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 한국어 학습자, 한국인 모어 화자의 단어 연상 의미 관계 비교 연구

        신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한국어 학습자, 그리고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각 집단 간의 머릿속 사전의 단어들의 의미 관계를 비교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 한국어 교육원의 한국어 교사 40명, 한국어 학습자 49명, 모어 화자 44명을 대상으로 단어 연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2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교사들과 16개 국적의 3급 이상 학습자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경험이없는 모어 화자들로 구성하였다. 단어 연상 실험의 제시어들은 초급 수준의 단어들을 제시어로 하여 각 제시어에 떠오르는 연상어를3개씩 쓰도록 하였다. 결과 단어 연상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세 집단 중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연상어 개수가 가장 많았다. 한국어 교사들은모어 화자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제시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8개 제시어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연상한 단어들보다 적게 연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 비해 한국어 교사들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상어는 공통되는 것들이 더 많았다. 각 제시어별 연상어들을 살펴보면 모어 화자들의 연상어들은 범주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어에 대한 실제적이고 개인적인 경험, 느낌이나 감정, 좀 더 확장된 의미 관계, 관용어나 속담 등까지 연상하였으나 교사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학습시 배우게 되는 연어적 관계 또는 일차적 의미의 연상어들이 많았고 실험 시기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 연상어들도 있었다. 결론 한국어 모어 화자이기도 한 한국어 교사들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연상어 개수가 적다는 것은 어휘력이나 연상력의 문제가 아니고 한국어 교사들이 학습자와 교재를 중심으로 연상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 교사들이 연상한 단어들과 학습자들의 연상어들 간에 공통되는 연상어들이 많게 나타난 것은 같은 환경에서 교수⋅학습한 결과이며 한국어 교사들은 교수 경험에 따라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단어들이 무엇인지 이미 예측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은 기관에서 학습하는 교재나 교사의 영향을 많이받을 수 밖에 없는데 학습자들이 좀 더 실제적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교재 개발이나 교수법 연구 시 학습 대상이나 학습 목적을 고려하여 연상어들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mantic relations of associated words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word association test. Methods This word association task was conducted with 3 subject groups. They were given 10 stimulus word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novice level in Korean language text books, then they were asked to associate and write 3 associative words to 10 stimulus words.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ree important results. First, Korean native speakers’ group showed the most associated words among the 3 groups.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group showed the least number of associative words. Third, Korean language learnes’ group and Korean teachers’ group had the the most common associated words. Conclusions The result that Korean teachers’ group showed that least number of assciated words suggests that the diversity of associative words may have emerged due to occupational influences but it also means that the trained teachers focused on the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and associated the words which they use in teaching or from textbooks. Second, whereas the associative words of native Koreans are very authentic and various, other two groups’ associative words seemed more focused on the vocabulary in the textbook so they had more associated words in common. Therefore, in order to teach and use the authentic Korean words to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e may utilize the word association test to find and develop more ways to use the authentic word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each field.

