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유아교육기관의 발달지체유아 건강교육 및 건강관리 실태

        이혜인,신현기 한국통합교육학회 2007 통합교육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발달지체유아들이 재학하고 있는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건강관리와 건강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의 유아 건강인식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당면한 발달지체유아의 건강교육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발달지체유아의 건강관리 제반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정보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경기도 지역의 특수학교(특수학급), 특수유치원,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어린이집 24개 기관의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지체유아의 건강교육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기초지식을 통해 조기발견, 예방하여 능동적인 자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건강교육은 교사들이 선호하는 교육방법과 교수매체로 지도하였으나 발달지체유아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발달지체유아 건강관리는 기관유형별 건강 전담 인력 배치가 다르므로 건강관리지원에 차이가 나타나고 동료교사 정보공유, 정기적인 부모상담, 부모교육이 발달지체유아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공식적인 의료기관과 연계성이 부족하고 구체적인 관리지침 부재, 장애특성 이해 부족으로 실질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사들의 발달지체유아 건강인식은 책임의식이 높고 발달지체유아의 교육계획안에 건강관리 계획안 포함 실시, 건강관리 조치 및 교사훈련, 직무연수, 예비교사 건강관리 훈련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다. 가장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은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건강 관련 교과 개설 필수화하여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기르고 발달지체유아에게 적합한 교구교재 개발 보급하여 발달지체유아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건강관리서비스 종사요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김혜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health care services as the basic information of manpower training program of the health care services, whic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recently preparing for legis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with 146 people from physicians, nurses, dentists, nutritionists, exercise trainer, and other health care workers, who are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or private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service agencies. The survey tool was used with a questionnaire of education needs in the seven areas of health care services, which was developed by the author,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9.10 statistical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ve areas are needed for education with more than 4.0. The group in the highest education needs was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those in the lowest needs were doctors. Therefore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eeds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s, depending on the occupations, which were offered for physicians, nurses, nutritionists, and exercise prescription as an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care service personnel.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입법예고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인력 양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관련 인력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현재 건강관리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보건소와 사립 및 공립건강관리서비스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의사, 간호사, 치과의사, 영양사, 운동처방사 및 기타 건강관리서비스 업무 종사자 14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총 7개 영역의 건강관리서비스 교육요구도 질문지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비스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리서비스에 필요한 질병에 대한 이해, 운동 기초과학, 생활습관병 환자의 생활지도 및 건강관리, 영양 및 식생활 개선지도, 건강교육 영역의 교육요구도는 4.0이상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건강관리서비스의 개념 및 제도와 기타영역은 3.83점∼3.96점으로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요구도는 운동처방사직에서 가장 높았고, 의사직에서 가장 낮았다.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5개 영역의 내용을 공통 교육프로그램에 포함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건강관리서비스 인력인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처방사직에 대한 교육 방안으로 직군별로 차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영유아건강교육 관련 대학교재의 출판동향 및 내용분석

        김은주 ( Kim Eunju ),이강훈 ( Lee Kangh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영유아건강교육에 관한 대학교재 분석을 통해 예비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영유아건강교육의 출판동향 및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영유아건강교육의 방향 및 내용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국내에서 출간된 영유아건강교육 관련 도서 목록 중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대학교재 98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별, 대상연령별, 주제영역별, 세부내용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보육법(1991)이 제정된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영유아건강교육 관련 대학교재가 꾸준히 증가·발행되고 있으며, 영아교육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건강교육에서 영유아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교육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영역별로는 건강영역에 영양 및 안전영역을 포함하던 것에서 점차 건강영역만 다루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었으며, 2006년 이후부터는 세부내용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는 특정한 관점에서 건강교육을 다루는 등 건강교육의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예비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건강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and content related to infant and child health education in college textbook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98 college textbooks related to infant and child health education published between 1990 - 2017 were collected based on a search of portal sites, internet bookstores, and publishers. An analysis on trends and content was performed based on the publication date, children age, subjects, and detailed cont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enactment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1991) resulted i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 textbooks related to infant and child health education. The subject of health was dealt with in conjunction with nutrition and safety, but increasingly trended towards being treated independently. Since 2006, the content of health education college textbooks has become more diversified and now tend to include a specific perspective on health education.

