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나옹 선시에 나타난 시공 표현의 용어 유형

        전재강(Jeon, Jae-gang)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나옹 선시에 나타난 시공 표현의 용어를 일상적, 전환적, 초월적 시공 표현 용어 유형이라는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나옹의 구체적 선시 작품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그 선시 세계의 성격을 먼저 밝히고, 장차 귀납적으로 선시의 일반적 성격을 구명하는 데에 일조를 하고자 논의를 시작하였다. 먼저 일상적 시공 표현의 용어 유형은 교시나 수행을 내용으로 하는 작품군의 경우에는 시공간의 지속과 빠름, 무상을 나타내는 것이 중심이고, 일상생활과 교시를 내용으로 하는 작품군의 경우에는 생활의 익숙한 시공간을 나타내는 것이 중심이고, 시적화자 자신이나 객관 대상을 중의적으로 읊은 작품군의 경우에는 시적 화자나 대상물 표현의 배경 기능을 하는 것이 중심으로 나타났다. 전환적 시공 표현의 용어 유형은 일상에서 초월로의 전환을 보이는 경우와 초월적 세계 안에서 존재 방식의 전환을 보이는 두 가지가 있었는데 전자의 경우 시간은 매우 짧은 순간을 나타내고 공간은 매우 좁은 개념으로 상징적인 성격을 보여서 전환이 전격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표현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짧은 시간 용어와 광범한 공간 개념의 용어를 가끔씩 구사하여 존재 방식의 변화를 알려 주었다. 초월적 시공 표현의 용어 유형은 기구에서 전환을 보여 주고 승전결 구에서 초월을 보이는 작품군, 초월을 나타내는 구체적 용어를 작품 전체에 걸쳐 사용하는 작품군, 전환과 초월의 구체적 표지가 보이지 않은 작품군에 두루 나타났는데 첫째 군에서는 불교 진리 표현의 시공간 용어, 두 번째 군에서는 선적, 일반적 시공간의 용어, 세 번째 군에서는 상징적 시공간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옹의 선시는 일상과 전환, 초월의 중요한 국면을 모두 다 보여 주어서 선시의 다양한 면모를 시공표현 용어를 통하여 균형 있게 잘 보여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선시에서 시공간의 개념이 선시에서의 일상과 전환, 초월의 차이를 알려주는 중요한 징표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이 논의에서 드러났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in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time and space of transition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 third aspect is about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which were used in his poetry: the first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in his poetry teaching people, the second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in his poetry keeping daily life, the third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in his poetry describing object and subject.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time and space of transition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re are two kinds of the time and space of transition which were used in his poetry: the first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transition from mundane dimension to non-mundane dimension, the second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transition from formness to emptiness inside the non-mundane dimension.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which were used in his poetry: the first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the things that being appeared just after transition from mundane dimension to non-mundane dimension in first line of his poetry, the second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the things that being appeared by using the direct signal of transcendental, the third one is the time and space of transcendental the things that being appeared by no using the direct signal of transcendental. Even though I studied the time and space in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structure of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for example, which kinds of words were used his Seon poetry? what kinds of contexts were used in his Seon poetry on the level of sentences or works.

