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방성開放性’과 『도덕경道德經』의 ‘곡신불사谷神不死’

        손형우(Hyeoung-woo S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8 No.-

        현대사회의 특징은 ‘開放性’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開放性’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道德經』 6장 谷神不死’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방성은 크게 내적 개방성과 외적 개방성으로 나뉘며, 폐쇄성과 짝을 이루는 개념어이다. 이러한 개방성을 적용한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째 개체의 내적 개방성과 외적 개방성, 둘째 내적 개방성과 외적 폐쇄성, 셋째 내적 폐쇄성과 외적 개방성, 넷째 내적 폐쇄성과 외적 폐쇄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방성과 폐쇄성의 정도와 밀도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어떤 상황과 조건에서는 매우 개방적인 성향을 보이는 데, 밤이라든가 아침에 폐쇄적이 될 수 있다. 또한 개방성의 강도와 밀도 역시 상대적이다. 개방성과 폐쇄성의 개념은 주변의 생명체나 우주 자연을 이루는 물질과 에너지 그리고 시간과 공간에도 적용하여 논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여기에서 논의할 때, 물질은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폐쇄성에 가깝다. 그러나 물질도 그 상태를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누어 본다면, 고체가 폐쇄성이 가까우며, 액체 기체는 상대적으로 개방성에 가깝다. 따라서 ‘개방성과 폐쇄성의 교차적용’은 반드시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開放性의 개념을 ‘谷神不死’에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谷神不死에서 계곡은 여성성(암컷)을 상징함과 ‘開放性’의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여성성은 그 자체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비록 谷神이 암컷과 생산을 상징하는 의미로 쓰였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인 여성성의 도달은 바로 개방성을 수반한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이유로 ‘谷神’은 여성성과 개방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개방성은 폐쇄성과 짝을 이루는 데, ‘계곡의 생명체들’의 開放性은 숲 안의 다양한 대상과의 개방적 의존적 상호관계를 통해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閉鎖性은 겨울이 오는 계절의 변화라든가, 늙고 시들어서 외부와 개방적이지 않고, 고립되거나 폐쇄성을 통해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숲속의 생명의 폐쇄성’은 밤에 휴식을 취하거나, 겨울잠을 자거나, 나무가 나뭇잎을 떨어뜨리거나 늙고 병들거나 시들어서, 그 생명이 소멸되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한 계곡의 ‘여성성’은 그 자체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명을 끌어안을 수 있는 ‘개방성’을 필연적으로 수반해야 한다. 갇혀 있는 고립된 물이 썩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처럼 건강한 계곡과 자연의 모습도 좋은 공기가 통하고 좋은 물이 흐를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건강한 인간의 삶은 건강한 생명성에 있다. 건강한 생명성은 적절함에 있다. 맹목적인 개방성도 아니며 극단적인 폐쇄성도 아니다. ‘谷神不死’의 진정한 생명성 혹은 여성성은 건강한 개방성과 폐쇄성에 있다.

