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방송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둘러싼 제반 담론: 내부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서현,최낙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4 언론정보연구 Vol.61 No.1

        전국적으로 심층성을 강조하는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축소되거나 폐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시사보도가 지역방송의 저널리즘 역할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감안한다면,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감소 경향은 지역방송 저널리즘의 위협이자 위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방송 내부자들의 생각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자와 PD를 대상으로 개방형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제주지역 지상파 방송 내부자들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당위론’, ‘한계론’, ‘변용론’, ‘무용론’ 등 네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먼저 당위론은 지역방송의 책무가 ‘시사저널리즘’ 구현에 있다는 입장이다. 방송사나 직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유지와 존속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방송저널리즘의 공공성을 강조한 입장이라 할 수 있다. 한계론은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지역방송이 처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고려할 때, 시사보도 축소나 폐지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지역방송의 경영논리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변용론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강조하는 입장으로,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고려하여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시사토크 프로그램으로 변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무용론은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이 낮아지고 있는 만큼 이를 과감히 폐지하고 지역방송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지역뉴스 보도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한정된 재원 속에서 선택과 집중을 하자는 논리에 해당한다. 한편,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기자와 PD 간, 방송사 간에 다소 간의 차이를 드러냈다. 기자와 PD 간 인식의 차이는 콘텐츠 제작 방식에서, 방송사 간 인식의 차이는 개별 방송사의 인력과 재정 상태, 콘텐츠 제작 환경에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ere is a discernible nationwide trend of downsizing or discontinuing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Given the intrinsic connection between these programs and the journalistic role of regional broadcasting, the diminishing presence of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represents a significant threat to regional broadcasting journalism.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insiders regarding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in regional broadcasting, this study conducted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with journalists and producers. Insiders from Jeju's regional broadcasting disclosed diverse perspectives on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Justification Perspective, Limitati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Perspective, and Neglection Perspective. The Justification Perspective asserts that regional broadcasting must embody 'current affairs journalism.' While variations exist depending on the broadcasting company or profession, there is a prevalent belief in the necessity of preserving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emphasizing the public nature of broadcasting journalism. The Limitation Perspective recognizes the justifiability of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but acknowledges the need to scale them back or discontinue them, considering the constraints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aced by regional broadcasting, aligning with the management logic of regional broadcasting. The Transformation Perspective accentuates the evolving media landscape, suggesting a shift of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into talk shows, aligning with consumer media usage behaviors. The Neglection Perspective advocates for boldly discontinuing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due to declining viewer interest, urging a focus on regional broadcasting's forte – local news reporting – within the changing media landscape and resource limitations, in line with a logic of making strategic choices and concentrating efforts. Overall, perceptions of current affairs news programs varied between journalists and producers and among different broadcasting companies. Discrepancies in perceptions between journalists and producers stemmed from differences in content production methods, while distinctions among broadcasting companies arose from variations in staffing, financial status, and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s.

