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중서(董仲舒)의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과 그 정치성(政治性)

        정해왕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은 선진유가정신에서 원시종교적 사고로 회귀한 이론이다. 그의 사상은 오히려 공자의 정신에 반기를 든 묵자의 사상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의 사상은 위정자의 통치권에 명분을 제공하는 통치이념에 복무하는 이론이다. 그는 자신 사상의 종교적 측면을 이론 화하기 위해 당시의 철학이론들을 융합, 그의 사상을 종교도 철학도 아닌 신학으로 만들었다. 그의 사상에는 기본적으로 유가적 요소가 있지만, 묵가사상이나 법가사상도 개입되어 있다. 또 음양가의 관점도 도입하여, 음양이론으로 신분의 위계를 설명하고, 오행상생상승이론으로 통치원칙을 설명하였다. 이렇게 볼 때 그의 사상은 차라리 잡가사상이라 평가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그의 사상이 유가사상이라고 평가되는 바람에 후대에 유가적 통치를 표방하는 정치세력에 큰 영향을 미쳐 유가사상의 본질이 호도되어, 유가사상에서 권위적 이미지나 종교적 이미지를 느끼는 경우가 초래되었고, 그의 천인감응설이 현실에서의 승자와 패자를 그 결과적 측면에서 정당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董仲舒的天人感應說是從先秦儒家精神回歸到原始宗敎性思考的理論.他的思想却是근反對孔子精神的墨子思想同類性的. 他的思想就是服務給執政者的統治權提供名分的統治理念的理論. 他爲了他自己的思想的宗敎性方面的理論化, 把當時一些哲學理論融合到他的理論, 終于不使他的思想成爲到宗敎或者哲學, 使타却成爲到神學. 他的思想里也基本上含有儒家因素, 還含有墨家思想和法家思想. 他還引進陰陽家的觀點, 用陰陽理論以說明身分等級而用五行相生相勝理論以說明統治原則.저요一來, 我們評價他的思想的時候, 與其將他的思想當做儒家思想, 不如將타當做雜家思想. 不管즘樣,因爲許多后代學者們把他的思想還看做儒家思想, 所以他的思想影響到后代標榜儒家主義統治的政治勢力, 因而儒家思想的本質被掩飾了. 結果一般人想儒家思想起來的時候, 經常從儒家思想感覺權威性印象和宗敎性印象了, 還有他的天人感應說引起使現實上的勝者和敗者在結果上成爲正當化的問題.

      • KCI등재

        董仲舒 春秋學의 天人感應論에 대한 고찰 : 祥瑞·災異說을 중심으로 focusing on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金東敏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董仲舒의 哲學에서 春秋學이라는 정치이론은 그의 사상을 대변하는데,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天人感應論은 춘추학 전개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논리이다. 즉 동중서의 춘추학은 현실 정치에서 大一統的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왕조의 정통성과 군주의 절대권 확보라는 큰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춘추학이 설득력 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천인감응론과 논리적 정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동중서의 천인감응론은 개괄하면, 인격신적인 주재자로서의 천의 존재를 확립하고, 아울러 이러한 천과 인간의 감응관계를 통해서 천과 인간의 관계지움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지움을 바탕으로 祥瑞·災異와 같은 하늘의 구체적인 감응형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군주가 군주로서 올바른 모습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天의 意志 또는 主宰性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형태 즉 상서·재이설은 천인감응론의 핵심이자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 『春秋』에 기록되어 있는 天意의 구체적인 표현인 상서·재이의 원리는 현실 정치의 장에서 자연이 운행하는 이치를 추론하여 정치에 직접 활용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인 근거가 된다. 본 논문에서 상서·재이설을 다루면서 특히 주목하는 점은 천의 의지 또는 주재성이 아니라, 상서와 재이의 대상이 되는 인간 즉 군주의 자세와 역할이다. 즉 현실정치에서 군주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가 확립되어야만 강력한 군주의 절대권력을 바탕으로 유가의 정치이상인 德治를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중서 천인감응론의 상서·재이설은 그의 춘추학 체계 내에서 춘추학의 최종 목표인 대일통적인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In Dong Zhongshu's philosophy,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 political theory, represents his thought and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with which this paper shall deal is a logic that provides a foundation in development of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rning. In short, Dong Zhongshu'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ims for securing legitimacy of a dynasty to an imperial ruling system, which is cosmic unitive, in actual politics and the absolute right of a monarch. Therefore, to develop t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persuasively,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nd logic compatibility should be guaranteed. In summary,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establishes a existence of tian as a personified supervisor and he tries to relate tian and human beings through this mutual resonance relationship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Furthermore, with this relating work, he draws out tian's detail forms of mutual resonance such as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and then finally wants to lead a monarch to be a exemplary king.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or the detail feature in which tian's will or supervisiness shows are the conclusion. They are the topics with which this paper deals. The principle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e detail expressions of tian's will recorded in the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are the absolute foundation in reasoning the principles of movements of nature and practicing them directly in an actual politics. While dealing with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is paper specially focuses on nottian's will or supervisiness but objects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king's attitude and role. That is why that when a monarch has a subjective and active attitude, a benevolent government, Confucian political idealism, can be practiced in actual basing on an absolute power.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in the theory of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re the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final purpose, cosmic unitive imperial government system in the structure of 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 KCI등재

