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19세기에 한정하여 심성설에 나타난 ‘주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율곡학파의 심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재’의 문제는 19세기 율곡학파뿐만 아니라 퇴계학파에 속하는 한주학파와도 부각되었던 주요 논제들 중의 하나였는데, 이는 18세기 명덕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이 本心에 대한 리기론적 규정으로 전개되면서 19세기 심설 논쟁에서 부각되었던 논제였다. ‘주재’는 心性論에서 心의 機能을 가리키는 말로, ‘본성 실현의 현실적 주체’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19세기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실천의 정당화 과정으로 짐작된다. ‘주재’의 주체, 그리고 대상 등이 19세기 율곡학파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먼저 퇴계학파에 속한 李震相의 ‘心’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비판의 논점을 살펴보았다. 그의 비판에서 19세기 율곡학파의 心論이 가진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율곡학파 心論의 특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중심으로 19세기 율곡문인들 중 任憲晦, 淵齋學派의 종장인 宋秉璿, 蘆沙學派의 奇正鎭, 華西學派의 李恒老 등의 ‘주재’에 관한 논의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특히 율곡학파의 심설에 나타난 양상을 18세기와의 연관, 즉 율곡사상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에서 살피기보다 19세기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율곡학의 심론에 담긴 본지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ory on "ChuJae(主宰, presid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philosophical problem of "ChuJae" had been given a considerable attention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re was a marked contrast between Yulgok school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The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sisted that emotions and behaviour were amendable to the workngs of the human mind and the Mind contained principle and material[心合理氣]. Among them, Yi Jin-Sang(李震相)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In counterpoint to that of them, Neo-Confucianists of Yulgok school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Yulgok`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indifference to Mind theory was also met with in the Lichi(理氣) theoretical explanation problem of "ChuJae(主宰, preside)".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in recent research. By exploring some key singnifying aspects in their Mind theory, I hope to show them how to justify the Lichi theoretical explanation of "ChuJae(主宰, preside)". Basically, their arguments was coupled with their endeavor to overcome of national crisis. They laid much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and tried to mak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by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후보

        율곡 이이의 동북아 인식과 21세기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

        김용헌 ( Yong Hun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2013년 8월 현재 동북아는 여러 힘들이 충돌하는 장이면서 경제·문화의 측면에선 화해와 협력, 나아가 상생을 위한 공동체 담론들이 성숙되어 가고 있다. 미국의 전통적인 동북아 전략은 동북아는 물론 태평양 지역의 패권을 지속시켜 나가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 중심의 세계 체제를 미국과 중국이 균형을 이루는 새로운 체제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일본의 대외 전략에서 두드러진 것은 미일 동맹체제의 강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우경화와 군사대국화의 경향이다. 더욱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조치, 그리고 개성공단 가동 중단등 경색된 남북 관계는 해법의 실마리를찾지 못하고 있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율곡 이이가 제시한 대외 정책의 두 기준은권(權)과 의(義)이다. 권으로써 변화에 대처하고 의로써 일을 처리한다면 나라를 다스리기가 전혀 어렵지 않다는 것이율곡의기본적인 생각이었다. 권은때에 따라 중을얻는 것[隨時得中]이고 의는 일처리를 합당하게 하는 것[處事合宜]이다. 율곡은 이 두 기준에 따라 동북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자국중심주의, 백성이익주의, 상호신뢰주의, 비침략주의 원칙을 적용했다. 율곡의 사상에 비추어 보자면, 동북아 문제에 접근할 때 우리가 지녀야 할 두 기준은 대한민국의 번영과 동북아의 평화·공생이다. 우리의 동북아 전략은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고양, 동북아 국가 간의 신뢰와 협력,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율곡이 전해주는 동북아 전략의 지혜이다. Two criteria for formulating foreign policy which Yulgok(1536∼1584, his real name is Lee Yi), who served in various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s a famous Neo-Confucian in Joseon Dynasty, proposed are gwon(權) and eui(義). Yulgok thought that it would be not difficult for a king to govern his country if he coped with change by means of gwon(權) and carried out a task in accordance with eui(義). Gwon(權) means to follow the golden means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eui(義) means to deal with issues rightly. According to these criteria, Yulgok gave priority to profit of his own country and interests of his country`s people in solving international problems of Northeast Asia. At the same time he maintained mutual trust between countries and objected to military attacks against other countries. On the basis of Yugok`s diplomatic policy, we have to keep two principles, that is, the prosperity of Korea and peace and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about issues of Northeast Asia. Our strategy for Northeast Asia must be focused on the sustainable improvement of Korean people`s life, their national confidence and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the peace and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 KCI등재

