여성 이라는 점이다. 장기간에 걸친 여성 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인류역사 초기에 존재했었음을 알리 는 증거들은 여러 민족의 건국신화에 잘 드러난다. 性的인 역할과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근래에 들어 크게 달라지면서 우리의 각별한 관심을 끄는 것은 인류 역 사의 초기에는 여성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며, 더욱이 그런 시 대가 아주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것 또한 역사적 사실이다. 인간생활의 총체적인 표현이 역사이며, 이것에는 생활습속을 포함한 신앙, 의 식의 한 형식으로 신화를 품고 있다. 제주에 전승되고 있는 풍부한 내용의 신화는 그럴 만한 역사적 배경 위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원래 신화의 형성은 이성의 지배, 과학기술의 발달이나 산업화 현상 등 합리주의의 근대적 요소들과는 공존하기 어 려운 것인데, 제주인의 역사는 이 같은 反신화적인 요인들이 비교적 약했다는 것 이다. 이렇게 볼 때, 탐라신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잘 드러나는 여성적인 감성 요소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제주의 역사가 전근대적인 단계에 오래 머물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근대 유럽의 계몽적 합리정신이 추상적인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자연과학과 테 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기계문명과 산업사회를 일으켰던 역사는 남성적인 이성능력 의 소산이었다. 반면, 합리주의와 산업문명에 의해 마멸되지 않은 소박한 인간성 의 온존상태와 같은 여성적인

      • KCI등재

        연구논문 : 『택리지』를 통해 본 이중환의 역사인식 -인물과 사건 기록을 중심으로-

        신병주 ( Byung Ju Shin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5 동국사학 Vol.58 No.-

        본 논문에서는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의 가계와 생애, 『택리지』의 주요 구성, 그리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관련 서술, 함흥차사와 홍순언에 관한 기록 등 역사적 사건과 인물 기록을 중심으로 이중환의 역사인식의 단면을 검토해 보았다. 『택리지』는 기본적으로는 지리지임에도 불구하고 역사 관련 서술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이것은 이중환이 그만큼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지역 정보에 떠오르는 역사적 사실과 斷想이 있으면 최대한 기록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몇 가지 역사 관련 기록을 다른 문헌들과 비교해 보면 내용상 차이가 나는 것이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참고문헌이나 전거가 없이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저자가 어떤 자료를 구체적으로 참고해 정리한 것인지도 알 수가 없다. 자신의 상식과 기억에 의존하였다면 이중환의 역사에 대한 식견과 관심을 대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택리지』가 광범위하게 유포된 책임을 고려하면 『택리지』에는 당대인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이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서나 『성호사설』처럼 치밀한 고증에 바탕을 두지 않아, 역사자료로 활용하기에는 허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택리지』에 정리된 다양한 내용의 역사 관련 기록들은 실록이나 『연려실기술』과 같은 기록과 비교하여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life and family of Yi Jung-hwan, the author of 『Taek’ri-ji』. Also examined is the internal structure of 『Taek’ri-ji』, and his documentation of the wars with the Japanese and Qing forces, as well as King Taejong’s repeated dispatching of emissaries to Yi Seong-gye in Ham’heung, and a person named Hong Sun-eon. Analysis of his own recording of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would hopefully shed some light upon his own historical point of view. 『Taek’ri-ji』 is primarily a sourc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but contains many historical details as well. This was because Yi Jung-hwan was very much interested in history, and wanted to include local historical references (as well as his own opinions, some thoughts that came to his mind) in the book as much as possible. Bu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documentation in this book and those in other sources. In this 『Taek’ri-ji』 there are no source of references, so we cannot confirm what kind of sources Yi Jung-hwan consulted. If he wrote this book based upon his own knowledge and memories, that would sure be an extraordinary thing.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Taek’ri-ji』 was widely circulated at the time, this book may have contained historical details that were known and understood by many of the Joseon people at the time. But unfortunately, unlike other historical texts like 『Yeollryeo-shil Gisul』 or 『Seong’ho Sa’seol』, this book is not based on meticulous confirmation of historical facts, so one should be careful in using it as a source of historical information. All the things in 『Taek’ri-ji』 should be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Yeollryeo-shil Gisul』 o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미시시피 계곡의 면화생산과 자연과 인간

