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 Gyoung),나종연(Rha, Jong 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소비자와 기업은 시장경제의 동등한 두 주체로서 이미 상생과 협력의 관계로 들어섰다.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소비자와 기업은 가치를 공동창출할 수 있는 관계로 규정되고 여러 가지 시장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가치공동창출활동을 당연히 추구해야 하는 개념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 연구는 없었다. 구혜경과 나종연(2012)은 실제 시장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를 두고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을 선순환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로 정의한 바 있으며, 이를 실증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치공동창출활동 관련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였으며, 그 결과 가치공동창출활동을 저해하는 소비자와 기업 측면에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소비자측면에서는 적극적 소비자의 활동의 부적절한 가치공동창출활동, 평균적 소비자가 창출하는 가치내용 수준의 한계, 침묵하는 소비자의 무임승차 경향이 저해요인이었다. 기업 측면의 저해요인은 소비자창출가치를 반영하는 실무 부서의 업무 우선 순, 위 문제기업 내에서 CS부서의 위상이 낮은 문제, 최고경영자의 소비자창출가치에 대한 인식의 부족, 가치공동창출 활동의 성공사례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가치공동창출활동에 더욱 집중하기 힘든 문제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컨텐츠 차원과 시스템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색해보았다. 우선 가치공동창출활동 자체의 중요성과 소비자와 기업이이를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의 컨텐츠 측면과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체계를 갖추는 시스템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advanced research, I’ve already defined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developed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On this study achieves expert panel interview for understanding the blocking of co-creation of value. This study found three aspects of hindrance of co-creation of value: consumer, business, and the others. First of all, consum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are so many passive consumer who do not co-create the value. Even though product or service is unsatisfied, passive consumer do not express their opinion. As a result they did not contribute to new product that is reflected consumer’s value. Secondly, Consumer creation value are very personal or impromptu, so business devaluate of the consumer proposal value. Thirdly, pro-active consumers for value co-creation manipulate the value by business’ money reward system. Nextly, business aspec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Marketing and sales are the core department for product developing. Through marketing and sales departments have to focus on consumer value, the priority oder for them is not consumer value but a suitable time launching or sales revenue. Secondly, Consumer satisfaction department that managed consumer opinion have lower hierarchy in business organization. Thirdly, CEO emphasize consumer value but it’s very abstract. They do not have a system for company worker’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Fourthly, there are not enough successful case of co-creation of value. The last, the oth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In market, there are some business categories to support business, for example PR agency or research firm. Despite their role is not only understand but also deliver consumers’ true needs and wants based on consumer’ behavior, those agencies often take advantage of such situation. When advertisers made an arbitrary decision, sometimes they gave a tacit for continuous goo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surveys, To revitalize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we will consider two sides. One is consumer’s value creation “Contents” aspect and the other is the “Systems” aspects. The meaning of the contents is education source for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of consumer and business. And the meaning of the system is the comprehensive conditions of business surroundings for example, information system, employee evaluation system, organization system, business managing system and so 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eld of consumer’s sovereignty by conceptualization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business also, because the meaning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for win-win of both sides in market. Through perform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business can accomplish their profit seeking and existence.

      • KCI등재

        공동가치창출 활동이 신제품의 혁신성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승재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1

        With the advancements in internet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re consumers are participating in value co-creation. Increasing consumer-led value co-creation activities along with corporate-led activities makes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value co-creation more difficult.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value co-creation, level of participation, perception of innovativeness and attitude toward new product, the conceptual model is proposed and 2x2 between subject design experiment is designed. Responses are collected from 293 college students and the model is partially supported. Results of maximum likelihood (M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veals that perceived innovativeness play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stream co-creation and attitude toward new product. Results also show that level of customer participation in co-creation activities influences attitude toward new product.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아마존이나 유튜브와 같이 소비자와 기업 간의 공동가치창출 플랫폼을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의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신제품 개발과 생산의 과정에서 소비자를 참여시키는 상향식 공동가치창출 활동들은 이제 신제품의 확산과정으로 확대되어 다양한 하향식 공동가치창출 활동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기업이나 브랜드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다른 소비자가 만든 콘텐츠를 구독하고 확산시키면서 기업의 의도와 관계없이 공동가치창출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기업이 주도하는 공동가치창출 활동과 소비자가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활동들 간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동가치창출의 관리와 활용은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가치창출활동과 신제품의 혁신성 인식 그리고 신제품 태도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동가치창출 활동의 활용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가치창출의 유형과 고객참여수준이 신제품의 혁신성 인식과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x2 집단 간 실험설계(between subject design)을 활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동가치창출의 유형은 상향식과 하향식 공동가치창출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고객참여수준은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293명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상향식 공동가치창출 → 신제품의 혁신성 인식 → 신제품 태도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신제품 혁신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공동가치창출을 통해 개발된 신제품이라는 메시지는 소비자에게 신제품이 혁신적이라는 인식을 주어 신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은 공동가치창출 관리와 활용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고 있다.