        율곡(栗谷)의 태극론(太極論) 연구(硏究)

        손흥철 ( Son Heung-chul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6 No.-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는 「천도책(天道策)」과 「역수책(易數策)」을 지었고, 여기서 그의 태극론이 시작된다. 특히 율곡은 「역수책」에서 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 법칙을 역수(易數)로 이해하고 그것을 태극과 음양으로 풀이하여 설명하였다. 율곡은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과의 편지에서 리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을 주장하고, 태극과 음양은 선후가 없으며, 따라서 ‘동정무단(動靜無端), 음양무시(陰陽無始)’의 원칙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성학집요』에서 율곡은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에서 ‘生陽’은 결코 ‘유생어무(有生於無)’ 의미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동일정(一動一靜)’도 그렇게 시키는 어떤 존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정(動靜)의 기기(氣機)가 본래 그러할 뿐이며, 리와 기도 선후가 없다고 보았다. 율곡은 사암(思菴) 박순(朴淳. 1523∼1589)과의 논변에서 자신의 태극론을 정립한다. 태극은 음양의 기가 아니며, 음양이 동정하는 기기(氣機)라고 하였다. 여기서 태극은 곧 리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음양은 시작과 끝이 없으며, 음양의 동정에 태극은 항상 거기에 존재하며 결코 따로 떨어져 홀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무극(無極)의 개념을 시작과 끝이 없는 무궁함의 개념으로 이해한다. 율곡의 태극론은 주리(主理)도 아니고 주기(主氣)도 아니며, 리기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리기론을 정립하는 기초이론이며, 이후 기호학파의 중심이론이 되었다. 이러한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독창적 견해이며, 결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주리적(主理的) 설명이나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주기적(主氣的) 성향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언적과 서화담의 이론을 종합하였다거나 영향을 받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제는 태극론에 대한 형이상학적 연구와 함께 이것이 인간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우주자연의 큰 흐름[敦化]과 작은 흐름[川流] 무궁하게 계속되는 그 ‘운행의 규율성과 자연의 기능’이 태극이며, 생명의 모든 근원이 태극이라는 의미이다. 태극은 율곡의 생명철학이기도 하다. YulGok Yi I(1536∼1584) wrote “A Questions and answers for the way of Heaven(天道策)” and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 and this is where his Taiji theory began to be formed. He especially understood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whole creation in the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as the change and the number, and explained it by describing it as Taiji and Yin Yang(陰陽). YulGok emphasized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and “the only one way in li resting on top of the work of qi(氣發理乘一途)” in a letter with WuGye(牛溪) SeongHon(成渾. 1535∼1598),there is no order in Taiji and Yin yang(陰陽), accordingly he sai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aving no clue in movement and quietness” and “having no beginning in Yin Yang. In ShengHakJibyo(聖學輯要), YulGok said that Shenyang(生陽) in “Taiji to move and Shenyang(太極動而生陽)” never mean “being comes from nothing(有生於無)”. And he thought that ‘YinYang’s one move, one rest(一動一靜)’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chedule for all of them, but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that's the way it is, there is no order in li(理) and qi(氣). YulGok establishes his own theory of Taiji in the argument with SaAm(思菴) Park Soon (1523-1589). The Taiji is not the qi of yin and yang, and is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Here the Taiji can be interpreted as li(理). And the yin and yang has no beginning or ending, and the li(理) is always there in the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and it can never exist alone. And he understand the ideas of the Wuji(無極), endless concepts of beginning and ending. YulGok’s Taiji theory is neither li-centered(主理) nor qi-centered(主氣), it can be called a li qi monotheism. And YulGok’s Taiji theory was the basic theory that established his Li Qi theory, and later became the central theory of the GiHo school. It is his original view, and it is far different from that li-centered(主理) theory of Hoejae(晦齋) Yi Eon-jeok(1491∼1553) and the qi-centered(主氣) theory of HwaDam Seo GyengDuk(徐敬德. 1489∼1546). So it is difficult to be influenced or combined with their theory. And now, along with the Metaphysical study of the Taiji theory,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it relates to human life. The endless flow of “the rules of operation and functions of nature” is the Taiji, and all sources of life are Taiji. The Taiji theory is also the philosophy of the life of YulGok.

