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가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배지헌,김상일,이호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2006년부터 상장예정기업에 대해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지정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하게 되는 신규상장기업의 상장 직전년도 이익조정이 감소하는지 여부와 지정감사인의 유형에 따라 감사품질이 차별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의 시행으로 감사인의 감사보수가 증가하는지 여부와 지정감사인의 유형에 따라 감사보수가 차별화되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 실시 이후에 신규 상장된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뚜렷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인 유형(BIG4 여부)에 따른 감사품질의 차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신규상장기업의 경우 감사인 지정제도에 따른 감사품질의 제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달리, 상장예정기업에 대해 강화된 감사인 지정제도가 감사품질 제고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상장예정기업에 대한 감사인 지정제도의 실효성 논란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상장예정기업에 대한 이전의 형식적 감사인 지정제도와 비교하여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가 상장예정기업의 회계이익의 질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투자자보호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감사보수의 증가여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변경된 감사인 지정제도 실시 이후 상장예정기업에 있어서 감사보수가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도변화로 인하여 기업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공개(IPO)를 도모하는 비상장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입안자의 역할 측면에서 시사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규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새롭게 실시된 감사인 지정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감사보수 증가효과에 대해서는 정책당국 차원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로 정착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2004, the Act on External Audit was revised requiring that initial public offering (IPO) firms prior to their IPOs be audited by auditors designated directly by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ttee. This revised rule became effective on January 1, 200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PO firms with designated auditors experience decrease in mangers' accounting discretion after the change in auditor designation rule.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accounting discretion of IPO firms with designated auditors is different between Big4 and non-Big 4 audit firms. Using KSE and KOSDAQ firm-years during the four year period from 2003 through 2006, we find evidence that IPO firms use less accounting discretion after the change in auditor designation rule than before, suggesting that the new rule is effective in reducing earnings management. This finding is possibly an indication of enhanced auditor independence. We are, however, not able to find the difference in accounting discretion between IPO firms with Big4 and those with non-Big4 audit firms. We also examine whether the rule change positively affected audit fees for IPO firms and whether this positive effect is more pronounced for Big4 clients than non-Big4 clients. We find evidence that audit fe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hange in auditor designation rule, suggesting that the rule change may be costly to IPO firms. Net benefits of the rule change is subject to a further study.

