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유학자들에 비친 여헌의 인물됨과 학문

        장숙필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7

        旅軒張顯光(1554-1637)은 17세기 전반기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처 사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당대 지식인들로부터 진정으로 군자다운 사람, 我東의 孔子, 심지어 神人, 聖人으로까지 칭송되었으며, 斯文의 柱石, 사 림의 儀範으로 인정받았다. 경세가로서의 그의 모습은 두 차례의 지방관에서는 유가적인 도덕정 치, 즉 민생안정과 교화의 정치를 실현한 인물로 평가되었고, 산림으로 초빙되었을 때는 왕으로부터 바르고 어질고 겸손하고 검소하여 옛사람 의 風度가 있다고 평가받았으며, 학자들로부터는 당대 정치의향배를 결 정하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그의 학문은, 易學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정주학에 근본하면서도 정주 의 해석을 넘어서는 업적을 세웠으며, 우주사업은 실천학으로서의 유학 의 성격을 밝혔고, 예설은 晦庵의 遺書를 따르되 古禮를 서로 참조하여 末俗의 오류를 씻어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성리설의 경우, 퇴율이후의 당파성을 넘어서서 理氣四七說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실천지학으로서의 유학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 해 제시된 理氣經緯說은 그것이 퇴계의 호발설과 합치되지 않는다는 점 에서 영남의 퇴계학파 및 근기남인에 의해 비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여헌의 학문은 조선유학이 主理,主氣로 대분되는 단편적 인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갖춘 것임을 확인시켜 주며, 또한 그의 우주사업과 노인사업은 조선유학의 도덕론이 단순히 공리공론이 아닌 실천적인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Yeoheon is a representative recluse and philosopher in the 17th Joseon dynasty. His contemporary intellectuals considered him as a sincere nobleman, Confucius in the Joseon, and moreover a saint, a cornerstone of culture, and a model for Confucianists. As a politician, he was regarded as practicing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education, which are the key ideas of Confucian politics, when he serviced as a local governmental office twice. In addition, his ruler thought that he was right, wise, and modest, and therefore had the dignity of the old sage. His subordinates considered that he possessed the way of the old great ministers and the eye to se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His theory of the Yijing is based on Cheng-Zhou learning, but develop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addition, he discussed that Confucianism is a practical learning. His theory of the ritual was considered to follow Zhu Xi's works, but refer the old rituals and overcome the aspect of minor customs. His contemporary scholars thought that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revealed the essence of Li-Four and Qi-Seven theory regardless of scholarly parties, which were formed after Toegye and Yulgok. However, he proposed the Li-longitude and Qi-latitude theory in order to restore the real values, but it is similar to Yulgok's theory, which was criticized by the schools of Toegye and South Faction near Seoul. However, his theories revealed the fact that Joseon Confucianism cannot be simply differentiated as two major theories of "Centering on Li" and "Centering on Qi. In addition, his ideas of the universe and concern for the old showed that Joseon Confucianism is not just a theory, but is related to our lives and therefore practical in its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반곡(盤谷) 성이심(成以心)의 「인역의의도설(人易擬議圖說)」과 그 사상적 특징