      • KCI등재

        나옹 선시에 나타난 용언 계열 어휘의 양면성

        전재강 ( Jae Gang Jeon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나옹선시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어휘 가운데 용언 계열의 어휘를 논의하였다. 체언 계열 어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위에 살적 자질의 어휘 유형과 활적 자질의 어휘 유형이 모두 나타났다. 살적 자질의 어휘 유형 아래에는 다시 동작 관련 어휘와 양태 관련 어휘가 나타났는데 동작 관련 어휘에서 다시 주관이 주체인 경우 단절, 도달함, 작용하지 않음, 멈춤, 객관이 주체인 경우 솟음, 끊음, 돌아옴의 용어가 주로 쓰였다. 그리고 양태관련 어휘에서는 객관 대상만이 주체로 나타나고 어떤 현상 앞에 부정어를 배치하는 경우, 절대적으로 멀거나 높거나 낮은 경우, 비거나 고요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주로 쓰였다. 다음으로 활적 자질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하위에 동작 관련 용어와 양태 관련 어휘가 나타났는데 동작 관련 용어에서 주관이 주체가 된 경우 일상생활을 표현하거나 놓거나 뒤집는다는 말이 많이 쓰였고, 객관 대상이 주체가 된 경우에는 불거나 빛난다거나 본질을 드러내는 말이 주로 쓰였다. 그 외에 인식 주관의 행위를 객관 사물인 주체의 서술어로 사용하여 주객관이 통사적으로 일치함을 보이는 문장이 나타기도 했다. 그리고 양태 관련 용어에서 객관 대상만이 주체가 되어 개별 색깔, 종합 색깔, 드러남, 넓고 큼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용언 계열 어휘의 경우 살활의 양면성이 살적 자질 유형과 활적 자질 유형의 두 가지만 나타나서 체언 계열 어휘의 경우 살적 자질 유형, 활적 자질 유형, 살활 동시적 자질 유형 등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난 것과는 달랐다. 이것은 체언 계열 용어가 살활 분리 이전의 가능성을 모두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살활 동시적 자질 유형이 나타났지만 용언 계열 어휘의 경우는 어느 방향이든 잡게 되면 어느 한 측면만이 나타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살적 자질 유형과 활적 자질 유형의 두 가지만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지금까지 작품 구성의 핵심 용어를 주로 정리해 왔기 때문에 상위 단위인 문장, 작품, 작품의 유형, 다른 작가의 작품과의 대비 연구 등의 방향으로 연구를 확대할 일이 남아 있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vocabulary style of the declinable word in the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re are two kinds of the vocabulary style of the declinable word jn the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the vocabulary style of emptiness and the vocabulary style of form.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vocabulary style of emptiness. This style is related with the essence of all things-being and phenomena. There are two kinds of types in the vocabulary type of emptiness below: The type of verbs, the type of adjective. And there are several kinds of specific words group in each type.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vocabulary style of form. This style is related with the superficial phenomena and all things-being of the existence. There are two kinds of types in the vocabulary style of form below: The type of verbs, the type of adjective, Also there are several kinds of specific words group in each type. Although I studied the vocabulary style of the declinable word in the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for whole sentences and the structure of his all works in the Seon master Naong`s Seon poetr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생활 표현의 고시조 연구

