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

        김경신 한국노년학연구회 2002 한국 노년학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노년기가 길고 최근 들 어 다양한 측면에서 그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노인 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가족가치관의 일반적 경향 및 그 차이 를 파악해보고 또 가치관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관련된 요인을 검토 하여 가족가치관의 전반적인 흐름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31명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가족가치관을 영역별로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은 아직 전 통적 수준에 머물고 있었지만, 성 역할에 관한 가치관은 다른 영역 에 비하여 근대화 경향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적으로 노인부양의 가치관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났는데, 이는 가족가치관 중에서 노인부양 문제가 가장 다양하게 논의거리가 됨을 의미한다. 한편 가족주의 가치관의 경우 어느 집단이나 공통적으로 굳건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건강한 집단에서 가장 근대적인 가치관을 나타내 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의 가치관이 낮은 집단보다 더 근대적이어서 아들이나 장남에 대한 부양기대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정생활만족도 또는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의 가치관 이 보다 더 전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산지역 가족가치관의 변화 및 영향 요인

        김혜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전반적으로 어떠한지,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이러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제7차 조사와 2008년 제2차 조사를 활용하여 10년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족가치관은 결혼가치관, 자녀 가치관, 부부생활 가치관, 가족 내 성역할의 4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의가족가치관은 전반적으로 비전통적인 방향으로, 보다 개방적이고 성평등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령, 혼인상태, 학력이 작용하고 있으며전반적으로 20대 이하, 미혼, 전문대 및 대학 이상 학력자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비전통적이며 보다성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부생활 가치관에서는 60대 이상, 기혼, 중학교 이하 학력자의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아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더불어 2008년과 2018년의 변화를 통해, 가족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20대 이하, 미혼, 전문대 및 대학 이상 학력자에서 강화되는 현상을 발견하게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우리사회 지속적인 경제적 상황의 악화와 젠더 갈등으로 인한 것인지, 부산만의 문제인지는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면밀히 탐색할 필요가 있다. 향후 가족가치관의 변화에따라 가족의 다양성 및 가족 내 성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장하고 부산지역 가족 정책 및 제도를 어떻게 연결하고 모색할 것인지에 폭넓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가치관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이윤석,김필숙,심규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1세기 이후 한국은 초저출산 현상을 경험하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많은 정책적 노력을 경주해 왔다. 그러나 정책 실효성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지 못해 저출산 원인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출산력에 대한 변화는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뿐만 아니라 결혼 및 자녀 등 전통적인 가치관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특정 시기에 기혼 여성들의 가치관에 대해서는 잘 파악하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는지는 미처 주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시기 실시된 자료들을 모두 이용하여 가치관의 변화를 통시적 입장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을 경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가치관과 실제 출산행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둘째, 2000년 이후 실시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1세기 이후 결혼과 자녀에 대한 기혼 여성들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추적하였다. 2. 주요 연구결과 가치관이 출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생 자녀 수, 가구소득, 학력은 49세 이하 기혼 여성들의 출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출생 자녀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부인과 남편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 여성이 출산할 가능성은 낮아졌다. 또한 수입이 많을수록 이후 4년간 임신할 가능성이 낮아졌다. 그러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출산 가능성은 더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2000년 이후 실시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1세기 이후 결혼과 자녀에 대한 기혼 여성들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혼 여성들의 결혼 가치관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에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이러한 경향과 달리 2015년 현재 결혼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을 투입하자 기혼 여성의 연령과 학력이 높아질수록 결혼 가치관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취업은 결혼 가치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녀 수의 경우 0명, 1명, 2명인 경우 결혼 가치관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결혼 가치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자녀 가치관의 시계열적 변화를 보면 자녀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은 매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투입하자 이러한 변화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즉, 기혼 여성의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한 기혼 여성은 전업주부와 달리 자녀 가치관에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3. 결론 및 시사점 여성가족패널과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들의 가치관이 출산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들어 확연하게 결혼은 더 이상 의무가 아니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동시에 자녀에 대한 태도는 매우 모호한 것으로 가족 관련 다양한 태도들은 21세기 들어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이제는 정책적으로 가족, 결혼, 자녀 등 포괄적 가치관에 대한 고려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자녀를 한 명 갖고 있는 기혼 여성들은 저출산 정책당국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집단으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저출산은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단순히 출산 영역만의 문제는 아니며, 어쩌면 사회적 모순이 총체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고 있는 부정적 현상일 수 있다. 때문에 저출산 정책의 관심을 더 이상 출산에만 한정하지 말고 삶의 과정 전체를 아우르는 폭넓은 시각을 갖고 접근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dea of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has gained ground among demographers who are interested in low fertility levels in developed countries. This perspective insists that people have more individualized attitudes about their life events such as careers, marriage and children. As they place more values on their own hopes and preferences, they tend to delay or avoid marriages and give less births.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application of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Theory by 1)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attitudes about marriage, children and gender roles and later childbearing behaviors and 2) tracking down the trends in attitudes about marriage and children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finds that how married women view marriage and children matters in their decisions about pregnancy and notices a recent large drop in the absoluteness of marriage even among married women, those who may be so favorable toward marriage. This study indicates that policies toward low fertility levels should pay attention to our perspectives about not just children but also competing events in life.