        동중서의 천인감응설과 음양오행에 관한 연구

        오청식(吳淸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6 No.-

        동중서의 천인감응설과 음양오행은 그의 철학사상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부분 가운데 하나로, 특히 그 가운데에는 정치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왜냐하면 그는 현량(賢良)으로 선발되어 한무제의 질문에 대하여 답변을 해야 하는 입장이었고, 한무제가 안고 있는 정치적 과제에 적절한 대책을 제시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의 천인감응설의 주요 내용은 재이와 상서이다. 이는 은상대의 상제설과 주대의 천명론에서 기원한다. 특히 춘추의 천상(天象) 재이(災異)에 대한 기록은 동중서의 정치철학의 기초가 되었다. 재이와 상서의 발생 원인은 어디까지나 군주의 행위에 달려있다. 즉, 재이가 발생하는 것은 군주의 음일(淫佚) 때문이고, 상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군주의 교화가 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이와 상서는 군주권의 절대성 강화와 장구한 치안의 보장을 위한 재료적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동중서의 음양오행론도 마찬가지로 이론 자체보다는, 이론의 정치적 해석을 강조한다. 가령, 음양을 형덕(刑德)으로 해석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군주가 나라를 다스릴 때에는 덕을 형보다 더 중시해야 한다. 특히 양을 중시하는 이론은 부부⋅부자⋅군신 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한편 오행은 상생(相生)을 상승(相勝)보다 더 중시한다. 예컨대 오행을 부자 사이의 수수(授受) 관계로 해석하여 천도의 경상(經常)은 효라고 하였다. 이를 군신관계로 확장하면 충이 된다. 윗사람은 아랫사람을 생하고, 그 보답으로 아랫사람은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해야 한다. 그래서 오행 가운데 중앙 토에 대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군주가 시행하는 정령(政令)은 사계절의 운행규율에 부합해야 함을 강조한다. 동중서의 천인감응설과 음양오행은 그가 가지고 있는 순수한 이론적 측면 보다는, 한무제의 요구와 시대상황의 필요에 의해 정치적으로 각색된 측면과, 군주권한의 절대화와 덕치(德治)에 대한 긴장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측면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ong Zhongshu’s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天人感應說) and theory of Yingyang Wuxing(陰陽五行說). Dong Zhongshu’s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is one of the best important parts of his philosophy and in the contents of his philosophy contains of many political elements. His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main subject is Zaiyi(災異) and Xiangrui(祥瑞), it is originated in chinese ancient Yin-Dinasty’ Shangdi(上帝) and Zhou-Dinasty’ Tianming(天命). Zaiyi and Xiangrui come from emperor’ political acts. In the same manner, Dong Zhongshu’s theory of Yingyang Wuxing emphasis on political aspects. He regard Yingyang as Virtue(德) and Punishment(刑) and emperor must accept Virtue and deny Punishment. In a way, he emphasis on the Wuxing’s mutual generation(五行相生) more than Wuxing’svmutual suppression(五 行相勝), and a minister must be loyal to emperor. Dong Zhongshu’s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天人感應說) and theory of Yingyang Wuxing(陰陽五行說) contribute to establish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emperor.

