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지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경쟁력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박찬정(Chan Jung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04 관리회계연구 Vol.4 No.2

        기업의 경쟁력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들에는 비계량적 요인들이 포함되며, 점차 이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 개발된 성과측정을 위한 균형성과표에는 무형요인의 측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무형요인과 같은 질적 측정치에 대한 체계적 평가 방법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① 무형요인에 대한 질적 측정이 실무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② 계량적 및 질적 측정에 의한 다양한 차원의 측정치를 통합하여 하나의 종합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 경쟁력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무형요인에 대한 측정방법에는 계량적 대용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적절한 척도에 의한 주관적 판단의 방법이 있다. 이 중 적절한 척도에 의한 주관적 판단을 위하여 퍼지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성과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 적용된 퍼지모형에 의한 경쟁력 평가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문제의 계층구조를 경쟁력, 핵심성공요인, 성과측정 등으로 파악하고, ② 핵심성공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언어 변수로 측정한 후, ③ 퍼지개념을 적용하여 성과측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질적 요인들은 언어변수로 측정하고, 계량적 요인들은 퍼지숫자를 정규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④ 핵심성공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치로 해서 퍼지화된 성과측정치를 가중평균하여 전반적 경쟁력의 종합지표를 개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평가를 위한 퍼지모형을 전통적 5점 척도모형과 비교하기 위하여 사례 연구가 행해졌으며, 연구 결과 퍼지모형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Because what gets measured gets improved, performance measures are critical for an organization's success. But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ompetitiveness contain many qualitative measures,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in evaluating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The challenge for management accountants is to measure the unmeasurable, to develop a set of measures that capture the true esse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Even though the link between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has been widely recognized, its implementation presents several pitfalls. More precisely, two major problems usually have to be addressed: ① measuring those critical success factors that are qualitative in nature (intangible critical success factors), such as, for instance, corporate image, technological competence, learning, culture, employee morale, ② proceeding from the various critical success factor measures, expressed in heterogeneous metrics, to an overall assessment of business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competitors and, thus, to determination of a company's overall rank. This article is aimed at showing the potential of the fuzzy set theory to integrate management accounting and strategy. More precisely,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 fuzzy linguistic framework to link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Indeed, the fuzzy model can effectively address both the above problems by allowing metrics to be defined which can evaluate intangible factors and deal with heterogeneous measures. The implementation of fuzzy linguistic framework requires the following steps : ① develop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problem in terms of business com-petitiveness, critical success factors, corresponding performance measures, and firms to be compared ; ②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contributing to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③ assess the companies performance with respect to each critical success factor ; ④ calculat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each company, by weighting the performance measures with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ranking them. This article presents an example case study to illustrate how the fuzzy linguistic framework can assess business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In consequence, the fuzzy model for competitiveness evaluation described in this article is superior to other approaches in management accounting.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를 이용한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경쟁력 분석