      • 현대정신과 가정의 위기 그리고 가정에 대한 교회사회사업가의 성서적 가치관 고찰

        유장춘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09 교회와 사회복지 Vol.10 No.-

        본 연구는 현대정신에 기초한 사회복지전문가치관과 이에 대립되는 성서적 가치관을 어떻게 통합하여 교회사회사업을 설정할 것인가를 가정이라는 주제를 통하여 토론하였다. 개인주의(individualism), 실용주의(pragmatism), 상대주의(relativism), 쾌락주의(hedonism), 물질주의(materialism) 등은 현대정신을 대표하는 철학적 사상들이다. 이 사상들은 현대가정의 위기가 심화되는 것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회복지전문가치관은 현대정신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가정의 문제를 치유하고 극복하는 데는 매우 한계가 있다. 성서적 가치관은 현대정신과 매우 대립되는 개념들로 구성된다. 교회사회사업의 가치관은 사회복지전문가치관과 성서적 가치관을 통합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가정을 위한 교회사회사업의 가치관으로서 영성적 이타주의(spiritual altruism), 복음의 세속적 타당성(secularistic validity of gospel) 절대 진리의 상대적 적용(relativistic applications of absolute truth),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 추구(pursuit a high level pleasure) 영성적 공유(spiritual public ownership)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 이러한 가치를 가정문제에 어떻게 적용하여 실천할 지를 설명하였다.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based on modern ideology and biblical values are up against each other. This study is discussing on the way to integrate these two opposite values and how to establish a set of church social work values. These philosophical theories represent for the modern ideology: individualism, pragmatism, relativism, hedonism and materialism. These ideologies are having great effects on deepening the crisis of modern family. There is a limit to the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to treat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modern family, for the value-system is based on modern ideology. The values of church social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and biblical values. The researcher has brought up spiritual altruism, secularistic validity of gospel, relativistic applications of absolute truth, pursuit a high level pleasure and spiritual public ownership as a values of church social work. Also he suggested the proper way to apply these values to the family problems and practice it.