      • KCI등재

        조(朝)·청(淸) 여성시사(女性詩社) 비교연구

        최연(Choi, yea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삼호정시사(三湖亭詩社)’는 19세기 전 반기에 운초·경산·금원·경춘·죽서 등 다섯 명의 여류시인이 한양에서 결성한 시사로 조선 조 여성 문학사에서 최초의 ‘여성 동료와 단체’라는 면에서 주목된다. ‘추홍음사(秋紅吟社)’는 청나라 기해(己亥)년 가을에 강남 지역의 여류시인 심선보(沈善寶), 만주귀족 여류시인 고태청(顧太清)이 병산(屏山), 운림(雲林), 백방(伯芳)과 함께 설립한 여성시사이다. 이 두 여성시사는 남성문학의 흐름 속에서도 자신들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드러냄으로써 양국의 문학사를 풍부하게 했다. 삼호정시사와 추홍음사 두 여성시사 구성원들의 출생지, 친족관계와 문학 활동 범위에 근거하여 유형별 검토를 진행해 봤는데 전형적인 이향(異鄕) 융합 시사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또한 두 여성시사의 산출은 사회의 경제 번영, 사회의식의 변화, 여성창작에 대한 사회적 관용(寬容), 남성 문인들의 지지와 후원, 여성 문학 담당 계층의 자의식 성장과 창작에 대한 욕망의 발로 등 면에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추홍음사와 삼호정시사의 구성원들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여성시사와 달리 비 혈연적인 시우(詩友)관계로 소개나 주선을 통하여 취미나 지향이 비슷한 여성지인들이 모여서 구성된 것인바 이들의 동질감과 동류의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사한 사회적 신분, 이런 신분을 토대로 한 심리적 무 거리감, 서로의 시예에 대한 흠모와 탄복에서 기인된 것이다. 추홍음사나 삼호정시사의 구성원들은 시회의 장소를 어느 한곳에 고정한 것이 아니라 경치 좋은 곳이나 정자 같은 곳을 교체해가면서 이동식·여행식의 시회모임을 가졌다. 삼호정시사의 구성원들은 관기 출생으로 이들의 문학을 관기의 신분으로 연회자리에서 시를 짓는 부분과 양반 사대부의 소실이 된 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추홍음사는 한족과 만주족이라는 융합성격을 지닌 특정한 시대의 산물인 동시에 상류계층의 여성문학단체로 봐야 할 것이다. 남성 지배의 봉건사회에서 여성재능의 발전은 역시 남성들의 강력한 제창과 지지를 벗어날 수 없었고 여성문학은 필연적으로 남성문학에 의존하고 남성문인들의 후원을 받으면서 그 존재를 이어 나가야 했다. 그 시대에 존재한 추홍음사나 삼호정시사 역시 그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남성들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후원과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두 여성시사의 탄생과 발전은 한국과 중국의 유교 도덕사회에서의 남존여비, 삼종사덕의 속박 하에서, 또한 남성의 지배적 주도하에 여류시인들의 각성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문학이 규방문학이라는 사적·개인적 공간을 벗어나 공적·사회적 공간으로의 진입을 의미하며 문학발전사에서 여류시인들의 사회적 진출을 의미한다. Sam hu pavilion poetry club was founded in hanya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by five female poets including Wuncho·Jingshan·Gonwen·Gingchun·Zunkse. It is the ancestral tradition of Korean women. Quhongwomsha was founded in the autumn of 1911 by Ximshenbo, a female poet in jiangnan region, and Gotaiceng, an aristocratic female poet of manchu nationality, together with Bingshan, Wunlim, Binkbang.These two female poems also show their unique literary image in the trend of male literature and enrich the literary history of the China and Korea. According to the birthplace, kinship and scope of literary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the Samhu pavilion poetry club and Quhongwomsha, different types of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mon place that they all left their hometown for a long time.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reation of the poems of the two women is the same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prosperity, changes in social consciousness, social tolerance of female creation, support and sponsorship of male literati, and the growth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release of creative desire of female literature playing class. The members of the history of Quhongwomsha and Samhu pavilion poetry club love poems are different from the female poems based on blood relationship, through the non-blood relationship of poetry friends, through the introduction or recommendation of women with similar interests and aspirations.Therefore, there is no sense of distance between psychology based on this similar social identity, which is derived from each other’s admiration and admiration for the art of poetry. The members of Quhongwomsha or Samhu pavilion poetry club did not fix the place of the poetry meeting in a certain place, but changed the place with good scenery or pavilions, and held the poetry meeting of mobile type and travelling type. The members of the Samhu pavilion poetry club were born as official prostitutes, and their literary space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space where the official prostitutes wrote poems at the banquet and the space where the two classes of scholar-officials became concubines.The history of Quhongwomsha is the product of han and manchu,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ion, and is also a female literary group of the upper class. In the feudal society ruled by men, the development of female talents is still inseparable from the advocacy and support of men. Female literature still depend on male literature and continue to exist under the sponsorship of male literati.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추홍음사" and Samhu pavilion poetry club, the direct or indirect support of men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two female poets reflected the male superiority of the Confucian moral society in Korea and China, and the awakening of female poets under the bondage of the three schools of teacher ethics and under the dominance of men.In addition, female literature means to get rid of the historical traces of boudoir literature, personal space, and enter the public and social space. It also means that women enter the society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development.