      • KCI등재

        개방성 연구 - 5요인 모델과 긍정심리학 이론에 기초하여

        김진숙,이운형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시민인문학 Vol.31 No.-

        개방성은 열린 사고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고 얻어가는 삶의 과정에 필수적 인 성격 특징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방성을 주요 변인으로 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어 개방성이 무엇이고 어떤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구체화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5요인 모델과 긍정심리학에서 말하는 개 방성에 대한 이론적 정의와 관련 심리검사를 기초로 두 이론에서 말하는 개방성 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5요인 모델의 개방성은 창의 성, 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긍정심리학에서는 창의성 및 호기심과 관련이 있음 을 알아냈다. 또한 두 이론의 개방성 관련 성격 특징에 공통적으로 창의성이 있 음을 밝혀내고, 개방성과 창의성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 로, 개방성과 창의성은 모두 성취와 관계에 밑거름이 되어 개인의 행복과 상담의 기본 목표에 도움이 되는 자질임을 제시 하고, 후속 연구와 관련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Open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sonal traits, which leads to individual’s achievement and happiness. But psychological theories and tests related to openness haven’t been studied enough. So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ive-factor model and positive psychology and als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rranged. Throughout, the following were concluded. First, creativity, extroversion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related to openness of the five-factor model but with positive psychology, curiosity and creativity were closely connected with. Second, creativity and opennes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se findings can influence on individual’s challenge for its goal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And subsequent studies of openness itself and openness improvement program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r gender difference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손운걸,김용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도시 포켓 파크는 도시의 중요한 친환경 공공 개방공간이며, 이러한 포켓파크는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도시 포켓파크의 다양한 요소 중에서 ‘개방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지금까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요소’를 토대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녹색 도시공간 활용을 위한 포켓파크의 개방성에 관한 효과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22년 3월부터 4월까지 도시 포켓파크 관련 연구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자문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위해 도시 포켓파크 개방성에 관한 평가요소(상위항목과 하위항목)를활용하였으며, AHP기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요소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 번째, 상위 항목은 형태적 개방성, 시각적 개방성, 사회교류 개방성, 기능적 개방성, 출입구 개방성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여기에서는 중요도 수치 결과가 중요하다. 두번째, 형태적 개방성, 시각적 개방성, 사회교류 개방성, 기능적 개방성, 출입구 개방성에 해당하는 하위항목의 중요도 수치 결과를 각각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에 해당하는 상위항목과 하위항목의 연계를 통한 종합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종합적 가중치 비율이본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AHP기법 활용을 통해, 평가요소별 그 중요도를 달리하여평가하므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값을 도출하여 향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이렇게 나타난가중치 결과는 도시 포켓파크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기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평가 항목을 순차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Urban pocket parks are important eco-friendly public open spaces in the city,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se pocket parks so far. Among the various elements of these urban pocket park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on ‘Openness’ appears to be high, but no concrete and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foun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Openness evaluation factors’ of urban pocket p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 openness of pocket parks for green urban space utiliz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urvey and consultation with 30 research experts related to urban pocket parks from March to April 2022. And for this analysis, evaluation factors (higher items and lower items) regarding urban pocket park openness were used, and weights for each urban pocket park openness evaluation factor were derived through the AHP metho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higher items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morphological openness, visual openness, social exchange openness, functional openness, and doorway openness. Importance numerical results are significant here. Second, the importance numerical results of sub-items corresponding to morphological openness, visual openness, social exchange openness, functional openness, and doorway openness were derived respectively. Third, a comprehensive weight was derived by linking the upper and lower items corresponding to the openness of urban pocket parks. The overall weight ratio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is study. Fourth, through the use of the AHP method,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element is evaluated differently, so that an objective and specific value is derived to enable future comparison. That is, the weighted results shown in this method can be evaluated regularly for urban pocket park users, and through this, evaluation items that need to be improved can be sequentially derived.

      • KCI등재

        포켓파크 개방성 영향요소 중 고령자와 일반인의 차이 연구

        손운걸 ( Yunjie Sun ),조광수 ( Kwangsoo Cho ),김용구 ( Yonggu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연구배경 포켓파크는 다양한 이용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으며, 고령자는 이러한 이용자중 중심이며, 이들에게 포켓파크는 도시 생활에서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생활의 범주에 해당된다. 이용 빈도도 매년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포켓파트 사용 목적과 경향이 파크 설계 시 중요한 고려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전연구를 통해 고령자보다 일반인이 개방성을 더 중요한 고려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포켓파크의 개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와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포켓파크의 개방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문헌조사, 면담과 설문조사를 병행한다. 첫째, 개방성과 개방성 공원 녹지 그리고 포켓파크를 정리하였고, 둘째, 선행연구의 검토에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요소를 정리하고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포켓파크의 개방성 영향요소 중에서 '개방성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와 일반인은 개방성의 평가항목에서 상관관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까지의 포켓파크에 관한 연구에서는 개방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언급은 있었지만, 실제로 개방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포켓파크 이용자를 ‘고령자’와 ‘일반인’으로 분류하여 사용자간의 개방성 평가항목별 상관분석을 진행하여, 서로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mong the different users that pocket parks benefit, the elderly are at the most important group. Pocket parks are essential facilities in their urban lives, with increasing frequency of use. As a result, the purposes and tendencies of the elderly to use pocket parts are carefully considered in park design. According to prior study, regarding openness, ordinary peopl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more than the elderl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the openness of pocket parks.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two groups, namely the elderly and ordinary people,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openness of pocket parks. Multiple methods are adopted, including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irst, it provides an overview of openness, open parkland and pocket parks; Second, it summarizes the evaluation elements of openness of pocket parks and carries out empirical research in the prior study. Results It probes into the influencing factors of openness of pocket parks based on openness evaluation items. Results: There is a difference in correl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ordinary people in terms of openness evaluation items. Conclusion Despite the emphasis of existing pocket parks research on in-depth exploration of openness, there is actually no specific research on it. In view of this, this study divides the users of pocket parks into elderly and ordinary people to discuss the openness evaluation items and identify their differences, hinting at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