      • KCI등재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중심으로 -

        이경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어휘 ‘우리’가 지니는 특수성이 한국어문화를 설명하는 데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다각적인 검토를 통한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못한 것을 문제로 인식하였다. 최근 개통한 『한국어기초사전』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축된 최초의 공식 온라인 사전이며, 향후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의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는 도구로서 이 사전을 일차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따라서 먼저 ‘우리’에 대한 문법, 의미, 화용, 언어철학 분야에서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를 교육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중에서 사전에서 수용 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어기초사전』의 표제어 ‘우리’의 풀이말 및 풀이말에 사용된 ‘우리’의 쓰임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리’의 풀이말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비해 쉽고 용례가 풍부하나 학습용 사전으로서 정보가 불충분할 수 있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풀이말에 사용된 ‘우리’는 사전을 매개로 한 한국어 화자와 학습자 간 의사소통에 심리적 거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사전의 하이퍼텍스트성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것과 표제어뿐만 아니라 풀이말 내에 사용되는 ‘우리’에 대해서도 재검토가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This study, specifies that “우리”, an item of Korean vocabulary, is very important for explaining Korean culture; however, its educational contents have not been provided in diversified reviews across various fields. The recently published ‘Korean Basic Dictionary’ is the first formal online ictionary that has been issued for Korean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many Korean learners will primarily use this dictionary as a tool for learning the meaning and usage of vocabulary. First, by gathering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grammar, meaning, pragmatics, and linguistic philosophy for “우리”, this paper summarizes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teaching learners “우리”. In this area the acceptable range of the dictionary is also considered, and the headwords in the ‘Korean Basic Dictionary’, the predicate of “우리” and usage of “우리” being used in the predicate are reviewed.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dicate of “우리”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examples are richer than those found in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 however, its information may be insufficient as a learning dictionary, which has been highlighted as a problem. In additi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우리” being used in predicate may also create a psychological gap in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speakers and learners based on a dictionary as mediu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suggested t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hyper-text of online dictionary, by conducting a further review of “우리” being used not only in headwords but also in the predicate.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신범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내용 영역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언어 재료의 내용 구성 및 제시 항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언어 재료는 구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초급과 중급 단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로 제시되고 있는 어휘는 교과 학습의 목표가 되는 개념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내용교과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학문적 문식성을 제고하는 데 유효한 어휘와 문법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역사 교재를 입력하여 구축한 총 43,252어절의 말뭉치 분석을 통해 역사 교과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하였다. 또한 4종의 교재 텍스트를 분석하여 역사 교과 언어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학습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포함해야 할 구체적인 어휘와 문법 교육 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 improving content area literacy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we examined the list of language materials provided in the current KSL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materials presented in the appendix to the KSL curriculum consist mainly of spoken language materials, which largely focus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 therefore tried to find vocabulary and grammar that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ciplinary literacy,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We also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history subjects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orpus, which consists of 43,252 word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within this subject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exts of four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we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and compiled a list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used in history.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과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박은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언어를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강조해 왔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능력이 무엇이며 문화 능력을 위해 무엇을 가르칠지, 그리고 문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고는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은 무엇인지를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 문화내용과 문화 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한 후에 문화 능력의 평가 내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존 문제로 문화능력 평가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문제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문화 능력에 대한 연구가많지 않다는 점, 문화 능력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언어와 문화를 분리해서 바라보는 관점이 아직 더 지배적이라는 점 등을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능력의 개념을 정리하여 문화 능력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정립해 보았다. 그리고 문화 능력을언어와 문화를 따로 보는 문화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을 볼 것이 아니라 한국어 교육 측면 즉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목표에서 문화능력을 바라보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관계 속의 문화 능력을 보아야함을 논의하였다. 문화 능력의 내용은 넓은 의미의 일반 문화를 다 포괄하는 것이 아닌 언어 문화의 문화 능력 내용으로 설정하여야 하며이에 대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문화 능력의 내용의 표준화는 아니더라도 초급 단계에서의 문화 능력의 내용의 합의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최근에 개정된 한국어 교재에서도 문화 내용이 동일하지 않고 문화 능력에 대한 내용도 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어 평가 중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문화 내용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 평가 내용을 중심으로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much emphas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o our knowledge, no study has attempted to define cultural competence in teaching Korean, what to teach in cultural competence, and how to test cultural competence. We also have to recognize that not many studies exist about cultural competence, that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are diverse, and that the dominant view still regards language and culture as separate ent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cultural competence in literature and thereby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only by considering cultural competence as part and parcel of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can we meet the objective of increa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etence testing, it is suggested, must not embrace general culture only in a broad sens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we come to a general agreement about the standard contents in cultural competence testing. Moreover, the present Korean textbook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objectives of teaching and testing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finally raises several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their relevance to cultural competence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 KCI등재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박새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해 고찰하고자 <미감리회> 한국 선교회의 연회록인 『Official Minutes』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미감리회> 선교회에서는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자 평가와 관리가 주된 임무였던 <한국어 학습 위원회>를 적어도 1893년부터 1916년까지 선교회 내에 두었으며, 이 위원회를 중심으로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인 ‘학습과정’을 개발하여 수정 · 보완하며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연합선교공의회> 주도의 공식적인 한국어교육이 실시되기 이전 초기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이 단순히 선교사 개인의 경험과 개인교사를 통한 개인적 학습이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선교회 차원의 적극적인 통제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left by the missionarie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MEC), who were sent to Korea in the early days of the Protestant Mission. “Official Minutes”, the annual meeting minute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MEC, are a record of meetings and reports of the Committee on Study of Korean Language. This makes clear that the Korea Mission of the MEC operated the Committee on Study of Korean Language from 1888 to 1916.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missionaries controlled and managed missionaries’ Korean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urse of Study” featuring learner evaluation and promotion management. This study is the first discussion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of missionaries in the early Protestant Mission, as this issue was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missionaries’ Korean learning occurred through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missions department, not the learning of the individual missionary.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전래동화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 연구