      • KCI등재

        李栗谷思想中的 「理」 與 「心」

        후지미치아키 ( Michiaki Fuji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율곡(栗谷) 사상 중 ‘무형무위(無形無爲)’의 리(理)의 성질, 심성관계,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의 이론적 구조 등의 문제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풍부한 성과가 있다. 필자의 짧은 소견으로 볼 때, 과거의 연구에서는 율곡의 ‘리’의 ‘무형무위’라는 이 성질에 과도하게 주목하여 율곡 사상의 특색이 리의 활동성이라는 점을 부정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율곡의 문제의식은 리가 ‘활동하느냐’ ‘하지 않느냐’라는 문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기호발(理氣互發)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 가지 본체, 두 가지 근원이 성립될 수 있는가이다. 율곡은 인간의 심정의 근원은 오직 하나이며, 즉 ‘리기혼합(理氣混合)’,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 생각했다. 리기 양자는 혼융 일체되어 상호 협조하여 하나의 본체, 근원을 형성한다. 이 본체, 근원은 만약 한쪽이 부족하면 성립될 수 없다. 분석해 보자면, 기(氣)는 이 본체가 작용할 때 동력의 근원이며, 리(理)는 이 본체의 자원과 정보 내용이다. 여기서 설사 ‘리’ 스스로 활동성을 갖추지 못하여도 전혀 장애가 없다. 왜냐하면 ‘리기혼합’의 구조에서 리는 기의 동력으로 인해 여전히 자기의 내용을 발휘할 수 있고 본체로서의 역할을 유지한다. 율곡은 비록 리를 ‘무형무위’로 규정하였지만, ‘리의 발용’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인정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려면 ‘리기혼융불상리(理氣渾融不相離)’의 관점을 소홀히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인심도심설에 관하여 필자는 율곡이 이해하고 있던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은 인간의 심정에 대한 서로 다른 분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율곡의 이해에 따르면, 사단칠정은 단순하고 움직이지 않는 심정의 종류로 서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가운데서 특수한 부분을 골라낸다. 칠정이 가리키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전체이다. 사단이 가리키는 것은 그 가운데 선(善)의 부분이며, 칠정 중에 사단을 포함한다. 양자의 관계는 바로 전체와 부분이며, 그러므로 대립 모순되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인심도심은 심정이 발생시키고 형성한 구조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인심, 도심은 모두 동일한 성리(性理; 天性)에 근거한 심지용(心之用), 정지발(情之發)이다. 양자의 차별은 바로 ‘발(發)’을 일으키는 동기에 있다. 다시 말해 도심은 ‘도의(道義, 理義)를 위해 발하는 것’이며, 인심은 ‘구체(口體, 食色)을 위해 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심은 ‘성명지정(性命之正)’에 따라 생겨난 ‘도덕정감(道德情感)’이며, 인심은 ‘형기지사(形氣之私)’에 따라 생겨난 ‘자연정감(自然情感)’이다. 양자의 성질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인심도심은 서로 겸할 수 없고 서로 종시(終始)를 이룬다”, “도심은 인심이 아니며, 인심은 도심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이 율곡에게서 시종일관 변화가 없으며 주자에 부합하는 본인의 이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ties of Li(理) which is invisible and inactive,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Yi Yulgok’s thought. Based on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tructure of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Li and Qi(氣) are one substance in Yi Yulgok’s thought and never be apart. It will not form only have one of Li and Qi without the other. Qi is the force of this substance, and Li is the content of it. There is no any problem even if Li has no activity, since Li can exert its content through Qi in the structure of substance. Therefore, for Yi Yulgok, Li concretely exist and has the meaning of being substance. I think that we can not ignore Yi Yulgok’s thought about Li and Qi if we want to repute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율곡학파의 리기론 -리기 이해 문제를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율곡학파의 율곡 리기의 이해(분석) 방법을 살펴본 글이다. 분석의 대상은 시기적으로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구체적 인물로는 율곡 이이와 그의 적전으로 보기에 논란이 없는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 남당 한원진을 선정하였으며, 그 분석 내용은 리기 이해에 국한시켰다. 먼저 율곡의 리기 이해를 분석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이 그의 리기를 이해 방식이 어떻게 구체화하고 심층화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리기 이해의 변화는 율곡의 리기 이해를 원론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다변화시켜 다각도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리기론 자체의 발전만이 아니라 심성론의 심화로도 나타난다. 율곡과 그의 제자들은 리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고백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리기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라는 주자학의 원론적 난제로부터 연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리기를 다각도에서 접근하는 한편, 세분하여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율곡학파의 리기 이해에서 주리와 주기는 한 단편의 이해일 뿐이었다. 이를 통해서 퇴계학파의 주리와 주기의 대립이라는 도식은 제한적으로만 가능할 뿐이라는 것도 부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LiKi by Yulgok school.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LiKi,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Specific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understandings of Yulgok Lee I, and his indisputable disciples, Wooam Song Si-yeol, Suam Kwon Sangha and Namdang Han Wonjin. First, this thesis analyzes Yulgok`s understanding of LiKi and how his disciples made depth in his understanding. Yulgok school could diversify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LiKi in various angles, based on Yulgok`s understanding. Also, this resulted not only in development of Theory of LiKi but also in advance of Theory of XinXing. Yulgok and his disciples confes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explain LiKi. This is drawn from neo-confucian dilemma of Li and Ki being one but two, and two but one at the same time. Yet, they approached LiKi in various angles, subdivided and analyzed LiKi to explain this dilemma. In Yulgok school`s understanding of LiKi, zhuli and zhuqi are only one part of fragmented understanding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oegye school`s diagram of dialectic conflict between chuli(主理, principle(li) as the predominant factor) and chuki(主氣, materail force(ki) as the predominant factor) is only available in restrictive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율곡학파의 심시기와 철학적 문제의식

