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고 보우의 산문과 가음명시(歌吟銘詩)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성격

        전재강(Jeon, Jae-gang)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여말의 문학적 성과에 비하여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여겨지는 선시 문학연구, 이를 통한 당대 사대부 문학과의 대비 연구라는 큰 주제에 접근하기 위한 구체적 작업으로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출가 수행자로서 일체를 초월하여 사대부 문학과 같은 선상에서 논의하기가 어려울 것 같지만 선사들에게는 세간과 출세간의 두가지 현실이 놓여 있었다. 특히 국내외에 걸쳐 출가와 현실 참여의 생활을 해온 태고 보우는 세간만 살아간 유자들보다 더 다양하고 굴곡 있는 삶을 체험했을 수 있다. 이에 구체적으로 태고의 출세간적 운문 작품인 가음명시와 세간적 산문을 동시에 살펴서 그의 작가의식을 구명해 보았다. 먼저 그는 가음명시와 산문의 전반부에서 주로 현실적 작가 의식을 표현했다. 출가 수행자로서 태고는 세간과 출세간의 두 세계 모두를 현실로 인식하고 그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현실적 작가 의식을 보여주었다. 출가 수행자이지만 출세간의 세계를 허용한 세속의 황제나 군왕의 위신을 전적으로 긍정하여 그들을 위해 축원을 드리고 출가 공간의 소박하고 순수한 환경, 수행과 깨달음, 교화의 당위적 현실을 역시 있는 그대로 그림으로써 두 세계의 현실을 현실로 인식하는 현실적 작가의식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그는 겉으로 드러난 현실에 국한하지 않고 운문과 산문 두 유형의 작품에서 초월적 작가 의식을 드러냈다. 그는 자기가 거처하는 공간이나 『화엄경』의 내용, 선수행의 과정을 표현한 시, 설법이나 축원 법문과 같은 산문에서 감각으로 잡을 수 없는 세계를 부정 어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초월적 작가의식을 드러냈다. 태고암은 알 수 없고 방향이나 상대가 없으며, 화엄의 진리는 보고 들을 수 없으며, 본래면목에 이르는 수행에서는 일체를 내려놓고 망념을 극복해야 한다고 시가 작품 후반부에서 말하고, 개당 설법이나 축원 법문, 교시와 같은 현실적 맥락에서 하는 법문에서도 단락 내에서 행사에 사용하는 향이나 주장자와 같은 대상물을 가지고 일체 상대 유한의 세계를 부정하고 초월적 세계를 보임으로써 초월적 작가의식을 드러냈다. 얼핏 보아 그는 현실적 맥락에서 창작한 시나 산문의 같은 작품 안에서 앞에서 살핀 것과 같이 상반되고 모순되는 듯한 작가의식을 보여 주었는데, 작품의 중간이나 후반부에 오면 이 양자를 하나로 통합하는 시적 표현이나 서술을 함으로써 원융적 작가 의식을 보여 주고 있었다. 같은 태고암을 두고서 있음과 없음이 하나인 존재, 좁고 넓음이 하나 된 존재로 보거나, 화엄의 진리를 두고도 삼매 속에 화장세계가 드러난다고 하여 역시 없음과 있음이 통합된 어떤 상태로 보고, 자연에 은거하는 삶에서 꿈과 깸이 하나이며 작용 없는 나무소가 봄바람으로 화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그려서 현상이 초월과 혼연일체가 되어 있음을 표현하고, 산문의 경우에는 축원이나 교시의 법문의 현실 맥락에서 현상과 초월의 경계가 하나임을 서술하고 있어서 원융적 작가의식을 역시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작가 의식은 엄밀히 보면 하나이다. 어느 하나를 말해도 나머지 셋이 거기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이 하나이고 하나가 셋이라는 역설이 가능하다. 존재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셋이 되기도 하지만 존재의 본원에서 보면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태고의 작가 의식이 과연 당대 유자들의 그것과 비교하면 어떤 의미를 가지며 또한 어떻게 역사적으로 기능했는가를 구명해야 할 새로운 과제가 떠오른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aegobowu(太古普愚)’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in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reality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the third aspect is the simultaneous reality-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reality characteristics of Taegobowu(太古普愚)’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literature. He was a famous Seon Monk and king‘s teacher in late Korea dynasty. So he experienced the life of secular world and sangha world. He recognized these two world as real. So he expressed the reality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He rea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ular world and the sangha world. He found out the truth of emptiness from the secular world and the sangha world. That’s why he expressed the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simultaneous reality-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He realized that the transcendence and the reality are same by getting sudden enlightenment. So he expressed the the simultaneous reality-transcendence of hi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Although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aegobowu(太古普愚)’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in three aspects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Seon master Taegobowu"s literature comparing to Neo-confucianist literatur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심종문(沈從文)의 향토의식(鄕土意識) 탐색(探索)