        이광배,모수원,박정환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6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dustrial production chang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using the shift-share techniques. This paper also incorporates the location quotient into the BCG matrix, because the former provides a measure of the relative concentration (or specialization) of each sector in Gwangju, and the latter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time exposure and point on the dynamism of the regional specialization.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regional competitive componen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 most of changes of industrial production, of which regional competitiveness is overwhelmingly greater than national and industrial component for chemicals products, rubber product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basic metals, electrical equipment, other machinery and equipment, and motor vehicles. This study shows that food products, chemicals products, medical and precision instruments, other machinery and equipment, and wood products with positive IC and RC belong to growth or mature area, so it is recommended to let those manufactures continue carry out their activities and promote them for a further. Beverages, rubber products and motor vehicles with a high level of LQ but with a declining trend with its negative LQ growth rate are recommended to direct the development policy towards promotion of these manufactures with the aim to progressively move them towards the sector ‘MATUR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aper wearing apparel, paper products and printing would be transformed to the more promising industry, since they are not only on the area with negative RC and IC, but have low level of LQ and falling growth rate of LQ. 본고는 변이할당분석, 입지계수, 보스턴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광주 제조업의 고용자수 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한다. 변이할당의 정태적 분석을 실시하여 16개 제조업 중 국가요인이 주요 변동요인이며 부문요인이 지역경쟁력요인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 자동차 제조업을 제외하고 지역경쟁력요인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 그리고 BCG를 결합하여 부문요인과 경쟁력요인이 양의 값인 식료품, 화학물질, 의료정밀기기, 기타 기계장비, 목재 제조업은 지원이 없어도 스스로 성장할 수 있으며, 부문요인은 양의 값을 가지나 경쟁력이 음의 값인 산업에서 음료, 고무, 전기장비, 자동차 제조업은 쇠퇴영역에 속하나 입지계수가 크고 산업의 전망이 좋기 때문에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인다. 섬유제품, 1차금속, 전자부품 제조업은 경쟁력이 있으나 부문전망이 밝지 않고 특화정도가 낮기 때문에 지원 여부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의복, 종이, 인쇄업은 도입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지역과 산업의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타 산업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함을 밝힌다

      • KCI등재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 분석 : 한국, 미국, 싱가포르, 중국, 일본 5개국 비교 분석

        현석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미국 금융위기가 발생하였기는 하지만 금융산업의 중요성이 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1세기 산업으로 육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찾아보았다.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한국의 금융산업은 총체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금융 지표 중 자체적으로는 경쟁력 지수가 높은 부문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경쟁력 수준에 머물렀다. 셋째, 국가별 경쟁력 요인을 비교한 결과 선진국 중에서 금융경쟁력이 낮다고 평가되는 일본에 비해서도 국내 금융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의 경쟁력은 내부요인(생산기술성, 안전성)보다는 외부요인(경제환경, 금융제도)에서 격차가 더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넷째, 한국은 금융산업이 낙후된 것으로 알려진 중국과 비교했을 때도 경쟁력 격차가 미미할 뿐 아니라 금융제도 및 정책 분야에서는 한국이 오히려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종별로 보면 증권업 관련 경쟁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과 격차가 크고 중국에 바짝 추격당하는 상황에 놓여 있는 국내 금융산업은 금융허브 시스템 구축 가속화, 전문인력 확충, 금융기관 건전성 확보, 금융제도 및 정책 선진화, 글로벌 투자은행 육성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American financial crisis is caused by sub-prime mortgage problem. But financial industry must not be ignored because financial industry is still important in economic system. This thesis tries to find oud how strong Korea financial industry is compared with America, Singapore, China, Japan. The result of analysis explains that Korea financial industry is weak. When Korea financial industry is compared with Japan, system of which is known weak, our competitiveness is worse. And we have to pay attention to China financial industry. China financial industry wins Korea financial industry in some factors. To survive in global competition, we hav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financial hub system, financial skillful men and financial institution soundness.

      • KCI등재

        부산항터미널의 운영문제점과 경쟁력간의 관련성분석

        안기명(Ki-Myung Ahn),김성용(Sung-Yong Kim),추연길(Yeon-Gil Choo),김인수(In-Su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8