      • KCI등재

        동중서(董仲舒)의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과 그 윤리적 함의

        김상래 ( Kim Sangrae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30 No.-

        공자로부터 시작된 유가사상은 동서고금의 그 어떤 사유체계보다도 인간의 문제에 대해 그 학문적 관심을 집중시켜왔다. 인간사회의 윤리적 실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시도한 공자의 사유는 맹자를 경유하면서 인간의 윤리적문제의 본질적이고 내면적 출발점에 대한 심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단계로 진전되었다. 다시 말하여 공자가 강조한 인간의 윤리적 행위 내지 실천을 중시하는 유가사상의 이론은 맹자에 이르러 인간의 내면적 측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시도되어 인(仁)의 철학과 성선(性善)의 도덕성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된 것이다. 초기 유학사상가인 공맹의 유학사상은 세계의 존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명보다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윤리학적 이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이후 한대에 들어서 동중서(董仲舒, B.C. 179-104)는 자연의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을 정립하여 이를 인간에 까지 적용가능하다는 학설을 정립한다. 바로 그는 음양(陰陽), 오행(五行), 천인감응(天人感應), 천인합일(天人合一)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설명방식을 종합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연과 인간의 동일성을 추구하는 학문적 입장은 송대 주자에 이르러, 인간과 세계의 문제를 하나의 이론체계로 설명가능하다는 학설을 확립시키는 선구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대 대표적인 유학사상가인 동중서가 설명하는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해독을 기반으로 그 사유체계의 윤리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동중서는 한(漢) 무제에게 유가사상 이외의 이념을 배격할 것을 설득하여 유교를 국교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인간의 윤리적 해명에 특장을 지닌 공맹유학의 전통에 기반을 두면서도 음양오행과 천인감응, 천인합일과 같은 종교적이고 신비적인 사유체계를 유교사상의 주요내용으로 첨부하였다. 이러한 동중서의 학문적 입장은 천인감응설을 경유하여 천인합일설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는 바, 이 두 학설은 유교사상의 외연을 확대함과 아울러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불평등의 차원에서 일치와 평등의 관점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동중서는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천도(天道)와 인간의 일(人事)이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고 합일되어 있다는 이론을 확립하였으며, 군신, 부자, 부부 관계의 인간의 윤리적 문제를 하늘의 의지(天意)와의 관련성으로 설명가능 하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첫째,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공맹의 막연한 설명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였다. 둘째, 인간과 하늘의 위계 문제에 있어서 천인감응의 입장에 입각하여 인간 보다 하늘을 우위에 두는 사유를 제시하였다. 셋째, 천인감응의 사유는 천인합일의 단계로 진전되어 자연의 문제와 인간의 윤리의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넷째, 인간 사회의 현실적 윤리 문제에 있어서 군주의 역할을 강조한 교화(敎化) 중심의 봉건주의적 윤리관을 확립하였다.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Confucius had focused on the moral problems of human. Mencius attempted an answer to ethical problems of human beings with human nature and moral act via the starting point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theory formulation. Confucius emphasized the human theory of ethical conduct or practice. Confucius emphasized the human theory of ethical conduct or practice that they came to the human spiritual side of Mencius theory approaches have been tried for the benevolence of the philosophy emphasizes the ideas of morality. Mostly we can conclude that Confucius and Mencius had not explained about the problems of nature. Since then, in Han dynasty Dong Zhong-Shu(B.C. 179-104) had described not only the problems of human but also the theory of nature with the co-formulation of the humans and Heaven, sky at first. This equal principle for human and nature can be explained with the doctrine to establish the system of pioneering role. This article is go for study the ethical implications, after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Heaven and human. Dong Zhong-Shu’s thought about Heaven and the human absolutely same to establishing the premise that religious and almighty Heaven and ethical issues of human. In this point his thoughts can be evaluated as the following ethical meaning. First, the heavens and the human relations can be approached to a vague descrip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systematization. Secondly, the celestial hierarchy of humans is located with response the same standpoint with Heaven from the viewpoint which Heaven-human is the one. Thirdly, the reason for the sum of the progress made in the issue of the ethics of human nature has been to step equality pursued. Fourth, the reality of human society in ethics and the role of the monarch highlighted the indoctrination (敎化) to establish the center of ethic in good society.