        구경모 한국중문학회 2016 中國文學硏究 Vol.0 No.65

        沈從文是中國現代文學史上一位重要的作家,也是一位多産作家。從1926年到1949年,他發表了短篇小說·長篇小說·戱劇·詩歌·傳記·書信·評論和寓言等各種文學作品50卷左右。他主要是作爲一位小說家而聞名於世間的。雖然他是一位受到文壇的注目之作家,但是因爲他在根本上對政治缺之興趣,又始終堅持把他的創作限定在個人生活經驗的範圍內。他雖然是作爲一個作家和敎授生活在都市上的,却都仍然從他的鄕村出身中到了他對都市世界感到冷漠的起因和沈從文的鄕土意識,不但使他在經常遭遇的困難的政治和文學舞臺中到了自己的對鄕下人的深刻的認識,而且還給了他一個中心題材,圍線着這個中心題材,他構造起他自己的文學世界,充分他利用那些他早年在故鄕鄕農村生活中發生的事件和那裏的人物,景物和聲音。此外在中國當時正經歷着的社會和政治混亂之中,這種鄕土意識還給了他一種能勾反駁他的批評者的特別的優勢地位。使他能勾在他的文章和小說中,按照他自己的獨特的作家意識來評價當時的潮流。鄕下人形象價値的?些方面進入了沈從文的小說? 沈從文的鄕土意識現代中國的歷史發展中具有?些重要意識。爲了了解沈從文是如何從他自己的經驗中形成他的作家意識,考察他在鄕村和都市生活環境上的生活經驗幷且探討他的家意識形成樣相。

      • KCI등재

        일반논문 : 이학규의 『금관기속시(金官紀俗詩)』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곽미선 연민학회 2014 연민학지 Vol.21 No.-

        본고는 낙하생 이학규의 「금관기속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조선후기 한문학의 흐름과 일정한 관련성을 드러낸 「금관기속시」의 전반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연 구목적이 있다. 우선 낙하생의 유배체험과 유배기 다산과의 문학적 교유가 그의 창작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금관기속시」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고찰함에 있어서 민족의식, 애민의식, 현실비판의식 등 측면으로 나누 어 문화적 주변부인 지방에 유배되었을 때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는 낙하생의 면모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금관기속시」의 종합적 성격을 고찰하고, 한시사에 뚜렷 이 존재하는 한 계열로서 기속시의 새로운 위상을 수립하였다. 결론적으로 「금관기 속시」는 상품화폐 경제가 발전한 조선후기 사회의 변모양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주 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향촌사회의 지역적 특징과 지역민의 생활상을 본격적으로 한시 제재로 수용하여 한시 문학사상 획기적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本論文以洛下生李學逵的「金官紀俗詩」爲硏究對象, 着重究明「金官紀俗詩」體現的作家意識. 首先考察李學逵的流配體驗及茶山的文學交游對洛下生的創作世 界所引起的影響. 再次分析「金官紀俗詩」的作家意識時, 從民族意識, 愛民意識, 現實批判意識等三個方面入手, 考察李學逵在地方流配期間所呈現的精神境界. 通過作家意識的究明, 細致考察「金官紀俗詩」的綜合性格, 從而定位朝鮮漢詩 史領域的紀俗詩的新位相.「金官紀俗詩」體現了商品貨幣經紀發展的朝鮮后期社 會的變化情況, 把金海地方社會的地域特征及民縱的生活面貌收容到漢詩體裁, 在 整個漢詩文學史上具有重要的意義.

      • KCI등재

        기독교 소재 김동리 소설의 다성적 작가의식: 샤머니즘 의식과 기독교 의식의 경합 양상을 중심으로

        전계성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4

        A writer’s stream of consciousness is mostly defined as a unified and unilinear subject. It is considered to be changed when it diverges from an earlier point of view. However, we cannot explain why contradictions arise with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using this perspective. Kim Dong-li’s five different versions of Munyeodo and novels related to Christianity demonstrate this. His various versions of texts are not an effect of change but that of competition between multiple streams of consciousness. It has also been treated as a part of schizophrenia in many cases. But Kim Dong-li is not schizophrenic. If it is not pathological in nature, there can be multiple streams of consciousness, although the concept itself is based on only one. It cannot be simplified as a singular concept. Literary texts are mutually exclusive even when they are written by a single writ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at writers do not have a singular stream of consciousness. 대개 작가의식은 작가라는 주체의 통일된 의식으로 규정된다. 작가의식이 이전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때 그것은 ‘작가의식의 변화’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관점으로는 상호 모순적으로 드러나는 작가의식들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김동리의 경우 「무녀도」 개작 과정이나 기독교 소재 소설들에서 작가의식의 균열이 나타난다. 자아의 모순성이 단순한 병리적 현상이 아니라면 원래부터 자아는 하나로 단순화할 수 없는 주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텍스트는 그 나름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비춰지는데, 그것은 하나로 통일된 작가의식으로 보기 어렵다. 이 글은 텍스트 창작 과정을 작가의 정체성을 점유하기 위한 조각 작가들의 경합 과정으로 본다. 조각 작가는 작가의 경험을 통해 각기 다른 조각 작가들로 생성되고 작가의 자아 내부에서 먼저 생성된 조각 작가들과 합치되거나 갈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 원인은 인간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만 경험할 수는 없다는 사실에 있다.