      • KCI등재

        지정기업 실증분석을 통한 감사인 지정제도 개선방안: IFRS 도입 환경을 중심으로

        황인태,강선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2

        In order to operate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two decades since its introduction in 1990, more effectively and enhance efficiency in its implementatio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flecting the recent accounting environment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legal and supervisory problems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derive measures to improve it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companies for which the auditor is designated.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state of the 1,579 companies which auditor was designated from 2000 to 2009 was analyzed from different dimensions. The methods to improve the reasons for auditor designation propos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tor designation for owner-manager compani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100 billion won in assets) is reasonable given that the auditor appointment committee is not fulfilling its role. Second, considering the number of back door listing companies among 161 companies delisted from 2000 was as large as 16 (9.94%), it is also reasonable that the auditors of back door listing companies should be designated. Past regulation for designating auditors for companies intending to consolidate with listed companies may be logical grounds for such an improvement to the system. Third, a large number of listed companies are delisted after a short time. This triggers enormous social costs and increases distrust toward the capital market. In the same logic as designating auditors for companies intending to be listed, designating auditors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after listing a company is necessary for accounting transparency. For the institutional enhancement in the method of designating auditors, designated companie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asons for designating audit risks as similar and assigned to accounting firms serially in accordance with auditor designation scores.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need to create an institution not to nominate an existing designated auditor in a free acceptance position to an appointment after the designation period lapses. Lastly, enacting and operating designated auditor fees standard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increasing designated companies’ negotiating edge may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improvement related to designated auditor fees. However, in order to make a reasonable standard for designated auditor fees, a collection of opinions from a broader set of stakeholders, such as companies and auditors, is require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 reasonable auditing fees standard, contracting parties may be dissatisfied, and a more cautious approach may be necessary. As a lot of existing studies show,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accounting transparency in Korea without large social costs. Therefore, the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auditor designation system in the midst of a changing accounting environment. 1990년 도입된 감사인지정제도의 효과적인 운영과 제도실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근의 회계환경을 반영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감사인 지정제도의 제반 법률·감독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정방법, 지정감사인 유임·변경, 지정감사보수 등을 포함한 감사인 지정제도 전반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감사인지정 1,579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도별, 지정사유별, 회계법인별 등 다각적으로 지정기업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인 지정사유에 관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감사인선임위원회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여 일정 규모이상(현재 자산 1천억) 소유경영미분리 기업은 감사인을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2000년부터 상장폐지된 전체 기업 161개 가운데 우회상장 기업이 16개(9.94%)나 되는 점을 고려할 때 우회상장기업을 감사인 지정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과거 상장기업과 합병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 감사인을 지정하였던 규정이 제도개선의 논리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상당수 기업이 상장 후 단기간 내에 상장폐지되고 있다. 이는 커다란 사회적 비용유발과 자본시장에 대한 불신을 배가시킨다. 따라서 상장예정법인에 대해 지정감사인을 두는 것과 동일한 논리로 상장 후에도 일정기간동안 감사인을 지정하여 회계투명성을 담보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감사인 지정방법의 제도개선을 위해서는 감사위험이 유사한 지정사유별로 지정기업을 분류한 후 그룹별 감사인지정점수에 따라 지정기업을 각 회계법인에 순차적으로 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위험이 유사한 감리조치, 관리종목, 감사인미선임 등을 기업공개, 회사요청 지정사유와 구분하여 각 그룹별로 지정기업을 회계법인에 순차적으로 배정하는 안을 제안한다. 이 밖에 본 연구는 지정감사인은 지정기간종료 후 해당기업이 자유수임계약시 종전의 지정감사인을 선임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도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지정감사인이 자유수임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지정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지정감사보수 개선방안으로 공정한 절차에 따라 지정감사보수기준을 제정하여 운영할 것과 지정회사의 협상력을 제고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합리적인 지정감사보수 기준 마련은 기업이나 감사인 등 보다 폭넓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정회사의 업종별 특성 및 감사위험 등을 반영하여 지정감사보수 기준을 제정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과 함께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변화된 감사환경 하에서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의 상당한 변동이 예측되기 때문에 기준설정의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감사인지정제도와 지정사유별 기업의 전략적 회계선택

        우혜진 ( Wu Hye-jin ),박종국 ( Park Jong-kook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67

        [연구목적] 감사인지정제도는 감사인의 독립성 확보를 통해 회계투명성을 증가시키고 회계정보이용자를 보호하고자 1990년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그러나 외감법인 중 극히 일부만을 대상으로 최대 3년 이내로 시행되고 있는 감사인지정제도가 회계품질을 높이기 위한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꾸준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지정 사유가 뚜렷이 대비되는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과 감리지적의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중 기간의 회계품질이 감사인지정 종료 이후에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감사인지정 종료 후 자유수임으로 감사인 지정방법이 변경되는 첫 해에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6년~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계품질의 변화는 수정된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을 사용하여 재량적 발생으로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첫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의 경우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 연도와 3번째 연도에서 재량발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 감사인은 공모 주식의 최초 발행가를 높이기 위해 이익을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유인을 억제하지 못한 반면, 감사인 지정 종료 이후의 자유수임 감사인은 높아진 감사위험으로 인해 보다 보수적인 감사를 할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 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지정 종료 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할 경우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지 않은 경우는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보다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와 3번째 연도에 재량발생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 것보다 새로운 자유수임 감사인의 독립성이 더 높은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감리지적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에서는 감사인 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리조치 기업 자체에 내재된 높은 감사위험으로 인해 회계품질을 계속 유지하려는 경영자와 감사인 간의 유인이 일치한 결과로 해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리지적 표본의 계속감사인 선임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에서는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실증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사인지정제도가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감사인지정제도에 관한 법제도나 제반환경에 대한 보완책을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 도입 예정인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도 역시 감사인지정 사유에 따라 경영자 및 감사인의 유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책이 입안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as implemented to ens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auditors. After the existing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was considered to hurt each auditor’s independence, a new system was created in 1990 to increas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o protec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However, only very few external auditing firms u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or a maximum of only three years.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ystem is truly useful as a preliminary regulation device that increases accounting quality. This research observed companies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as a result of becoming a listed corporation (IPO) compared to those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due to point out of Supervision. Using these samples, the research will compare how the accounting quality changed during and after auditor designation. Furthermore,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auditors will b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the change in accounting quality that follows. [Methodolog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06 to 2016. Accounting quality is determined by the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d by the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ndings] First, for corporations that received a mandatory auditor due to IPO saw a decrease in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2nd and 3rd year after auditor designation ended. This is caused by the designated auditor not being able to stop the manager raising the issue price of stocks in a public offering to increase profits, and the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the auditor from auditor designation carrying out a conservative audit due to the increased audit risks from the said action by the managers. Second, the difference in accounting quality of when the designated auditors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ases where they were not were analys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amount of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auditor designation ended. On the contrary, the latter showed a higher discretionary accrual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year following end of auditor designation. This can be extrapolated to show that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has a higher independence than existing designated auditors that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Third, cases in which auditor designation was received as a result of point out of Supervision was analysed. The discretionary accrual had no difference after the system ended. This is due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manager and auditors who are wishing to maintain the accounting quality due to increased audit risks. Lastly,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when designated auditors became consecutive auditors in point out of Supervision samples. [Implications] In conclusion, whether or not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functioning regulation device depends on the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legal chang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or revisions to general environment must be specified per each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Moreover, periodic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a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must be implement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consequenc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reason for auditor designation.