      • ‘건강한 가정’ 형성을 위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 제안

        박필례,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4 미래교육연구 Vol.4 No.2

        건강한 가정은 가족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가정을 말한다.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서 가족과 가정생활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금 가족과 가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는 일이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작업임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부모교육은 한마디로 어머니 교육이었다. 어머니를 위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어머니 중심의 부모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부모교육의 중심에 아버지의 자리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아버지를 중심에 두는 부모교육은 건강한 가정 형성과 가정에서의 아버지 역할 재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 단순히 아버지의 정체성 찾기 중심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부부 관계 증진과 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부부 중심의 프로그램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가족 공동체 체험 활동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편성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기 위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해서 행복한 교실 만들기 수업 컨설팅 활동,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3개국 교육실태 조사, 위기 아동에 대한 개인 및 가족 상담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상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나는 누구인가?, 아버지교육 왜 필요할까?, 부부건강 가족건강, 아빠와 요리해요, 가족 놀이마당, 가족과 함께 문화 체험을 떠나요, 1박2일 가족캠프, 밥상머리교육 이렇게 해봐요, 행함으로 가르치는 봉사교육 예절교육,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 등 총10회기로 구성되었다. 어머니와는 차별화 된 아버지의 역할은 경제적 부양자의 역할을 넘어서 남성으로서의 아버지 됨, 자녀와의 관계 향상, 부부관계 개선, 일과 가정의 양립 등에 이르기까지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향후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보편화를 통해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충실해지는 동시에, 가족 구성원 사이의 이해와 소통이 활발해지는 건강한 가정이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father education program for building the healthy families.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s of 'healthy families' and 'healthy', and debated the necessities of the father educat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not-important' part of the parent education in contrast with the mother education. And then, it used three activities, that is, 'Making happy-class consulting', 'Northern Europe educational investigation', and 'Crisis children counseling'. In the based of these three methods, this study proposed the 10 periods father education program including 'Who am I?' and 'Why father education?', etc. After all, by doing so, we wish to establish the healthy families by exploring and expanding the father education program, and to reposition the role of father under the circumstance of new era paradigms.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송호준 ( Song Ho Jun ),옥정달 ( Ok Jung Da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현황 및 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북, 대구, 울산 지역 어린이집 교사(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시현황 및 운영현황, 신체활동(건강)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건강)교육 목표와 그 효율적 수행을 위한 중점개선사항 및 신체활동(건강)교육 전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고, 그 결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관련 자격으로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생활체육교사들이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실시하고 있지만 지도법, 경제적 부담 및 프로그램 부족으로 실시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신체인식, 기본운동능력함양, 기초체력증진을 위하여 감각기관 활용, 신체인식, 신체활동 참여하기 등을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활동(건강)교육의 어려움을 갖는바 체계적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위한 전담교사의 필요성과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유아의 효율적 신체활동(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유아특수체육 교과개설, 전문체육교사 양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curren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its effective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Seoul, Daegu and Ulsan. The study was based upon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swered by 126 teachers who work for child care center.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measure teacher’s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s role in effective manag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cure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crucia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gram was executed b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mostly executed, but it had difficulty in applying the method of educational institution because of financial burden and shortage of a program for child care center. Third, the aim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the perception of body, basic exercise capacity and basic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sensory modulation, body-awakeness and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have professional physical educators and programs development for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uthors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o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equipped and the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rogra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HBM)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의 구강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황지영,김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HBM)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의 구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구강건강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 단계에서 구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유아 교사, 원장, 학부모, 치위생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반영하여 유아 구강교육의 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을 마련하였으며, 구강건강 인식 정도에 따른 건강행동 선택 가능성과 관련된 건강신념모델(HBM)을 본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유아교육전문가와 치위생전문가들로부터 적합성을 검증받았으며 평가방법에 있어 교사와 유아의 질적, 양적 평가 방안을 구성하였다. 결과 본 프로그램은 17회차로 구성되었으며, 건강신념모델(HBM)을 구강교육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유아들이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민감성 갖기, 치아우식증으로부터 발생되는 건강의 위험성(심각성) 인식하기, 좋은 구강건강습관으로부터 발생되는이익 인식하기, 구강건강 장애요인 회복하기, 자아효능감 획득하기의 절차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자신의 구강 상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건강한 구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인식에 따른 변화를 이끌어 건강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내적동기와 자아효능감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지속가능한 구강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