      • KCI등재

        김만중 문학에서 어머니의 장르별 형상화와 그 의의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본고는 김만중과 윤씨 부인의 친밀한 관계에 비추어 작가로서 김만중에게 어머니라는 존재가 상당한 의미를 지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한시, 행장, 소설 등에서 형상화된 어머니의 모습과 그것에 담긴 작가 의식을 추출함으로써 김만중의 창작 활동과 문학 세계에서 어머니의 존재가 차지하는 위상과 의의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만중 문학에서 어머니의 존재는 현실적 형상에서 허구적 형상까지 폭넓은 모습으로 그려졌다. 현실의 어머니 윤씨 부인은 김만중의 문학 창작에 주요 동인이 되었다. <구운몽>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경험을 한시로 표현할 때에도 주요 소재가 되었다.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글인 행장에서는 어머니의 인생 자체가 서술의 동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한시, 행장, 소설 등 여러 장르에서 어머니의 형상화가 이루어졌고 어머니의 존재가 장르별 작품 세계의 구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작가는 한시에서 주로 그리움과 회한의 정서를 표현하였고 <윤씨행장>에서 평생 지녔던 불효자 의식을 내비치면서도 절제된 구성과 표현으로 여자 선비상을 정립하였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는 어머니를 가문의 중심인물로 그려 내었다. 어머니의 형상화에 나타나는 작가 의식으로 가문 중심의 의식, 여성 이해의 의식, 불효자라는 자의식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어머니라는 존재는 가문 내 중심인물로 보는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한시에 그려진 어머니는 가문의 중심 어른으로서 자리 잡은 모습이고 <윤씨행장>에서의 윤씨 부인은 친정과 시댁의 가문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구운몽>의 양소유는 결국에 가서 한 가문을 구축하고 <사씨남정기>의 사씨는 쓰러진 가문을 일으켜 세우는 데 혼신의 힘을 쏟는다. 다음으로, 여성의 처지를 이해하고자 한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한시에서 화자가 어머니를 그리워하거나 회한의 정을 표현하는 것은 어머니의 처지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윤씨행장>은 윤씨 부인이 어머니이자 여성으로서 집안을 지켜 나간 역정의 기록이다. 두 소설 작품에 그려진 여성 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은 어머니로부터 넓혀 나가 여성 일반의 삶에 대해 이해한 관점에서 형상화된 것이다. 끝으로, 작자가 평생 지니고 살았던 불효자 의식이 나타난다. 이 의식은 <윤씨행장>의 서술자 소회에서 분명히 드러나는데 한시의 그리움이나 회한의 정서도 마음 깊이 간직한 여기서 나온 것이다. <사씨남정기>의 유연수가 가문을 망치는 모습에서 불효자 의식이 직접 노출되었다면 <구운몽>의 양소유가 어머니를 모셔 와 혼례하고 집안의 중심에 계시게 한 것은 그것에 대한 보상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 의식은 어머니 외의 다른 인물 형상이나 다른 장르의 작품으로 확산된 양상을 띤다. 김만중의 문집에 지인들의 어머니, 아내 상(喪)에 대한 만시가 여러 편이고 여성 소재의 한시들이 많은 점, <구운몽>의 여덟 여성이 처첩의 분의를 지키는 모습과 함께 처지와 의식에 걸맞은 형상으로 그려진 점, 『서포만필』의 인헌 왕후, 홍순언 기사에서 어머니와 여성에 중점을 둔 역사 비평과 여성 작가에 대한 관심과 비평 등이 그러한 양상의 예들이다. 이렇듯 어머니의 형상화에 나타난 작가 의식은 김만중 문학 전반에 두루 깔려 있으므로 어머니의 존재는 그의 창작 활동과 문학 세계에 핵심적인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deep and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Kim Man-Jung and his mother Mrs. Yoon described in the Seopoyeonbo. I trie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Kim Man-Jung's mother in his creative activities and literary worl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status of mother discussed by various genres. To this end, I analyzed the aspects of figuration from the mother of reality to the mother of fiction in poems with Chinese letters, the biographical writing, and the novel, and extracted the writer's consciousness contained in it. There are many poems with Chinese letters the author has wrote with missing emotions when he was far away from his mother. In the poem the mother who the speaker met in the dream is in the center of the family. On the period of exile author was saddened and remorseful, but he could not express it in words that he could not even put on the collection of life. In Yoonssihaengjang, the author emphasized the aspect of reading and education while describing his mother's life, so he established an example of woman intellectual. Behind the description of the mother's biographical writing is the consciousness of the infertile son who had a lifetime. The mother was shaped in the novels. In the Guunmong, Mrs. Yu the mother of Yang So-yu was taken as the center-person of the family and in the Sassinamjeonggi the heroine Sassi was described for figure of mother having relation with her son. Mrs. Yoon was a major driver of Kim Man-Jung's literary creation. Not only she gave a direct motivation to creats Guunmong but also was major material when expressing the experience of everyday life in a moment, and her whole life was the motive of the description of biographical writing. These mothers have been shaped in various genres, inclu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family, the consciousness of women's understand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infertile. This writer's consciousness about the mother shows a tendency to spread to works of other characters or other genres. There are many poems which have female materials in Kim Man-Jung'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Guunmong the eight women who have individualities were drawn. In Seopomanpil the writer's interest and positive evaluation of female writers and the view point toward women in description is remarkable. The writer's consciousness shown in the figuration of the mother spreads throughout Kim Man-Jung's whole literature.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 mother is widely located in Kim Man-Jung's creative activities and literary world and has a key significance.