        오픈스페이스 개방성지수를 이용한 수변경관 개방성 평가연구 - 서울시 한강변과 상해시 황포강변을 대상으로 -

        신나 ( Shen Na ),안동만 ( Ahn Tong-mahn ) 한국경관학회 2013 한국경관학회지 Vol.5 No.2

        현대적 도시 발전과 함께 하천변에 마천루들이 들어서면서 경관미학,도시공공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수변공간계획은 장소의 개방성, 공공성,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적인 영향도 초래하기에 초기부터 정확하고 세부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서로 다른 나라와 지역의 수변공간 개방성을 연구함으로써 지역 특성에 맞는 수변공간 계획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도시건설의 대표적인 두 도시인 서울과 상해에서 상업건물이 밀집해 있는 한강 여의도와 황포강 루쟈주이를 대상으로 앙각 등 여러 가지 경관지수와 필자가 도입한 오픈스페이스 개방성지수로 수변공간 개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앙각은 황포강에서 현저히 높았고, 오픈스페이스 개방성지수는 황포강에서 3.59, 한강에서 둔치를 포함한 경우 5.01, 둔치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15.21로 나타났다. 즉, 한강변의 위압감, 폐쇄감은 황포강변보다 낮고, 개방성은 더 크다. 2. 한강공원을 오픈스페이스 면적으로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개방성이 현저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홍수터로 남겨두는 것이 유리하다. 3. 수변공간의 개방성을 규제함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 개방성지수와 같은 3차원적인 규제는 사람들이 느끼는 개방감을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계획정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there are more and more skyscrapers being built on the waterfronts. The master plans of waterfront have effects not only on the openness, publicity, accessibility of the waterfront, but also on the community, economy, and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penness of the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and Shanghai using various ind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openness index in Lujiazhui, Shanghai, is 3.59, while in Yeouido the openness index is 5.01, or 14.21, when flood plains are included to open space. It means that the waterfront openness in Yeouido is better than in Lujiazhui. Parks on the flood plains along Yeouido waterfront are better to be kept as they give greater openness to Yeouido. The three dimensional indices such as openness index are recommend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waterfront plans because they will help people feel the waterfront kept open.

      • KCI등재

        하이데거의 개념 ‘개방성’(die Erschlossenheit) : 하이데거에 대한 후설 현상학적인 해석가능성의 재고

        박일태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1

        1) Vor kurzer Zeit macht G. Figal in der Frage nach dem phänomenologischen Status der Ontologie, in welchem Verhältnis Phänomenologie und Ontologie zueinander stehen, geltend, dass Heideggers Begriff “Erschlossenheit” als ein für die Auseinandersetzung mit Husserl grundlegender Ansatz eine Rolle spielen könnte. Um diesen Gedanken plausibel zu machen, soll man vorher ein achtsames Auge auf den Grundgedanken des genannten Begriffs haben. Es bedarf also einer sorgfältigen Rekonstruktion der umgreifenden Charaktere der heidegerschen Erschlossenheitsbegriffs. .2) Mit Bezug auf die sogenannte ‘Natorp-Bericht’ als eine kurze systematische Skizze des Grundgedankens von Sein und Zeit lässt sich die These entnehmen, dass Heideggers Begriff der Erschlossenheit wesenhaft als eine quasi stimmsprachliche Erschlossenheit, d. h. das ‘Gerede’ gekennzeichnet ist. Das Gerede erschließt das faktische Leben des Daseins als die ‘Lage’. Wenn man über Heideggers Begriff der Erschlossenheit spricht, muss man aber über folgende Punkte nachdenken: Eine weitere Möglichket der eigentlichen Erschlossenheit, die unter dem Aspekt des ‘Anrufverstehens’ zu thematisieren ist. Im Gegensatz zum Gerede erschließt das Leben als eine ‘Situation’. 3) Zu verstehen ist in diesem Zusammenhang, dass der Begriff der ‘Entschlossenheit’ in Sein und Zeit aus der genannten Möglichkeit der eigentlichen Erschlossenheit verständlich wird. Wenn es aber so ist, ist es schwierig festzulegen, inwiefern mit Husserls Phänomenologie generell die eigentliche Erschlossenheit als die Entschlossenheit verknüpft sein kann. Ich meine nun, dass die angesprochenen Schwierigkeiten zusammengenommen gute Gründe dafür liefern, dass wir uns fürs nächste die Entwicklung der oben angeführten Idee Figals offenhalten müssen, um Wesentliches nicht zu verstellen. 1) G. 피갈은 하이데거의 ‘개방성’(die Erschlossenheit)개념이 후설 현상학과의생산적인 대화를 위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을 신중히받아들이기 위해 우리는 그 개념의 근본의도를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존재와 시간의 근본의도를 스케치하고 있는 ‘나토르프 보고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하이데거의 개방성 개념이 음성 언어적 개방성, 즉 '잡담'(das Gerede)으로 규명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잡담은 현존재의 현사실적인 삶을 ‘처지’(die Lage)로 개방한다. 그러나 이것은 하이데거 자신에 의해 결국 본래적인 개방성, 즉 '부름을 이해함'(das Anrufverstehen)을 통해 완전한 의미를 획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잡담과 달리 삶을 ‘상황’(die Situation)으로 개방한다. 3) 존재와 시간에서 주제화되고 있는 하이데거의 본래적인 개방성개념, 즉 '결단적 개방성'(die Ent-schlossenheit)은 이러한 개방성의 완전한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결단적 개방성이 하이데거적인 개방성의 진의라면, 이러한 개방성이 후설 현상학과의 관계속에서 어떻게 생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지는 의심스럽다. 따라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피갈의 그 제안은 잠정적으로 보류될 필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 KCI등재