      • KCI우수등재SCOPUS

        감사인 지정제도가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최성호(제1저자) ( Sung-ho Choi ),김인숙(교신저자) ( In-sook Kim ),최관(공동저자) ( Kwan Choi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6

        감사인 지정제도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공정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기업에 대해서 독립적인 외부감사가 이루어지도록 감사인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특히 신규상장기업에 대해서는 기존투자자와 신규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이 크기 때문에 신규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상장 전 감사인을 지정하고 있다. 만약 규제기관의 도입 취지대로 감사인 지정제도가 순기능을 한다면 감사인 자유수임제가 시행되던 기간에 비해 감사인 지정제도가 시행되던 기간에 감사인이 더욱 엄격한 감사를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감사인 지정제도를 시행하여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에 비해 감사의 효율성이 하락하여 감사품질이 낮아지는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면 감사인 지정제 기간에 상장한 기업이 자유수임제 기간보다 감사품질이 더 낮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감사품질을 선행연구와 같이 이익조정으로 측정하고, 감사인 지정제도가 신규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감사인 지정기간이 끝나고 자유수임으로 전환되는 첫해에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으로 계속 선임하는 기업과 감사인을 새로 교체하는 기업의 상장 전 보고이익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은 코스닥시장에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신규상장한 기업 중에서 표본선정기준을 만족한 452개 기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 자유수임제를 시행하던 기간에 비해 감사인 지정제도를 시행하는 기간에 신규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조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규제기관이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하여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한 본래 취지와는 다른 결과이다. 둘째, 지정기간이 끝난 후인 상장후 첫 회계기간에 기존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으로 계속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장 전 이익조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지정감사인을 계속 선임한 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한 기업에 비해 상장 전 이익을 더 상향조정하였다. 이는 지정감사인이 상장 후 자유수임에 따른 감사계약을 고려하여 엄격한 감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지정감사인이 사회적으로 요구하는 수준의 외부감사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실증적인 증거이다. 셋째, 표본기업의 표본선택편의를 줄이기 위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적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결과와 질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is to improve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through enhancement of auditor independence. The regulation assigns statutory auditors to the selected firms that are highly likely to adopt discretionary accounting methods. IPO firms are not familiar to investors in capital market and have high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existing and new investors.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designates auditors to IPO firms one year before IPO to improve auditors`` independence and protect new investors. If the regulation is put in force as effectively as FSS intended, the assigned firms will be audited more strictly after the regulation is enacted. However, if the regulation is not effective because of its inefficiency, audit quality will deteriorate after enforcement.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earnings management during the designation period, one year before IPO, for the firm which employs the designated auditor as an ongoing auditor after the designation period with the earnings management for the firm which changes its auditor into other auditor. If the designated auditor wants to be employed again in the same firm after his(her) designation period, he(she) may tolerate the accounting discretion of the firm and lacks independence. For that reason, the supervisory agency amends the regulation in December 2014. It prohibits the designated auditor to be a continuous auditor in the same firm after IPO.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foretell te effectiveness of the amend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on audit quality of IPO firms. Audit quality i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often used as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We also investigate and compare discretionary accruals one year before IPO for the firms that employ the designated auditors again as their auditors after IPO with those that change the assigned auditors. If the assigned auditors want to be ongoing auditors after IPO, there may be conflicts in ethics, as they may not do their audit work strictly and may allow discretionary accounting. This paper selects 452 IPO firms in KOSDAQ market as sample firms during the period of 2001-2010.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following. First, IPO firms show higher earnings management after the regulation than before.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intent of FSS that wants to improve accounting qual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the regulation. Second, firms which employ the assigned auditors as their auditors again after IPO show higher earnings management than the firms that change their auditors. This means the assigned auditors have not done audit work strictly but may allow accounting discretion because they want to be employed as auditors continuously after IPO. Thir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is used additionally in sampling process to mitigate the limitation of self selection bias in the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a few robustness tests. First, discretionary accruals of one year before of IPO are comp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s to be employed one year after IPO. The type of auditors are, designated auditor, previous auditor before the auditor designation, and other audit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nings management are found between the previous auditor and other auditor who are employed after IPO. Second, we examine whether audit tenure affects the earnings management. The IPO firm can employ the designated auditor up to three years before IPO if the firm delays IPO process. We find no significant effect of audit tenure on the audit quality