      • KCI등재

        『금강경삼가해』 함허 <설의> 소재 게송의 작가의식과 표현미학

        전재강 ( Jeon Jae-gang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0

        본고에서는 종교, 사상, 문학 등의 여러 방면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기고 후대 지대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끼치고 있는 조선 초기 함허득통 선사의 『금강경삼가해』 <설의>에 실린 게송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그의 문학 전체 성격을 구명하는 일환으로 그간 연구에 소외되어온 그의 게송에 반영된 작가 의식을 작품 맥락 속에서 찾아보고 작품이 지향하는 미학적 특성을 전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그가 보여준 작가의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는데 작품존재의 기반으로서 함허는 일체 중생은 물론 일체 모든 존재가 성불해 있다는 본래성불의 작가 의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작가 의식은 그가 선사의 전통을 잇는 선사로서 선불교의 본래성불 의식을 계승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함허는 본래성불의 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교시를 지향하는 중층적 작가의식을 보여 주었다. 그가 말하는 교시는 중생과 부처를 나누어 놓고 중생을 부처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중생이 곧 부처라는 전제를 가지고 중생이 본래부처이지만 망상으로 인하여 미혹됐다고 보고 그 망상을 타파하는 수단으로서의 수행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교시를 지향하되 본래성불에 철저히 기반하는 중층적 작가의식의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이 두 가지 작가의식에서 부처가 망상을 일으키면 중생이 되고 중생이 망상을 깨치면 부처가 된다고 둘을 하나로 보아 그 관계는 유기적이며, 망상이 그 현상은 있으나 실체는 없다고 하여 두 의식은 또 역설적 관계로도 나타났다. 이러한 작가 의식에 기초하여 창작된 함허의 게송의 미학적 성격은 존재의 현상과 본질, 개별자와 보편자, 동과 정의 혼연일치를 드러내서 원융적 미학을 핵심미로 하고 있었고 이것을 구체적으로 드러냄과 숨김의 표현미학으로 나타냈다. 다시 드러냄의 표현미학은 관념어를 사용하여 원융미를 일상적 논리로 드러내어 독자들로 하여금 공감의 정서를 경험케 하기도 하고 모순 어법을 통한 역설법을 사용하여 의구심의 미학적 정서를 유발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숨김의 표현미학은 형상화의 원리로 원융미를 표현하여 평범한 자연 대상 자체만을 묘사하기도 하고 고도의 상징 수법을 사용하여 구체적 대상과 현상만 직면한 독자들로 하여금 심각한 의구심을 가지고 빠져들게 하는 몰입의 미학, 인위적 사유체계를 넘어 휴식을 주는 청량의 미학, 여기서 더 나아가 전격적으로 깨달음을 경험하게 하는 법열의 미적 체험까지 가능하게 하는 강열함을 표현했다고 보았다. 앞으로는 『금강경삼가해』라는 경전에 붙인 게송에 보이는 이 같은 작가 의식이나 미학적 성격이 실제 『원각경』이나 『법화경』과 같은 다른 경전에 보이는 그의 게송이나 그 자신의 독자적 선시 작품에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서 장차 그 문학의 전체적 성격을 구명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consciousness and aesthetics of Hamheo’s Seon poetry in 『The Diamond Sutra explained by three experts』 in order to understand his all literature works. He showed us two kinds of writer consciousness and main one aesthetics, that is harmonic aesthetics(圓融美) in his Seon poetry. Firstly, in his two kinds of writer consciousness, Hamheo expressed the writer consciousness that all beings are originally Buddha and the need of teaching for Buddha in his Seon poetry. His two writer consciousness have paradoxical and organic relationship. Secondly, in his main aesthetics, he showed us the harmonic aesthetics in his Seon poetry. He represented Buddha truth, Dharma in his Seon poetry. According to his thinking, Buddha truth consisted of two dimensions, that is, principle and phenomenon. He created the harmonic aesthetics by expressing Buddha truth in his Seon poetry. So some times the readers of his Seon poetry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a truth, the other times they could feel relaxing, surprising, enlightening by reading his Seon poetry in the poetic context of exposing and hiding way of representing. Although my having researched for the consciousness and aesthetics of Hamheo’s Seon poetry in 『The Diamond Sutra explained by three experts』 in order to understand his all literature works, there can be the other important subject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