        개방성의 형태와 전유성 메커니즘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신서화,허문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020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8 No.1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전략적 측면에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 방을 해야 하지만 혁신을 보호해야 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혁 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으 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 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 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 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 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여 제품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 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Recent studies focus on how open innovation strategies affect innovation in enterprises, but lack research related to the forms of openness. There is also a paradox that an entity should open up for open innovation but also protect its innovation. In this regard, the need for research on innovation protection has expande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the form of openness on product innovation, and explor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depends on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KIS),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OEC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open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external search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loratory innovation. Seco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arch and product innovation, and that in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nd exploratory innov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rst, this study has divided the forms of openness into external search and collabo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and thus identifie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and forms of openness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it was identified that it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forms of open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roduct innovation, so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openness an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the type of appropriation mechanisms more suitable was identified.

      • KCI등재후보

        유아 보육시설의 공간 개방성 적용 연구

        김주연,이지윤,황용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유아보육 공간에 있어 환경은 제3의 교사이며 강력한 교수매체이자 학습과정으로서 그 자체가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보육환경 내 실내 공간에서 개방성 적용이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유아 발달 특징에 따른 실내 공간 조건과 유아에게 긍정적 효과를 주는 공간 경험 요소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에서의 개방성 공간 유형을 추출한다. (연구방법)공간 유형은 형태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적 개방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것은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공간 요소 6가지로 세분화된다. 공간요소 6가지는 물성에 의한 개방, 건축 요소의 상호관계, 경계의 제거, 공간의 연속성, 관계적 공간 그리고 기능적 영역의 유동성으로 이를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보육환경 실내 공간의 매개공간과 보육공간을 분석한다. (결과)사례분석의 대상은 국내·외 보육시설로, 실내 공간에서의 개방성 적용 시대상(유아)과의 관계성을 구체화하여 적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care, the environment itself is important; it is the third teacher, a strong instructional media, and a learning process. This research identified positiv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care facilities’ interior openness. To be concrete, interior openness types were deducted based on the interio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infants’ developmental features and the spatial factors affecting infants in a positive way. (Method)The interior openness types can be categorized into form-based, psychological, social, and functional openness, which are subdivided into six spatial factors applicable to a real space. The six spatial factors are as follows: openness by material properties, the relationship among architectural elements, elimination of a boundary, continuity of space, a relational space, and flexibility in the functional area. Based on the factors as criteria for analysis, intermediary and nursing spaces were analyzed. (Result)The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among domestic and foreign early childhood care facilities, which help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interior openness to early childhood care facilit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interior openness on infants.

      • KCI등재

        개방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경道德經』과 미디어아트(Media Art)