        김경호 ( Kyung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율곡학파는 심시기(心是氣)를 중심으로 한 심설을 논의하면서 무엇을 고민했고, 무엇을 해명하려 했을까?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하여 한국유학사에서 ‘마음의 문제’를논제로 하여 철학적 논변을 전개했던 율곡학파의 심설을 탐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단계를 설정한다. 첫째, 율곡학파 계열의 심설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율곡 심설에 대해 검토한다. 둘째, 율곡학파 계열에서 제기하는 심설의 흐름을 학술사(지성사)의맥락에서 검토한다. 셋째, 심설을 통해 제기되었던 문제의 근간에는 어떠한 철학적 문제의식이 개입되어 있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해명한다. 율곡학파의 심설은 이이가 제안한 ‘심시기’를 전제로 한다. 이 개념은 17세기 퇴계학파의 경쟁적 관계 속에서 율곡학을 정립하려던 송시열에 의해 재발견되고, 이후 율곡학파 심설의 종지로 확정된다. 이러한 흐름은 18세기의 호락 논변기를 거치고, 19세기로 넘어오면서 다양한 견해가 착종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게 된다. 심설의 논란은 단순히 철학적 개념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유와 실천이 결합된 ‘이념적 편향성’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 과정에서 결코 오래되지 않은 철학적 사유를 발견한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세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심설’이 던지는 근본적인 철학적 물음이다. This article starts from several questions: why theories of mind were mainly discussed by Yulgok school, and what they attempted to explicate. I examined Yulgok School`s theories of mind considering these questions. First, I studied Yulgok`s ideas of min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ories of mind developed in Yulgok schools. Secondly, I examined the phases of theories of mind suggested by Yulgok school in the context of theories of mind. Third, I explicated the significance and philosophical issues under the issue of theories of mind. Yulgok School`s theories of mind are presupposed on "the mind is the energy flow or the mind is the vital force(心是氣)“ presented by Yulgok. The statement is found again by Song Siyeol, who tried to establish Yulgok School in a competition with Toegye School, and was defined as the main purport of Yulgok School. This trend experienced Horak discussion in the 18th and revealed different aspects in the 19th century. The theories of mind are not only philosophical issues but also "dogmatic preference" in the combination of thought and practice. In this process, I found philosophical and fundamental issues, which are far from old: what our mind is and how we should understand this world and live.