      • KCI등재

        18세기시사(詩社)의 현황과 전개양상

        안대회 ( Dae Hoe Ahn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18세기 시단의 詩社를 조명하여 다양한 문학사조가 출현하고 많은 시인그룹이 활동한 현상의 저변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시사는 18세기 한시단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의 하나이다. 시사는 당파와 신분, 지역과 나이와 같은 동질적 요소를 공통분모로 하여 동인을 구성하였다. 창작서클 인 시사는 정치적 결사의 성격과 강독회, 花柳會, 야유회, 친목회, 鑑賞會와 같은 다양한 성격을 공유하였다. 서울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시사가 활성화되었고, 사대부의 범위를 넘어서 중인까지도 시사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이러한 18세기 시사의 활동양상을 시사가 지닌 성격에 따라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번째로 南人과 小北 당파의 시사에서 창작 집단으로서의 활동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두번째로 정치적 결사의 성격이 짙은 시사에 주목하여 강경한 정치색을 지닌 老論 계열과 그에 대항한 南人 계열의 시사를 살펴보았다. 세번째로 사교와 오락 모임의 성격을 지닌 시사로서 정약용이 중심이 된 竹欄詩社와 中人들의 시사를 살펴보았다. 조사와 분석을 통해 18세기 시단에는 다양한 시사활동이 전개되어 다채로운 문학집단이 존재하였음을 밝혀냈다. The 18th century in Korea was a period that witnessed a dynamic increase in the rise of literary movements as well as poetry societies, in both number and var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by closely examining a number of poetry societies active during the period, as they are, as a whole, a good indicator of the diversity and dynamism of the 18th century Joseon literary world. Members in a poetry society shared certain common denominators, such as political affiliation, social status, and locale and age. While a poetry society engaged its members in the creative activities of writing poems, it also served as a platform for many other activities, such as political association, reading seminars, seasonal excursions, outdoor picnics, and social gatherings marking various rites of passage. Geographically, poetry societies were active in the Seoul area as well as in the provinces. In terms of membership, the societies were formed not only among the sadaebu, the scholar-officials, or the men of the upper classes, but also among the jungin, the privileged commoners.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a number of poetry societies that represent different aspects of a poetry society. First, the paper focuses on the creative aspect of poetry societies that were aligned with certain political factions, such as the Southern (Namin) and Smaller Northern (Sobuk) factions. Second the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poetry societies with a strong political platform; they include poetry societies aligned with Old Learning (Noron) and Southern (Namin) factions, two strong rival factions of the time.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social and entertainment aspects of a poetry society; in this category the paper examines the Bamboo and Orchid Poetry Society led by Jeong Yak-yong and poetry societies formed by jungi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data in this paper show that the 18th century was a time when poetry societies were formed in large numbers and that a great diversity of literary groups existed.

      • KCI등재

        반양시사(潘陽詩社)의 활동 양상과 작품 세계

        박종훈 ( Chong Hoon Park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潘陽詩社는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 거주했던 문인들에 의해 창설된 漢詩 모임이다. 1926년부터 1940년까지 15년간 매년 4월 12일에 반남면 紫薇山에서 시사를 개최했으며, 그때 지은 작품을 『潘陽詩社』로 엮었다.『반양시사』에는 총 86人의 칠언율시 409수와 六言八句 1수, 도합 410수가 수록되어 있다. 반양시사에 참여했던 총 86인의 면면을 살펴보면,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羅州 羅氏와 河東 鄭氏 그리고 潘南 朴氏가 시사 모임을 주도했음도 확인된다. 반양시사의 형성 배경과 활동 양상 및 지향은 序文을 통해 살필 수 있다. 무너진 世道와 士風을 바로잡고자 시사를 결성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일제 치하라는 당대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반양시사』에 수록된 작품은 일제 치하라는 당대 상황이 배경으로 깔려 있어 일반적인 시사 활동과 동일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작품일지라도 작가나 독자에게 다가오는 의미는 다르다. 일제 치하라는 암울한 현실을 직접 언급한 작품도 보이고 亡國의 강개함을 지닌 인물 관련 故事를 적극 활용하여 당대 현실에 대한 울분을 외돌려 표현하기도 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반양시사의 문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삶은 소극적인 은거뿐이었다. 어지러운 당대 현실을 등진 채 살았던 伯夷나 魯仲連, 竹林七賢 등을 언급하면서 은거를 읊조렸다. 그러면서도 일제의 통치에서 벗어난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도 지속되었다. 또한 윤봉길 의사의 쾌거를 詩化했으니, 이 역시 국운을 다시 회복하고자 하는 열망이 반영된 것이다. 『Banyangsisa』 is gathering that wrote chinese poem, founding by living in the area Bannammyon Najucity Jeonnam. As long as 15years, It hold the meeting from 1924 to 1940, at every year the 12nd of April, At Jami mountain in Bannammyon. And it was wrote 『Banyangsisa』. But, at this book, it wasn`t put the works that 1928 and 1929. But, it was worthy of notice that they was active a poetry club at a special situatio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lso, It was worthy that was continued at southern country. At 『Banyangsisa』, it was recorded that 409 poems which 86 people wrote a composition in classical Chinese verse which has seven characters in the line and 8 phrases with six a style of Chinese verse 1poem, all of them was recorded 410 poems. At 『Banyangsisa』, It was considered that took part in all of 86people, it was confirmed that lead a meeting 3 one`s family which live the area the Nas of Naju, the Jungs of Hadong and the Parks of Bannam. a quatrain with six a style of Chinese verseAt an introduction, It can know that a composed background, active aspect and so on of 『Banyangsisa』. He bring to light that form the sisa. The sisa was made intention that corrected collapsed power and reckless words and shock-ing behavior. But, It wasn`t noth-ing to do with Japanese imperialism. The works of 『Banyangsisa』, as universal works of sisa, recited landscape of the circumference or was emphasized relation of a group. so, it was mostly expressself-conceit about sisa. But, The works of 『Banyangsisa』 backed up Japanese imperialism. So, It wasn`t different from writer and reader, even if, which general sisa and allowed works. It can gathered that the real cognition and the homologous aspect. At 『Banyangsisa』, It was directly appeared works that refer to gloomy reality. Besides this was expressive that applied tradition be related people that be endowed with lamentation of national ruin. As such reality, literary men of 『Banyangsisa』 can select nothing but live in retirement. It was expressed go into retirement that Baek-yi, No-chungryun, the seven philosophers and so on. And it was hold out an ardent wish about new world escape Japanese imperialism. It was desired appearance of a figure who look out the world that a competent man, like Jabang or Soha of the Han Dynasty, and a leader like Confucius. Moreover, it was show a brilliant achievement of Yoon, bong-gil by the poem. So, It also be reflected a fervent hope that got back to do.

