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장혜성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4 특수교육 Vol.3 No.1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concerned with service delivery of program indicato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hild-care center, the comprehensive data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care centers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se data,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hild-rare services for children with the disabilities. The teachers and parents were responded with the questionnaires. The areas of survey were on basic informations of the assesmen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curriculum which are very important areas in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05 teachers and 146 parents in specialized child-care r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55 teachers and 14f parents i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responded this survey. The results demonstrated (hat the qualities of these program indicators were low level on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the future directions of child-care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1)the assessment contains functionally relevant item that should link to curriculum, (2)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an be concentrated by embedding the Individual goals into the child-care center routines and activities, (3)the professional efforts should be put into developing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만으로 구성된 보육 시설과 일반아이들과의 통합된 장애아 보육 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조사로써 ,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에 관련되 요소들을 교육진단, 개별화교육, 교육광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설문은 통합을실시하고 있는 보육시걸과 장애아만 보육하는 보육시설의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실제들은 아직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진단, 개별화 교육, 교육 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소개되고 적용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자연적 상황인 보육시설에서 직접보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직접 교육진단을 담당하는 것이 개별화 교육브로그램과 교육과정을 연계할수 있으므로 어린이집 환경에서 적절하게 교육진단을 할 수 있는 교육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개별화 교육계획의 목표는 보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동 안에 삽입되어야 하고, 질적인 장애아의 개별 목표는 보육프로그램 속에서 지속적으로 연습할 기회를 통해 성취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와 정보가 공유되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진단과 연계된 교육 과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궤적인 방법론적 연구의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권은주,남미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nd it aims to notify people of the need to provide systems and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services for at-risk young children. For this, it made a survey after precedent literature was studied and reviews were conducted by child education experts and conducted that survey on 2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eneral day c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showed that there was great need for the individualized 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that perception levels were high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and that they were also high regarding difficulties that have to be resolved. Secon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showed the need for the expanded placement of specialized teachers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ssistant staff support, support with physical environments, and systems and policies that can resolve financial difficulties and also, the need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conduct individualized childcar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acher to child ratio by age in classes where there are at-risk young children appeared to be high. 본 연구는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고, 장애위험영유아에게 특수교육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도와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23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 고찰과 유아교육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장애위험영유아를 위한 개별화 보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고, 장애위험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한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높게 조사되었고, 해결해야 할 어려움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장애위험영유아의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요구 조사 결과 일반어린이집에도 전문성을 갖춘 장애위험영유아 전담교사 배치를 확대하고, 보조인력에 대한 지원, 물리적 환경을 갖추기 위한 지원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 마련의 필요성, 장애위험영유아가 소속된 반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연령별로 적합하게 조절하여 개별화 보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실행 현황과 영향 요인분석

        조윤경,김수진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4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is basic frame of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based on special needs. This research is to survey implementing and effect factors of IEP of 119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participated in ‘the manu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cher education on 2011. As a result, the score of implementation in scope of IEP stages showed different. The contents of behavior support plan and family related area specially lower than of goal development, embedded learning opportunities in routines and activities, assessment and evaluation. Also,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parents, related persons showed lower level. IEP implementation is related positively with taking the course in special education subjects and teacher education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rther discussions toward enhanced IEP implementation system were suggested. 장애아의 현행 수준에 근거하여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은 장애아 교육의 중심적인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 보육 실행의 질적 기준의 하나인 장애아 3명당 한명씩 배치되어 있는 장애전담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실행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2011년 6~7월 한국보육진흥원 주최 서울․경기지역 ‘장애아보육 운영 매뉴얼 교육’ 참여자 중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 첫째,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단계별 각 범주의 실행도에서 목표 설정과 일과 및 활동 삽입 목표의 실행, 진단평가, 정기적인 평가도 높지 않았지만, 이에 비해 행동지원 계획 및 실행과 가정연계의 실행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 혹은 외부 전문가 및 어린이집 원내 교사들 간의 지원과 협력이 낮게 나타났고, 셋째,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실행도와 장애 과목 이수율과 연수 참여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실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체계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정길정 ( Chung Gil Jung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통합보육시설의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통합보육 프로그램을 위한 자료 및 앞으로 우리나라 장애유아 통합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통합보육시설 27곳의 통합보육 관련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통합보육시설에서는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과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시하고 있었으나, 이를 위한 전문인력팀은 구성되지 않은 시설이 더 많았다.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수행능력 정도에 대한 자기평가는 보통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립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은 조금실행하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충실하게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과중한 행정업무나 기타 업무 때문이라는 대답이 가장 높았으며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별화교육프로그램 평가 및 측정도구의 개발보급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ppropriate inclusive educare progra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esent situations and programs of inclusive educare facil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32 inclusive educare teachers at 27 inclusive educare facilities. From the survey,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slight handicap was proper for the inclusiveness, and they developed the programs, which were used at the inclusive educare facilities of handicapped children based on IEP and programs of ordinary educare facilities. As for the self-evaluation about the teachers' usage of IEP, the inclusive teachers were evaluated higher than the special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degree of IEP usage in the actual classes according to the teachers' major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ractice of evaluation of IEP according to types of the teachers. Although inclusive day care facilities were developing and conducting adaptation programs and IEP, many of them had no specialists for the programs. From the self-rating, the teachers evaluated that their level of performance on IEP was average. And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were just conducting IEP at a little portion at the classes, and the major reasons were lots of administrative work and other non-valued work. The teachers answer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to develope and propagate the IEP rating and measurement tools for operating IEP efficiently.