      •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구(Jungoo Lee),이동명(Dongmyung Lee)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대표적인 글로벌 혁신기업인 디자인회사 IDEO의 CEO 팀브라운은 “고객을 대상으로 정보를 쏟아내는 웹 1.0 시대와는 달리, 고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웹 2.0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더 이상 고객을 수동적인 존재로만 대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렇듯, 고객이 기업의 제품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치를 극대화하는 공동가치창출(Value Co-Creation)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공동가치창출 활동이 모두 성공적인 시장성과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선행적인 기업역량 확보 미흡에서 기인하며, 또한 고객과의 공동가치창출을 통해 시장변화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 실패에 원인이 있다.그러나 공동가치창출의 선행요인 및 시장성과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 연구 및 사례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실증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을 기초하여 공동가치창출과 중요한 연관성을 갖는 흡수역량(잠재적 흡수역량, 실현적 흡수역량)을 선행요인으로 제시하여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가운데, 특히 혁신성과(제품혁신성과, 공정혁신성과)를 매개로 하여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조모형분석을 통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가치창출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309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현적 흡수역량은 공동가치창출의 선행요인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잠재적 흡수역량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동가치창출은 기업의 제품혁신성과와 공정혁신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동가치창출은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제품혁신성과와 공정혁신성과는 공동가치창출과 시장성과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제품혁신성과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im Brown, the CEO of the representative global innovative global design company IDEO, asserted that unlike the web 1.0 age in which the company provide unilaterally informations toward the consumer, in the web 2.0 age, the consumer cannot be any more treated as a passive consumer but take an active role in product development. As he said, the value co-creation in which the customer take part in the new products development is being more and more emphasized. However, the reciprocal value creation activity doesn’t always create a successful market performance. In many cases, this can result from the insufficiency of some preceding capacities which are indispensable for value co-creation and the failure of innovative product development keeping up with changes on the marke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based on the resource-based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absorptive capacity. Moreover,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value co-creation on the market performance, we also tri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of 309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published by Korea Innovation Survey 2014.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SEM with AMOS program assistanc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which concerns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and the service reflecting of the customer’s suggestion and idea, has a positive effect on value co-creation as antecedent factor. On the other hand, it is revealed that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which comprises knowledge acquisition and assimilation capabilitie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alue co-creation. Secondly,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co-creation positively affect both on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Thirdly,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including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rket performance. Finally,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have a mediative effect on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market performance. Particularly, it turns out that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그림은 본문 참조] Based on the results, our contributions were follows. Fir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sorptive capacity has to be preceded so that the company can create a successful result through the value co-creation. Especially, the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turns out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is purpose, the company is required to recruit and manage excellent employees including efficient composition of R&D team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Secondly, the company need to raise a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For this purpose, the company is required to build platform, community and process which can vitalize customers’ active participation in value co-creation, as well as an introduction of the incentive system, which allow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customer.

      • KCI등재

        신제품개발의 소비자 공동가치창출 활동에 관한 연구

        이한근,강우성,강성호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6 마케팅관리연구 Vol.21 No.4