      • KCI등재

        가치관경영에 관한 소고

        이치우,김흥규 한국경영사학회 2020 經營史學 Vol.95 No.-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dea that the CEO’s values affect the corporate culture and the corporate culture affec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management paradigm in which value management emerged. Next, we looked at trends in research on valu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CEO values. Next, we looked at trends i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valu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Next, we introduced value management, a management technique that leads to excellent management performance from excellent CEO values. Finally, it was derived how to practice value management. Since the 2000s, coexistence, the core of the economic paradigm, have triggered a change in the management paradigm, that is, from the focus of corporate profits to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Value management is a management technique suitable for this management paradigm. This is because value management helps to maximiz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by maximizing the capabilities of the employees, centering on the employees. Value management is to ensure that the principles and priorities that the CEO and employees must adhere to to create the desired company are consistently applied to their work and decision making.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ce of value management is to form an excellent corporate culture to create outstanding management performance and fulfil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Value management can be practiced by following the steps, assessment of values, establishment of values, systemization of values, and life of values. Since value management is important to practice, companies need to establish a mission or vision, and establish an operating system that gives feedback to employees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nd organization management. Since value management is important, companies need to establish a mission or vision, and establish an operating system that provides feedback to employees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anies that do value management are said to have very high sales growth rates, employment growth rates, stock price growth rates, and profitability growth rates compared to those that do not. We hope that korean companies will practice value management, grow, and develop into a great company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CEO의 가치관은 기업문화에 영향을 주고 기업문화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가치관경영이 대두된 경영 패러다임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 가치관, 조직문화, 그리고 CEO 가치관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다음 CEO 가치관, 조직문화, 그리고 경영성과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다음훌륭한 CEO 가치관으로부터 탁월한 경영성과에 이르게 하는 경영기법인 가치관경영을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관경영을 어떻게 하면 실천할 수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2000년대 이후 경제 패러다임의 핵심인 공존과 상생은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즉 기업이익 중심에서 공유가치 창출로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경영 패러다임에 적합한 경영기법으로 가치관경영을 들 수 있다. 이는 가치관경영은 종업원을 중심으로, 종업원의역량을 극대화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최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가치관경영이란 CEO와 종업원이 원하는 회사를 만들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과 우선순위가 각자의 업무와 의사결정에 일관되게 적용되게끔 하는 것이다. 즉, 가치관경영의 본질은 훌륭한 기업문화를 형성하여 탁월한 경영성과를 창출하여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치관경영은 가치관 현황진다, 가치관의 정립, 가치관의 시스템화, 그리고 가치관의생활화의 순서를 밟아 실천할 수 있다. 가치관경영은 실천이 중요하므로 기업은 미션이나비전을 세우고, 인사관리, 조직관리 등을 통해 종업원에게 피드백을 주는 운영시스템을확립할 필요가 있다. 가치관경영을 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매출성장률, 고용성장률, 주가성장률, 그리고 수익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아무쪼록 우리나라 기업은 중소기업ㆍ대기업관계없이 모두 가치관경영을 실천하여 훌륭한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성장ㆍ발전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삼식 ( Lee Sam-si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保健社會硏究 Vol.26 No.2