        김진주,박재국,구신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 교육의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여 건강장애학생의 교육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여, 건강장애학생 교육이 그들이 가진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치료 상황에 따른 환경적 요구를 반영해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전국 교육청 소속 16개 병원학교와 1개의 화상강의 운영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녀의 교육 실태 및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건강장애학생은 치료 상황에 따라 한 개 이상의 기관으로부터 교육을 받고 있어 각 교육기관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일관성 있는 교육을 제공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소속 학교에 부분 혹은 전부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생활 지원이 필요한데 특히 특정교과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대체 학습을 제공할 것과 진급 시 친구관계를 고려한 반 편성 및 평가와 관련된 부분에서의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부모의 교육적 요구 반영 및 학부모 상담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를 위해 소속 학교의 교사의 인식 개선 및 학급 친구들의 건강장애 이해교육을 통한 학생들 간의 교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강장애학생 교육 시 치료 상황에 따른 병원, 가정, 학교로의 공간적 전환에 대한 독특한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이에 맞는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Special Educations Promotions Act Amenements of 2005 has included health impairments as a independent special education category. Since than, specialized support was offered to students with chronic illnesses, who had experienced history of grade retention, academic achievement delays, and difficult peer relations due to long-term absenteeism.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e educational system includes curriculum,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s, and connection system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performed to 121 parent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The responds from parents shows the necessity of supports in students life when the students returning to the original school. Especially,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class arrangement with considering the classmate relationships when advancing to higher grad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parents wish to provide returning students with alternative classes for preventing them from exclusion of specific curriculum. And parents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ave more concerns on the need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especially in the part of advance, promotion, and evaluation.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should reflect specific educational demands for the spatial switch from hospital, house to school or other ways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s and establish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s system with concerning the spatial transfer.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건강관리프로그램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김현숙(Hyun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06 뷰티산업연구 Vol.1 No.2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reform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clarifying the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As data collection method,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subjects. Over 4 time questionnaire survey from September 16 till 26, 2002, sampled 4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life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executing health the management program, and analyzed 637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s data processing method,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PC program, and utilized percentage for demographical features, socio-economic environment, surroundings and status of health the management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and administered X2 verification for th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First, it wa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the subjects experiencing in participation at health management programs was 294, and that of those not was 343, and for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motive, the descending highest answers were ‘for health management or children s education , ‘employment or avocation , ‘hobby or recreation , and for selection motive, ‘the institute was at higher level than others‘, ‘by surrounding recommendation or advertisement . Participation motive on a personal variable was mainly for take-off, and men for employment or pastime valued more practical aspect than women. Second, for the question of motive of taking health management programs, 134 answered ‘to enrich life , 102 ‘to get knowledge and attainments , and for the teaching method of programs they are taking. 246 answered ‘practice focused , and 156 ‘lecture focused , and for the lecture contents, 317 answered ‘satisfied , and 154 ‘ordinary . For the emphasis of programs, 236 answered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 and 130 ‘practice improvement of trainees , and for the time of daily educational program, 167 answered ‘one and a half hour , and 162 ‘two and a half hours’, and for satisfaction with the time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348 answered ‘ordinary , and 112 ‘a bit short . For the taking period of programs, 213 ‘over 12 months , and 205 ‘below 12 months , and for any intention to other health management programs to be opened, 263 ‘willing to if time permits , and 129 ‘to select by contents or trainers , and 128 ‘to take the course at all cost. Third, for the future orientation of the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measure to be taken for those not taking the course), 188 subjects amounting to 29.5%, the highest rate, answered ‘expansion of study materials/space/facility , 147 to 23.1%, the second highest rate ‘generally contented with present facility, but it can be analyzed that they consider enlarging facility and installation to attract those not taking the course.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밝혀 평생교육의 개선방향을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방법은 학교의 협조를 얻어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대상자를 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 9월 16일에서 9월 26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경기지역 대학교 평생교육원 중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4개 대학교 평생교육원을 표집하여 설문조사 63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환경, 주변환경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사회교육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현황 등은 백분율을 활용하였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사회교육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실태와 만족도의 관계는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참여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은 294명, ‘참여해 본적이 없는 대상자들’도 343명으로 나타났고, 참여동기로는 ‘건강관리나 자녀교육의 생활에 필요해서’, ‘취직이나 부업을 위해서’, ‘취미활동이나 여가선용을 위해서’ 나타났으며, 참여기관 선택 동기에는 ‘타기관보다 수준이 높다’, ‘주위의 권유나 광고를 보고’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참여동기로는 재도약을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직이나 부업을 위하여 남자가 여자보다 실용적인 면을 더욱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수강 동기는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134명, ‘지식과 소양을 쌓기 위해서 수강을 한다’ 102명으로 나타났고, 수강중인 프로그램의 교육 방법이 ‘실기위주’ 246명, ‘강의식 위주’ 156명으로 나타났으며, 수강중인 프로그램의 강의내용에 대해서 ‘만족’ 317명, ‘보통’ 154명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중점사항을 ‘이론과 실기의 병행’ 236명, ‘수강자의 실기 향상도’ 130명으로 나타났고, 1일 교육 프로그램의 시간이 ‘1시간 30분 정도’ 167명, ‘2시간 30분 정 도’ 162명 나타났으며,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 만족도에 대해 ‘보통이다’ 348명, ‘조금 짧다’ 112명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수강기간을 ‘12개월 이상’ 213명, ‘12개월 미만’ 205명으로 나타났고, 다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수강할 의향에 대해서 ‘시간이 있으면 수강하겠다’ 263명, ‘내용이나 강사진을 보고 선택하겠다’가 129명 나타났으며, ‘꼭 수강하겠다’ 128명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부설 사회교육기관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미수강자의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서 취해야 할 조치)으로는 조사대상자들은 미수강자 참여 조치에 대해서 ‘학습 교재/공간/설비의 확충’을 188명, 29.5%로 제일 높게 응답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무료강좌의 확대’를 147명, 23.1%가 응답자들은 지금의 현 설비나 시설 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편이기는 했지만, 미수강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시설이나 설비의 확충을 제일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체육교육과정에서의 ‘건강’의 의미와 방향 탐색