      • KCI등재

        장애유아 보육시설 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정시은,김자경,강혜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rvey the IEP operating status and competency of teachers in the child care facilities. The subject was teachers who work at the child care facilities wher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P-city and K-do area.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2 questions for IEP operating status and 22 questions for IEP competency.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performed 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few teachers who did not perform IEP replied that lack of knowledge is the main reason not to perform it.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facilities did not have an IEP team. Although some facilities have an IEP team,they did not have a variety of professionals in it. Third, IEP elemen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urrent teaching level, educational objective, educational content were mostly included in the IEP. However, relatively few teachers included the elements such as educational method,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and evaluation plan in the IEP.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level of IEP competency of teacher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facilities, teaching yea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mpletion of IEP workshop.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 for IEP operating status and competency of teachers in the child care facilities for young children is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유아 보육시설의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운영 실태와 수행능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P시․K도 지역에 위치한 장애전담 보육시설과 장애통합 보육시설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EP의 실행에 있어서, 대부분 IEP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장애유아 보육시설에서 IEP를 실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절반 이상이 법에서 규정한대로 학기 시작 후 30일 이내에 IEP를 작성하고 있었다. 둘째, 보호자와의 협의는 대부분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의견이 대체로 IEP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장애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IEP를 위해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이 아주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개별화교육지원팀이 없거나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구성할 때, 다양한 전문 인력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EP 구성요소 중 인적사항, 현행학습수준, 교육목표, 교육내용 등은 대부분 IEP에 포함하고 있으나, 교육방법, 특수교육관련서비스, 평가계획은 IEP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IEP 운영의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대상 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IEP 수행능력은 보육시설 유형, 장애유아 교육 경력, IEP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 교육에서 IEP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가 작성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종단 질적 연구

        조혜경 ( Hye-kyung Cho ),강은영 ( Eun Young Kang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유아를 위해 보육교사가 작성한 개별화교육계획(IEP)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IEP) 작성의 실제는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종단 질적 연구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애유아 4명의 개별화교육계획(IEP)를 수집하여 4학기 동안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 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IEP)이 최초 수립되고 이후 학기가 이어질 때 고정되어 계속 이어지는 내용도 있었지만 기존 작성 내용이 수정되어 계획 및 실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별화교육계획(IEP) 질적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IEPs) written by child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an integrated daycare center change in practice over time through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IEPs) of fou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and chang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over four semesters. As a result, whe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irst established, some contents were fixed and continued throughout the subsequent semesters, but some content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by modifying the existing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IEP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컨설팅 경험 분석

        김경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nsulting experiences on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rking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ight child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rking at an inclusive daycare center in K-City, and were selected as purpos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m, and to this end, a systematic interview guide was produced and used before the interview.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consulting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5 topics and 17 sub-topics, including the purpose, method, content, and effectiveness, resources of consulting.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ccess factor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onsulting for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에 대한 컨설팅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K시 소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8명이며,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했으며, 이를 위해 면담 전 체계적인 면담 가이드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전사 후 주제 분석법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컨설팅 경험은 컨설팅의 목적, 방법, 내용, 효과, 자원 이렇게 5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개별화교육계획 컨설팅의 성공 요인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