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계의 心性 논쟁 - 雲峰의 『心性論』을 중심으로

        이종수(Lee Jong Su)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29 No.-

          17세기 후반에 雲峰大智는 『心性論』이라고 하는 책을 출간한다. 이 글은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불교의 心性說이 유교보다 더 근원적이라는 것이다. 조선전기의 『유석질의론』을 인용하면서 성리학이 근원으로서 이야기하는 太極은 불교의 業相 즉 報身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불교에서는 이 보다 더 근원적인 것으로서 無極 즉 法身을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운봉은 ‘一法身’ 내지는 ‘一性’을 부정하며 ‘各各圓滿’ 즉 多性說을 주장한다. 『심성론』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一性說은 ‘사람마다의 법신을 전체적으로 합해야 하나가 된다’는 설로서, 중생 각각의 완전한 법신을 부정하고 각각의 총합만을 완전한 법신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에 비해 多性說은 ‘사람마다 각각 법신을 원만하게 갖추고 있다’는 설로서, 중생 각각의 완전한 법신을 긍정한 주장이다. 그런데 이러한 一性說과 多性說의 논쟁이 80여년이 지난 후에 蓮潭有一과 ?庵最訥에 의해 다시 논쟁되었다. 이내용은 연담의 「심성론서」에 나타나 있다. 연담은 ‘모든 부처님과 중생의 마음은 각각 원만하지만 원래는 하나다’라고 주장하였고, 묵암은 ‘모든 부처님과 중생의 마음은 각각 원만하여 일찍이 하나였던 적이 없다’라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연담과 묵암은 운봉의 ‘사람마다 각각 법신을 원만하게 갖추고 있다’는 多性說을 인정하면서도 性의 근원이 하나인가, 아니면 여럿인가에 관해 논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근원이 원래 하나였던 적이 없다’고 주장한 묵암의 견해가 운봉의 多性說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조선전기 『유석질의론』에서의 심성에 관한 문제의식은 운봉의 『심성론』으로 계승되었고, 『심성론』의 논쟁은 다시 연담과 묵암의 심성논쟁으로 계승되어 심성 논의는 한층 심화되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Neo Confucianism is recognized as a main ideology in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17th century, an academic argument arose concerning the predisposition of nature(理氣)and the nature of the mind(心性) between two schools: Lee Hwang(李滉) and Lee Yi(李珥). While previously, Buddhism had been marginalized as a political and academic power, in the late 17th century, a Buddhist monk named Woonbong Daeji(雲峰大智), who had been unknown to the world, published a book titled “shimseongnon(心性論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This book introduced an original argument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ind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 18th century, a script titled ‘shimseongnonseo(心性論序 a preface of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was discovered from the works of a well-known scholar monk of the day named Yeondam Yuil(蓮潭有一1720-1799). ‘shimseongnonseo’ is a preface of "shimseongnon" of Mukam Choinul(?庵最訥 1718-1790). Mukam published a book of the same title 80 years after Woonbong’s publication. Yeondam’s ‘shimseongnonseo’ contains brief comments concerning the argument between his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and that of Mukam’s. This subject is similar to the content of Woonbong’s "shimseongnon". Unfortunately Mukam’s "shimseongnon" was destroyed by fire--a record of its destruction is contained in ‘songgwangsaji(松廣寺誌 the historical record of Songgwangsa temp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deological views in the works of Woonbong, Yeondam, and Mukam.<BR>  There were two important assertions in Woonbong’s "shimseongnon". Firstly, he asserted that the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in Buddhismcontains more esoteric aspects than that of Confucianism. He said, referring to "yuseokjil-euiron(儒釋質疑論 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taekeuk(太極 the source of the dual principle of yin and yang)--which is regarded as the foundation of all phenomena in Neo Confucianism--corresponds to upsang(業相 the condition of karmic action) or boshin(報身 the Buddha’s reward body) in Buddhism. Mukeuk(無極 limitless) or beopshin (法身 the body of the dharma)--which are regarded as the foundation of all phenomena in Buddhism--is more esoteric than taekeuk.<BR>  Secondly, he advanced a theory of the mind which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an autonomous mind and all beings are complete and contain perfect beopshin(多性說). He criticized the popular assertions of his day which advanced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一性說), which held that all beings possess beopshin, but that it only achieves completion and perfection when all minds are united.<BR>  The second assertion mentioned above also exists in Yeondam’s ‘shimseongnonseo’. Yeondam asserted that all beings and Buddha each possess their own particular mind nature, but that they (the nature of the mind) were originally the same one. On the other hand, Mukam stated that all beings and Buddha each have their own mind nature and they have never been the same one. Thus it could be said that Yeondam and Mukam both acknowledged the theory of the autonomous nature of the mind, but they disagreed about the source of the nature of the mind. Moreover, it can be observed that Mukam’s theory shares more similarities with Woonbong’s theory.<BR>  In this way, Woonbong’s "shimseongnon" inherited the debate over the nature of the mind from the "yuseokjil-euiron". The debate was taken up and carried on by Yeondam and Mukam. However, the argument seems to end after Mukam’s "shimseongnon" was destroyed.