        현재 부산항은 수출입화물량의 정체와 북중국 주요항만의 급속한 물동량 증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일부 개장된 신항과 북항간의 물동량 유치를 위한 과잉경쟁으로 인한 급격한 효율하락으로 항만경쟁력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부산항의 운영문제점이 부산항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빛 진단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운영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산항 컨테이너부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격경쟁력 약화요인이며 신항배후단지시설과 연계수송체제 미흡성 요인과 운영능력 미흡성요인도 문제점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비효율적인 노무공급체계가 가장 문제가 큰 변수로 지적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신항개발로 인한 효율경쟁 격화, 국내항만간의 과다경쟁, 신항배후단지시설의 미흡성, 과다한 내륙운송비용, 북항과 신항간의 연계수송체제의 미홉성 순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요인들은 부산항 경쟁력 영향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어 물동량증대효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부산항이 동북아 허브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통합운영을 통한 항만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메가케리어의 터미널 운영권 확대, 항만노사평화체제 구축을 통한 항만안정성 제고, 신항 및 배후물류단지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물동량 창출이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operational problems of Busan Port and competitiveness deciding factors are analyzed by field data research and interview with employees in shipping companies and terminal operation companies. In the analysis, the problems Busan Port currently has are identified as follows: 1) low price competitiveness, 2) Lack of new port back facilities and connecting transportion system 3) Lack of operation ability of container terminal 4) Inefficient poor labor supply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leap up to a hub port in North East Asia, Busan port is investigated to enhance below requirements. 1) Hiring more equipment and increase productivity in terminal 2) Integrating terminal operation companies to react maximization of vessel 3) Maintaining cost advantages 4) Proactively inviting global carriers to participate in the terminal operation 5) Making business environment for Global Terminal Operator to participate in the terminal opera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ir global marketing power.

      • KCI등재

        수출입 냉동물류센터 입지경쟁력 결정요인분석

        차준헌,박상형,김시현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5

        본 연구는 AHP를 활용하여 부산 경남 냉동 물류 센터의 위치 경쟁력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설 요인, 서비스 요인, 위치 요인, 그리고 비용 요인의 네 가지 영역과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19개의 항목을 계층화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냉동물류센터의 입지결정요인과 기존 물류센터에 요구되던 요인들을 고려하여 수출입을 위한 냉동물류센터의 입지경쟁력 결정요인을 계층화하였다. 비용요인이 국내 냉동물류센터 입지경쟁력의 결정요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차지하였다. 실제 시설인프라와 물류연결성은 관련 업종 근무자들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항이기도 하며 새로운 냉동물류센터의 도입 시에도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는 냉동물류센터 종사자 및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 어떠한 요인을 냉동물류센터의 입지경쟁력 결정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도출하였고, 향후 입지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제공한다.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old chain systems following COVID-19, the significance of refrigerated logistics centers has also been highlighted. However, the majority of domestic refrigerated logistics centers primarily are located far from urban areas or major roads, and suffer from issues of aging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energy-intensive characteristic of refrigerated logistics centers, the cost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site selection are substanti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ompetitiveness for frozen logistics center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study categorizes four areas: facility factors, service factors, location factors, and cost factors, further subdividing them into 19 specific items for hierarchical evaluation of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ompetitiveness for refrigerated logistics centers must be prioritized. The research provides strategic insights for enhancing location competitiveness of refrigerated logistics centers in the future.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지역성장률 격차요인 변화와 지역대표산업의 산업경쟁력 분석 -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