      • KCI등재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이 글의 주제는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外延)’이다. 여기서 융합적 지평은 기존의 방법과 관점을 포함하되 우리가 외면하거나 소홀히 하였던 관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수용하는 종합적 지평을 의미한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율곡철학의 리기론에 대한 북한 학자들의 연구경향에 대한 분석과 검토이다. 여기서 필자는 북한의 입장은 유물변증법의 관점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시각도 율곡철학 연구의 외연확대에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둘째, 북한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8~1967)가 『朝鮮儒學史』에서 조선성리학을 주리(主理)□주기(主氣)로 나눈 이분법적 시각을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율곡의 리기론을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관점으로 보는 시각이 여러 모순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동법(大同法)을 중심으로 율곡의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북한 학자들은 율곡의 경세관을 그의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결국은 봉건주의적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넷째, Adam Smith(1723~1790)의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에 나타난 경세관과 율곡의 경세관을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율곡 경세론에 관한 연구의 지평 확대와 그 외연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철학자의 시대적 역할을 논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이 철저하게 생활에서의 실천과 일치해야 한다는 “이사일치(理事一致)”의 정신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또한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Qi(理氣) in Yulgok (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主氣論)’ that Takahashi Doru(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 Qi(理氣) in Yulgok(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 theory(主氣論)’ that Takahashi Doru (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 KCI등재

        율곡학연구(栗谷學硏究)의 새로운 지평 및 신공동체(新共同體)의 모색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이 논문은 율곡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보고, 21세기 미래사회의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이상을 율곡의 경세론에서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율곡의 철학을 두 가지 분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첫째는 율곡의 성리학(性理學) 연구의 경향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필자는 그동안 율곡 성리학을 연구하는데, 기존의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연구 경향과 지나친 퇴계와의 비교연구의 태도를 버려야 율곡 성리학의 진면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율곡성리학의 세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는 율곡 경세론의 특징을 정리하고, 이에 관한 적극적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율곡학은 바로 성리학과 경세론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동안 경세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반성하고, 율곡의 경세론을 연구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새로운 사회윤리와 이념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필자는 공동체 운영에서 지도자는 도덕적 정의를 실천해야 하고, 또한 실무능력과 희생정신을 갖추어야 하며, 일반 백성은 자유로운 소통(疏通)과 공론(公論)을 존중해야 함을 논증하고 확인하였다. 율곡의 경세론에서 이러한 정신을 밝혀서 미래의 공동체 형성과 운영의 원리로 삼아야 함을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I seeked for new horizons of Yulgok(1536~1584) studies, and looked up the ideal to form a new community of futur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n Yulgok's administration theory. For this purpose, I divided Yulgok's philosophy into two areas. The first was criticizing the tendency of study Yulgok's Neo-Confucianism and seeking new directions. As a researcher who has been studying Yulgok’s Neo-Confucianism,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ard the dichotomous research trends of the existing Li(理)-centered(主理) and Qi(氣)-centered(主氣), and to cease the excessive attitude of comparative research with Toegye(退溪) to understand the true aspects of Yulgok Neo-Confucianism and thu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Yulgok’s Neo-Confucianism. Secondly, I emphasized the need for active research on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經世論). The studies of Yulgok consist of two parts :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Administration, but the latter has not yet been studied enough, and thus we need to study further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 to get new social ethics and ideologies in future society. Here, I argued and confirmed that i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leaders should practice moral justice, also have practical skills and spirit of sacrifice, and the general public should respect free communication and public opinion. This spirit was revealed in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 and it was proposed that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good community should be based on the spirit.