        최근의 저출산현상을 가치관 변화가 주도하고 있다는 사회문화적 주장과 가치관 자체보다는 사회환경 변화에 대한 정책적 노력의 미흡에 기인한다는 신가정경제이론식 주장이 상존하고 있다. 가치관 변화가 출산율 감소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는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책적 노력의 영역과 그 수준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결혼가치관과 자녀가치관 그리고 성역할가치관이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자,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결과를 로지스틱회귀모형과 다중회귀모형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현상뿐만 아니라 가치관 변화도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미혼남녀가 향후 결혼생활과 실제 상충될 수 있는 가치관들만이 결혼 결정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혼남녀가 결혼시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인구 사회학적 상황이 중요하며, 가치관으로는 결혼필요성이 약하거나 성분업적 역할에 대해 부정적인 경우 결혼시기를 늦추는 경향이 있다. 인구사회학적 상황에 따라 출생자녀수가 결정되고 있으며, 자녀필요성, 혼전동거, 이혼, 자녀효용, 성분업적 역할 등에 관한 가치관 자체도 출생아수 결정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모두 미혼남녀가 결혼을 하는 데 부딪히는 현실적인 장애요인을 해결해주는 한편, 결혼·가족의 소중함 등에 대한 가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사회문화운동을 통해 결혼문화 개선 및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내용 개편을 통해 자녀 가치를 도구적 가치로 귀속하지 않고, 정서적 가치를 강조하되 자녀출산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남녀간 의식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성평등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출산·양육부담이 여성에 전가되지 않는 성평등적·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여건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결혼, 자녀 및 성역할에 관한 가치관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분하게 설득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치관 형성시기인 유소년 시절부터 가치관을 올바르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제 가치관에 관한 독립적인 인구교육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저출산대책은 가치관이 자녀 출산 및 양육에 유리한 방향으로 정립·전달되고, 성평등이 사회 전반에서 실질적으로 확립되고, 동시에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관련 제도의 개선 등이 수반되어야 그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Some argue that the rapid fertility decline in Korean society is due to the change in values but the others believe that it is due to lack of policy efforts in response to change in societal environments on a basis of New Home Economics theory.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n values and the rapid fertility decline is of academical importance and also suggests an important evidence for the related policy-decision. This study aims at measuring the impact of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child and gender role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through applying the data on the 2005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Dynamics to the regression models. As a result, not only the socio-economic phenomena but also change in values appear to affect marriage intention of the single males and females at ages between 20 and 44. The values in probable conflicts with marriage life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s. Socio-economic conditions appear to affect the timing of marriage. The single males and females with negative value on marriage and division of gender role tend to postpone their marriage. The number of children appear to be decided by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ever-married women(20~44). For the ever-married women, values on child, cohabitation, divorce, and gender role als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children.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1) the barriers of marriage should be eliminated and the education on value of marriage and family should be reinforced; 2) throug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emotional value of child should be strengthened in favor of child bearing; 3) education on gender equality should be reinforced to foster fender equal and family-friendly society and culture; and 4) Values in favor of marriage, child birth, and gender role need to be delivered to the children and youth, which can be effective through establishment of population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의준(Jeong, Steve),유승호(Ryu, Se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 KCI등재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손승영(Seong Young Sohn),김은정(Eunj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4

        이 연구에서는 저출산의 문제를 가족 가치관의 변화와 접목시켜 살펴 봄으로써,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저출산의 문제를 우리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 간에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가치관에 합의점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간주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에 따른 가족가치관의 차이 분석하였다. 집단 간 차이는 젊은 여성들인 여대생 집단을 기준으로 하여 성별에 따른 비교대상인 남자 대학생 집단, 그리고 세대에 따른 비교대상인 어머니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의 가족가치관, 즉 결혼가치관, 출산가치관, 자녀관을 남자대학생들과 비교해 본 결과, 여대생들의 출산관은 남자대학생들보다 비전통적이면서, 동시에 자녀양육부담을 남자대학생들보다 훨씬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여대생들의 가치관을 세대 차이에 따라 그들의 어머니 집단과 비교해 본 결과, 이들이 어머니 집단에 비해 결혼가치관, 출산가치관, 자녀관에서 모두 비전통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어머니 집단보다 자녀양육부담의 심각성을 보다 민감한 수준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이상에서 살펴 볼 수 있듯이, 젊은 여성들의 생각은 동세대 남성들과도 차이가 나고, 또한 나이든 세대의 여성들과도 구별된다. 그들의 가족가치관은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것처럼, 비전통적으로 변화해가면서 개인주의적/남녀 평등적으로 변화해가고 있으나, 기타 다른 집단은 이러한 변화의 속도에서 지체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양육의 주 책임자로 인식되고 있는 여성들은 자녀출산으로 인해 예상되는 부담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고 있는데, 이들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자녀출산을 지연 또는 포기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저출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ason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family values. It investigates what are major differences of family values and the perception of burdens of delivering/nurturing children among female,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ample population includes 249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greater Seoul areas. It finds out female college students has much less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much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burdens than their mothers and male college students. It implies that there is the meaningful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 in terms of family values and childbirth/rearing issues. Young women lead changes in family valu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decide not to have children attributing to the gender discriminating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social atmosphe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in Korea was the result of the relatively preserved traditional family values lagging behind the rapidly changing young women’s family values.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사업가치관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의 매개역할