        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반곡의 인역은 양란 이후 나타난 가치관의 혼란속에서 인간 도덕가치의 근거를 분명히 하고 그 바탕위에서 도덕적인 당위의 실천과 그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철저한 수기를 이끌어 내려는 문제의식에서 제기된 것이다. 여기에서 그는 의리와 상수를 포괄하는 주자의 입장을 계승하고 동시에 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위에서 인륜도덕을 실천하려는 조선유학의 특징을 계승 발전시켜 인역이라는 새로운 역학을 제기하게 된 것이다. 인역의 핵심이 되는 「인역의의도설」은 天人이 一理라는 전제로부터 역의 이치를 사람의 심성과 덕행에 의의하여 그린 것이다. 그는 이를 통해 인간행위의 기준을 역의 이치를 통해 밝히고, 나아가 인간이 태극으로부터 性善의 이치를 부여받았으며 그 이치의 핵심은 仁義임을 강조하였으며, 이인의를 실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현세적인 규범으로서의 예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는 복희, 문왕, 소강절, 주자의 先後天의 법을 합일하여 봄으로써 도덕의 근거를 분명하게 확립하려 하였으며, 퇴율 이후 이어진 사칠논쟁을 비롯한 성리학의 이론논쟁을 자신의 역학체계로부터 도출된 논리를 가지고 극복하려 하였다. 이에 그는 기본적으로 가치관의 근거로서 리를 중시하는 사고를 계승함으로써 현세적 도덕가치를 정당화하고, 동시에 리와 기가 불상리불상잡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이런 이기관계를 전제로 호발설과 기발일도설의 대립을 지양하려 하였다. 이처럼 그가 당시의 이론논쟁을 극복, 지양하고 현세적 도덕가치를 정당화하려는 이유는 유학이 본래 가진 실천지향적인 가치관을 실현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반곡의 「인역의의도설」은 조선조 유학의 도학적 전통을 계승하여 그것을 좀 더 강화하려는 의식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다. Inyeok, which was proposed by Bangok (盤谷) Seong Yi-sim (成以心), intends to clarify the foundation of morality and as a result, suggests how to be moral and exercise moral cultivation during the time of moral hazard after two wars in Joseon Dynasty. He follows Zhu Xi's viewpoint to include both morality and image and number and at the same time pursues and develops Joseon Neo-Confucianism, which states that one should practice human morality on the basis of his or her understanding of human mind. Therefore, he suggests a new theory of the Yijing, namely, Inyeok. "Inyeok uiuidoseol", containing the genesis of his theory regarding Inyeok, describes the principle of the Yijing on the basis of human mind and moral behavior with the premise that the Heaven and Humans share one principle. In doing so, he suggests the standard of human behavior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Yijing and moreover emphasizes the Taiji gives humans their inherent good mind, whose core is benevolence and rightness. In addition, he puts a stress on the importance of the Rituals as a practical method to exercise benevolence and rightness. He aims to establish the basis of morality by synthesizing the viewpoints of Fu Xi, King Wen, Shao Yong, and Zhu Xi with regard to the Former and Later Heaven, and t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discussion of Four Minds and Seven Feelings since Toegye and Yulgok on the basis of his theory of the Yijing. He justifies the morality to emphasize this present world in regarding li as the source of values and simultaneously stresses that we should recognize that li and qi cannot be separated and mixed either. He wants to avoid the disparity arising from two theories: One is that li and qi arise together, and the other is that only the qi arises with li on it. He intends to justify the moral value of the present world by overcoming the futile discussions of he's contemporaries because he attempts to realize the practice-oriented aspect of Confucianism. Therefore, Bangok's Inyeok uiuidos대l is an achievement out of his desire to succeed Joseon Neo-Confucianism and develop it.

      • KCI등재

        虎溪 申適道의 의리사상과 그 사상적 토대

        장숙필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3 No.-

        虎溪 申適道(1574-1663)는 정묘, 병자호란시 의성지역의 의병장으로 활동한 倡義之士이다. 그는 평생을 벼슬하지 않고 산림에 은둔해 있던 산림처사로서 정묘, 병자년 두차례나 起義하였으며, 병자년의 굴욕적인 강화 이후 薇谷에 은둔하여 책을 읽고 후생을 교육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냄으로써 유가적인 의리실천을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호계는 당시 관학의 지위에 있던 주자학을 의리와 강상의 실천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실천은 군신부자의 윤리에 근본하여 효제충신의 실천을 다하는 것에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의리란 艱危의 때에 오직 자식은 효를 위해 죽고 신하는 충을 위해 죽는 것임을 강조하고, 이런 의리정신이 바로 임란 때 왜병을 물리친 정신이었으며, 그 정신으로 당시의 외적을 물리쳐야함을 역설하였던 것이다. 이런 그의 의리실천은 인간의 도덕성에 기초하여 인륜과 강상을 실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조선유학의 도학정신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그의 존명의리의 실천은 당시 조선인이 가지고 있던 문화적인 자부심에 기초한 소중화의식과 그 사상적 토대로서의 도덕중심적이며 인륜중심적인 조선유학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나아가 호계에게서 보여진 이런 우리 민족의 자부심과 인륜과 강상을 지켜나간다는 도덕의식은 이후 조선말의 위기에 척사위정운동 및 의병활동, 민족종교운동 등으로 전개될 수 있는 바탕이었다는 점에서 조선조 유학이 지닌 사회, 역사적인 의미를 확인 할 수 있다. Sin-jeokdo (Hogye, 1574-1663) was a general of patriotic army who protected the region of Euseong at the time of Qing dynasty's invasion in 1627(Jungmyo) and 1636(Byongja). He was an prominent figure outside government as well as a faithful confucian who spent his life with reading and teaching junior scholars after disgraceful treaty in the year of Byongja. Hogye understood the neo-Confucianism in terms of the whole duty of men(綱常) and righteousness(義理) which was in the status of sole official academic subject and thought its practice only hinged upo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based on moral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father and son. He, therefore, emphasized that the righteousness only can be accomplished by dying of children and subjects for filial piety and fidelity respectively, at the time of commotion. This was his spirit of righteousness which repelled Japanese army in the Imjin War and he insisted on defeating Japanese army in accordance with this spirit. Hogye's practice of righteousness is grounded on the spirit of Chosun Confucianism which stressed actual practices of moral principles and duties. His practice of righteousness shows internalized cultural sinocentrism and moral-centric, ethic-centric characteristic of Chosun Confucianism. Moreover, the moral consciousness which was shown in Hogye's thought helped to keep Korean's pride and observe morality and it served itself as a basis of commencement of nationalistic military, religious movements afterwards.

