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 中期 靑磁花形楪匙 硏究

        전남언(Jun, Nam 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0 No.-

        고려시대 청자화형접시는 고려 전시기의 가마터에서 확인되는 기종으로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시기별 특징과 형태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중기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살펴봄으로써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의 양식 변천을 고찰하였다. 남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고려 중기 가마터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살펴본 결과 용운리 9호와 10호에 대해서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지만,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9호와 10호-Ⅰ층은 11세기, 10호-Ⅱ층은 12세기 전반∼13세기 전반으로, 부안 진서리 18호와 유천리 6구역․7구역은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의 기년명을 가진 정요와 경덕진요의 화판형접시를 통해 태안 대섬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의 시기를 12세기 전반으로 설정하는데 근거를 제시하였다. 석릉 출토 청자화형전접시는 기존에 부안 유천리 7구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언급되었으나, 부안 유천리 7구역의 청자화형접시와 강진지역의 유물을 면밀히 살펴 본 결과 강진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는 12세기 전반 요주요와 더불어 정요의 화형접시 특징이 나타나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12세기 전반 이후의 중국의 화형접시는 전 지역의 窯場에서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려와 중국 화형접시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국의 경우 고려에 비해 다양한 형식의 화형접시가 제작되었다. 고려의 청자화형접시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요소들이 확인되지만, 중국의 화형접시의 형태 중 고려의 미감으로 문양과 기형을 선택하고, 이를 변화시켜 청자화형접시를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려 중기 청자화형접시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살펴보았다. Ⅰ-1期(12세기 전반)는 고려 초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중국 요주요의 압출양각기법이 도입되면서 요주요와 유사한 화형전접시가 제작되며, 정요의 영향도 확인된다. Ⅰ-2期(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는 청자화형전접시가 전반적으로 유행한다. 금속기로 제작된 중국의 능화형전접시의 제작기법의 영향으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형태적인 면에서 고려만의 특징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12세기∼13세기 전반에 제작된 청자화형접시를 통해 가마터의 운영시기를 살펴봄으로써 강진과 부안지역의 가마터의 구체적인 편년을 설정해 보았고, 가마터와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화형접시를 분석함으로써 고려중기 청자화형접시의 시기별 양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Celadon foliate dishes from the Goryeo Dynasty have been excavated from kiln sites of early Goryeo, and show characteristics and change in shape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in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from mid-Goryeo kiln sites and ruins and discussed change in the celadon foliate dishes during mid-Goryeo. Regarding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from mid-Goryeo kiln sit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scholars have proposed various theories related to Yongun-ri 9 and 10. However, based on the celadon foliate dishes, it was agreed that no. 9 and 10-level 1 belong to the 11th century ; no. 10-level 2 to early 12th to early 13th century ; and Buan Jinseo-ri 18 and Yucheon-ri area 6 and 7 to late-12th to early-13th century. Based on the foliate dish of Dingyao and Jingdezhen that are dated late-11th to early-12th century, this study proposed a basis for estimating the time of celadon foliate dish excavated in Daeseam in Taean to be the early-12th century. Although it was suggested that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in SeokReung might have been originally made in the Buan Yucheon-ri area 7. However, based on close observation of the celadon foliate dish of the area and relics found in Gangji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it might have been made in Gangjin. Notably,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 show characteristics of foliate dishes of the early-12th century Yaozhouyao and Dingyao. Since the early-12th century, Chinese foliate dishes were made in similar shapes in klins in all regions of the country. Regarding the overall shapes of foliate dishes from Goryeo and China, Chinese dishes were more diverse in style in comparison to Goryeo dishes. Celadon foliate dishes from Goryeo show elements that were influenced by China. However, the patterns and formal elements were chosen and transformed based on the aesthetics of Goryeo to make celadon foliate dishes for Goryeo. This study investigated relics excavated from kiln sites and ruins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es. During the first period(early-12th century), the extrusion emboss technique of Yaozhouyao, which was not used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in troduced and adopted to make foliate dishes that are similar to Yaozhoyao. Also, the dishes show influence of Dingyao. During the secong period(early-12th to early-13th century), celadon foliate dishes was popular, overall. It is suggest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foliate dishes from China, which were made with metal, but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of Goryeo in terms of the shape. This study examined the periods of kiln sites based on celadon foliate dishes made between the 12th and early-13th century, based on which the specific chronology of the kilns sites in Gangjin and Buan were estimated. Also, by analyzing celadon foliate dishes excavated in kiln sites and ruins, the study discussed the types of mid-Goryeo celadon foliate dish according to the relevant period.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의 한국도자 수집 방법의 시기별 변화와 그 의미