        나주몽,김재영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process of regional growth rate gap factor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through factor decomposition of regional growth rate gap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policy implications by focusing on the regional representative industries of Gwangju and Jeollanam-do. Regional competitiveness comes from various external effects derived from locational aggregation of industries rather than simply from the uniqu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itself, if a region's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excellent in relation to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industrial structure by examining regional growth through gap factors to see what factors affected the relative stagnation in terms of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analysis of reg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local econom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gional economy in Gwangju and Jeollanam-do was divided into 1st (2000-2005), 2nd (2006-2010), 3rd (2011-2015), and 4th (2016-2019) period for regional growth changes over 19 year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factor decomposition of the growth rate gap, industrial structural factors have continuously contributed in a positive (+) direction in Gwangju and Jeonnam after 2010.On the other hand, regional special factors were found to remain at a weak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rengthening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innovative growth and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regional special factors. Second, in the dynamic Shift-Sha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Gwangju and Jeonnam were considered among the top 10 regional representative industries selected based on the weight of added value for the 4th period (2016-2019)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Gwangju, machinery,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other sectors belonged to the growth potential industry type, and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ecision equipment sector belonged to the competition-intensifying industry typ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Jeollanam-do, the non-metallic mineral and metal sector was included in the growth potential industry type, and the coal petrochemical sector was included in the declining industry type. 지역경쟁력은 단순히 개별산업 자체의 고유한 경쟁력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산업들이 집적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외부적 효과에서 비롯된다. 이에 지역의 산업경쟁력 분석을 통해 산업구조 측면에서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산업구조 차원에서 산업경쟁력 특성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성장률 격차의 요인분해를 통해 지역성장률 격차요인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광주전남의지역대표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경쟁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년간의 지역성장 변화를 대상으로 1기(2000~2005 년), 2기(2006~2010년), 3기(2011~2015년), 4기(2016~2019년)로 나누어 광주전남 지역경제의 성장률 격차요인 분해를 통해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에 산업구조요인은 광주전남지역에서 꾸준히 양(+)의 방향으로 기여하고 있는 반면, 지역특수요인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의 경우 산업구조요인이나지역특수요인 모두 전국과의 성장격차를 확대하는 데에는 다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지역산업 육성은 혁신성장을 통한 산업구조의 강화하는 것을유지하고 지역특수요인에 지역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주전남의 4기(2016~2019년)를 대상으로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부가가치의 비중을 기준으로 선정한 10대 지역대표산업의 산업경쟁력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광주의 제조업 중에서 기계운송장비기타 부문은 성장잠재산업형에, 전기전자정밀기기 부문은경쟁강화산업형에 속했다. 한편, 전남 제조업의 경우 비금속광물금속 부문은 성장잠재산업형에, 석탄석유화학 부문은 쇠퇴산업형에 포함되어 향후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업종의 다각화가 요구된다.

      • KCI등재

        환황해권 시대에 대응한 새만금 생태관광개발의 경쟁력요인 평가

        김현룡,변우희,성연 한국관광학회 2010 관광학연구 Vol.34 No.5

        From the Pan-Yellow Sea Era persp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etitiveness of Saemangeum ecotourism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18 local resident of Gunsan city where 71% of Saemangeum is located in. Results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lactationality and capacity of tourism development and appropriateness of tourism facility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elements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aemangeum ecotourism development, whil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long term investment cost were the factors of weakening the competitiveness. These imply that a balance point of view is needed for a sustainable Saemanguem ecotourism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추진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은 새만금 관광개발이 단순한 개발의 정당화 논리보다는 상호 경쟁력 강화요인과 약화요인에 대한 양시론 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의 경쟁력 강화요인이 연구의 주된 방향이나 그만큼 그에 대응한 경쟁력 약화요인의 평가도 중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이러한 양시론적인 평가지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준상관에 의한 경쟁력 강화군과 경쟁력약화군의 상호평가연구는 연구결과의 효용성을 입중받기 위한 중요한 방법론을 활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보존과 개발이라는 매우 민감한 사안들이 천혜의 환경보고인 새만금지역에서 불가피하게 생태관광개발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상황에서는 양시론적인 접근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경쟁력강화요인의 평가지표 확립과 대응하여 경쟁력 약화요인도 상호교차 대비함으로써 새만금 관광개발에 내제된 문제를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 시․도별 지역경쟁력 측정과 지역경쟁력 결정요인