        김은영 ( Kim Eun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전래동화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한국어교재 편찬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재에 수록된 전래동화는 언어교육은 물론 문화교육이나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자료임에 틀림없지만 전래동화가 수록된 한국어 교재가 실제 사용현장에서 문학교재, 문화교재 등의 역할로 적합한지 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재에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흥미, 만족도, 적합성 면에서 부정적인 인식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자국의 전래동화와 비슷하다는 의견과 유치하다는 의견 등으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실제 한국어수업에서 전래동화를 통해 문화교육이나 문학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 또한 전래동화를 언어자료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아서 언어학습에 치중하고 있었다. 따라서 문화자료 또는 문학 자료로 전래동화의 역할과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한국어 교재에서는 전래동화의 선정 및 양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습목표나 언어교육 중심적인 활동에서 문화와 문학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사의 입장에서는 전래동화를 통한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을 위한 재교육을 통해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자료의 성격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on Korean folk tales in Korean textbook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to help compile Korean textbooks. Korean folk tales in Korean textbooks should be good materials in that students can get culture education or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from them.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is material is suitable for users as language textbooks, literary textbooks, and cultural textbooks. The survey, conducted with native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as well, revealed negative perceptions in terms of interest,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interested in Korean folk tales. In fact, Korean language classes also showed that there was not enough cultural education or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Korean folk tales. Korean language teachers also tended to recognize Korean folk tales as language material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anguage learning aside from their literary values. In order to convey the role and value of literature education or cultural education, the selection and quantity of Korean folk tales should be fully and thoroughly considered. Korean folk tales should also be presented that correspond to the learner's interests and educational levels. For Korean teachers, a change in perception should be needed. Changes in perception could be made through re-education for cultural and literary education. Then, integrated classes should be conducted by devising educational plans and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Korean folk tales.