      • KCI등재

        하동학파(河東學派)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사상적 특징과 조선 성리학자들의 반응

        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民族文化硏究 Vol.47 No.-

        이 논문은 명초 숭인학파와 하동학파의 사상적 특징과 그들에 대한 조선유학자들의 반응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유학의 특징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하동학파의 설선은 명초의 醇儒로 인정받는 인물로써 周張程朱를 근저로 하고 復性을 宗으로 하며 居敬窮理 요체로 하여 궁행천리 함으로써 인격상 일대의 모범이 되었다. 그는 철저하게 주자학을 표방하였으며, 『소학』을 중시하고 위기지학을 강조하였다. 그는 眞儒, 正學, 道學의 개념을 통해 주자학이야말로 인간의 도덕성을 근본으로 인간으로 하여금 성인이 되게 하려는 학문임을 천명하고, 구체적인 공부 방법으로 敬을 중시하였다. 숭인학파의 오여필은 당시의 학문이 名利를 구하는 도구가 되거나, 고원하고 虛玄한 것에 치우치거나, 箋注가 번다하기만 한 폐단을 비판하고 철저하게 敬義夾持, 誠明兩進의 공부를 통한 위기지학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그의 학문은 실로 朱陸의 학문을 겸채하여 각고자립 하였으며 이것이 결과적으로 王學을 여는 단서가 되었다 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제자 중 호거인은 "공맹의 眞傳, 정주의 嫡派"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철저하게 정주학을 고수하고 이단을 배척하였으며, 특히 주자적인 심학이 禪學으로 흘러가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는 주자야말로 存心과 窮理의 양면을 다 갖춘 사람으로서 육상산이 근본만 오로지 중시하고 말단을 버림으로써 禪學에 빠져 장차 덕성을 모두 공허한 것으로 만든 것과는 다르다고 주장하고 정주학의 핵심적인 공부 방법은 경이며 이 경은 궁리와 떨어진 것이 아니라하여 主敬窮理를 강조하였다. 이런 명대초기의 유학은 명나라와의 사신왕래 및 『황명리학명신언행록』 『독서록』 『거업록』등을 통해 조선에 전해졌으며 특히 『독서록』은 성리제가서의 입문서로 인정되어 널리 읽혀졌다. 그러나 조선유학자들이 이들의 문제의식과 학문태도에 대해 공감을 하고 칭송하였지만 이들의 이론과 실천의 불철저성에 대해서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는 사림파 성립이후 조선유학자들이 갖게 된 절의의 실천에 대한 자부심과 이론적인 철저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Xuexuan(蘗宣, 1389~1464), a famous scholar of the Hedong school(河東學派), commanded admiration, for the conformity with the doctrine of Zhuxi(朱熹, 1130~1200) that insist cultivation of human nature which obtained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condition of human nature and studying of principles(especially moral principle) of the world in reverent and self aware attitude. He stood for the doctrine of Zhuxi, Chengzhuxue(程朱學) by means of using the concept of the Real Confucian(眞儒), the Right Study(正儒), the Study of Way(道儒). He emphasized Elementary Learning(小學, XiaXue) and learning for the real self. He insist that Chengzhuxue is the right way of becoming a sage on the basis of human morality. The concrete way of practice for this is to stay in reverent and self aware attitude. Wuyubi(吳與弼, 1391~1469) of the Chongren School(宗人學派) criticized the academic trend of his time that the one chase the fame, the other pursuit abstruseness, another just make too complicated commentary. He emphasized to stay in reverent and self aware attitude side by side with to maintain righteousness. He insist the learning for real Self through the Study from the sincerity and from enlightenment both way. He is forerunner of Yangmingxue(陽明學), for his theory is a composite form of Zhuxi and Lujiuyuan(陸九淵, 1139~1192). His successor, Hujuren(胡居仁, 1434~1484) was regarded righteous successor of Chengzhuxue. He emphasized that Zhuxi's doctrine is complete, for maintaining mind and studying of principles. He insist that Lujiuyuan only emphasized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morality, so Lujiuyuan lacks the concrete means of cultivation the morality in the everyday life, therefore consequently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morality would be turned out empty name and his academic doctrine easily fall into Zen Buddhism. Hujuren emphasized studying of principles (especially moral principle) of the world in reverent and self aware attitude. The Neo Confucianism of Ming China is introduced to the Confucians of Joseon Korea by the envoys and the imported books such as Huangminglixuemingchenyanxinglu(皇明理學名臣言行錄), Dushulu (讀書錄), Juyelu(居業錄). Especially Dushulu was widely read, for it was regarded a guide to the books of Neo Confucianism. In spite of these influences, Korean Confucianist criticized the lack of thoroughness of Chinese scholars while they approved the doctrines of Ming scholars, since the materialization of Sarimpa(士林派), the Neo confucianist scholar politician group, Korean Confucian scholars were proud of their thoroughness of practicing righteousness and of academic theories.