      • KCI등재

        맹자와 초기 선종의 심성론 비교연구

        박상현 ( Park Sang-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5

        전통 유교 사상에서는 심성(心性)을 체용(體用)의 관계로 해석하여 심(心)과 성(性)을 불가분한 것으로 해석하기는 하지만, 동일한 개념으로 해석하지는 않았다. 반면 보리달마(菩提達磨)로부터 시작된 선종의 심성론은 전통 중국 사상에 따라 방편적으로 서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하지만 종래에는 심성이 서로 다른 개념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초조로부터 육조혜능(六祖慧能)에 이르기 까지 점차적으로 심성을 구분 짓는 색채가 약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통 중국 철학 기반 위에서 즉, 격의불교(格義佛敎)식으로 불교 및 선불교를 설명하였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고 불교만의 색채를 찾아 갔음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도 불교와는 다른 중국 선불교가 새롭게 정립되었을 것이고, 그러한 일련의 과정은 동아시아 불교만의 독특한 사상 및 문화를 만드는 하나의 조각을 제공하였다. 결국 초기 선종에서의 심성론은 중국 철학적 심성론을 차용하면서도 불교적 교리에 대한 함의를 각 선사들 마다 자신만의 화법과 지혜로써 잘 녹여냈으며, 초조에서 혜능으로 갈수록 심과 성을 구분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 주었다. 이에 현대 학계에서도 유교철학자들은 심과 성을 분명히 구분지어 설명하고 분석하지만, 불교계에서는 심과 성을 그다지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Xin-Xing (心性)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i-Yong (體用). Therefore, the heart (心) and sex (性) are interpreted as indivisible. On the other hand, Xin-Xing-Lun (心性論) in Zen Buddhism derived from Puti-Damo (菩提達磨) was initially explained with a logic similar to Xin-Xing-Lun (心性論) in traditional Chinese thought. However, gradually Zen Buddhism built their own Xin-Xing-Lun (心性論). These results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gradually weakening the color that distinguishes Xin (心) and Xing (性) from Da-Mo (達磨) to Hui-Neng (六祖慧能). In this process, Chinese Zen Buddhism, which was different from Indian Buddhism, would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nd such a series of processes provided unique ideas and cultures unique to East Asian Buddhism. In the end, Xin-Xing-Lun (心性論) in early Zen Buddhism adopted the Chinese philosophical Xin-Xing-Lun (心性論). However, gradually Zen Buddhism reorganized its own Xin-Xing-Lun (心性論). Therefore, even in modern academia, Confucian philosopher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ex and heart, explain and analyze it, but in Buddhism, the use of Xin (心) and Xing (性) without distinction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 KCI등재