      • KCI등재

        신라 재해 대응책의 내용과 특징-유교적 천인감응설의 비판적 검토-

        박미선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illa's disaster response measures relate to the Confucian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Focusing on the pardon(赦) and replacement of Sijung(侍中), which are mentioned as disaster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Confucian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the relevance was reviewed, and in the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Silla's disaster response measures were sought. First, in the case of pardon, according to the Samguk Sagi, Noksu(錄囚), Yeosu(慮囚), and Goksa(曲赦) were classified in the early Silla period. It was during the Northern Wei Dynasty that the examination of prisoners (錄囚) was carried out in China according to the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Therefore, if Silla accepted such the examination of prisoners and used i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disasters, it must be at least after the 6th century.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pardon is necessarily Confucian because the prison was executed and the prisoner was released during the ritual ceremony. After unification, it was only expressed as a pardon because the whole of Silla was recognized as one territory. There was often a time lag between the time of the disaster and the time of the pardon. It is thought that the pardon at this time was for the people who inevitably sinned due to the disaster, and the pardon was not a ceremonial act based on the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man, but also a practical measure such as remorse. As a new aspect related to disasters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of Silla, ‘change of Sijung(侍中)’ has been no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placement of Sijung during the reigns of King Seongdeok, Wonseong, and Heondeok, which suffered severe disasters, Despite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ey maintained their positions as mayors, and rather, those who served long terms played a leading role in preparing and implementing disaster response measures. The replacement of Sijung is thought to be due to a lack of ability to overcome disasters rather than an attitud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reprimands from heaven. In the case of frequent replacement of Sijung,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would weaken and the royal authority would be weakened. However, the pardon or replacement of Sijung was not at all unrelated to the Confucian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mans.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Confucian ideology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was accepted by Silla and expanded into political ideology after unification. In this process, the Confucian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was included in the disaster response plan. However,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pardon or replacement of Sijung was not related to the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In this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Silla's disaster response measures could be found. Regardless of the type of disaster, relief was provided most of the time when famine or people were starving. Rather than the disaster itself, whether or not there is relief from the disaster can be said to be a measure of the stability of a society and the king's ruling power. Seeing that relief is no longer visible after King Gyeongmun, it can be seen that Silla entered the path of decline, unable to respond to disasters. In addition to relief, various countermeasures were attempted in Silla, such as ancestral rite, praying for rain by drawing dragons, and overcoming disasters through Buddhist ceremonies. This proves that Silla's disaster countermeasures were not systematized, and the countermeasures were selective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king and other rulers regarding disasters. Therefor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behavior of the monarch, which shows the Confucian theory of influencing heaven and humans, seemed fragmentary. 본 논문은 신라의 재해 대응책이 유교적 천인감응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교적 천인감응설에 따른 재해 대책으로 언급되는 사(赦)와 시중(侍中)의 교체를 중심으로 그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신라 재해 대응책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면의 경우,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신라 상대에는 녹수(錄囚), 여수(慮囚), 곡사(曲赦) 등 세분화되어 시행되었다. 그러나 유교적 천인감응설에 따라 가뭄의 대응책으로 녹수를 단행한 것은 북위(北魏) 효문제 때였다. 그러므로 신라에서 이러한 녹수를 받아들여 재해 대응책으로 썼다면 그것은 적어도 6세기 이후가 되어야 한다. 다만 일찍이 제천행사에서 ‘형옥을 단행하고 죄수를 풀어주기[斷刑獄 解囚徒]’도 했으므로, 사면이 반드시 유교적 천인감응설과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통일 후에는 녹수라는 표현보다 사・대사로 표현되는데, 이는 신라 전체가 하나의 영토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통일기 재해 발생 시점과 사면 시기 사이에 시간 차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의 사면은 재해로 인해 부득이하게 죄를 짓게 된 백성에 대한 사면일 가능성도 있으며, 사면 또한 천인감응설에 입각한 의례적 행위가 아니라 진휼과 같은 실질적인 대책이기도 하였다. 신라통일기에 재해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새로운 양상으로 ‘시중의 교체’가 주목되어 왔다. 재해가 심했던 성덕・원성・헌덕왕대 시중의 교체를 살펴본 결과 재해가 발생함에도 시중의 직을 유지하고, 재임 기간이 길었던 시중들이 재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실행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존재들이었다. 오히려 재해와 관련하여 시중이 교체되는 것은 천견(天譴)에 책임지는 태도이기보다 재해를 극복할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시중 교체가 잦은 경우 재해 대응능력이 떨어져 왕권이 약화될 가능성이 컸다. 그렇다고 사면이나 시중 교체가 유교적 천인감응설과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6~7세기 유교이념이 신라에 수용되고, 통일 이후 정치이념으로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 유교적 천인감응설이 재해 대응책에 담기기도 하였다. 다만 사면이나 시중 교체가 천인감응설과 관련 없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 싶다. 이러한 비교 분석 과정에서 신라 재해 대응책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재해의 종류에 상관없이 기근이나 백성이 굶주리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진휼이 단행되었다. 재해 자체보다 재해에 대한 진휼의 여부가 그 사회의 안정성 및 왕의 통치력을 보여주는 척도라고 할 수 있으며, 경문왕 이후 진휼이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신라가 재해에 대응할 수 없는, 쇠퇴의 길에 접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라에서는 진휼 외에 산천제, 시조묘 제사, 용을 그려 강우를 기원하거나 불교 법회를 통해 재해를 극복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대응책이 시도되었다. 이는 신라의 재해 대응책이 체계화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재해에 대한 왕을 비롯한 통치자의 판단에 따라 그 대응책이 선택적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유교적 천인감응설을 잘 보여주는 ‘피정전(避正殿)’, ‘감상선(減常膳)’ 등 군주의 행위를 통제하는 방식은 단편적으로 보였던 것이다.