        신진균(Shin Jin Kyun),최관용(Choi Kwan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정 내용영역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의 5개 ‘신체활동’ 가치에서 가장기본이 되는 영역인 ‘건강’의 의미와 교육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건강’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장 교원들의 실행 상황 을 면담자료를 통해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이나 교육과정에서의 ‘건강’의 개념은 다차원적이고 전인적인 의미 를 나타내고 있으나, 체육수업에서의 건강개념은 다차원적인 측면보다는 신체적 측 면에 초점을 둔 건강인식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었다. 문서상 내용은 ‘체력․보건․ 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현장의 ‘건강’영역 교육은 주로 ‘체력육성’ 또는 ‘놀이’를 통하거나 우천 시 간헐적인 ‘보건’ 교실수업, ‘생활지도’ 대체 등 비체계적이며 연관 성이 없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체육교육과정에서의 ‘건강’개념은 ‘전인적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목적을 위해 교육과정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다차원적인 ‘건강’ 관점으로의 인식전환이 요구되며, 교육 방향은 ‘체력․보건․안전’내용이 포괄되고 통합되며, 인지적․정의적․심동 적인 측면이 하나로 어우러진 ‘전인적 건강’을 추구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ealth meaning and Education Direction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ications in Physical Education, to present First, look at the meaning of the various health. Second, the teachers discussions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health education. Analysis, the concept of health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the physical side of health awareness had a one-dimensional. In addition, health education, primarily through physical training or games or health information when it is raining in the classroom, including guidance to replace the occasional unsystematic and health education were conducted. Physical Education healthy areas of holistic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quality of life in order to Health is required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health in a holistic perspective and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a holistic development, a holistic system of knowledge, dialogue community, and spiritual direction of the change.