      • KCI우수등재

        감사인 지정제도의 효과: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이종은 ( Jong Eun Lee ),문해원 ( Hae-won Moon ),지가영 ( Gayoung Ji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3

        감사인 지정제도는 1990년도 도입시행이후 수차례 제도수정 및 보완을 통해 감사품질 제고에 큰 역할을 해왔으며 이미 그 긍정적 효과는 학계의 관련연구를 통해 실증되어왔다. 최근에 회계투명성 제고의 일환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감사인 지정제도가 정책당국자, 기관투자자, 회계업계 및 학계 등 이해관계자들의 재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현 감사인 지정방식은 정책당국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 회계법인에 감사인 지정이 편중된다는 논란을 야기 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중소기업을 중·대형 회계법인이 감사하는 경우, 지정감사인과 지정기업 간의 규모의 불일치라는 예기치 않은 상황을 낳게 할 수 있으며 자칫 비효율적 감사로 이루어져 감사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감사인이 지정된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지정 전과후의 감사품질을 이익조정수준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여 비교함으로써 감사인지정제도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장예정기업을 포함한 비상장기업에 감사인이 지정되면, 지정 후에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된 피감사기업의 이익조정수준이 감사인 지정 전에 비하여 낮아져서 감사인 지정제도의 긍정적인 면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을 양(+)과 음(-)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지정감사인은 경영자의 이익 증가와 감소 유인 모두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인이 지정된 비상장 기업을 상장예정법인과 그 이외의 기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정 전후년도의 절대값으로 측정된 재량적 발생액에서는 상장예정법인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발견하였고 양(+)과 음(-)의 재량적 발생액에서는 하위표본 모두에서 각각 유의적인 감소 또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위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감사인 지정제도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장예정기업을 제외한 감사인 지정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과 피감사기업 간의 규모의 불일치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대형 회계법인이 자산규모 500억원 이상3000억원 미만인 중소기업을 지정감사하는 경우 부분적이나마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된 피감사기업의 이익조정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정 전년도에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인 기업에서도 지정 시 규모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재량적 발생액이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규모의 불일치를 500억원 단위로 구간을 조정하여 다양하게 정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하게 감사품질이 저하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감사인과 피감사인 사이에 규모의 불일치가 발생하면 지정감사인이 경영자의 이익 증가 행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지정제도의 실효성을 재검증하고 향후 금융당국이 지정감사제도의 수정·보완시 고려할 사항들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cently, regulators, policy makers, investors, auditing profession, and academics pay again a great attention to audit designation system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enhance accounting transparency. In particular, the issue of auditor designation method is extensively criticized due to inappropriately imbalanced designation to Big4 auditors, which can unexpectedly cause potential auditor-client mismatch. As a consequence, the mismatch can deteriorate audit quality by inefficient audi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audit quality for non-public companies over the period 2008-2013 by comparing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pre and post auditor designation. First, we find using absolute value of or signed discretionary accruals that designated auditors effectively deter firm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compared to prior to auditor designation. In sub-sample analyses for Initial Public Offering (IPO) and the other auditor-designated non-public (non-IPO) firms, we observe the similar findings above. Finally, for the non-IPO firms, we find that, mismatched firms have higher absolute value of and income-increasing discretionary accruals, compared to prior to auditor designation. However, we do not find an adverse effect of auditor-client mismatch on auditor-designated firms` income-decreasing behavior. The results above are robust to a variety of definitions of the auditor-client mismatch. Taken together, our study provides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as a whole and insightful implications on the current auditor designation method, focusing on auditor-client mismatch, for regulators and policy makers.