        心性論의 역사적 전개와 金宇顒의 〈天君傳〉

        이기대(Lee Gi-d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0 No.-

        본 연구에서는 김우옹의 〈천군전〉에 나타난 심성론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선은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나, 건국 초기부터 성리학적 이념을 내면화하지는 못하였다. 때문에 성리학적 이념의 확산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심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그리고 김우옹은 〈천군전〉을 통해 심성에 대한 논의들을 쉽게 풀이하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심성을 의인화해 형상화하는 과정속에 교훈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작가는 천군이 천상에 존재하였을 때는 理의 존재였으나 지상에 하강한 이후에는 心으로 바뀌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천군은 지상에서 心으로 불리기 때문에, 敬을 유지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타락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敬의 도움을 통해 다시 마음을 회복하게 된다. 하지만 지상에서 천군이 心으로 불리는 이상, 언젠가는 다시 경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군전〉은 천군이 마음을 상실하고 회복하는 수직적 구조와, 회복된 마음이 언젠가는 다시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순환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품의 구조는 천군으로 상징화된 임금의 경우, 전군이 心으로 불리웠던 것처럼 언제가 마음을 상실할지 모르기에 끊임없이 경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김우옹 등의 영남 사림은 왕이 심성을 수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개입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군전〉은 단순히 심성을 의인화하여 형상화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영남 사림이 추구했던 심성론을 반영하는 역사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iscussing on the historical character of Simseongron(心性論) presenting on 〈Chunkoon-jun(天君傳)〉 by Kim, Woo-Ong(金宇?). The Chosun Dynasty had been adapting Seongrihak as a ruling principal but it could not been internalized since the dynasty's foundation. That's why spreading of the idea from Seongrihak(性理學) of view reared up as an important matter, and a discussion on Simseong(心性) began in earnest during this process. And Kim, Woo-Ong(金宇?) was trying to find easy ways to explain discussions on Simseong(心性) and emphasized instruction and practice by modeling through personifying Simseong(心性). For this reason, the writer created that the King of Heaven was a symbol of "ri(理)" but it was changed to "sim(心)" after the King of Heaven went down to land from Heaven. The King necessaril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gradation as the King was named as "sim(心)" in land, not being able to keep "kyeong(敬)". And the King recovered "sim(心)" by help of "kyeong(敬)". There is, however, a possibility of losing "kyeong(經)" some time again as long as the King of Heaven is called as the name of "sim(心)" in Land. Therefore, 〈Chunkoon-jun(天君傳)〉 is constructed with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that the King will lose the "sim(心)" recovered, some time again, and the vertical structure that the King of Heaven loses "sim(心)" and recovers it again. In case of the King symbolized as the King of Heaven, such structure of the work means that it needs to constantly keep watch because "sim(心)" may be lost some time as if the King of Heaven was called as "sim(心)". Through these structures, Youngnam Sarim(嶺南 士林), including Kim, Woo-Ong(金宇?), etc, made a logical basis for keeping intervening in order for the King to make a constant effort to improve himself. Therefore, 〈Chunkoon-jun(天君傳)〉 has its historical character reflecting Simseongron(心性論), which was pursued by Youngnam Sarim(嶺南 士林) in those days, as well as simply forming Simseong(心性) like a human.