      • KCI등재

        『임진록』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 ―

        윤경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임진록』은 16세기 임진전쟁이 반발하기 전 후의 조정과 왜적의 실상을 알려주는 군담소설이다. 당시 당파간의 갈등은 국가의 이익보다 사리사욕이 앞서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당을 먼저 챙겼다. .이율곡은 임진전쟁이 일어 날 것을 예견하여 10만 양병 설을 주장 했지만 당시조정은 아랑곳하지 인했다. 또 풍신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국서(國書)에는 왜국이 명나라를 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조선을 통과할 길을 빌리자고 요청하자는 내용이었지만 거절하였다. 당시 통신서는 서인(西人) 황윤길과 동인 김성일이다. 선조는 이들에게 풍신수길의 인물됨에 대해 물었다. 황윤길은 풍신수길에 대해. 범상하지 인물로 미구에 전쟁이 일어날 것을 선조에게 아뢰었다. 동인(東人) 김성일은 풍신수길에 대해 눈은 미물인 쥐와 같이 생겨 전쟁을 일으킬 위인이 못된다고 보고했다. 좌의정 유성룡이 김성일에게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하려고 그런 말을 하느냐고 하니, 김성일이 누가 그런 줄 모르고 말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당시 선조는 신하들 간에 당쟁이 극도로 심화되어 국정의 안위문제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고 동인(東人)들 보고에 따라 전쟁준비에 힘쓰지 안했다. 조정은 당시상황을 무사안일로 대처해 왜적은 그 기회를 틈타 부산에 상륙하여 파죽지세로 서울을 19일 만에 함락시켜 선조는 의주에 몽진하게 되었다. 왜적은 조중연합군(朝中聯合軍)에 의해 조선에서 물러났지만. 7년에 걸치는 임진전쟁의 피해는 16세기를 기준으로 할 때 역사상 미증유의 큰 손실의 참화(慘禍)를 입었다. 임진전쟁이 끝난 후에는 백성들의 의식이 달라졌다. 전쟁 당시에는 조선군이 왜군에게 열세를 면하지 못했지만 이순신이 해전에서 23전 23승과 사명대사의 승군이 왜적을 물리쳤고, 의병이 활약상을 내용으로 통쾌한 승리를 내용으로 한 『임진록』이 출판되어 인구에 회자되었다. 오늘에 전하는 『임진록』의 이본(異本)이 120여종에 이르고 있고, 일제 강점기에는 금서로 지정된 것으로 보면 400년 이상을 애독하여 온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임진록』이 쓰인 것은 전쟁이 끝난 직후라고 할 수 있다. 작가들은 전장의 피해가 엄청나게 컸던 것으로 인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돋구어주기 위해 전승을 내용으로 쓴 것이다. 흔히 『임진록』은 일부사람들과 학자에 따라 정신적으로 승리한 픽션을 내용으로 한 복수문학이라 했다. 대체로 한문본은 역사계열인 관계로 허구인 내용도 겸했지만 한글본과 비교할 때 논픽션의 경향을 띄고, 한글본은 허구적인 픽션이 한문본 보다 심한 편이다. 『임진록』은 작가의식과 민족의식이 집단적 무의식을 내용으로 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광명을 주는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 저력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고 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가 수용되어 민족의 정서가 영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진전쟁은 작가들의 의식과 민족의식을 자각케 하였다. 이로 인해여 『임진록』은 작가들에 의해 420년이 지난 오늘에도 읽혀지고 영상매체로써 활용하게 되어 민족의 정서로 승화시켜 놓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더구나 작가들은 민족의식의 서린 정서를 집단적 무의식적으로 수용하여 단군신화를 형상화한 것에서 문학적 가치와 의의를 지니게 한다. 필자는 『임진록』을 분석하는 일환으로 서구학설을 인용하고 도표를 삽입 시킨 것을 밝힌다. Imjinrok is a war novel reflecting the condition of 16th century Joseon about the court and Japanes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is time, Joseon officials in the central government were loyal to their factions before the country for their personal interests. For this reason, the court did not pay attention when Yi Yulgok insisted the development of 100,000 military forces based on his prediction of possible Japanese invasion. Toyotomi Hideyoshi’s official letter to grant the passage to attack Ming through Korean land was refused. At this time envoys were Hwang Yun‐gil of Western‐ban and Kim Seong‐il of Eastern‐ban. Seonjo asked about the personality of Toyotomi Hideyoshi. Hwang responded that he was not ordinary man and capable of starting a war. On the other hand, Kim told the king Hideyoshi looked like rat and had no ability to start a war. When Left‐Councilor Yu Seong‐ryong pointed out to Kim, he would be responsible when the war broke. Kim responded that he understood the consequences. At the time of intense conflict among the factions, Seonjo accept the recommendation of Eastern‐ban and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reparation for a possible war. Japan took advantage of the situation and quickly took over Seoul in 19 days after landing in Busan. Seonjo fled to Uiju. Japan retr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but 7 years of war brought chaos and the casualties were incomparable to the standard of 16th century. After the war, people’s consciousness changed. Although Joseon military forces suffered throughout the war, Admiral Yi Sun‐sin owned all 23 naval battles and Samyeong Great Monk’s forces defeated Japanese forces. Also many righteous armies brought outstanding victories against Japanese troops. They became the frame of Imjinrok and it was published and became popular. Today, there are over 120 versions of the book and Japan ban this boo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 400 years people loved to read Imjinrok. It was published just after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Author(s) tried to provide the hope and courage to the people who suffered from the war. That is why they wrote the stories of victories. Some people including scholars consider Imjinrok is a revenge literature with fictions of victories. Chinese version including some fictions and Korean versions have more fiction in character. Imjinrok encouraged hopeless people for hope and liberation with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fact the foundation came from the cave‐motif of the Dangun Mythology with national consciousness. Japanese Invasion awakened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is is why the book is still wide read and became visual materials as the reflec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420 years of the publication. Also its materialization of Dangun Mythology gives the literary significance. This study uses Western thoughts and tables to analyze the Imjinrok.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임진록』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