        채주석,권주형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of the study by empirically analyzing that the influence of the CEO’s values on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strategic decision-making in relations bbetween them even though the CEOs value have a great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derived a hypothesis after reviewing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on social values, strategic decision-making, and management performanc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SMEs CEO in Kore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CEO’s business values(economic and social valu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 positive influence of business value on strategic decision-making and the positive impact of strategic decision-mak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strategic decision-making played a part in mediat- 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valu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academic research by empirically researching the economic and social val- ues of CEOs and by studying the mediating role of strategic decision-m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value and performance. In addition,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EO’s values and strategic decision-making are important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는 조직성과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가치관이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한 점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사업가치관, 전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사업가치관(경제적 가치 관, 사회적 가치관), 전략적 의사결정(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적 의사결정, 적응적 의사결정), 경영성과(인당 순 이익)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과 전략적 의사결정의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자료는 국내 중소·중견 기업의 최고경영자 95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신 뢰성과 타당성을 검토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경제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 각각이 인당 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적 의사결정, 적응적 의사결정 각각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자의 경제적 가치관은 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적 의사 결정, 적응적 의사결정 각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고경영자의 사회적 가치 관은 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적 의사결정, 적응적 의사결정 각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섯째, 경제적 가치관 및 사회적 가치관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적 의사결정, 적 응적 의사결정은 간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경제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을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최고경영자의의 사업가치관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의 하위변인인 기업가적 의사결정, 계획 적 의사결정, 적응적 의사결정 각각에 대한 매개역할을 연구함으로써 학문적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과, 경 영성과 향상을 위한 최고경영자의 가치관에 대한 정립, 전략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측면에서의 시사점 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항이념적 가치관에 바탕한 능동적 사회주체 모형의 탐색

        김윤철(Kim, Yun-cheol)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6 No.-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대학생은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차지해왔다. 특히 탈권위주의화·민주화와 같은 사회변동의 추동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한국사회 대학생들의 삶의 양식을 볼 때, 그와 같은 정치, 사회 적 위치와 역할은 크게 변화 혹은 약화된 듯 하다. 특히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정치, 사회적 현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집합적 주체로서의 면모를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이와 관련 이 글에서는 현 시기 한국 대학생들의 삶의 양식과 가치관이 갖는 문제점을 추적하고, 그것의 극복을 위한 모형 탐색의 일환으로 1980년대의 대학생들의 삶의 양식과 가치관을 검토해본다. 한편 이 글에서는 이념의 기능과 가치관의 유형, 그리고 삶의 양식과 주체 유형에 관한 논의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은 이에 바탕해, 현 시기 한국 대학생을 ‘지배이념적 가치관에 포획된 비사회 주체’로, 그리고 1980년대 한국 대학생을 ‘대항이념적 가치관에 바탕한 능동적 사회주체’로 규정한다. 하지만 1980년대 한국 대학생의 삶의 양식과 가치관이 하나의 모형으로서 자리매김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이 먼저 모색되어야 한다. 첫째, 이념의 교조적 수용의 지양. 둘째, 이념적 타자와의 생산적 소통을 위한 역량의 증대. 셋째, 생명을 경시하는 실천방식 지양이 바로 그것이다. Typically, a university students are important to political-social status and role in korea. especially, they were a force of democratization. But the latest, their influence is weaken. Henthforth, this article chases a university student's problem of life style and a sense of values in the present day. And searchs a model to overcome it's problem. At this time, investigates a university student's life style and a sense of values in 1980's. On the one hand, this article takes to argue a functions of ideology and types of a sense of values, and types of life style and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is, this article defines a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esent time as ‘non-the social subject is seized by domination ideology’, And a university students in 1980's as ‘the social subject based on Counter Ideological value’. However, a university student's life style and a sense of values in 1980's have some problems. The first, dogmatic reception of ideology. The Second, lack of ability to communicate with ideological others. The third, a pratical mode of contemption of life.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solve tha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