      • KCI등재

        유가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이 논문의 목표는, 유학(儒學)의 심성론(心性論)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유학의 심성론의 본의(本意) 및 그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석심리학이란 Freud의 정신분석학의 기반위에 Jung이 구축한 현대 심리학의 한 체계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유가의 심성론은 주로 철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의 범주에서 해석되어 왔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인식론이란 앎이 무엇인지, 앎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앎의 조건이 어떤 것인지, 보편타당한 앎이 어떤 것인지를 연구한다. 즉 인식론이란 앎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적 탐구인 것이다. 철학과 달리 분석심리학은 원래 hysteria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심리치료법으로서 인지적 기능(사고의 장애), 감정적 기능(정서적 고통), 또는 행동적 기능(행동의 부적절성)에서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개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유가의 심성론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자는 필자의 제의는 유가의 심성론을 현실적, 구체적, 경험적으로 인간의 심리문제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자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유학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단순히 철학적 인식론이 아니라 심리치료의 의미를 의외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유학의 심성론의 이론과 공부론, 수양론의 실천이 심리학 특히 분석심리학의 이론 및 실천과 깊은 유사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불교의 止觀공부나 禪수행은 이미 승단이라는 특수한 종교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으로 알려져 있다. 유학의 심성론, 敬공부 역시 이와 같이 현대과학에 의해 재해석될 수 있고, 그뿐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불교보다 현대 과학에 더 깊은 영향을 주고 새로운 길을 밝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y to interpret the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n the point of analytic psychology and clarify the modern significance of it. It is the system of modern psychology developed by Freud and Jung that the analytic psychology in this paper mentioned. Until now,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s a par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But Confucianism seek realistic, concrete, and empirical world. Therefore, we have to interpret this theory for an practical aim. It is why this report assert to interpret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especially in the point of the analytic psychology. Buddhistic Zen asceticism has been a new science healing human pathological phenomenon, like hysteria, and analysing the relation of human brain and mind. Why Confucian Piety asceticism should not be a new level fusion of Confucianism and modern science?