      • KCI등재

        율곡의 감응론(感應論) 연구

        장승구 ( Jang Seung Koo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동아시아적 사유 전통에서 천지 만물은 기(氣)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한다. 인간은 기(氣)를 통해 다른 인간이나 동물, 자연, 하늘과 서로 감응(感應)하는 존재이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는 감응에 대한 주제로 다수의 글을 남겼다. 율곡은 인간과 인간 사이는 물론이고, 인간과 하늘, 인간과 자연 사이에도 감응현상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과 하늘은 서로 감응해서, 일반적으로는 인간의 유덕한 행동에 대해서는 하늘은 길(吉)한 결과로 감응하고, 악한 행동에 대해서는 길하지 못한 결과로 감응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수(理數)의 변(變)을 당해서는 인간의 선악에 대한 하늘의 감응이 올바르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율곡은 천도책(天道策)에서 인간이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자연에 재이(災異)가 나타날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 군주가 덕에 따라 정치를 잘 하면 이에 감응해서 자연의 질서가 조화를 유지하고, 반면에 도에 어긋난 정치를 하면 자연이 조화를 잃고 재이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성인(聖人)의 지극한 성(誠)은 인간과 세상을 변화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응이 되지 않는 인간이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자포자기하는 하우(下愚)는 성인의 덕으로도 어쩔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역사에 있어서 덕이 있는 인간의 지극한 노력으로도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면 좋은 뜻이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덕이 없는 인간이 힘만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듯 보이는 때도 있다. 또한 율곡은 인간이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하면 때로는 그 기도가 하늘을 감응시켜서 효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고 인정한다. 율곡은 인간이 타인이나 귀신이나 하늘을 감응시키는 것은 성(誠) 때문이라고 한다. 성의 크고 작음에 비례해서 감응의 정도도 깊고 얕을 수 있다고 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은 수양을 통해 덕을 쌓고 지성(至誠)의 덕을 갖게 되면 인간과 세상을 긍정적으로 감응시켜서 이 세상을 조화롭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서 형세(形勢)가 중요하게 되면 인간의 덕(德)이 정당한 감응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율곡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적 합리적 노력을 신뢰하고, 인간의 최선의 노력에 감응하여 이 세상에 긍정적 변화와 조화가 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진인사(盡人事)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In the East Asian thought tradition, it is understood that all th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made up of ‘qi(氣)’. Human beings are those who respond to other human beings, animals, nature, and the heaven. Yulgok Yi Yi (1536-1584) wrote a number of writings on the theme of resonance(感應). He argues that there are resonance phenomena not only between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s and the heaven,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According to Yulgok, humans and heavens respond to each other, and in general, heaven responds to human virtuous behavior with good results, and to bad behavior with bad results. However, in the case of a chaotic period, it seems that the heavenly response to human good and evil may not be correct. Yulgok says that ‘disasters’ (災異) may appear or disappear naturally depending on how humans do politics. He thinks that if the monarch politicizes according to virtue, the natural order would be in harmony in response, and on the other hand, if the politics does not go along the way, nature would lose harmony and disaster may take place. The saint’s sincerity((誠) changes humans and the world, but there are