      • KCI등재

        스톡스와 初期 한국어 學習書 KOREAN BY CLAUSE-METHOD(1912) 硏究 - 敎材로서의 性格과 特徵을 中心으로 -

        박새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This study introduces M.B. Stokes that has not been covered by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his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isting Korean 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use. As a result, KOREAN BY CLAUSE-METHOD was written based on awareness of Korean learning, including the Korean learning experience of authors' M.B. Stokes. Specially, the unique format, which is comprised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ing with Korean individual teachers, has been more effective in face-to-face learning, and this has been why the book has since been used in various classrooms(‘Language Class’ & ‘Language School’). KOREAN BY CLAUSE-METHOD was designed with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xt of use, and the fact that these consideration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book, and the historical fact that this book was actually used ‘textbook’. 박새암, 2018. 스톡스와 초기 한국어 학습서 KOREAN BY CLAUSE-METHOD (1912) 연구, 어문연구, 180 : 425~451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관련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톡스와 그의 저서 KOREAN BY CLAUSE-METHOD(1912)를 소개하고 책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사용의 측면에서 이 책이 기존의 다른 한국어 학습서와 구별되는 특징과 한국어 교재(textbook)로서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KOREAN BY CLAUSE-METHOD는 저자 스톡스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서 비롯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저술되었으며 선교 활동이라는 목적과 자연스러운 한국어 설교라는 목표를 위해 구어 표현 중심의 ‘clause-method’를 활용한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한국어 개인 교사와의 학습이라는 학습 환경을 전제로 하여 구성된 독특한 구성 방식은 면대면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이었고, 이러한 점이 이 책이 이후 선교사들의 한국어 단기 집중 강좌인 <Language Class>와 연합언어학교인 <Language School>에서의 교실 수업에서도 여러해 교재로 사용될 수 있게 한 이유였다는 것을 밝혔다.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

        우형식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 자료를 검토하 고, 특별히 이들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품사 분류와 격 체계의 기술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적 검토를 바탕으 로 문헌들 사이의 상호 영향 관계를 한국어 문법 연구의 발전적 측면에서 조망하였다.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는 저자들이 자국어의 문법 체계를 바탕으로 대조적 관점으로 한국어에 접근하여 각자의 모국어로 기술하는 방식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자기중심적 관점에서의 접근에 따라 한국어 문법 기술에서 라틴 문법의 전통적인 8품사 체계를 유지하려 하였고, 관사나 분사 등과 같 은 한국어 문법에서 이질적인 품사를 설정하거나, 관형사와 형용사를 구분 하지 않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어에서 명사의 격 표지에 대해 초기에는 굴 절의 성격을 띠는 곡용 현상으로 이해하였으나, 점차 교착적인 해석으로 바 뀌었고, 19세기 말에는 단어 결합적 관점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연구에 대한 접근에서 중요한 것은 한국어 연구 의 통사를 정립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들의 한국어에 대한 기술이 이후의 한국어 문법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정착되었으며 발전되었는지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서양인들의 한국어 문법 연구가 그들의 한 국어 학습에 목표를 두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도 분석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 로컬리티

        전은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 환경으로서 공간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공간의 교육적 의미를 실현하는 방안으로 로컬리티 개념을 적용한 교육 목적, 교육 목표를 설정해 보았다. 또 한국어 교육에서 로컬리티를 반영한 교수-학습의 예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의 수준에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의 지역 분포가 다양해지고 서울 이외 여러 지역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가 공간적으로 어떤 교수-학습 환경에 놓여있는가를 맥락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서울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을 아무런 비판적 인식 없이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 서울 이외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방에서의 한국어 교육’이라고 하며 폄하하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 또한 문제가 있다. 한국어 교수-학습 환경으로서 공간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한국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한 채 지역의 로컬리티만을 학습할 수도 없으며, 지역의 로컬리티는 무시하고 한국의 일반적 특성만을 학습할 수도 없다. 학습자가 선택한 교육 지역과 그 지역의 로컬리티를 교수-학습에 가장 잘 활용함과 동시에 이를 학습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 지역 고유의 특화된 한국어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a space as an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t up objectives and targets for education, applying the concept of locality in a way to realize the educational meaning of such space. Besides, it provided the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reflecting the loc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educational institutes from all over the nation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problematic to accept without any criticis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given in Seoul area, without considering which spatial environment the learner is situated in. It is also problematic to look down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utside Seoul a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ocal area. If one understands the meaning of a space as the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one could not learn about the locality without understanding Korea in general. Nor could one learn Korea in general without understanding the locality. By making the most of the geographical area and the locality selected by the learner for teaching-learning and by setting them as the objects for learning, one can provide an individu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zed for each geographical area.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