      • KCI등재

        금강대도 사상에 나타난 심성(心性)의 위상

        이병욱 ( Byung Wook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이 글에서는 금강대도에서 심성(心性) 또는 마음을 강조하고 있고, 그래서 구체적 실천항목에서도 심성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금강대도에서 심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은 『성훈통고 편집본』의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고, 심성을 강조하는 것은 심성의 수련으로 이어진다. 심성을 수련하는 것에 대해 금강대도에서는 심성배합(心性配合)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심성을 수련하는 것은 유교윤리를 지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인생삼은(人生三恩) 곧 충, 효, 성경(誠敬)을 제시하는 것과 맞물려있다. 그리고 심성수련을 하면 안빈낙도(安貧樂道)를 받아들일 수 있고, 금강대도의 독자적 주장인 생극락(生極樂)과 사극락(死極樂) 곧 살아서도 극락이고 죽어서도 극락이라는 구원관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금강대도에서 심성 또는 마음을 강조한 것은 구체적 실천항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금강대도에서 청결을 말할 때 심성의 청결을 먼저 제시하고 있으며, 남녀평등을 말할 때에도 심성수련을 그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포교에서도 외형의 확장보다는 심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병을 고친 사례에서도 심성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처럼 금강대도에서 구체적 실천항목에서 심성을 강조하고 부각시킨 것에 금강대도 사상의 특징이 있고(다른 종교에서도 어느 정도 제시하고 있음), 이는 현대종교의 ``차안적 구원``에 속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will prove that Kumkangdaedo emphasizes the mind and its concrete practice items are connected with the mind. To emphasize the mind in Kumkangdaedo is ascertained in the many place of Seonghuntongko(성훈통고). And to emphasize the mind is connected with the practice of mind. Kumkangdaedo expresses it to the combination of mind(心性配合). Also the practice of mind is connected with keeping Confucian ethic. And if you practice the mind, you can accept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delight in the way(安貧樂道), and you can accept living a happy life of paradise in this world(生極樂) and enjoying the paradise after death(死極樂). What Kumkangdaedo emphasizes the mind is ascertained in its concrete practice items. When Kumkangdaedo says a purity, Kumkangdaedo firstly suggests the purity of mind. When Kumkangdaedo says the equality of sexes, Kumkangdaedo suggests the practice of mind as a basis. In propagation of region, Kumkangdaedo emphasizes the mind than the expansion of external form. In the case of curing a disease, Kumkangdaedo stresses the mind. Thus I think that to emphasize and to emboss the mind in concrete practice items is the characteristic of Kumkangdaedo`s thought. This belongs the this world`s salvation of modern region.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유권종,박충식,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유교, 특히 조선 성리학의 도덕교육에 의한 인격변화의 과정과 그 결과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조선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心의 구조와 그 작동의 모형을 작성해보고자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그것을 통해서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를 형성한 퇴계의 심학과 율곡의 심학을 연구대상으로 포용하고, 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피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일종의 성리학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해보고자 할 때 필요한 이론적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실제 내용이다. 그 작업을 위하여 먼저 통합심성모델 작성의 이론적 관점과 기반으로서 일종의 구성주의의 관점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고, 그것에 의하여 성리학의 심성론의 해석과 그에 따른 심성모델의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서구의 심리철학에서 이해되는 mind, 인지과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인간의 마음, 인공지능에서 이해되는 마음을 분석하고 그것과 구성주의에 의하여 재해석된 성리학자들의 마음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중요한 것은 성리학의 역사로 볼 때 똑같이 주자학 계열의 성리학자이면서도 인간의 심성의 관념에 관해서 대립적인 견해를 지녔던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하나로 묶어서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퇴계와 율곡이 근본적으로 禮실천에 의하여 인간의 심성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기르고 회복하려는 점에서 동일한 입장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 등에 관한 理氣論적 해석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통합해 볼 수 있는 이론적 체제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현대에 논의되는 서구철학적 관점의 윤리학과는 다소 다른 방향과 관점에서 진행되는 이 논의는 인지과학과 비트겐슈타인류의 언어철학 등의 관점과 상호 통하는 면이 있으며, 현대 서구철학의 윤리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인간의 도덕적 앎과 행위와의 괴리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전망된다. 그 점을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바레라, 언어철학자인 허버트 핑가레트 등의 이론을 근거로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 심성모델은 현대 윤리교육에 대해서 인간의 심신관계 및 실천지향의 윤리교육의 기초를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그에 관한 실용성도 풍부하게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a structure of mind and its working principles, which had been thought and understood by confucians of Chosun Dynasty, for computer simulating processes of peronalyity changes through Chosun Dynasty's moral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Simhak(心學) of famous Chosun confucians, Toegye and Yulgok, and compares commons and differences of two scholar's theory. The key of this study prepares a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a Neo-confucian integrated mind model from such results. We explained why we adopt radical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mind model, and proposed an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 mind theor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mind model. Futhermore, we look around a mind of western psychological philosophy, a mind of cognitive science, and a m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 have compared the confucian mind which is re-interpreted as radical constructivism with such minds. An important work is to make an integrated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because two scholars are same Neo-confucian, but assisted own theories about human mind. Although the interpretations of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Insim(人心) and Dosim(道心) are different each other, encouraging and recovering purity and honesty human mind with the practice of rituals is very much alike. Therefore we want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grating both. This argument is different from ethics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but have something to do with cognitive science and Wittgenstein-like philosophy of language. We expect that this idea show a theoretical possibility beyond the dissociation between ethical thinking and behavior, which modern western ethics can't solve. Such a conclusion is inferred from the concepts of Francisco Valera, the cognitive scientist, and Herbert Figarette, the linguistic philosoper. Now to conclude, the confucian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can provide the explainable mind-body relationship and the foundation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for modern education. We believe that the model has much possibility for practical use.