        윤경수 ( Gyeong Soo Y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임진록』은 16세기 임진전쟁이 반발하기 전 후의 조정과 왜적의 실상을 알려주는 군담소설이다. 당시 당파간의 갈등은 국가의 이익보다 사리사욕이 앞서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당을 먼저 챙겼다. 이율곡은 임진전쟁이 일어 날 것을 예견하여 10만 양병 설을 주장 했지만 당시조정은 아랑곳하지 인했다. 또 풍신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국서(國書)에는 왜국이 명나라를 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조선을 통과할 길을 빌리자고 요청하자는 내용이었지만 거절하였다. 당시 통신서는 서인(西人) 황윤길과 동인 김성일이다. 선조는 이들에게 풍신수길의 인물됨에 대해 물었다. 황윤길은 풍신수길에 대해. 범상하지 인물로 미구에 전쟁이 일어날 것을 선조에게 아뢰었다. 동인(東人) 김성일은 풍신수길에 대해 눈은 미물인 쥐와 같이 생겨 전쟁을 일으킬 위인이 못된다고 보고했다. 좌의정 유성룡이 김성일에게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하려고 그런 말을 하느냐고 하니, 김성일이 누가 그런 줄 모르고 말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당시 선조는 신하들 간에 당쟁이 극도로 심화되어 국정의 안위문제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고 동인(東人)들 보고에 따라 전쟁준비에 힘쓰지 안했다. 조정은 당시상황을 무사안일로 대처해 왜적은 그 기회를 틈타 부산에 상륙하여 파죽지세로 서울을 19일 만에 함락시켜 선조는 의주에 몽진하게 되었다. 왜적은 조중연합군(朝中聯合軍)에 의해 조선에서 물러났지만. 7년에 걸치는 임진전쟁의 피해는 16세기를 기준으로 할 때 역사상 미증유의 큰 손실의 참화(慘禍)를 입었다. 임진전쟁이 끝난 후에는 백성들의 의식이 달라졌다. 전쟁 당시에는 조선군이 왜군에게 열세를 면하지 못했지만 이순신이 해전에서 23전 23승과 사명대사의 승군이 왜적을 물리쳤고, 의병이 활약상을 내용으로 통쾌한 승리를 내용으로 한 『임진록』이 출판되어 인구에 회자되었다. 오늘에 전하는 『임진록』의 이본(異本)이 120여종에 이르고 있고, 일제 강점기에는 금서로 지정된 것으로 보면 400년 이상을 애독하여 온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임진록』이 쓰인 것은 전쟁이 끝난 직후라고 할 수 있다. 작가들은 전장의 피해가 엄청나게 컸던 것으로 인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돋구어주기 위해 전승을 내용으로 쓴 것이다. 흔히 『임진록』은 일부사람들과 학자에 따라 정신적으로 승리한 픽션을 내용으로 한 복수문학이라 했다. 대체로 한문본은 역사계열인 관계로 허구인 내용도 겸했지만 한글본과 비교할 때 논픽션의 경향을 띄고, 한글본은 허구적인 픽션이 한문본 보다 심한 편이다. 『임진록』은 작가의식과 민족의식이 집단적 무의식을 내용으로 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광명을 주는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 저력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고 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가 수용되어 민족의 정서가 영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진전쟁은 작가들의 의식과 민족의식을 자각케 하였다. 이로 인해여 『임진록』은 작가들에 의해 420년이 지난 오늘에도 읽혀지고 영상매체로써 활용하게 되어 민족의 정서로 승화시켜 놓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더구나 작가들은 민족의식의 서린 정서를 집단적 무의식적으로 수용하여 단군신화를 형상화한 것에서 문학적 가치와 의의를 지니게 한다. 필자는 『임진록』을 분석하는 일환으로 서구학설을 인용하고 도표를 삽입 시킨 것을 밝힌다. Imjinrok is a war novel reflecting the condition of 16th century Joseon about the court and Japanes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is time, Joseon officials in the central government were loyal to their factions before the country for their personal interests. For this reason, the court did not pay attention when Yi Yulgok insisted the development of 100,000 military forces based on his prediction of possible Japanese invasion. Toyotomi Hideyoshi``s official letter to grant the passage to attack Ming through Korean land was refused. At this time envoys were Hwang Yun-gil of Western-ban and Kim Seong-il of Eastern-ban. Seonjo asked about the personality of Toyotomi Hideyoshi. Hwang responded that he was not ordinary man and capable of starting a war. On the other hand, Kim told the king Hideyoshi looked like rat and had no ability to start a war. When Left-Councilor Yu Seong-ryong pointed out to Kim, he would be responsible when the war broke. Kim responded that he understood the consequences. At the time of intense conflict among the factions, Seonjo accept the recommendation of Eastern-ban and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reparation for a possible war. Japan took advantage of the situation and quickly took over Seoul in 19 days after landing in Busan. Seonjo fled to Uiju. Japan retr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but 7 years of war brought chaos and the casualties were incomparable to the standard of 16th century. After the war, people``s consciousness changed. Although Joseon military forces suffered throughout the war, Admiral Yi Sun-sin owned all 23 naval battles and Samyeong Great Monk``s forces defeated Japanese forces. Also many righteous armies brought outstanding victories against Japanese troops. They became the frame of Imjinrok and it was published and became popular. Today, there are over 120 versions of the book and Japan ban this boo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 400 years people loved to read Imjinrok. It was published just after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Author(s) tried to provide the hope and courage to the people who suffered from the war. That is why they wrote the stories of victories. Some people including scholars consider Imjinrok is a revenge literature with fictions of victories. Chinese version including some fictions and Korean versions have more fiction in character. Imjinrok encouraged hopeless people for hope and liberation with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fact the foundation came from the cave-motif of the Dangun Mythology with national consciousness. Japanese Invasion awakened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is is why the book is still wide read and became visual materials as the reflec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420 years of the publication. Also its materialization of Dangun Mythology gives the literary significance. This study uses Western thoughts and tables to analyze the Imjinrok.