        전남언(Jun, Nam 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4 美術史學 Vol.- No.47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의 시정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조선물산공진회가 경복궁에서 개최된 이후 같은 해 1915년 12월 1일 공진회 미술관 장소였던 곳에 조선총독박물관이 개관되었고, 광복 이전까지 운영되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된 한국도자는 현재 도자사 연구에 있어 연구대상이 되는 도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유물의 유래를 파악하는 점은 도자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20세기 전반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한국도자가 수집된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므로 본 논고에서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한국도자 수집 방법에 주목하여 시기별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한국도자를 수집하면서 구입, 기증, 법령에 의한 인계품이 박물관으로 수집되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독립 기관이 아닌 조선총독부의 산하 기관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조선총독부의 식민정책의 변화가 박물관 운영과 수집 방법에 즉각적으로 반영된 점을 알 수 있었다. Ⅰ기(1915-1931년)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고적조사가 진행되면서 전국의 도요지와 유적조사를 통해 연구·자료적인 목적으로 도자가 수집된다. 이 시기에는 경성미술구락부 세화인, 골동상인 및 개인 판매자들을 통해 한국도자를 수집했다. 1916년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와 1931년 미쓰이(三井)사의 두 차례의 기증을 통해 한국도자가 수집된다. 두 사례를 통해 조선에서 활동한 정치가와 기업이 조선총독부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기증이 진행된 점을 알 수 있었다. Ⅱ기(1932-1945년)에서는 조선총독부가 「보존령」을 시행하여 이전 시기보다 문화재 관리법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보존령」의 시행은 유적과 유물을 보호하는 목적과 달리 개인이 수집한 도자가 「유실물법」을 통해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수집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예산을 들여 고적조사를 시행하지 않아도 법렵에 의해 신고자들에게 저비용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출토된 도자를 확보하였으며, 수집 대상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수집은 박물관이 갖는 교육의 목적이 상실 된 채 수집품을 박물관에서 보관하는 수장고의 역할로 하락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유실물법」에 의해 수집된 한국도자는 전문지식이 겸비되지 않은 일반들에 의해 수습되어, 당시의 기록이 결여된 채 박물관으로 인계되었다. 조선총독부는 법령 강화를 위해 신고자에게 보조금을 교부하였는데 이는 오히려 일반인들에게 무분별한 도굴을 장려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그로 인해 한반도의 유적과 유물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었어야 할 법령은 일본의 식민통치의 실리적 목적을 위해 활용된 점을 알 수 있었다.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朝鮮總督府博物館) opened on December 1, 1915, at the site of the Joseon Mulsan Gongjinhoe(朝鮮物産共進會) which was held in Gyeongbokgung Palace in the same year to commemorate the 5th anniversary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mong Korean ceramics collected by the museum are many that are so important in the current study of ceramic history that tracing the origin of them make up an important part of the study. Seeing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Korean ceramics were collected at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paper focused on the method of collecting Korean ceramics at the museum and examined changes by period and their meanings. The museum collected Korean ceramics through purchase, donation, and handover by law. Since the museum was a public affiliated with the Government-General, not an independent organization, changes in its colonial policy were immediately reflected in the museums operation and collection methods. In the 1st period(1915-1931) was a time when Joseon historical remains research were conducted across the country by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collection of ceramic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data through surveys of pottery sites and ruins. During this period, the collection was mainly carried out through purchases from Gyeongseong Art Club Sehwain, antique shops, and private sellers. And there were donations from the Governor-General Terauchi Masatake(寺內正毅) and the Mitsui(三井) Company in 1916. These donations showed that the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an organic relationship among politicians, private companies and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In the 2nd period (1932-1945),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trengthened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rules beyond the previous period by introducing the Joseon Treasure Historic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Decree. Unlike the decree’s purported purpose of protecting remains and relics, ceramics collected by individuals are funneled into museums through the Lost and Found Act. At this time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was able to expand the scope of the collection by securing ceramics excavated from various regions at low cost by their finders without conducting a separate historical survey as stipulated by the decree. These collections, however, show a decline in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s collection while the museum was becoming a storehouse of the ceramics. The objects found by non-professionals without any expertise were collected without the records of collecting at the time, and incentives were given to finder-reporters to bolster the decree, which encouraged, however, general populace to become indiscriminate excavators.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laws that should have been implemented to protect the remains and relic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used for the actual purpose of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