      • KCI등재

        조선시대의 심성지식장과 소설문학

        허원기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Simseong Knowledge Field dominated the Joseon Dynasty. It is based on the Simseongnon(心性論) of Neo-Confucianism. In Simseongnon, Human beings are identified as ‘emotional existence’ and ‘feeling existence’. The Ideal Man of Confucianism is ‘a man who always reflects emotions’ and ‘a master of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change’. Simseong Knowledge has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novels and formed a new field of knowledge. First, Simseongnon has affected Simseongdoseol(心性圖說), Simseongdoseol became a cause of Simseonguansoseol(心性寓言小說). Simseonguansoseol was created by the Simseong Knowledge field seeking a narrative live way. Simseonguansoseol treated the rise and fall of the heartland as a central event. Second, Simseong Knowledge Field had a lot of influence to Pansori’s narrative aesthetics. ‘Rationality of emotion’ has become the intersection of Pansori’s narrative aesthetics and narrative grammar. ‘Rationality of emotion’ based on Simseongnon Third, Simseong Knowledge Field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ajeongsoseol(家庭小說) and Gamunsoseol (家門小說). Gajeongsoseol and Gamunsoseol set up almost the emotional problems that can occur in our relationships and draw up a preferred solutions for them. It performed an important function as an emotional textbook. In the Chosun dynasty, the Simseong Nowledge Field is expres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hilosophical articles, visual icons, normative books of courtesy, and novels. Various types of Simseong Knowledge are aimed at ‘implementation of moral emotion community’. 심성지식장은 조선시대를 지배했다. 조선시대 심성지식장은 성리학의 심성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심성론에서는 인간을 감성적 존재, 느낌의 존재로 파악한다. 그리고 성리학에서는 인간 감정을 늘 성찰하는 인간, ‘감정 처리와 감정교류의 달인’을 이상적인 인간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심성지식은 고전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지식장을 형성하였다. 첫째, 심성철학의 논설은 심성도설을 산출했고, 심성도설은 심성우언소설의출현을 촉발했다. 심성우언소설은 심성지식장이 서사적 활로를 모색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심성우언소설은 마음나라의 흥망성쇠를 중심사건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 심성지식은 판소리 서사문법의 탄생에 미학적인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끼쳤다. 심성론에 바탕을 둔 정리적 합리성은 판소리의 서사미학과 서사문법의 골간이 되었다. 셋째, 심성지식은 가정소설과 대장편가문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새로운 영역을 확장했다. 가정소설과 대장편가문소설은 인간관계 속에서발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감정문제의 실제사례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해결방법을 도출했다. 그런 점에서 감정처세교과서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 조선시대 심성지식장은 철학적 논설, 시각적 도상, 예의규범서, 소설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형태의 심성지식들이 지향했던 공동의 목표는 도덕감정공동체의 구현이었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심성설에서 性師心弟와 心性一理의 관계 - 논리의 모순과 정합성을 중심으로

        이종우(Yi Jong-Woo)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29

          간재 전우는 性尊心卑를 바탕으로 性師心弟를 주장하면서도 반면에 心性一理를 주장하기도 한다. 심과 성이 같은 하나의 리라고 하면서도 존비가 있다고 한 것이 된다. 따라서 리에도 尊卑가 있다는 것이 된다. 하지만 그는 리를 절대적인 존재라고 했기 때문에 존비가 있을 수 없다. 또한 심성일리는 心性一物이지만 성사심제는 二物이다. 이물이면서 일물이라고 했기 때문에 성사심제와 심성일리의 관계에 대한 표현에 문제가 있다. 하지만 그는 심과 성을 분설과 합설의 관점에서 말하고 있다. 따라서 합설의 관점에서 심성일물로서 심성일리이며 분설의 관점에서 심성이물로서 성사심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래 성은 심 가운데에 있지만 성과 심을 합쳐서 본다면 일물, 분리해서 본다면 이물이 된다. 심과 성이 붙어 있기도 하고 떨어져 있기도 한 것이 아니라 합쳐서 보기도 하고 분리하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성사심제와 심성일리는 정합적이다.<BR>  또한 심성일리라면 심이 순선한 리이기 때문에 구태여 성을 스승으로 삼아 순선을 발현시킬 필요가 없음에도 성사심제를 주장한다. 하지만 심은 미미하게나마 자취가 있고 능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自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용하게 되면 악이 발현 될 수 있으므로 그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성사심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는 심이 순선하지만 능동적으로 자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위이므로 자용할 수 없는 순선한 성에 뿌리를 두어야만 완벽하게 순선을 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anjae Junwoo insisted that nature teacher mind student. It is based on nature high and mind row. On the other hand he insisted that nature and mind equal principle. It become high and low in principle. But he speak absolute principle. Nature and mind equal principle is one thing. But nature teacher mind student is two thing. Because nature and mind equal principle, nature teacher mind student is contradictory. But he divide nature and mind, unite nature and mind. Nature is center mind. If he saw unite nature and mind, it is one thing. If he saw divide nature and mind, it is two thing. So his nature and mind equal principle, nature teacher mind is coherence.<BR>  It is good nature and mind equal principle. It is not nature teacher. But he insisted nature teacher mind. He thought a little trace mind because it appear evil. So he should insisted nature teacher mind.