exceptional humans who give up moral values. Even with the utmost efforts of virtuous human beings in history, good meaning may not succeed when encountering an unexpected event. On the contrary, there are times when it seems that a person without virtue controls the world only by power. However, it seems that such anomalies do not last long. Yulgok also admits that if people prays earnestly sometimes that prayer would be responded by the heaven and get benefits from it. Yulgok says that it is sincerity that makes humans responded to others, ghosts, and heaven. It seems that the degree of resonance may be deep and shallow in proportion to the purity of sincerity. According to Yulgok, human beings develop virtues through self cultivation, and when they acquire the virtues of sincerity, they make humans and the world positively respond and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the world. Of course, depending on the times, human virtues may not be able to get a proper response when the situation becomes worse due to the unexpected event. However, Yulgok generally recognizes that human best efforts would bring about positive change and harmony in the world and he emphasizes doing the best.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Man” in Cheng Hao and Cheng Yi’s Neo-Confucianism

        ( Peng Yaoguang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5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3

        “天人感應”觀念是中華文化傳統中的一個重要觀念。隨著宋代理學的興起, 傳統的“天人感應”觀念獲得了新的發展, 形成了一種新的理論形態。二程作為理學的創始人, 其“天人感應”論以“理”(“天理”)為終極根據, 並注重從心與事物的感應理解“天人感應”的發生原理, 這大大消弱了神秘之“天”在“天人感應”中的主宰地位, 將“天人感應”轉向了內在, 轉向了主體內心, 凸顯了心在“天人感應”中的主導地位。它實質上為傳統的“德福一致”觀念提供了一個更加深刻的理論基礎和更加有力的支撐;同時也表明, 理學並非是一個單純的道德義理系統, 其中也包含了功利性關懷;理學追求的“善”, 是包含了幸福在內的圓滿的善。 Tianren ganying 天人感應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man) is an important notion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long with the flowering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Song dynasty,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man” also developed new aspects during this period. Cheng Hao and Cheng Yi, key founders of Neo-Confucianism, both held that the li 理 (Principle) or tianli 天理 (Heavenly Principle) is the ultimate ba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man.” They also emphasized the interaction between original mind and all things when they explained the generating principle, which greatly reduced the dominant status of the mysterious “Heaven.” As a result, the the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man” within their thought was converted to an emphasis on the immanence or the innermost being of the subject, which they referred to as “original mind.” One long-term consequence of their interpretation is that the traditional notion of “consistence between virtue and happiness” has been fitted with a more profound theoretical basis and stronger support.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Neo-Confucianism was not a simple system confined to the righteousness and virtue, since it also paid attention to utilitarian values and practices. What Neo-Confucianism advocates is the highest good which can create more happiness.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董仲舒의 天人關係論 硏究