      • KCI등재

        율곡의 감응론(感應論) 연구

        장승구 ( Jang Seung Koo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동아시아적 사유 전통에서 천지 만물은 기(氣)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한다. 인간은 기(氣)를 통해 다른 인간이나 동물, 자연, 하늘과 서로 감응(感應)하는 존재이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는 감응에 대한 주제로 다수의 글을 남겼다. 율곡은 인간과 인간 사이는 물론이고, 인간과 하늘, 인간과 자연 사이에도 감응현상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과 하늘은 서로 감응해서, 일반적으로는 인간의 유덕한 행동에 대해서는 하늘은 길(吉)한 결과로 감응하고, 악한 행동에 대해서는 길하지 못한 결과로 감응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수(理數)의 변(變)을 당해서는 인간의 선악에 대한 하늘의 감응이 올바르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율곡은 천도책(天道策)에서 인간이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자연에 재이(災異)가 나타날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 군주가 덕에 따라 정치를 잘 하면 이에 감응해서 자연의 질서가 조화를 유지하고, 반면에 도에 어긋난 정치를 하면 자연이 조화를 잃고 재이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성인(聖人)의 지극한 성(誠)은 인간과 세상을 변화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응이 되지 않는 인간이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자포자기하는 하우(下愚)는 성인의 덕으로도 어쩔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역사에 있어서 덕이 있는 인간의 지극한 노력으로도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면 좋은 뜻이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덕이 없는 인간이 힘만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듯 보이는 때도 있다. 또한 율곡은 인간이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하면 때로는 그 기도가 하늘을 감응시켜서 효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고 인정한다. 율곡은 인간이 타인이나 귀신이나 하늘을 감응시키는 것은 성(誠) 때문이라고 한다. 성의 크고 작음에 비례해서 감응의 정도도 깊고 얕을 수 있다고 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은 수양을 통해 덕을 쌓고 지성(至誠)의 덕을 갖게 되면 인간과 세상을 긍정적으로 감응시켜서 이 세상을 조화롭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서 형세(形勢)가 중요하게 되면 인간의 덕(德)이 정당한 감응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율곡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적 합리적 노력을 신뢰하고, 인간의 최선의 노력에 감응하여 이 세상에 긍정적 변화와 조화가 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진인사(盡人事)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In the East Asian thought tradition, it is understood that all th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made up of ‘qi(氣)’. Human beings are those who respond to other human beings, animals, nature, and the heaven. Yulgok Yi Yi (1536-1584) wrote a number of writings on the theme of resonance(感應). He argues that there are resonance phenomena not only between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s and the heaven,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According to Yulgok, humans and heavens respond to each other, and in general, heaven responds to human virtuous behavior with good results, and to bad behavior with bad results. However, in the case of a chaotic period, it seems that the heavenly response to human good and evil may not be correct. Yulgok says that ‘disasters’ (災異) may appear or disappear naturally depending on how humans do politics. He thinks that if the monarch politicizes according to virtue, the natural order would be in harmony in response, and on the other hand, if the politics does not go along the way, nature would lose harmony and disaster may take place. The saint’s sincerity((誠) changes humans and the world, but there are exceptional humans who give up moral values. Even with the utmost efforts of virtuous human beings in history, good meaning may not succeed when encountering an unexpected event. On the contrary, there are times when it seems that a person without virtue controls the world only by power. However, it seems that such anomalies do not last long. Yulgok also admits that if people prays earnestly sometimes that prayer would be responded by the heaven and get benefits from it. Yulgok says that it is sincerity that makes humans responded to others, ghosts, and heaven. It seems that the degree of resonance may be deep and shallow in proportion to the purity of sincerity. According to Yulgok, human beings develop virtues through self cultivation, and when they acquire the virtues of sincerity, they make humans and the world positively respond and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the world. Of course, depending on the times, human virtues may not be able to get a proper response when the situation becomes worse due to the unexpected event. However, Yulgok generally recognizes that human best efforts would bring about positive change and harmony in the world and he emphasizes doing the best.