      • KCI등재

        텔레비전 시사 프로그램의 주제와 패널 다양성 분석

        신선경(Sun-Kyung Shin),박주연(Joo-Yeun Park)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2

        시사 프로그램은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공론화하고 여론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시사 프로그램의 내용 다양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종합편성채널과 지상파 방송의 시사 프로그램을 분석했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까지 방송된 KBS 1TV <시사진단>과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의 총 48회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시사 프로그램 간에는 서로 차이가 나타났지만, 상당한 공통점도 발견되었다. 두 시사 프로그램은 모두 특정 주제에 치중해 주제의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 프로그램들의 패널 구성 다양성의 경우, <시사탱크>는 일부 패널의 지속적인 반복 출연이 나타났고 <시사진단>은 출연 패널의 직업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두 프로그램 모두 패널들의 정치 성향이 보수 편향으로 나타나 사회적 이슈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목소리를 접하기 어려웠다. 분석된 두 프로그램의 주제 및 패널 다양성은 서로 차이를 보이기 했지만, 내용 다양성이 높지 않은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시사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서 다양성과 시의성 등이 새롭게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의 시사 프로그램이 방송의 여론 형성에 기여하는 역할을 고려할 때, 방송 시사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할 공론장 제공 및 여론다양성 형성을 위한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및 논의가 더욱 필요함을 보여준다. Diversity in current affairs TV show is a significant element for developing public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ity between KBS 1TV"s current affairs TV show <Sisajindan> and TV Chosun"s <Sisatank>. To measure of diversity, programs were analyzed in two parts, diversity of topics and types of panels. To examine type of panels, the author focuses on diversity of occupation, political inclination, and frequency of appearance. As a results,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versity of programs. Our research data reveal that TV Chosun"s cover a narrow range of topics. In contrast, topic diversity degree of KBS 1TV is suitable. In <Sisatank>, few panels show majority appearance but they have various occupation. In <Sisajindan>, panels show low diversity of occupation but high professionalism. Particularly, <Sisajindan> and <Sisatank> show a strong political bias. Both programs have a strong learning towards conservatism. For these reasons, two programs do not play a role of forming public sphere and public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current affairs TV show need balance of topic and panels. Diversity in contents leads to the healthy public sphere and democracy.