      • KCI등재

        문순태 소설의 지형도 연구

        조은숙 ( Cho Eun Su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6

        본 연구는 작품을 배제한 작가론은 한 작가의 일반적 전기로 그치고 마는 것처럼, 작가에 대한 고려 없는 작품론도 구조에 대한 메마른 분석에 치우칠 우려가 있다고 보고 한 작가의 총체적인 문학 세계를 제대로 규명하려면 작품론과 작가론을 함께 아우르는 소설의 지형도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현대 작가 중 문순태는 씨줄로 어린 시절 경험했던 전쟁의 맹목성과 가난의 참혹함, 그로 인한 황폐한 삶의 역정을 소설세계의 질료로 삼으면서, 날줄로 당대 현실의 문제를 아울러서 두 줄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서사화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단순한 연대기적 사실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상황과 그에 대한 작가 의식이 투영된 작품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작가 의식의 변모 과정을 살핀 후, 각 시기에 따른 작품의 특징을 밝혀 전체 소설의 지형도를 완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문순태의 작가 연보, 작품 연보, 시대 상황, 구술에 의한 생애사를 조사 한 후, 이를 통해 작품에 투사된 작가 의식이 초기, 중기, 후기로 가면서 어떻게 변모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기, 중기, 후기 전체 작품 세계를 아우를 수 있는 중핵이 ‘고향 의식’임을 밝혔다. 초기 소설에서 고향은 아버지에게 억울하게 ‘빨갱이’라는 낙인이 찍힌 곳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는 ‘원한의 땅’이었다. 중기 소설에서 5.18광주민주 화운동으로 인한 기자 해직과 ‘무고한 죽음’이 분단의 고착화로 인해 빚어졌음을 직시하면서부터 고향은 ‘통한의 땅’이 되었다. 후기 소설에서는 고향에 돌아와서 스스로 울타리를 제거하면서 고향은 ‘해한의 땅’이 되었다. 다음으로 각 시기에 따른 작품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문순태의 대부분 소설은 이전 작품 속에 씨앗이 발아하고 있다가, 현실의 문제와 융합하면서 새로운 주제로 확산하고 있음을 밝혔다. 초기 소설에서 씨줄은 ‘고향과 분단’을, 날줄은 이촌 향도한 사람들이 도시에서 지렁이처럼 밑바닥 인생을 살고 있는 현실을 핍진하게 묘사했으며, 중기 소설에서 씨줄은 유년 시절에 경험했던 원체험을 통해 분단된 민족이 가야할 방향성에 대해 역사적 맥락에서 살폈으며, 날줄은 당대 현실의 교육 문제와 5.18민주화운동을 형상화하면서 주제가 ‘고향·분단·5.18민주화운동’으로 확산되었고, 후기 소설에서 씨줄은 귀향 후 고향 사람들과 생활하면서 인간다운 삶의 복원을 위해 노력했으며, 날줄은 노년문제와 다문화문제 그리고 생태 환경에 관심을 가지면서 주제가 ‘고향·분단·노년·다문화·생태환경’으로 넓어졌다. 본고는 그 동안 작가론과 작품론이 따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문순태의 작가론과 작품론을 하나로 아울러서 전체 소설의 지형도를 완성했다. 본고의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다른 작가의 작품 연구로 그 지평을 확장할 수 있고, 문순태 작품 분석 연구에서도 그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warenes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opography of novels along with the study of works and the study of the author in order to understand an author``s world of literature comprehensively. Moon Sun-tae, a contemporary author, writes characterized epics by tightly weaving together the blindness of war and brutality of poverty from his childhood and the barren life of wrath as the weft of his novel with the contemporary issues as the warp. This study does not list the facts chronologically, but discusses the author``s awarenes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terms based on the temporary situations and the work that reflects the author``s awareness. Then, it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from each time to complete the topography of the novels. First, it studied Moon Sun-tae``s chronology, chronology of his work, contemporary time, and verbally told story of life. Then, it discussed how the author``s awareness reflected on his work changed through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ery core that penetrates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was the ‘notion of hometown.’ In the early novels, the hometown was an undesired ``land of grudge`` where the character was unfairly accused of being a ``communist`` by his father. In the mid-term novels, the hometown became a ``land of grief`` where the character admits that his dismissal from the reporter job due to the 5.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 and ‘innocent death’ were caused by the anchoring of division. In the late novels, the hometown became a ``land of resolution`` where the character returns to the hometown to remove the fences himself. Next, the characteristics of work from each time were discussed and found that most novels of Moon Sun-tae sprouted the seeds in the early period and expanded to new themes in combination with contemporary issues. Early novels depicted the verisimilitude of reality with the ``hometown and division`` as the weft and the lowest lives of people who move to the city as the warp. In the mid-term novels, the weft was the direction of a divided country in the historical context based on his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warp was the contemporary problems related to education and the 5.18 Democratic Movement to expand the theme to ‘hometown·division.5.18 Democratic Movement.’ In the late novels, the weft was the effort to recover the authenticity of life while living with the people back in the hometown and the warp expanded to ``hometown, division, aging, multi-culture, and ecological environment`` as the author gained interests in elderly issues, multi-cultural issues, and ecological issues. This study completed the topography of all novels based on the study of Moon Sun-tae and his work when the authors and their work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The attemp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the study of other authors and add depth to the analysis of the work of Moon Sun-tae.