        In today’s market, consumer co-creation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area of new product development(NPD). Most co-creation marketing literatures and practices assert that firms can improve NPD-performance by facilitating consumer participation at various phases of NPD. However, many marketers have found it difficult to leverage consumer co-creation toward NPD success. The reasons are that consumers have limited knowledge on innovation and often express their latent needs ambiguously. It is also difficult for firms to manage consumer co-creation due to the increased conflicts between firms' objectives and consumers' interests. These findings inform NPD managers the importance of managerial efforts for consumer co-creation in NPD projects. The main objectives of our study are (1)to examine the specific criteria for consumer co-creation, (2) to conceptualize a typology of consumer co-creation, (3)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ir impact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new product,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order to test our research questions, we randomly assign a total of 306 participants to the conditions of a 2(new product development stage vs new product diffusion stage) x 2(consumer-led vs firm-consumer co-creation) x 2(high consumer innovativeness vs low consumer innovativenes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er co-creation types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these effects are moderated by consumer innovativeness. We suggest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최근 복잡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해,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내부 활동으로 간주되었던 신제품 개발을 소비자와 협력적으로 수행하는 공동가치창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신제품개발 단계에 소비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핵심니즈를 반영한 신제품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기업의 마케팅, R&D 등에 투입되는 자원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기업의 지속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몇몇 실무자들은 신제품개발을 위한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에 대한 효과성에 의문점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은 (1) 혁신에 대한 지식이 부족 하고 (2) 소비자 자신의 잠재적 니즈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며 (3) 신제품 개발에 있어 소비자와 기업의 갈등이 야기됨에 따라, 결국 신제품 개발에 비효율적 운영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는 신제품개발에 있어 다양한 공동가치창출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신제품개발단계에 있어 소비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기업의 관리적 노력들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개발 단계에 따라 신제품개발/확산을 위한 공동가치창출 활동과 소비자의 신제품개발 참여수준인 소비자주도/기업-소비자 공동가치 활동을 기준으로,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공동가치창출 활동이 소비자의 신제품수용특성인 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라 그 효과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참여분야: 신제품개발 참여분야 vs 신제품확산 참여분야) x 2(참여수준: 소비자주도 참여 vs 기업-소비자 참여) x 2(소비자의 혁신성: 높은 혁신성 vs 낮은 혁신성) 집단 간 실험설계(between subjec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각 공동가치창출 활동은 신제품개발 단계와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신제품 구매의도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개발 단계에 따른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공동가치창출 활동의 성공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行动者网络视角下的乡村非遗产业价值共创机制研究

        任宇婷,詹雪芳,石美玉,이명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Rural areas are the soil for man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 to promote the high-quality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is the key to rural revitalization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fferent stakeholders emerg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inherited and developed under the joint action of all the stakeholders. Therefore, the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value creation of different stakeholders. This study takes the tri-color industry of Tang Dynasty in Nanshishan Village, Luoyang City, Henan Province as the research o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 network, both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value co-creation, and the multi-subject and dynamic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industries a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actors' network in the development of Tang tri-color industry in Nanshishan village, the study combs and summarizes the value co-creation mechanism behind the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which supplements and perfects the research on the value co-creation mechanism of rural non-legacy industries, and can provide theoretical guidance and practical 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ther rural traditional ar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value co-creation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mainly goes through five links, namely, co-creation subject convening, value proposition proposing, goal path coordination, subject empowerment co-creation and multi-value output. Moreover, value co-creation can not be completed at one time, and the value propositions of different actors may change in this process. If left unchecked, all links of value co-creation will be broken, leading to value co-destruc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resolve objections in time, so that all actors in value co-creation can interact positively and make value co-creation evolve to the next stage. (2) The value co-creation subjects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include not only human actors, but also non-human actors to jointly promote the value co-creation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We should fully consider the role played by non-human actors in value co-creation. Although non-human actors do not have subjective initiative, they can be endorsed by some human actors. (3) The change of core actors in value co-creation promotes the replace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has gone through different stages, and at each stage, the core actors of value co-creation will emerge and play a leading role in value co-creation. And with the change of core actors,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will also enter a new stage. (4) The development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is not achieved overnight, and it needs to be infinitely close to the optimal state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which is a gradual cycle process. Therefore, the value co-creation of rur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ies is not an interlocking straight line, but a dynamic circular process of spiral development. 농촌은 많은 무형문화재가 살아 숨 쉬는 온상이다.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을 고품질로 발전시키는 방법은 농촌 활성화와 무형문화재 보호 및 계승이 핵심이다. 본 연구는 허난성 뤄양시 남석산마을의 탕산차이 산업을 연구대상으로 행위자 네트워크의 연구관점에서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를 모두 가치 공동창출 분석에 포함시키고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 발전의 다양한 주체와 동적 과정을 분석한다. 남석산마을의 탕산차이 산업 발전 과정에서 행위자 네트워크의 구축 및 전환을 분석하여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 발전 이면에 있는 가치 공동창출 메커니즘을 정리하고 요약했다. 농촌의 무형문화재 가치 공동창출 매커니즘 연구를 보완하고 개선함으로써, 기타 농촌의 전통기술 분야의 무형문화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이론적 지도와 실천적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가치 공동창출은 주로 다섯 단계를 거친다. 공동 창출 주체의 소집, 가치 주장의 제안, 목표 경로 일치, 주체 능력부여 공동창출, 다양한 가치 생성이다. 그리고 가치 공동창출은 한 번에 완성될 수 없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행위자의 가치 주장이 바뀔 수 있다.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가치 공동창출의 모든 단계가 끊어져 가치 공동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름을 즉시 인식하고 해소하여 가치 공동창출 주체들이 건전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치 공동창출이 다음 단계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가치 공동창출 주체는 인간 행위자뿐만 아니라 비인간 행위자도 포함하고,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가치 공동창조를 공동으로 촉진한다. (3) 가치 공동창출 핵심 주체의 변화는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단계 변화를 촉진한다. (4)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발전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최적의 상태에 무한 가까워지는 점진적인 순환 과정이다. 따라서 농촌 무형문화재 산업의 가치 공동창출은 연결된 일련의 직선이 아니라 나선형 발전의 동적 순환 과정이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가치공동창출과 가치공동파괴 요인 분석 연구