      • KCI등재

        감사인지정제도가 실물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손혁 한국공인회계사회 202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5 No.2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adopted to complement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signated compani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validity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usually tested how discretionary accruals were chang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designated auditors performed auditing works. However,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ther manager can use both accruals and cash from operations as the sources of earnings managemen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system on earnings management. Thus this study divides the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into discretionary accruals(DA) and real earnings management(RM) and specifies how the level of use of each earnings management of the designated company differs from the non-designated company, compared to the pre-designation period. My samples are 721 companies-years of audit recognition and 15,188 companies-non-designated companies among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in Korea from 2001 to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udit-designated firms have significantly lower DA levels than non-designated firms, and designated firms have significantly lower DA levels in the previous year. This result means that the use of DA is prevented by the designated auditor. On the other hand, the designated firms have abnormally lower operating cash flows (Ab_CFO) and the abnormal operating cash flows during the designated periods than the non-designated firms. This result suggests as a combination of the prevention by the designated auditor, as well as concerns about impairment of the future firm value.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some items of RM by the designated auditor is suppressed.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designated auditors due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External Audit Act and the 6 + 3 periodic designation system implemented from 2020 will enhance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감사인지정제도 선행연구들은 감사인지정기간에 재량적 발생액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했다. 그러나 경영자가 발생액 또는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 등 이익조정의 원천을 가리지 않는다면, 지정감사제도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익조정의 수단을 재량적 발생액(DA)과 실물이익조정(RM)으로 구분하고 감사인지정제도의 효과를 검증했다. 실제로 감사인지정기업은 비지정기업에 비해 DA의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지정기업은 지정 직전연도에 DA의 수준이 낮았다. 또한 지정기업은 비지정기업에 비해 비정상적 영업현금흐름(Ab_CFO)이 낮았고 지정기간의 비정상적 영업현금흐름은 지정 전에 비해 낮았다. 이는 지정감사인이 DA 외에도 기업가치를 손상시키는 RM의 억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암시한다. 기존 연구는 RM이 규제당국이나 감사인의 적발가능성과 연관이 없다고 보았으나, 본 연구는 지정감사인에 의해 RM의 구성요소인 비정상적 영업현금흐름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높은 독립성을 갖춘 지정감사인의 경우 실물이익조정을 억제하여 기업가치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외감법 개정에 의한 지정감사인의 범위확대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6+3 주기적 지정제의 정착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新외감법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시행으로 인한 영향: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 기업을 중심으로

        염승훈,김종일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5

        The recently revised External Audit Law was designed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companies and auditors on the effect of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this study reviews how the system is being affected in accounting practice and its policy sugges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firstly,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was expected to increase, and secondly, for audit quality, where auditors expected the audit quality to be higher in 2020 and the previous year, companies expected the audit quality to be the same or similar as in the past, indicating a specific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auditors and companies. Third, both companies and auditors were calling for improvement on the downward grade application system for external auditors. Finally, auditors were generally in favor of the designation system, but companies were not in favor of it, so even i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maintained, more detailed improvement is needed. This study is the first result of examining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auditor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under the revised External Audit Law. It also contributes to examine specific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audi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also suggests directions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policy for improvement on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by specifically examining areas, such as the downward grade application system for external auditors. 최근 개정된 외감법은 감사인 지정제도 확대시행을 통해 기업의 회계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新외감법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도입 효과에 대해 회사와 회계법인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동 제도가 회계실무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와 이를 통한 정책적 제언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 감사인의 독립성은 제고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둘째 감사품질에 대해서 회계법인은 개정된 지정제도 첫 시행 연도인 2020년 뿐만아니라 직전 연도인 2019년의 감사품질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회사의 경우는 감사품질이 과거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서 감사인과 피감사인간에 시각차이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으며, 셋째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제도에 대해서는 회사측이나 회계법인 모두 개선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사인인 회계법인은 지정제도에 대해 대체로 찬성하고 있으나 피감사인인 회사측은 반대의견이 많아서 감사인 지정제도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보다 세부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新외감법하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시행 이후 그 시행에 따른 감사인과 피감사인의 의견을 알아본 최초의 연구결과로서,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시행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감사인과 피감사인이 받아들이는 입장차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뿐만아니라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제도 등 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금융감독 당국의 제도 시행 유지와 향후 개선방향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신규상장기업의 상장연도 감사인변경과 감사품질