      • KCI등재

        영남(嶺南)지역 문인결사와 지역문학 형성의 매개적 메커니즘 : 남원시사(南園詩社)를 중심으로

        박영순(Park Young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중국 고대 문인결사는 명대에 들어 가장 활발했다. 지역적으로 보면 명대 문인결사의 활동과 규모는 강남지역에 집중하고 있지만 영남(嶺南)지역도 상당히 활발한 곳이었다. 명대 문인결사는 명대 문단과 문학유파 형성의 문학적 토양이 되었고, 지역의 문인결사는 지역 문학유파의 형성을 추동해왔다. 즉, 문인결사는 하나의 문학집단의 조직으로서 문학작품 생산, 문인집단 활동 및 문학유파 형성을 추동하는 기본적인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문인결사 연구는 지역학과 문학, 문인결사와 문학유파의 상관성 등을 유기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연구 대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학과 문학을 접목한 시각에서 출발하여, 문인집단이자 문학 생산의 플랫폼으로 작용하는 문인결사가 문학유파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문인결사가 보여준 문학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한다. 개별적인 지역 시사가 단절과 지속을 반복하면서 긴 시간 동안 지속된 경우는 드물다. 그 대표적인 지역 시사 중의 하나가 영남지역의 남원시사이다. 남원시사는 원말명초부터 명말에 이르기까지 남원시사, 남원후오자시사(南園後五子詩社), 진자장남원시사(陳子壯南園詩社) 등으로 전승되었고, 명대 문학유파와의 연동 속에서 영남지역의 시사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전승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남원시사라는 문인결사가 지역 문인집단의 활동과 문학유파 등을 생산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성과 위에서 영남지역의 남원시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 명대 영남지역의 문인결사의 상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남원시사의 형성과 특징을 고찰하고, 셋째, 남원시사의 전승을 통해 명대 문단 및 영남지역 문학 형성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본다. The formation of literary societies in Ancient China was most active during the Ming Dynasty. Regionally, most literary societies in the Ming Dynasty were located in Jiang Nan, while those in Ling Nan were also very active during the same time. There had been a literary foundation prepared during the Ming Dynasty for the formation of literary circles and literature schools, and regional formation of literary society had pushed the formation of regional literature schools. A literary society is an organization of a group of writers, which works with a basic mechanism to promote writing production, group activities of the writers, and the formation of different schools. Therefore, the study of literary society shall proceed from the point of view of organic connection of regional science with literature, and literary society with literary schools. This study first connects literature with regional science to understand how a literary society, which works as a writers’ group and a platform of literary production, does work in the formation of literary schools, and so further gets to understand they literary mechanism that the literary society has shown. The case that an individual regional poets’ club had paused and continued activity for a long period was unusual. Nan Yuan Shi She is one example of an individual regional poets’ club. Nan Yuan Shi She had come down (made up) to Nan Yuan Post Wu Zi Shi She (南園後五子詩社), Chen-zi- zhuang Nan Yuan S hi She, and s o on from the end o f the Yuan D ynasty and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to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advanced as a poets’ club in Ling Nan in connection with literary schools over the Ming Dynasty. Such succession and continuance was available ecause the literary society, that is Nan Yuan Shi She, had acted as the mechanism to make the activities of literary society and literary schools available. Based on previous result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the Nan Yuan Shi She in Ling Nan a s the subject of the s tudy. First, the circumstances and nature of the literary society in Guang Dong was examined. Second, the formation and succession of Nan Yuan Shi She and the nature of the members were looked into. Third, the relativeness between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formation of literature in Gong Dong in the Ming Dynas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오키나와의 시사(シ-サ-, 獅子)와 문화적 정체성 만들기