        조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2

        최근 경제가 지식기반구조로 전환되면서 개별 기업차원의 경쟁력에 대한 논의를 넘어 영역 차원에서도 경쟁력을 정의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쟁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의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여 이를 광역자치단체 차원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시·도별 지역경쟁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역경제성장에 관한 다양한 이론으로부터 지역경쟁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유도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설정된 다 계층 지역경제성장모형을 준거로 지역경쟁력을 측정하는데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변수 내지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시·도별 지역경쟁력을 측정하였다. 충북의 경우 전반적으로 전국의 시·도 중 중간 정도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6개 시·도 중 대체적으로 측정 계층에 따라 4위에서 8위 사이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투입요인에 의한 경쟁력은 2000년 8위에서 2005년 6위로 상승하였고, 지역구조에 의한 경쟁력에서는 동 기간 4위에서 7위로 3계단 하락, 지역산출과 및 지역결과 의한 경쟁력은 모두 6위에서 7위로 한 단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볼 때 충북의 지역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 접근이 필요하다. 즉 지역경제구조를 경쟁력 있는 구조로 전환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며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지역노동력의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한 양질의 정보서비스와 취업알선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economy is transformed to the knowledge-based structure, debate on competitiveness is extended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a plausible method of measur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to apply the metho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provinces in Korea. The method of measuring competitiveness is induced from the various theories that address the indigenous growth process of regional economies.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structured as a hierarchy of three strata, each of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applied to provincial competitiveness show that Chungbuk Province is positioned around middle among 16 provinces. Measured at the input level, the competitiveness of Chungbuk Province was ranked 8th in 2000, but has improved to 6th in 2005. On the other hand, when measured by the structure factors, the same period shows that the competitiveness has moved backward from 4th in 2000 to 7th in 2005. Finally, the evaluation by the regional output and the regional outcome strata indicates a one step fall from 6th to 7th for the same perio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mply that various polic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That is, policy efforts should be done to transform the regional economy competitive, including a diversity of target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can devote to the enhancement of labor skills and productivity.

      • KCI등재

        교육경쟁력의 구조적 영향요인 관계분석

        최영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관련 핵심요인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한 국가의 교육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OECD 국가들의 2012년 PISA 점수를 교육경쟁력 지표로 선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1인당 GDP, 1인당 교육비 지출규모 등 제 변수들을 분석대상에 포함시켰다. 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직접효과로서는 교육제도의 경쟁적 성격, 사교육비의 비율 등의 변수이며, 이 중에서도 교육제도의 경쟁적 성격 변수가 더 큰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는 1인당 GDP와 교육비 지출비율이 교사-학생 비율에 이르는 경로와 사교육비 지출비율이 PISA(mathematics, reading, science)에 이르는 경로가 ρ<.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중심으로 PISA에 이르는 경로를 종합해 보면, 교육경쟁력인 PISA에 이르는 경로는 1인당 GDP가 교사-학생 비율에 영향을 미쳐 PISA에 이르는 것이 총 효과면에서 가장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요소들은 결국 교육정책의 수단들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경쟁력이 높을수록 국가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기본 가정을 수용한다면, 다양한 교육경쟁력 수준에 대한 정책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자기 국가들의 실정을 감안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factors which affect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to be able to raise the level of thei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PISA score as an indicator representing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of OECD countries was selected, and this included a number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 capita GDP, total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nd total per capita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US dollars), affect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employ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o analyze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ISA are: edusys (educational system), puptec (pupil–teacher ratio), and privat exp (total expenditure on education by private source as a percentage of GDP), a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PISA directly is edusys (the extent to which the education system meets the needs of a competitive economy).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each country should endeavor to enhance its ow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considering how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relate to each other.

      • KCI등재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이형욱 한국정부학회 2012 한국행정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와 항만환경이 급속하게 변화됨에 따라 항만정책의 성공요인 분석을 토대로 한국 항만이 발전적으로 나아가야 할 향후 정책방향 설정과 항만경쟁력 제고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항만경쟁력 영향요인에 항만시설, 항만비용, 항만서비스, 항만입지, 항만마케팅을 매개요인으로 물동량을, 최종변수로 항만경쟁력을 선정하고 요인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항만마케팅과 항만서비스가 항만경쟁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항만경쟁이 치열한 상황하에서 항만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활동과 차별화된 항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항만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항만에 대한 재이용의사가 높아야 하며 활발한 신규물류 창출과 항만의 중심성과 중계성이 강화되고 글로벌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구축되어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은 허브항만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항만경쟁력 영향요인과 물동량에 대한 상호 관계에 보다 많은 관심과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이들 영역의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통하여 항만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