        조원일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38 No.-

        天人感應是董仲舒哲學思想的核心。天和人會發生感應, 並非由董仲舒首先提出, 在先秦時期已有這種思想並廣爲流傳。不過, 董仲舒對此學說進行了較詳盡的論證和解釋, 並加以發展, 對西漢政治産生了積極的作用。董仲舒論證天人感應, 分爲三個方面, 首先要證明天與人是同類的。董仲舒認爲萬物都是上天所生, 人是萬物之一, 其生亦非導源於人類自身, 所以說 “爲生不能爲人, 爲人者, 天也”。人像天, 如同兒子像父親一般, 人與天一一相應, 董仲舒在〈人副天數〉中對此提到人有小關節三百六十塊, 和一年的日數相副; 大的關節十二塊, 和一年的月數相副; 人體內五臟, 和五行相合; 體外有四肢, 和一年四季相合。此外, 人有喜怒哀樂, 天則有暖熱寒冷相合, 無論副數或副類, 都是副合天。天和人旣是同類, 那麽兩者便會發生感應。在本文基於如上的問題, 進行討論對於董仲舒之天人關係的問題。因此, 本文將提出對董仲舒如何看天人關係的問題之一些看法, 大致是兩個方面, 一是天人感應的理論之基礎如何? 二是天人感應的具體內涵。

      • KCI등재

        柳河東의 天人關係論 硏究

        조원일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0 No.-

        천인관계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유하동의 천인관계에 대한 견해는 한창려의 천인관계에 대한 견해와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경향을 보인다. 유하동은 양한시기 이래로 계승되어 온 천인감응론에 반대의 입장을 견지했을 뿐만 아니라 천명결정론에 대해서도 확고하게 반대의 입장을 나타냈다. 유하동은 하늘에 의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고, 또 인간의 힘으로 바꿀수 없는 천명(天命)이란 것이 존재한다는 것도 믿지를 않았다. 유하동은 “재앙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으며, 굽은 것을 곧은 것으로 바꿀 수 있다. 그것들은 천명에 달린 것이라기보다 우리들 인간의 힘에 달린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즉 유하동은 재앙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고 굽은 것을 곧은 것으로 바꿀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 바꿀 수 없는 천명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모두 인간의 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상과 같은 유하동의 천인관계론의 내용을 하늘의 형성과정과 하늘의 형태 그리고 하늘 과 인간의 관계 등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There are definitely big different points of view between Liu Zhong yuan and Han Yu about the relation of Heaven and human being. Many of Liu Zhong yuan's writings are mentioned about Heaven and human being, especially <Tian shuo>, <Tian zhuo lun>, <Shi ling lun shang xia>, <Duan xing lun>, <Zhen fu>, <Da Liu Yu xi>, these are important. Liu Zhong yuan was against not only Tian-Ren response, but also against Tian-Ming determinism. He didn't accept that there's will in Heaven and maintained his attitide not to accept Tian-Ming also. Liu Zhong yuan claimed that there was nothing related with Tian-Ming on those changes from misfortune to blessing or changes from distortion to rightness, but he claimed that they are up to human's will only. On his point of view, he established a new tradition that human can change those by his own effort against this idea that it can't be changed because it's already been fixed traditionally by Tian-Ming. Therefore, I'm going to discuss something about Liu Zhong yuan's Tian-Ren relations. First, the issue about the formation of Heaven and its shape. Secondly, the issue that there's no rel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 Lastly, the issue of offence about Tian-Ren response.