      • KCI등재

        작가 연구의 대상과 방법 문제-김윤식의 작가 연구를 중심으로 한 고찰

        임진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9

        Author study, which is still a major part in the syste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 and education, yet recently has been fronting with a change in status. Considering this position, I discuss the significant problems in author study. In particular, focusing on Kim Yun-sik’s literary biographies, I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the method and the object of the study. I try to look for a point of contact with several criticism theory and author study, and search for a possibility of its new direction. Kim’s researches are representatives which show a strong point of biographical criticism and its own limitation. They aim for literary history and are fundamentally the result of historicism critique,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conflicting ideas which derives very different kinds of thoughts from Lukács and Goldmann from Foucault and Kojin. Ideas of ‘homology’and ‘world view’ were applied to the works of Lee Gwang-Soo, and help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the structure of novels. Concepts of ‘the system’ and ‘the inside’, which were applied to many works including Yeom Sang-sup’s early novels, have contributed to the new perspective o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whether its application is suitable or not. Above all, they took a leading role in the current researches that consider a literary work as a part of the whole discourse structure. The most attractive part in Kim’s works is reconstitution of writer’s childhood and in-depth analysis into works with complex. It is related psychoanalytic criticism and partly comes near text theory of post-structuralism. They have underlined decentalization of the subject and the unconsciousness. They have driven author study into critical condition, yet could bring a meaningful change. 이 글은 김윤식 교수의 평전 저작을 중심으로 작가 연구의 대상과 방법 문제를 고찰해 보면서, 몇 가지 중요한 논점을 살펴보았다. 논의한 여러 방법들 중에서 작가 연구의 대상을 ‘개인’-작가로 보는 관점은 사실 전통적 전기적 비평에 국한된다. ‘평전’이란 형식은 작가 개인에 대한 기본 자료 축적과 재구성에 큰 의미가 있으므로, 김윤식의 연구 역시 이러한 틀 속에서 큰 성과와 한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김윤식의 작가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문학사적 자리매김이고 역사주의적 연구이며, 이를 위해 골드만과 푸코의 방법론을 빌려오기도 하였다. 골드만의 방법론은 이광수 연구에서 작가의 세계관, 작품의 통일된 작가의식을 설명하는 성과로 나타난 한편, 체계화 욕망이 낳은 무리한 논리적 비약의 지점을 보여준다. 김윤식 교수의 평전 속에서 푸코의 명시적 영향은 주로 근대문학이라는 ‘제도’와 관련된 것으로서 개념 적용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문학작품을 다른 이질적인 종류의 기록들과 병행해서 배치하고 읽어냈다는 점에서 이후 국문학 연구의 중요한 흐름, 즉 문학을 전체 담론 구성체의 일부로 보는 시각을 선취한 면이 있다. 김윤식의 평전은 여러 가지 방법론의 절충과 종합의 산물인데, 특히 흥미로운 부분은 유년 시절의 재구성과 그로부터 추출한 콤플렉스로 작품 세계를 분석해내는 대목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설득력 있게 한 인간의 면모를 그려내고 작품의 문학사적 의미와 연결 지은 것은 임화 연구이다. 임화 연구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듯이, ‘내면 풍경’이라는 특유의 용어는 제도 층위의 푸코적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앞서 보았던 실존적 정신분석의 방법이 낳은 개념이다. ‘정신세계’ 혹은 ‘심리구조’라고 바꾸어 불러도 무방할 이 용어의 위력은, 근대성에 대한 탐구와 정신분석적 읽기의 결합이 빚어내는 효과에서 나온다. 작가 연구의 대상과 방법 문제는 근본적으로 주체와 해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연관된다. 자기완결적이고 충만한 주체가 아니라, 균열과 틈새와 내적 불화를 가진 불안정한 주체, 일명 ‘무의식적 주체’라는 것이 텍스트론의 관점에서 작가 연구를 수행할 때 상정해야 하는 전제가 된다. 그러나 아무리 탈중심화된 시각에서 작품을 텍스트로 본다 하더라도, ‘기능으로서의 저자’의 위치는 사라지거나 무시될 수 없는 것으로 엄연히 존재한다. ‘작가’란 그 서명이 존재하지 않는 문학의 시대가 오기 전에는, 독자의 읽기에서 여전히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역사적 맥락으로 놓여 있는 것이고, 문학 연구에서 작가론은 그 맥락들을 구체적으로 재구성해낼 수 있는 담론-실천의 자리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텍스트론과 연관된 작가 연구를 위해서는 ‘사후성’ 개념이 유용하리라 본다. 좀 더 구체적인 논의는 김윤식의 임화 연구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를 통해, 그리고 문화ㆍ매체ㆍ제도 차원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연구 성과와 작가론의 접점을 모색하는 데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