      • KCI등재

        율곡의 천도 조화와 도체 해석 - 유도회통(儒道會通)을 중심으로 -

        이난숙 ( Lee Nan Soo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醇言』에서 천도(天道) 조화(造化)와 도체(道體)라고 말한 개념을 중심으로 율곡의 인식과 그 특징을 비교론적으로 해명하였다. 천도는 하늘의 작용과 이치이며, 조화는 우주 만물의 형성을 말하고, 도체는 우주의 변화 작용과 운용의 본체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율곡의 『순언』을 비롯하여 책문인 「易數策」, 「天道策」과 「答成浩原」 및 도가역학자가 주석한 『주역』의 천도 조화와 도체에 관한 해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율곡은 『순언』에서 『도덕경』의 도(道)가 천도 조화이고, 무위(無爲)가 도체라고 하였다. 율곡은 주희가 말한 도즉역지태극(道卽易之太極)을 인용하고, 『도덕경』의 도(道)와 『주역』의 태극(太極)을 일체적으로 해석하였다. 이 『도덕경』의 도를 도즉천도(道卽天道)라고 하여 천도임을 말하였다. 도(道)는 만물을 양육하는 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율곡은 도(道)와 덕(德)이 최고로 존귀하며, 스스로 그러한 자연(自然)이라고 했다. 둘째, 율곡은 「역수책」에서 리와 기의 미묘한 쓰임[理氣妙用]을 말하고, 천지만물이 형성되는 실마리이자 시초가 무극(無極)이라고 하였다. 그는 태극의 체가 역(易)이고, 우주와 사물의 변화는 하나의 리(理)이자 도(道)라고 보았다. 「천도책」에서 율곡은 천도는 리(理)이고, 우주의 만화(萬化)·만상(萬象)이 기(氣)의 작용이라고 했으며, 인간은 천인상응하는 존재라고 하였다. 「답성호원서」에서 율곡은 리는 무위, 기는 유위이며, 기발리승(氣發理乘)으로 설명하고, 「계사전」을 비유하여 리의 무형(無形)과 무위성(無爲性)을 말하였다. 셋째, 도가의 현학(玄學)을 중심으로 『주역』을 주석한 학자 가운데 한강백은 일음일양의 도(道)=태극(太極)=무(無)라고 하였고, 당(唐)의 공영달은 태극=원기(元氣)라고 하고도 태극=도=무(無)=일(一)=허무(虛無)로 주석하였다. 즉 그는 귀무론(貴無論)와 유·도가 개념을 혼융(混融)한 관점으로 주석하였다. 따라서 천도 조화와 도체에 관한 율곡의 관점은 도(道)=태극(太極)=천도(天道)이고, 무위(無爲)=본체(本體)=리(理)이다. 만물 형성의 천도 조화가 도로 귀결되며, 그 작용은 무위로 일어나는 이치를 담고 있다는 뜻이 된다. 율곡의 이러한 인식 근저에는 한강백의 도즉태극(道卽太極)과 주돈이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을 수용한 주희의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율곡의 천도 조화와 도체 해석에는 이유석노(以儒釋老)의 관점뿐만 아니라 이노석유(以老釋儒)의 현학적 관점이 혼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perception about Tiandao(天道) Zaohua(造化) and Daoti(道體) in Yulogok's 『Suneon(醇言)』 referenced in Huitong(會通) of Confucianism[儒] and Taoism[道]. Tiandao Zaohua describes the formation of heaven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Daoti is the metaphysical noumenon which forms the basis of its operation and the change. This paper compared the interpretation of Suneon, the writings of Yulgok and 『Zhouyi(周易)』 interpreted by Taoist scholars and consequent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Yulgok’s perception. Yulgok firstly maintained that Dao in the 『Daodejīng(道德經)』 is Tiandao Zaohua and wuwei(無爲) is Daoti. Yulgok quoted that ‘dao is Taiji of 『Zhouyi』 Dao in the Daodejīng and Taiji of 『Zhouyi』 is cohesive. Furthermore, Yulgok held that Dao is Tiandao. It was stated that Dao of 『Daodejīng』, has the virtue of nurturing all things and the virtue of Dao and are most precious value and naturalistic. Secondly, Yulgok specified liqimiaoyong in 「Yishuce(易數策)」, and elucidated the formation of all things was the evidence and beginning of wuji(無極). Yulgok acknowledged that the noumenon of taiji(太極) is Yi(易)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objects is Li(理) and dao(道). In 「Tiandaoce(天道策)」, Tiandao is Li, and the universe’s ten thousand changes(萬化) and all things(萬象) are the actions of Qi(氣). It was established in a way that humans correspond to heavenly people. In 「Dachenghaoyuan」, Li is wuwei(無爲) and Qi is youwei(有爲). Li without shape and nothingness(無爲性) were explained by associating with 「Xicichuan(繫辭傳)」. Thirdly, Hankangbo who commented on 『Zhouyi』 as Daojiasixiang's Xuanxue, understood Yiyinyiyang's dao(道)=taiji(太極)=nothing(無)'. KongYingda of Tang Dynasty is considered as taiji=original qi(元氣), taiji=dao=nothing=one(一)=xuwu(虛無). Moreover, KongYingda said that Yiyinyiyang is wuyinwuyang. In other words, from the viewpoint of theory of nothing, the concept of Taoism and Confucianism were annotated as combination(混融). In conclusion, Yulgok who was intended to Huitong of Taoism and Confucianism recognized dao=taiji=tiandao and wuwei=noumenon=Li in Tiandao Zaohua and Daoti. Consequently, the Tiandao Zaohua in the formation of all things is dao and its action becomes Li, which occurs with wuwei. This view of Yulgok follows the view of ZhuXi, which embraces dao is taiji(道卽太極) of Hankangbo and the wujiertaiji(無極而太極) of Zhou Dunyi. It can be seen that Yulgok's interpretation of Tiandao Zaohua and Daoti includes the perspective of Iyuseokno(以儒釋老) and pedantic point of view of Inoseokyu(以老釋儒).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