      • KCI등재

        星湖 性理說의 전개와 변용

        안영석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성호의 성리설을 심성론과 우주론으로 대별하여 이론의 전개 및 변용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성리설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리학적 세계관을 형이상학적 도덕적 성격을 지닌 '실체(理) 중심의 형이상학적 세계관'으로, 실학적 세계관을 실증적·실용적 성격의 '현상사물 중심의 실증적인 세계관'으로 규정하고, 이 기준으로 그의 성리설의 성격을 판별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성호의 심성론이 '理의 발용성'을 긍정하고 '칠정과 사단을 대비시키는 七對四의 입장'을 지니고 있음을 들어, 퇴계를 근본적으로 계승한 '주리적 심성론'임을 논하였다. 또한 그의 심성론이 퇴계를 넘어서서 '사단칠정의 理發一原說'로 발전됨을 지적함으로써, 그의 심성론이'도덕 중심의 일원적 심성론' 즉 '주리적 심성론의 극단적 발전형태'임을 주장 하였다. 때문에 그의 심성론은 성리학적 성격이 더욱 강화된 이론임을 밝혔다. 3장에서는 성호의 우주론의 발전과정이 '주리적 우주론'에서 '주기적우주론'으로, 다시 '기학적 우주론'으로의 발전과정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은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우주론'에서부터 탈성리학적·실증적인 실학적 우주론'으로의 발전임을 밝혔다. 따라서 성호의 성리설은 심성론과 우주론과의 현저한 상위성(相違性)을그 특징으로 한다. 즉 도덕적·형이상학적 성격의 성리학적 특징을 강고하게 견지하였던 그의 심성론과 근세의 과학적·실증적 성과를 포괄하였던 그의 우주론간의 현저한 상위성·이중성 그 특징이다. 때문에 성호의 성리설은 경세치용학파 특유의 실학으로 규정할만한, '심성론과 우주론'을 일관하는 통일적인 철학 원리는 확보하고 있지 못하며, 이것이 그의 실학의 한계이자 이후 성호학파의 좌우분열의 이론적 원인이라고 하겠다. This is a study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 of Lee Ik(李瀷; Sung-Ho星湖)'s theory of Sungli(性理說). In order to prove my claim above, I classified it into theory of Mind(心性論) and theory of Cosmos(宇宙論), and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 respectively. So first I considered Sungli philosophy(性理學) as metaphysics of Li(理) that is a priori and moral, and considered Practical science(實學) as studies of a phenomenon that is empirical and positive. hereby I decid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Mind(心性論) and theory of Cosmos(宇宙論) in the body of a thesis. Depending on the above argument, Lee Ik's theory of Sungli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In the theory of Mind(心性論) he succeeded to Lee Hwang's theory. So he affirmed `the activity of Li(理)', and asserted that seven feelings(七情) and four moral feelings(四端) are different in original character. Furthermore he reorganized Lee Hwang's theory of Mind into an extreme moral theory, therefore he argued that not only four moral feelings but also seven feelings are the same originated from Li(理). This is called the doctrine of Li-Fa-Yi-Yuan(理發一原說). Such feature can be estimated as the feature of moral monism in his theory of Mind. So his theory of Mind has the characteristic of Sungli philosophy(性理學)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 of Practical science. In the theory of Cosmos(宇宙論), he insisted on a world view of Juri-Ron(主理論) that thinks relatively much of Li in his early years. Later he insisted on a world view of Juqi-Ron(主氣論) that thinks relatively much of Qi. And in his later years he again insisted on a world view of Qi-Xue(氣學) that regards Qi as the ultimate. Therefore such process as that was a development of his theory of Cosmos, from the world view of Sungli philosophy(性理學) to the world view of Practical science.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of Lee Ik's theory of Sungli is a conspicuous discordance between the theory of Mind and the theory of Cosmos. That is the discordance between the moral and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Mind and the experiential and positive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Cosmos. Hence Lee Ik's theory of Sungli does not have a consistent philosophical principle.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운봉 대지의 『심성론』에 나타난 종밀의 영향