      • KCI등재후보

        율곡 양병설과 그 도학적 특징

        장숙필 율곡연구원 2012 율곡학연구 Vol.25 No.-

        본고는 조선조 최고의 경세가로 인정받고 있는 율곡의 개혁책들 가운데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養兵說을 중심으로 양병설 제기의 시대적 정치적 상황 및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함으로서 그의 양병설이 가진 時宜性과 道學的 특성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율곡은 당대를 개국이후의 오랜 안정과 50여년간 이어진 四大士禍의 혼란 및 을사사화 이후 20여년간 이어진 외척정치로 인해 사회전반에 걸쳐 모순과 부패가 심화된 상태로서 시급히 경장하지 않으면 곧 토붕와해의 결과에 이르게 될 위기로 진단하고 이에 구체적인 개혁의 두 축으로 貢案 개정과 軍政의 개혁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愛民, 畏民의 마음으로 세금과 요役을 줄여 가볍게 해주며 형벌을 신중히 하며 절약하여 재물을 풍족하게 만들고 백성에게 恒産이 있게 한 다음 軍政을 닦음으로써 興利除害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그 삶을 즐기게 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던 것이다. 율곡의 양병설은 安民을 위한 그의 도학적 경세설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또한 양병을 위해 양민, 군사훈련, 인재등용, 교화를 다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의 양병설은 養民을 우선으로 하는 도학적 양병설이며, 군사훈련, 인재등용, 교화를 갖춘 精兵論이었으며, 輔國安民이라는 그의 衷情으로부터 나온 시의적절한 대책이었다. 그러므로 율곡의 양병설이 백성들을 동요하게 하여 오히려 화를 기르는 것이 될 것이라는 당대의 비판이나, 십만 양병을 비롯한 그의 양병설을 날조된 것이라고 糊塗하거나, 혹은 당시의 국력으로 보아 현실성이 없는 空論이었다는 근래의 주장 등은 모두 적합한 비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Yulgok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best capable statesmen in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attempts to research his ideas of reforms, in particular, "building up armies." I shall analyze political backgrounds and specific details of the "building up armies" and as a result, show whether the policy was opportune and what moral significance it had. Yulgok thought that the urgent reforms would rescue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il of collapse, which was caused by the long-time peace and four purges of Confucian scholars, and 20-year rule by kings' maternal relatives. He focused on reforms in two areas: land tax and military administration. He claimed that a ruler should reduce land taxes and labor service out of his mind of love and worry for his people. Also, Yulgok discussed that the ruler should order legal officers to be discreet in executing punishments and make his people have jobs. All of the reforms will give people profits and remove harms from them to the extent that they enjoy their lives. Yulgok's policy of "building up armies" is the core of his moral government theories, which aim to stabilize people. The details of the policy are to take care of people, to train armies, to hire the talented and to educate people. Therefore, his policy of the building up armie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licy is one of his moral government theories; Second, it is aimed for "elite troops", whose details are training armies, hiring the talented, and educating people : Third, the policy i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Therefore, we can see that some criticisms against his policy were not fair. Some of his contemporaries argued that his ides would make people disturbed enough to cause disorder, or his idea was founded on pure inventions, and could not be put into practice because the Joseon did not have enough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