        엄성원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2 혁신기업연구 Vol.7 No.2

        본연구는배달의민족앱을 사용하는 고객이남긴리뷰를분석하여고객이 인식하는가치공동창출(VCC)와 가 치공동파괴요인(VCD)을분석한연구이다. 기존설문을통한고객의소리파악의한계점을극복하고자본연구에서 는고객리뷰분석을활용하였다.연구의목적을달성하기위하여리뷰에대한감성분석을수행한후에토픽모델링 을활용하여가치공동창출요인4개와가치공동파괴요인4개를추출하여분석하였다.가치공동창출요인은할인및이 벤트, 메뉴및서비스, 주문및고객관리마지막으로배달및라이더로확인되었으며, 가치공동파괴요인으로는시스 템운영및앱인증, 배송및운영관리, 경쟁업체서비스그리고라이더및고객응대로확인되었다.특히, 라이더의 경우는고객가치창출요인이면서고객가치파괴요인으로분류되었다. 배달서비스과정에서라이더의역할수행에따 라가치창출요인이되기도하고가치파괴요인이된다는것을확인하였다.본연구의시사점은기준가치창출요인과 가치파괴요인분석에서활용되는설문지기법에서탈피하여고객리뷰즉비정형데이터분석을통한요인추출에큰 의미를둘수있다.또한,배달앱관리자는가치창출요인과가치파괴요인을활용을통해고객관계관리(CRM)전략도 출이가능할것으로판단된다.

      • KCI등재

        개인의 특성과 혁신성이 도우인의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공동창출 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웅,정진섭,김현규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3

        Recently, the perception change of consumers is changing the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Now,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the era of “value co-creation” is being opened, where all stakeholders, beyond corporations and consumers, work together to create new values. In the process, not only companies can create financial or social benefits, but consumers can also create financial or mental or social benefits. Therefore,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to use IT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SNS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o companies to strive for value co-creation more effectively. This study is based on ‘Douyin (抖音)’, and positively investigates independent variabl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ttitudes of value co-creation, subjective norms of value co-creation, trust of platforms), and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value innovation), and the mediator variable of ‘act of value co-crea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intent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Based on positive analyses, most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However, The hypothesis that ‘attitude of value co-crea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rejected. In addition, the hypotheses that “attitude of value co-cre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 “act of value co-creation” are also rejected. In the future, if companies conside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ness and foster a platform mediated by “act of co-creation of value”, it is judged that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various corporate ecosystems can be further promoted. 최근 소비자의 인식변화는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으로서, 기업과 소비자를 뛰어 넘어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공동창출(Value co-creation)”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기업이 재무적 이익이나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뿐만아니라, 소비자들도 재무적 이익이나 정신적 혜택, 또는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기업들에게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해 인터넷, SNS 등의 IT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가치공동창출(Value Co-creation)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도우인’을연구의 대상으로, ‘개인의 특성(가치공동창출의 태도, 가치공동창출의 주관규범성, 그리고 플랫폼의 신뢰성)’과‘혁신성(기술혁신과 가치혁신)’이라는 독립변수가 ‘가치공동창출의 행위’라는 매개변수를 거쳐 ‘지속참여의도’ 라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대부분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으나, ‘가치공동창출의 태도’가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가치공동창출의 태도’와 ‘기술혁신’이 매개변수인 ‘가치공동창출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각되었다. 향후 기업들은 개인적 특성과 혁신성을고려하고 ‘가치공동창출의 행위’를 매개로 하는 플랫폼을 육성한다면, 다양한 기업생태계에서 소비자의 참여를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학생 만족도에 대한 가치공동창출 요인의 비대칭 영향