        김창민 ( Chang Mi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5 No.-

        이 연구는 오키나와의 시사가 문화적 정체성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오키나와에서 시사가 도입된 과정 그리고 마을로 시사가 확산된 과정 및 개인의 집으로 시사가 확산 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오키나와의 시사가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 만들기에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다. 오키나와의 시사는 류큐왕국의 건국과 함께 문화표상으로 기능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시사는 류큐왕국 또는 류큐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화 표상이었다. 초기의 시사가 류큐왕국의 도성인 슈리성 그리고 류큐왕과 관련된 장소에만 세워졌다는 사실은 그 근거가 된다. 17세기 류큐왕국과 류큐왕의 권위가 추락하면서 시사는 왕궁을 떠나 마을로 전이되게 되었다. 특히, 사족들이 많이 거주하였던 오키나와 본도의 남부 지역에서 무라 시사가 꽃을 피우게 된다. 그리고 중국으로부터 풍수 개념이 도입되면서 무라 시사는 초기의 시사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무라 시사는 외부의 나쁜 기운으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비보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19세기 말 류큐왕국이 멸망하면서 무라 시사는 더 이상 제작되지 않게 되었다. 대신 집에야네 시사가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야네 시사는 외부로부터의 나쁜 기운을 막는 단위가 마을에서 집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야네 시사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문화적 정체성만들기와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되었다. 류큐처분으로 비록 오키나와는 주체성을 상실하고 일본의 한 지방이 되었지만 문화적으로 오키나와는 일본과 다르다는 점이 야네 시사를 비롯한 시사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다. 시사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문화적 정체성 만들기 과정인 셈이다. 요컨대, 오키나와 시사는 류큐왕국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된 이후 지속적으로 의미 변화를 겪어왔다. 그리고 그 의미는 류큐인들이 자신들의 상황과 존재를 해석한 결과로서 형성된 것이다. 시사의 의미가 사쓰마 침공과 류큐처분을 기점으로 전환적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시사는 류큐인들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 진술이며 자신들의 존재에 대한 적극적 자기표현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Okinawan Sisa(lion shaped statue) and cultural identity of Okinawa.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king of cultural identity of Okinawa by analyzing the rise of Okinawan Sisa and the diffusion process of Sisa to village and personal houses. Okinawa Sisa had been introduced in Okinawa in the same age of the establishment of Ryukyu Kingdom and had been cultural representation of Ryukyu Kingdom. It was evidence of the fact that in the beginning Sisa was set at the place which was connected with of Ryukyu Kingdom such as Shuri-jo, Tamaudun(tomb of Ryukyu kings and family). In the 17C, Sisa was diffused to villages with the decline of power of Ryukyu Kingdom and king. Sisa which was set in the village was called Murasisa. Murasisa was prevalent in southern area of Okinawa main island and has a meaning of safeguard of village against evil power. In the late 19C, Murasisa was ceased to make and set with the fall of Ryukyu Kingdom. Instead of Murasisa, Sisa was set in the roof of houses which called Yanesisa. The making of Yanesisa means that the unit of protecting against evil power was changed from village to house. And Yanesisa was connected with the making of cultural identity of Okinawan people. Since the fall of Ryukyu Kingdom, Okinawa has been a local of Japan instead of independent kingdom. However Okinawan people think themselves different from Japan culturally and it has been expressed in Sisa including Yanesisa. In conclusion, Sisa is the making process of cultural identity of Okinawan people.

      • KCI등재

        채제공 「정원록」 연구

        이승재 ( Lee Seung-jae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0 No.-

        미적인 중국 강남의 문인 문화가 본격적으로 성행하여 문인들끼리 시사(詩社)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각 당파별 시사 중 남인 시사는 채팽윤의 동벽단(東壁壇) 시사와 이중환의 연사(蓮社)가 있었고 그 뒤를 이어 채제공이 남인의 영수로서 여러 차례 시사를 주관하며 18세기 남인 시사의 명맥을 이어나갔다. 그의 시사 중 정원록(貞元錄) 은 영조 49년에 결성한 중 종남사(終南社)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이 시사에 각별한 의미를 두어 나중에 서문을 남겼고 여기에 구성원의 참석 여부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는데 이는 전후 남인 시사의 흐름을 살피는 단서가 된다. 또한 이전 풍단 시사 때는 볼 수 없었던 면학을 강조하는 시들을 여러 편 지어, 이것이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모인 시사임을 드러내었다. 이후 시사에 참석한 이들 중 6명이나 몇 년 안에 과거에 급제하는 상당한 쾌거를 거두었다. 종남사는 채제공이 남인들의 결속과 관로 진출을 위해 시사를 활용했음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In the 18th century Seoul was becoming a modern city and an unworldly and aesthetic Chinese culture was prevalent, so it was popular for the nobility to get together to write poems. Among each political assembly, one of the Southerners, Jae-Gong Chae led a group of poetry writers several times. Jungwonrok consists of poems written by Jong-Nam Assembly, which lasted from fall to winter in 1773. The gathering was special to Jae-Gong Chae, so he left a prologue later with details of the attendance of the members, and this was evidence showing the changes of the character of the assembly. Also, several poems focusing on learning were written by Jong-Nam Assembly which couldn't be found previously, and this showed that Jong-Nam Assembly was the gathering to write poems with a special purpose. Six of the members passed a state examination within a few years after joining Jong-Nam Assembly and this result was a significant achievement. Jong-Nam Assembly was a good example of Jae-Gong Chae using the gathering as a tool for Southerners' solidarity and entering politics.