        손형우(Hyeung woo S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5 No.-

        개방성(開放性, Openness)은 사전적 의미로 ‘태도나 생각 따위가 거리낌 없고 열려 있는 상태나 성질’을 의미한다. 열려있다는 것은 ‘외부에 대하여서 폐쇄적이지 않으며 상호 관계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의 상호관계성과 개방성은 백남준 미디어아트를 포함한, 개방적 속성을 가지고는 예술작품 전반에 있어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술작품의 ‘제작과정과 전시과정’에 대하여 ?도덕경道德經?의 내용과 연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道)는 낳고, 덕(德)은 기르니, 예술가는 ‘창작의 과정’을 통하여 작품을 낳고(道生之), 작품은 관람객을 통하여 길러진다(德畜之). 백남준 미디어아트 작품은 창작의 과정을 통하여 전시장에 전시되고(道生之), 그의 작품은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다양한 방식으로 만나고 수용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가 재생산된다(德畜之). 사람들의 마음에 살아 숨쉬는 작품은 아무리 써도 막히지 않으니, 만물의 근원처럼 샘솟는다(道沖而用之或不盈).” 또한 전시장에서 ‘전시되거나 설치된 작품’은 예술가에 있어서는 자신의 내면의 예술성이 ‘창작적 사유과정을 거치고(無爲과정)’, ‘작품으로 구체화 되는 제작과정(有爲과정)’을 거쳐서 전시장의 결과물(有?有名)로 드러난다. 이러한 예술가의 작품은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에 의해서 매우 다양한 해석과 이해방식으로 작품의 의미를 재생성해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無ㆍ無爲). 그 의미 생성((無ㆍ無名) 과정은 매우 우연적이며 변화무쌍하며 ‘개방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예술의 특성은 관람객의 참여를 중시하는 미디어아트에서 매우 두드러지며, 그 주된 특성은 개방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백남준 비디오아트는 미디어아트로서, 하이퍼미디어의 무봉합성, 비경계성, 비선형성의 특성을 동시에 보인다. 이러한 미디어아트 작품과 마찬가지로, 현대사회의 미디어들은 생생하게, “잘 다니는 이는 흔적이 없고, 잘 한 말에는 흠잡을 것이 없다”(善行無轍迹, 善言無瑕?)는 것처럼, 보다 리얼하게 ‘흠잡을 데 없는’ 정보와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현대 하이퍼 미디어의 무봉합성, 비경계성의 구현은 ‘생생한 현장감을 체험하고 싶은 인간의 욕망’과 ‘오늘날의 미디어 기술의 발달’이 가져다 준 결과이다. 이러한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는 백남준 미디어 아트(Media Art)와 같은 예술적 자유로움과 『도덕경道德經』과 같은 철학적 사유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Openness(開放性) means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ttitudes or ideas that are unrestrained and open. The meaning of being open refers to the maintenance of mutual relations without being closed to outside. Interrelationship and openness of Lao-tzu’s 『Tao Te Ching道德經』 can have the same meaning in terms of the general works of arts with openness, including Paik Nam-June’s media art. ‘Producing process and displaying process’ of arts work can be sai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Baek Nam Joon. “Tao(道) is given to a birth and Te(德) raises so ‘artists give birth to a work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道生之) and ‘the work is raised through spectators’(德畜之). ‘Paik Nam-June’s media art work is displayed in a exhibition hall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道生之), and ‘his art works meet with spectators in the exhibition hall in various ways, and are accepted and reproduced in various ways by keeping their meaning’(德畜之). ‘The works that are remembered by people are not blocked but well up like the source of everything’(道沖而用之或不盈).” In addition, in the exhibition hall, displayed and installed works are appeared, to artists, as a result(有ㆍ有名) of their internal artistic nature going through ‘creative thinking process’(‘無爲’過程) and ‘producing process that shapes up as a art work’(‘有爲’過程). ‘Such works of ar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ir meaning with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by visitors of the exhibition hall.’(無ㆍ無爲) ‘The process of generating meaning’(無ㆍ無名) is very accidental and changeable as well as having ‘openness’(開放性). This characteristic of arts is distinctive in media art that put importance on visitors’ participation, and the main characteristic can be mentioned as open characteristic. Paik Nam-June’s video arts is media art, and it shows non-suture, non-boundary, and non-linear features of hypermedia. Like such a media art works, the modern society’s media try to deliver more realistic information and images ‘without blemish’, as a word says, “those who move around well don’t have trace and there is nothing to blame on words well spoken”(善行無轍迹, 善言無瑕?). Realization of non-suture and non-boundary by modern hypermedia is a result of ‘the desires of humans who want to experience vivid feeling as if they are on the spot’, and ‘the development of today’s media technology’. Such understanding 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such hypermedia period can be examined through artistic freedom like media art and philosophical thinking like 『Tao Te Ching道德經』.

      • KCI등재

        대학생의 개방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 계획된 우연 기술과 중요 타인과의 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세란,이기학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Participants included 220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nd 202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The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moderated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Last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roug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at higher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We suggest implication toward career counseling, and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at the end. 본 연구는 개방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매개효과와 개방성과 계획된 우연 기술 사이에서 중요 타인과의 갈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후 202명(남 84명(41.6%), 여 118명(58.4%))의 자료를 SPSS 18.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우연 기술은 개방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방성이 대처 자원인 계획된 우연 기술을 통해 진로관여행동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요 타인과의 갈등은 개방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요 타인과의 갈등 수준에 따라 개방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개방성이 계획된 우연 기술을 매개하여 진로관여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중요 타인과의 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