      • KCI등재

        중국 재이관의 성립과 변용

        이석현(Lee Suk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공자의 춘추에서 보이듯, 자연 재해는 군주의 정치행위에 대한 경고의 의미였다. 한대 이후 유교적 재이관은 동중서의 천인감응과 천견론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니는 재이관으로 정립되었다.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을 계승한 班固는 한서 오행지 편찬을 통해 역사 사건과 天變災異를 연결시키려 하였다. 하늘의 절대적 인격성과 정치 행위와의 연계성을 강조한 서술은 司馬遷의 하늘에 대한 절대적 인격성을 불신하는 태도와는 대조를 이룬다.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에 본격적인 비판을 제기한 인물은 『史通』의 저자인 유지기이다. 그는 한서 오행지에서 결부시킨 재이와 정치적 사건에 오류가 많고, 견강부회라 비판하였다. 신당서를 편찬한 구양수도 천인감응 재이설에 대해 비판하였고, 天災와 人事와의 관계를 배제하려 하였다. 그는 天災를 서술할 때도 事應은 신중하게 저술하였다. 송대에 일식 월식 등의 자연 현상의 과학적 인식에 따라 신비주의적 천인감응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구양수 사마광 왕안석 등은 천문현상을 과학적으로 인식하였고, 자연재해도 하늘의 뜻이 아닌 일상적인 자연 현상으로 보려 하였다. 성리학자들도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보인다. 그들은 동중서의 천견론을 신비주의적이라 비판하면서, 天의 인격성이나 음양오행 감응이라는 모순적 설명 대신 理라고 하는 원리적 도덕적인 天人 관계로 대체하였다. 그들은 하늘이 인간의 모든 행위에 대해 災異로 반응한다고 보지 않았다. 물론 성리학자들도 재이를 인간과 무관한 순수한 자연현상으로 본 것은 아니며, 君主의 도덕적 수양과 연결시킨다. 전통적 재이관과 다른 점은 그것은 하늘의 뜻이 아닌 理에 기초해 있다고 본 것이며, 災異의 정치 윤리적 함의는 여전히 유지되었다. The disasters in the pre-Qin period were formed by floods and fires that occurred in nature. It can be seen from Confucius Spring and Autumn that the nature of the disaster is a warning to the political behavior of the actual monarch. The Confucianism of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Confucius and was established as a view of catastrophe. It has a strong sense of heaven and man and the theory of heaven and return. Dong Zhongshu(董仲舒) s statement is a political theory that has changed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During the Emperor Wu era, Dong Zhongshu began to seriously systematize and theorize the theory of reincarnation. Through this theory, he believed that he could control the emperor by allowing the emperor’s every move to be disturbed by the ‘heaven’. Ban Gu(班固), who inherited the historical records of heaven and man, tried to link many historical events with the history of heaven and man through the compilation of Hanshu Wuxingzhi(五行志) . In addition, the compilation of the Five Elements includes not only natural phenomena, but also peculiar idols. In this way, the narrative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heaven s absolute personality and political action is in sharp contrast to Sima qian(司馬遷) s attitude of distrusting heaven s absolute humanity. The person who comprehensively criticized the theory of catastrophe and alienation was Liu Zhiji(劉知幾), the author of ShiTong(史通) in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he criticized the catastrophes and political events in Hanshu Wuxingzhi (五行志) , criticizing it as far-fetched. Ouyang Xiu(歐陽修) compiled the Shin Tang Book(新唐書) , and also criticized the theory that heaven and man induced disasters. Ouyang Xiu didn t talk about disasters, and tried to rul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personnel, Even when writing the story of heaven, he wrote the incident carefully. With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such as solar eclipses and lunar eclipses in the Confucian era, there has been a negative understanding of Xuantian-human induction theory. At that time, Ouyang Xiu, Sima Guang, Wan Anshi and other figures always used scientific methods to understand astronomical phenomena. Xue Jixuan declared that “Hanshu Wuxingzhi(五行志) was a history of witchcraft, and severely criticized heaven and man as enemies. Neo-Confucian scholars are also critical of the theory of celestial insensitivity. They think that reason is the rule of all things, but they always regard it as an existence without personality. They criticized Dong Zhongshu s theory of heaven as metaphysics, and tried to replace the contradictory explanations of nature, yin and yang five elements, and induction with the principled mor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They do not think that heaven is a reactionary response to all human actions. Of course,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regard catastrophe as a purely natural phenomen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human beings, but associating it with the moral precepts of the Master.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transfer, it is regarded as based on principles rather than providence, and still maintains the political and ethical meaning of catastrop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