      • 菊圃 姜樸의 詩社와 그 性格

        권난희 우리한문학회 2012 漢文學報 Vol.27 No.-

        이 논문은 菊圃 姜樸(1690-1742)의 詩社 활동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菊圃先生文集』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국포의 시사를 검토하고 시사활동정황 및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은 각 시기별 시사에 대한 개별 검토의 장이다. 먼저 언제 어떤 연유에서 結社가 성사되었으며 그 모임의 동인으로 어떤 인물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시사가 진행된 상황과 당시의 정황을 추적하면서 각 시사의 성격을 도출하였다. 1721년 결성된 ‘白蓮社’는 李仁復(1683-1730)․姜必愼(1687-1756)․吳光 運(1689-1745)․李重煥(1690-1752) 등과 함께 하였다. 『詩經』이나 杜詩 등진정성 담긴 글을 詩學의 전범으로 삼고 창작에 임하였으며, 이러한 문예동인적 활동과 함께 당시 미약해져가는 자신들의 세력을 糾合하고 結集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隱社’는 1724년에 시작되었는데 기존의 동인들 외에 李浹(1663-1747)․ 洪尙寅(1682-?)․姜必文(1687-1732) 등도 함께 하였다. 현실정치로부터 소외된 상황이었기에 물러나 때를 기다리는 자세로 隱逸해야 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英祖의 등극과 함께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葛藤하였으며, 잠시 희망을 가지고 세상에 임했으나 곧바로 더 큰 挫折을 겪게 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730년 가을에 본고에서 ‘庚戌詩社’라고 명명한 새로운 시사가 결성되었다. 姜必文․姜必慶․姜必愼․姜必淵 등의 친족들 및, 愼龜重(1682-?) ․權基彦(1694-1754) 등과 함께 활동하면서 정치적․개인적으로 가장 컸던시련의 시기를 좌절하지 않고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 시사인 梅泉詩社는 1734년에 시작된다. 소론계인 李眞伋․曺夏 望(1682-1742)․李匡臣(1700-1744)․李匡贊, 그리고 愼後聃(1702-1761)․姜 必淵․姜必慶 등이 함께 했다. 자신들의 올곧은 이상이 현재에는 꽃을 피우지 못하더라고 다음 세대에는 봄을 맞이할 것이므로 기꺼이 감내하며 미래를 준비하겠다는 신념으로 운영되었다. 소론계 문사들과의 연대를 더욱공고히 하고 후진들의 단합을 도모하며 내실을 기하는 성격을 볼 수 있었다. 국포의 부단한 시사 활동은 자신은 물론 자신이 속한 淸南 門外派의 동인들을 추스르는 역할을 하였으며 그 힘이 또다시 다음 시사로 전개되는특성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시사활동은 매 시기마다 그 시점에서 자신이취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으로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 나아가 자신이 속한집단의 미래를 준비했던 모습이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된다. This article is the product about Gukpo(菊圃) Gang Bak(姜樸, 1690- 1742)’s Sisa(詩社) activity. I study about its activity or characteristic on the 『Gukpo Sunsang Munjip(菊圃先生文集)』. 2 chapter is a part of individual consideration about on the time-Sisa. First, I study when or how association is made and who members of the group are. And concretely I track the progress of it and the circumstances, so deduct characteristic of Sisa. The ‘Baekryeonsa(白蓮社)’ was formed in 1721, with Lee In-bok(李仁復, 1680-1730), Gang Pil-sin(姜必愼, 1687-1756), O Gwang-un(吳光運, 1689- 1745), Lee Jungh-hwan(李重煥, 1690-1752). They wrote after the model of sentences in 『Si Gyeong(詩經)』 of Doo Bo(杜甫)’s poems. This group have rallied their’s power and propose of a literary coterie. The ‘Eunsa(隱社)’ was formed in 1724, with Lee Hyub(李浹, 1663-1747), Hong Sang-in(洪尙寅, 1682-?), Gang Pil-moon(姜必文, 1687-1732) and exisiting members. They thought that they must wait for an opportunity because they were marginalized from realpolitik. But The King, Youngjo(英祖) became a king, they had a mental conflict. So They had some hope. But mmediately, they experienced more frustration. Next sisa named ‘Gyeongsulsisa(庚戌詩社)’ in this article was formed in 1730. They were active with Gang Pil-moon(姜必文), Gang Pil-gyeong(姜必 卿), Gang Pil-sin(姜必愼), Gang Pil-yeon(姜必淵), Sin Gu-jung(愼龜重, 1682-?), Kwon Gi-eon(權基彦, 1694-1754). And They saw us a sign of their independence. The last of Sisa, ‘Maechunsisa(梅泉詩社)’ was formed in 1734, with Lee Jin-geup(李眞伋), Jo Ha-mang(曺夏望, 1682-1742) in group of Solon(小論), Lee Gwang-sin(李匡臣, 1700-1744), Lee Gwang-chan(李匡贊), Sin Hoo-dam (愼後聃, 1702-1761), Gang Pil-yeon, and Gang Pil-gyeong. They thought their dream come true in the future. Their and group of Solon made solidarity, united together, ensured internal stability. Gukpo Gang Bak’s Sisa activity held one's corner up for oneself and a member of a literary coterie, and he saw us aspect that a power became bigger, lager. This activities rated that always do one’s best,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ir own party’s.