      •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보건지소 건강관리요원에 대한 직무교육의 효과

        방경숙 ( Kyung Sook Bang ),이인숙 ( In Sook Lee ),채선미 ( Sun Mi Chae ),강현주 ( Hyun Ju Kang ),유주연 ( Ju Youn Yu ),박지선 ( Ji Sun Park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전 세계적으로 건강형평성의 확보가 인류의 기본권으로 간주되고 저개발국의 빈곤과 건강문제 해결을 전 세계가 공통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로 설정하는 새천년 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 [MDG])가 채택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제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보건을 위한 에티오피아 모자보건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하면서 저개발국의모자보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HEW를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HEW는 1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단기간의 훈련만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는 경우도 많아 체계적인 직무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자질이나 역할이행에 대한 평가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Medhanyie et al., 2012). 현재 HEW는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에 대해 3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2003년 교육과정이 처음 개발된 이후 아직까지도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육을 위한 설비가 부족하고 교육자에 대한 계속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Damtew et al., 2011). Admassie, Abebaw와 Woldemichael (2009)는 HEW에 의한 Health services extension program을 실시한 지역에서는 실시하지 않은 지역보다 예방접종률과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보급률이 유의하게 높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예방적인 모성건강관리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아서 임신 시 산전관리를 위해 HEW를 처음 방문하는 시기는 더 빨랐지만 그 외의 산전 산후관리에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5세 미만 아동의 설사와 기침 질환 감소에도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아직은 그 효과가 부분적으로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oblinsky 등(2010)의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HEW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며 프로그램 적용 이후 모자보건 관련 지표가 향상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Karim 등(2010)도 HEW의 활동이 주민의 산전 산후관리와 상관성을 보이며 모자보건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하였으나 모성사망률 감소에는 아직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segay 등(2013)은 HEW 활동으로 산전관리를 받는 주민이 많아졌으며 산전관리 시 시설분만을 권고를 받은 임부들에서 그렇지 않은 임부들보다 시설분만률 비율이 더 높기는 하였지만 시설분만률 자체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여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에티오피아 북부 지역에서 5년 이내 출산경험이 있는 산모 725명을 대상으로 한 Medhanyie 등(2012)의 연구에서도 HEW가 주민들의 가족계획, 산전간호, 그리고 HIV 검사율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분만률과 산후관리에 대한 기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시골 지역에서는 HEW를 대신할 지역사회 사례관리(community case management) 자원자를 모집하여 교육 후 설사, 말라리아, 폐렴 등의 아동 건강관리에 투입하여 효과를 거둔 경우도 보고되었다(Degefie et al., 2009). 이와 같이 HEW 제도 도입 후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이용률에서의 효과를 보는 연구는 상당 수 이루어졌으며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HEW의 지식 수준을 평가하거나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HEW의 지식이나 수행능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Dynes 등(2013)이 HEW 대상으로 산전, 산후 관리에 대한 교육 후 사전 조사에 비해 교육 후의 사후 조사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한 연구가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KilteAwlero지역의 HEW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대부분 사전에 비해 교육 후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강의만을 포함하였는데 실제 모자보건 업무를 수행하는 HEW 들은 술기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들에게 보건소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직접 관찰, 수행하도록 하고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정해주는 피드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난 부분으로, 향후에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좀 더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 후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Ethiopia is one of the sub-Saharan countries most affected by high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The government has trained health extension workers (HEWs), the community health workers, to deliver preventive and basic curative health services to community residents in Ethiopia.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the-job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MCH).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in one health center in Tigray, Ethiopia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in MCH. Methods: Twelve HEWs from 6 health po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ealth center officer provided a total of 5 educational sessions on antenatal and postnatal care, family planning, and newborn care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en to 12 items regarding the topic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ach education.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ll the HEWs were female with average 4-year working experience. Their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except the first session. Their satisfaction on education was greater than 45 points out of 5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focused education for HEWs should continue to improve their capacity on M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