        양홍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동국사학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swer and explain the Mississippi River era’s radical nature transformation after beginning to cultivate cotton plants. Historians never have understood this radical nature changes until recently. But now historians study all the phenomenons, and finally understand the river era’s nature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hybrid nature. This essay contours all these changes through recently historiography in these relating history subjects. 본 논문은 역사를 해석함에 있어 전통적인 인간 중심의 해석이 아니라 자연/자원 중심의 역사서술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려는 시론이다. 그 한 사례로서 “면화”라는 식물을 선택하였다. 면화는 미국역사 뿐 아니라 세계 정치, 경제, 문화, 외교 등 기존 역사 연구의 중요한 소재 중 하나였다. 저자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서 인간과 자연의 상호 작용 속 관계가 갖는 의미에 천착하였다. 그런 가운데 물질인문학과 환경사 이론을 적용해서 이를 역사학에 접목하고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시시피강을 중심으로 한 면화 생산의 역사를 살펴본다. 전통적인 역사 서술은 이 지역을 7년 전쟁, 이후 아이티 혁명 이후 나폴레옹의 고심 그리고 잘못된 오판에서부터, 루이지애나 영토라는 이름과 제퍼슨 및 잭슨 중심의 역사로까지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 특히 영웅 중심의 서술 대신, 필자는 면화의 종류와 이것이 어떻게 미시시피강 주위로 퍼지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인간, 특히 흑인 노예들의 생활을 변화시켰는지 살펴본다. 즉, 역사의 주제가 인간이 아니라 미시시피강이고 면화이다. 예를 들어 전쟁이나 외교가 아니라 면화의 종류를 아주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인간은 오히려 부속적인 요인이다. 이것은 곧 현재의 자연과 인간을 공부하는 학문이 단지 이론적인 담론으로만 존재하고, 실재 역사학에서는 응용력이 없는 것은 아닌가에 대한 의문에서 미시시피강 중심의 사례로 확인해보는 것이다.

      • KCI등재

        20세기 전환기 미국 원주민 동화교육과 새로운 시민정체성을 찾아서

        오영인(Oh, Young-I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2 No.-

        1960-70년대는 미국 역사상 소수자를 위한 민권운동의 절정기였다. 수천 수백 년간의 인종차별을 종식시키고자 했던 흑인 인권운동에 힘입어 모든 유색인과 소수자들이 함께 목소리를 높였던 시기였다. 그런데 미국 원주민의 경우, 원주민들의 ‘다르게 살 권리’를 위한 자기정체성운동과 그 성과를 1960-70년대로만 국한해서는 안된다. 원주민들이 주류 백인문화 속에서 부족문화의 전통과 가치를 유지하면서 혼종적인 문화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한 것은 오히려 20세기 전환기 전통문화 말살이라는 동화교육이 그 정점에서 강제되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인디언다움’을 유지하면서 백인 미국사회에서 공존하는 원주민만의 문화정체성 형성의 역사를 100년 전 부터 꾸준히 이어진 원주민들의 새로운 자기정체성 찾기라는 긴 여정으로 들여다본다. 본고는 먼저 원주민에 대한 미국의 교육정책과 인종인식에 대한 변화과정을시기별로 정리하면서 원주민에게 문명화교육, 동화교육, 혹은 분리교육이 어떤 의미였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그들의 저항은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었고 그들이 진정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원주민들이 부족정체성을유지하면서 백인주류사회에서 공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두 명의 대표적 원주민 지도자의 활동을 통해 들여다보고 그들만의 방식으로 이중적 문화정체성(Bicultural Identity)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들여다볼 것이다. Without a question, the 1960-70s was the era of the civil rights movements for minorities. In the wake of the African American civil rights movements, diverse minorities including colored races arose together in America. In case of Native American, however, Indian rights movements and outcomes for the right to live different keeping their Indian heritage should not be confined the 1960s. Rather, it started very point of that American government tried to destroy and erase Indian traditional tribal culture by force in the name of the “Assimilation Program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ee the history of reclaiming Indian cultural identity as a long journey of remolding their identity by embracing the values and customs of both the white dominant culture and their own as an American. It starts with explaining how American racism and educational policies toward Native Americans from the beginning of the nation by showing the meaning of civilization education, assimilation or segregated education for Native Americans. It also shows the diverse ways of resisting in order to express what exactly they wanted. Then, focusing two dominant Native American leaders who adopted bicultural identities, it explains the way how they showed that to be American meant to be able to negotiate with white culture as well as reclaim the very traditions, culture, and identities that their white teachers had once tried to annihi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