      • KCI등재

        전북 지역 시사(詩社)에 대한 일고찰

        정훈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5

        근대를 지나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문학은 비록 미약해졌으나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한문학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그쳐 있는 느낌이다. 근대 이후의 한문학과 한문문학의 존재 양상을 파악하고 활동 양상을 정리하는 작업은 국문학의 지평을 확장하고 국문학을 풍성하게 하는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전주의 패성시사, 순창의 십로사, 임실의 구로회, 정읍의 읍원정시사, 부안의 부풍난국사 등은 전북 지역에서 활동했었고, 일부는 지금까지도 활동을 하고 있는 시사(詩社)들이다. 시사를 구성하게 된 계기는 지방관에 의한 경우와, 지역 유지들의 자발적 모임이 경우가 있다. 지방관은 문풍을 진작시키고, 관과 민의 협치를 위해서 시사의 모임을 결성하도록 촉구하고, 그 모임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아 주었다. 지방관이 다른 곳으로 간 이후에 시사모임을 지속하는 것은 그 지역 인사들의 의지에 달려 있다. 전주 패성시사, 부안 부풍난국사, 임실 구로회 같은 경우는 그 지역의 유지들이 한문학 전통을 보존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이들 시사는 대부분 결성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되는 시작(詩作) 활동을 하였다. 주변의 재실, 누정, 경치 좋은 곳 등을 찾아 다니면서 시절을 감상하고 경치를 즐기며 한시를 지었다. 또한 인근 지역의 시인들과 합동으로 시회를 개최하여 인적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계기로 삼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한시를 짓는 시사단체들이 전국적인 규모의 한시백일장대회를 열기도 하면서 전국적인 규모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이렇게 지은 한시를 서로 품평하며 욕기(浴沂)의 아취와 난정(蘭亭)의 고사를 즐겼다. 한편 시제(詩題)로 제시되는 주제들은 방문한 곳의 역사와 문화가 되기도 하고, 좋은 시절과 경치가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전북 지역 시사(詩社)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한문학의 전통을 보존하고 미풍양속을 후손에 전하고자 하는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동호인의 모임적 성격이 강했다.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만큼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소개하는 내용의 작품들을 짓는 경향이 많아 특정 지역 작가 및 시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당시 지역 문인들의 시정(詩情)과 시적 미감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Chinese literature continues from modern times to todays. However, research on Chinese literature seems to have stopp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Chinese literature since modern times and organizing its activities can be said to be a meaningful work to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literature and enrich Korean literature. Paseong Sisa(沛城詩社) in Jeonju, Siprosa(十老社) in Sunchang, Gurohoe(九老會) in Imsil, Eupwonjeong Sisa(挹遠亭詩社) in Jeongeup, and BufungNanguksa(扶風蘭菊社) in Buan were active in the Jeonbuk region, and some are still active poetry companies. There are cases in which local officials are encouraged to form poetry companies. and local officials voluntarily form poetry companies. In order to promote culture, the local government urged the formation of a meeting of poetry compani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group to continue its activities. It is up to the will of the local people to continue the poetry companies after the local official has gone elsewhere. In the case of Paseong Sisa(沛城詩社) in Jeonju,, BufungNanguksa(扶風蘭菊社) in Buan and Gurohoe(九老會) in Imsil were formed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Most of these poems were composed with themes closely related to the area where they were formed poetry companies. They wrote a poem while visiting the surrounding shrine, pavilion, and scenic places to appreciate the times and enjoy the scenery. They praised the poems they built in this way and enjoyed the test of yoki(浴沂) and the History of Nanjeong(蘭亭). In addition, a poetry meeting was held jointly with poets from nearby areas to expand human networks and expand poetry companies. In recent years, poetry companies organizations that build Chinese poetry have grown to a national scale by holding a nationwide Chinese poetry writing contest. The poetry in the Jeonbuk region, which we have looked at so far, has a strong collective character of hobbyists who work around specific regions and share the consciousness of preserving the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conveying the customs and customs to future generations. As it is active in a specific area, there is a tendency to build works that introduce local history and traditions, so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writers and times in a specific area,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et's sentiments and poetic aesthetics of local writer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