        박현주(Park, Hyun Joo)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불교의 심성 논의에 있어, 17세기 후반에 간행된 운봉 대지의 『심성론』에 나타난 규봉 종밀의 영향을 새롭게 분석해 보는 데 의의를 두었으며, 총 4장 으로 구성하였다. 대지는 『심성론』에서 심성의 요체와 역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 내용을 다수 인용하였다. 그런데 『대승기신론의기』를 축약해서 종밀이 저술한 『대승기신론소』의 인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에서 아직 언급된 적이 없다. 필자는 종밀이 『대승기신론소』의 저술에 있어서 주로 법장의 『대승기신론 의기』 내용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심성론』에 직접 인용된 문헌이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일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밝히는 내용으로 하나의 장(章)을 썼다. 또다른 장에서는 운봉 대지의 『심성론』 전반에 나타난 종밀의 영향을 내용적으로 분석하 였는데, 『대승기신론』 관련 1절과 『선원제전집도서』 관련 1절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대승기신론』은 종밀 자신의 불교 이해와 사상 형성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대지는『심성론』에 이러한 점을 잘 반영하였다.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五重의 本末說’과 ‘寂知의 體用觀’을 꼽을 수 있다. 2절에서는 『선원제전집도서』의 내용이 대지가 이해한 심성의 내용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선원제전집도서』의 인용에 나타난 本覺眞心의 속성에 대해 ‘空寂靈知’의 개념과 관련지어 ‘一心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 킴과 동시에 본각진심의 뜻을 더 명확히 究明하였다. 또한, 『선원제전집도서』에 나타난 돈오점수설의 교리적 기반으로 『원각경』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禪敎一致’와 맥락을 같이 하는데, 『심성론』에서 대지가 돈오점수의 수행과 교학에의 연찬을 함께 강조했다는 점과 관련지어 조선후기 ‘禪敎兼修’ 지향에 녹아있는 종밀의 영향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Guifeng Zongmi ( 圭峰宗密 )’s influence on a book titled Simseongron (『心性論 』) written by Woonbong Daeji ( 雲 峰大知 )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Introducing the role and key factor of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 Daeji quotes Dashengqixinlun-yiji (『大乘起信論義記』) written by Fazang ( 法藏 ) in many places. However,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Daeji is actually quoting Zongmi’s Dasheng-qixinlun-shu (『大乘起信論疏』), which is a condensed version of Fazang’s Dasheng-qixinlun-yiji. To analyze the influence of Zongmi on Woonbong Daeji’s Simseongron, Chapter III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explicates Dasheng-qixin-lun (『大乘起信論』), and the second part deals with Seonwon jejunjip doseo (『禪源諸詮集都序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Zongmi comprehends Dasheng-qixin-lun and how this is clearly reflected in Daeji’s Simseongron. This study also aims to illuminate how Daeji’s comprehension of the nature of mind ( 心 性 ) corresponds to the key factor of ‘intrinsically enlightened true mind ( 本覺眞心 ).’ It is noteworthy that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is utilized in order to underst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 頓悟漸修 ),’ which appeared in Seonwon jejunjip doseo. This helps to understand a climate of theory and practice that respects ‘the joint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 禪敎兼 修 )’ in the late Jose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