        최영수,양동훈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newly listed firms' auditor change of the listed year on audit quality of both listed year and listed just before the year.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audit quality of the listed year between the auditor-changed firms and the auditor-unchanged firms of the listed year.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audit quality of the listed just before the year between the auditor-changed firms which chose the audit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signated auditor and auditor-unchanged firms of the listed year. We uses discretionary accruals to proxy for audit qual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Discretionary accruals are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Jones model developed by Dechow et al.(1995) and the performance-matched modified Jones model developed by Kothari et al.(2005). This study uses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339 newly listed firms of non-financial corporate sector from 2006, when the changed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o 2012 when the financial data is availab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udit quality of listed year of auditor-changed firms and that of auditor-unchanged firms show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results. Those results do not match the previous study(Park and Kwak, 2007) which report the voluntarily auditor-changed firms tend to hire less conservative auditor to perform a more aggressive accounting. Furthermore, the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to the local newly listed companies, which restricts the change of a designated auditor for a period of time just after listing as domestic listed foreign companies, can not find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results. Second, when we compared the audit quality of the listed just before the year of the auditor-unchanged firms with that of the auditor-changed firms which chose the audit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signated auditor, we found that the audit quality of the auditor-changed firm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uditor-unchanged firm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of the audit quality of listed year between the auditor-unchanged firms and the auditor-changed firms which chose the audit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signated auditor were not sin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hat the restriction of the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of the listed just before the year could be the reason for the auditor change of listed year. However, The non-significant differences of audit quality of listed year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auditor immediately preceding auditor did not provide the same level of external audits when the company was a privately-held company, but provided the more strengthened level of external audits as those of the designated auditor who continued the audit of the auditor-unchanged firms of listed year. Further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the auditor change shows the results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udit quality of listed year between the auditor-changed firms which chose non-big4 in the listed year and the auditor-unchanged firms were not found. These results confirmed the robustness of the empirical results which reported the non-significant differences of audit quality of listed year between the auditor-changed firms and the auditor-unchanged firms. This paper contributed to analyzing the effect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which implemented from 2006 on auditor change of listed year. This study differentiated the previous study because we analyzed audit quality of the voluntarily auditor-changed firms and the auditor-unchanged firms in both listed year and listed just before the year, which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as far as we know.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can be the possibility of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due to both the financial data availableness and small number of newly listed firms themselves in K... 본 연구는 신규상장 추진기업의 감사인지정제도가 시행된 2006년부터 상장연도에 감사인을 변경한 기업 및 상장연도에 지정감사인 직전 감사인으로 변경한 기업과 상장연도에 지정감사인이 계속감사를 실시한 기업(이하 비변경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전·후의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의 기간 중에 신규상장된 총 339개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첫째, 감사인변경기업의 상장연도의 감사품질은 비변경기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 자율교체 기업들이 덜 보수적인 감사인을 고용함으로써 보다 공격적인 회계처리를 수행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선행연구(박수일·곽수근, 2007)와 일치하지 않은 결과로서, 국내 상장 외국기업처럼 상장연도 이후 일정 기간 동안의 감사인변경 제한 규정의 국내기업 적용 검토는 그 실증적 타당성을 발견하지 못 하였다. 둘째, 상장연도 감사인 비변경기업과 지정감사인 직전 감사인으로 변경한 총 284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상장연도에 지정감사인 직전 감사인으로 변경한 기업의 상장직전연도의 감사품질이 상장연도 감사인 비변경기업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상장연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 하였다. 이 결과는 지정감사인의 보다 강화된 감사 수행으로 인하여 경영자가 기회주의적으로 이익조정을 실시하지 못 한 점이 상장연도 감사인변경의 이유가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 상장연도에 감사계약이 재개된 지정감사인 직전 감사인이 해당 기업이 비상장인 경우와는 달리 상장회사가 된 이후에는 상장연도에도 계속감사를 수행한 다른 지정감사인 수준의 감사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장연도 감사인변경과 감사품질을 검토한 최초의 연구로서, 신규상장기업의 감사인지정제도와 관련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감사인지정이 신규 상장법인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효과