        임병학(Byung-hak Leem),김삼문(Sam-Moon Kim),홍한국(Han-Koo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미래의 성공을 촉진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대학의 가치공동창출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학생 만족도에 대한 가치공동창출 요인의 비대칭 및 대칭 요인을 밝혀내어, 향후 각 요인에 대한 전략적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대칭 및 대칭 요인을 밝혀내어 향후 각 요인에 대한 전략적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PRCA(Penalty Reward Contrast Analysis)방법을 도입하여 대학의 가치공동창출 요인에 대한 만족도의 3요인 구조를 정의하고 가치공동창출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산의 B대학 설문 조사한 160명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 공동생산 활동 요인 모두는‘지식공유’,‘형평성’.‘상호작용’으로 기본요인과 높은 성과로 나타난 ‘강한 유지’조치가 필요하다. 사용가치 활동 중 ’경험’은 매력요인과 낮은 성과로 가치공동창출 성과 향상을 위해‘공격적 투자’가 요구되는 반면, 사용가치 활동의‘관계’과‘개인화’는 일원적 요인과 낮은 성과로 나타났다. 이 요인은 낮은 우선순위 전략으로 자원 투자 여분이 있을 경우 투자를 통한 성과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이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동창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또한 3요인 이론을 사용하여 가치공동창출 이론에 대한 지식을 풍부하게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of co-creation of values for universities that is desperately needed to survive in an uncertain environment and promote future success. In addition, asymmetric and symmetric impacts of value co-creation factors for student satisfaction are identified, and strategic management plans for each factor are suggested in the future. Using the PRCA method, we defined a three-factor structure of satisfaction for the value co-creation factors of universities and presented a strategic plan for improving the value co-creati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160 respondents who surveyed university B in Busan, all factors of co-production activity (knowledge sharing, equity, interaction) showed high performance as a basic factor, requiring strong maintenance measures. Among use-in-value activities, ‘experience’ was an attractive factor and low performance, so ‘aggressive investment’ was required to improve the value co-creation performance, whereas ‘relationship’ and ‘personalization’ were found to be a one dimensional factors and low performance. This factor is a low-priority strategy, and if there is a spare resource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through the investment. These results help universities to establish co-creation strategies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nriches the knowledge of value co-creation theory using the three-factor theory.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구혜경 ( Hye Gyoung Koo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는 부단히 진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위상은 과거에 비해 높아졌고, 기업은 존속을 위하여 소비자지향적인 경영활동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는 대립에서 상생의 관계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학은 소비자가 기업의 동반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개별 소비자들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개념으로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을 살펴보았고, 이를 소비자 가치창출활동과 기업 가치창출활동이 상품을 매개로 접목되고 선순환적으로 발전하는 전체적이고 유기적인 과정으로 확장하여 개념화 하였다. 또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수준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척도는 개념화에 근거하여 내용과 수행방식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고 각각 35개 항목과 12개 항목을 최종 개발하여 검증하였다. 내용 척도의 경우 상품속성가치와 상품소비과정가치로 구분하였으며, 수행 방식은 소비자가 주도하는 소비자 Push 방식, 기업이 주도하는 기업 Pull 방식, 소비자간에 정보 공유를 주도하는 소비자 상호작용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What is the specific action plan for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useful not only to businesses but also to consumers in the sense it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consumer sovereignty in the market. More specifically, where as the concept of dollar vote, a traditionally discussed means of realizing consumer sovereignty,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a remedial approach to what is already offered in the market, the potential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lies in the possibility that consumers` needs and preferences can be communicated to businesses before the actual production happens, and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more ideal and effective by consumers. This paper propose to do the followings. First, I proposed to conceptualiz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from consumer study`s point of view. Secondly, I proposed to develope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 suggested the scale for co-creation value contents and the other being performance. In order to defin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t may be useful to take study the previous studies of co-creation into consideration.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question of co-creation of value since 1979. However no one conceptualized the defin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Just Wikstrom(1996), Prahalad and Ramaswamy(2000, 2004), Vargo and Lusche(2004, 2006, 2008). Payne et al. (2008) had a comprehensive survey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from both consumer and business perspectives. From these previous studies. I have extracted several ideas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They are consumer value creation process, business value creation process, the value to be able to co-create. In the Following, I tried to show the defin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with regard to its significance to consumer, business, and market.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e" can be explain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through experience, consumers discover new or additional values they desire in products. Then, business selectively choose and study certain values discovered by consum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ducts. Once the business proposes improved products which reflect the consumer`s ideas, consumers will likely choose to consume those products. Within this three-step process, consumer-business co-operate, and eventually exercis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The fact that consumer sovereignty can realize before dollar-vote in the market is meaningful to consumer. From Business perspective, they can continue to exist through consumer dollar-vote. Last, if this process should happen everyday,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will make more ideal. I focused more closely on developing the scale for measur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o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Korea with respect to ongoing activity and perceived importanc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can be measured two sides with one being value contents and the other being performance. The final value contents is composed of product attribute value, buying value, usage value, AS value, disposing value and can be dimensionalized by consumer`s problem solving level Consumer offer an opportunity to business to study their experience process. consumer identified problem of product through using process. Next dimension is problem solution suggestion by consumer, and last dimension is new idea suggestion. Performance Method is dimensionalized by two major ax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performance. They were named by consumer pushing way, consumers` interaction way, business pulling way. In order to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y, the final Questionnaire with 35 Questions for value contents and 12 Questions for performance method. After the conceptualizing and developing the scales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 conducted the survey to measure the real conditions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Korea and I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alidate the scales of measurement.