        김명철,이윤상,박성배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회계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의 하나인 감사인 지정제도가 본래의 취지대로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향상시키는지 여부를 분석하기위해서, 감사인 지정을 받지 않고 상장된 기업과 감사인 지정을 받고 상장된 기업의 상장 전․중․후 기간 이익조정 차이를 분석하였다. 감사인 지정효과를 측정하는 이익조정의 대용치로서 수정된 Jones 모형(1995)에 의한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였으며, 표본기업으로서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기간에 상장된 기업(비지정상장법인) 168개와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에 상장된 기업(지정 상장법인) 155개 총 323개(기업-연)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결과, 상장 전․중․후 연도에 지정상장법인은 비지정상장법인에 대하여 이익조정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나, 추가적인 연구에서 상장연도의 경우에 벤처기업을 제외한 법인에 대하여는 감사인 지정으로 인한 이익조정의 유의한 감소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장직전연도의 경우 벤처기업에 대하여 감사인을 지정할수록 미미하지만 이익조정이 많아짐을 보여주었고, 상장연도에도 감사인을 지정할수록 이익조정이 더 많아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상장직후연도에는 감사인 지정 변수와 벤처기업과 감사인지정의 결합변수는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BIG감사인과 감사인지정의 결합변수 또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auditor-designated IPO companies’ earnings management and that of non-auditor-designated IPO companies during the period from pre-listing year to post-listing year,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improves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f auditor-designated companies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uditor-designated effects between venture business and non-venture business, and the designated effects between BIG4 auditors and Non-big4 auditors. Discretionary accruals defined by modified Jones model(1995) are used as a substitute of earnings management that is utilized as a measure of auditor designated effects. Samples are 323 companies that comprises 168companies listed from the year 2003 to 2005 (non-auditor-designated IPO companies) and 155 companies listed from the year 2006 to 2008 (auditor-designated IPO companies).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do not show the difference of earnings management between auditor-designated IPO companies and non-auditor-designated companies during all the periods from pre-listing year to post-listing year, but additional research shows significantly decreased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on auditor-designated non-venture business for the listed year. But it is observed that earnings management of auditor-designated venture business was slightly increased for the pre-listing year, and earnings management of auditor-designated venture busi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listed year. But for the post-listing year, the research doesn’t show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uditor-designated variable and combined variable of venture business with auditor-designated variable. The effects of auditor designation of BIG4 auditors are not appeared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not discovered the reason of special treatment of BIG4 auditors in auditor-designation system for IPO companies.

      • KCI등재후보

        지정감사인의 규모와 보수주의와의 관계

        손혁,정재경 단국대학교 미래산업연구소 2020 산업연구 Vol.44 No.1

        Recently, the scope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s been expand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and a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ill be implemented from 2020. As a result, the merger of small and medium-sized accounting firms is appearing, because the size of the auditor is included in the selection criteria when the regulatory authority designates the audito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designated auditors and the proxies of conservatis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 from 2001 to 2010, the smaller the size of the auditor, the more positive (+) the association is between conservatism of designated compani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size of a designated auditor does not necessarily improve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a small auditor demands a more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ss from a stakeholder due to the risk of litigation and the reputation of the auditor. Our result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designation of auditors to regulators, auditors and stakeholders. 최근 들어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인해 감사인 지정제도의 범위가확대되고 2020년부터는 주기적 지정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중소 회계법인의 합병이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규제당국이 지정감사인을 지정할 때 감사인의 규모를 선정기준에 포함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지정감사인의 규모와 보수주의 측정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사인의 규모가 작을수록 지정기업의 보수주의 간에는 유의한 양(+)의 연관성이 있었다. 이 결과는 지정감사인의 규모가 크다고 반드시 재무보고의 품질이 제고되는 것은 아니며, 규모가 작은 감사인의 경우 이해관계자의 소송위험과 감사인 명성의 제고로 인해 보다 보수적 회계처리를 지정기업에게 요구하는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기관과 감사인, 이해관계자에게 감사인 지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