      • KCI등재후보

        로컬크리에이터의 가치공동창출행동이 브랜드 자산 및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기석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로컬크리에이터의 가치공동창출행동이 브랜드 자산 및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 기 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가치공동창출행동이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2023년 12월 1일부터 12월 3일까지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가운데 최종 201개를 분석에 이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로컬크리에이터의 가치공동창출행동(정보추구, 책임행동, 개인적상호작용, 정보공유, 도움행동)은 모두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자산(연상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가치공동창출행동이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역할을 검증하였으며 로컬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가치공동창출행동 외에 NT-네트워크 이론, 상호작용성 이론, 로컬크리에이터들의 행동요인, 사업동기, 비즈니스 모델, 성장(발전)방식 관련 추가지표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가치공동창출 주체별(산・학・연・관)로 가치공동창출요인에서 주안점을 주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비교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핵심어: 로컬크리에이터, 가치공동창출행동, 브랜드자산, 행동의도, J-Connect Day The Effect of Value Co-creation by Local Creators Towards Brand Asset and Behavioral Intention Kiseok Park*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effect of value co-creation by local creators toward brand asset and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a serie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value co-creation by local creators (information seeking, responsible behavior, personal interaction, information sharing, hel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asset. Second, brand asset (cognitive image, brand awareness)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 since its is focused on ‘2023 J-Connect Day’, and cannot generalize its result to various local creator festivals and events. Second, value co-creation activity only cannot fully explain behavioral factors of local creators, which require further study on drawing up factors such as business motive, business model, growth (development) type. Also,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arison research on value co-creation activity by subject (Industry/academy/research/administration) and which one they put great importance the most. Key Words: Local Creator, Value Co-creation, Brand Asset, Behavioral Intention, J-Connect Day □ 접수일: 2024년 3월 19일, 수정일: 2024년 4월 16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문화산업팀 책임연구원/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박사과정 수료(Researcher, Jeju Content Agency/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Jeju National Univ.,Email: pks@ofjeju.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