        전재강(Jeon Jae-Gang)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6 No.-

        사대부 계층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시조에 삶의 물적 토대인 구체적 생산의 현실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생산 관련 생활은 사회 체제의 필연적 근거인데, 생산 활동과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시조를 이런 관점에서 논의하는 일은 시조 작품과 작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생활을 다룬 시조의 작가는 크게 유명씨와 무명씨로 나누어진다. 유명씨는 사대부와 평민 가객, 무명씨는 사대부와 평민 가객 시정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대적으로 14-17세기에는 사대부 작가가 중심이고 18-19세기에는 평민 가객이 새로운 작가층으로 부상하여 사대부 작가와 같은 비중을 차지하다가 평민 가객이 우위를 점하고 무명씨가 대거 참여한다. 다음으로 시적 자아의 입장에서 유명씨의 14-17세기 작품에 나타난 시적 자아는 촌부, 일을 함께 하려는 농부, 일을 시키는 상전, 실제 일하는 농부 등으로 되어 있고 18-19세기 작품에는 전원인, 구경꾼, 일을 하거나 원망하는 농민 등이 중심이다. 이는 구체적 생산 활동이 점차 사실적으로 표현돼 가던 추세의 반영이다. 무명씨의 작품은 유명씨와 유사한 점이 있으면서도 상업 활동을 하는 시적 자아의 등장이 특이하다. 생활의 내용과 그 표현 빙식에서 14-17세기 작품에는 논밭갈이, 산나물 캐기, 벼베기, 풀베기 등 여러 생활을 한 작품 안에 포괄하여 표현하는 작품이 많이 나타나며 관념적 용어에서 구체적 생활을 구어로 표현하는 작품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문장은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의 순서로 많이 사용된다. 18-19세기 작품에 나타난 생활은 물건 매매, 산전과 수전의 개간, 베짜기, 물푸기, 가렴주구 등 매우 구체적인 일들을, 하나씩 각각 한 작품 내에 집중적으로 구체적 생활에서 쓰는 구어를 더 많이 사용하여 주로 평서문과 의문문으로 표현한다. 무명씨 작품에 표현된 생활의 종류는 유명씨 작품의 경우와 비슷하나 논밭갈이, 김매기, 벼 베기 등의 전통적 일반 생활에 옷 만들기, 물건 장수와 같은 구체적 생활이 부가적으로 더 표현된 점이 다르다. 표현 방법은 유명씨 작품의 전대 선례에서 점차 후대의 선례를 더 많이 수용하는 방향으로 바뀌며 문장형태에서는 명령문, 명령문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The main industry of the Chosun dynasty was farming, which was related to the people's lives in every respect. By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commerce was a new industry becoming increasingly more beneficial. I study how these two industries were being expressed in the classic Sijo. The classic Sijo is a main literary genre created by the upper-class. Even though industry was very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Chosun dynasty,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members of the upper class) didn't actually work in the industries of farming and commerce. But sometimes they returned to their rural hometowns, because they owed large amounts of land which they let the servants farm for themselves. As the main composers of Sijo were these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I study a collection of their Sijo which expresses the life of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 several sides of the classic Sijo : for example, its writers(along with their personalities) throughout different periods: the point of view of persona: and the specific life of industry and the way it is expressed in the Sijo. First, I look at the writers of the different periods and their personalities.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main writers of Sijo on the life of farming were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main writers of Sijo on the life of fanning were Confucian scholars, government officials, and also commoner singers-the unnamed writers. Second, I look at the point of view of persona.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personas were the country man(one's lord and master) and the farmer, who was of two kinds of people : i.e., those trying to work together and those really working together.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personas were the country man, who was satisfied with his rural life as overseer to farming, and two kinds of farmers : those who farmed very hard by themselves, or those who criticized the failed tax system. Third, I discuss the specific life of industry and the way it is expressed in the Sijo.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writers of Sijo expressed. in a general way together in one Sijo, different kinds of work : for example, plowing a dry field and a rice field, picking wild vegetables, and cutting rice and weed.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writer of Sijo expressed different kinds of work in a more specific way, each in its own Sijo : for example. buying and selling, bringing land under cultivation for farming, weaving, digging for water, and heavy taxation. I look at three aspects of Sijo concerning industry, but there still remain several aspects of Sijo to study, such as those concerning worship of the king, and those concerning high officials, the common people, and the being of things.

      • KCI등재

        신체 불교가사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현실 대응의 방향

        전재강(Jeon Jae-Gang)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4

        이 글은 근대 불교 가사의 추이를 살피고자 집필되었다. 20세기 초에 주로 나타난 불교 가사 작품으로 형식상 장을 구분하거나 전체 작품의 길이가 10행 내외로 축소되기도 하고 내용에 당대 새로운 불교 이념을 표현한 일군의 작품을 신체 불교가사라는 용어로 개념 정의하였다.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이 24수 정도 되는데 이들 작품을 현실 인식 방향과 현실 대응의 방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여 신체 불교가사류의 작품 특성을 구명해 보았다. 현실 인식의 방향에서 관습적 현실 인식과 당대적 현실 인식, 불교 본원적 현실 인식이 나타났고, 현실 대응 방향에서도 관습적 현실 대응과 당대적 현실 대응, 불교 본원적 현실 대응방법이 모두 나타났다. 관습적 현실 인식을 보인 작품에서는 주로 관습적 유교 윤리의 가치를 중시하면서 유교 이념의 실천을 현실 대응 방안으로 강조했고, 당대적 현실 인식을 보인 작품에서는 관습적 현실을 부정하면서 당대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현실 인식을 가지고 불교 진보, 선농일치, 대각운동 등의 운동을 현실 대응의 방안으로 표현하였다. 불교본원적 현실 인식을 보인 작품에서는 인간의 현실을 고통의 세계로 보고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염불과 반조라는 불교 수행법을 현실 대응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겉으로 보아 상호 이질적인 이런 세 가지 인식과 실천은 일정한 질서에 의하여 상호 관계를 맺고 있었다. 관습적 인식과 실천은 관습적 정서에 젖어 있던 대중을 교화하기 위한 방편의 한 과정으로 기능을 하였고, 이와 반대로 당대적 인식과 실천은 보인 작품들은 문제적 현실을 개혁하고 당대의 상황에 맞는 수행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두 가지는 역시 불교 본원적 인식과 실천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 신체 불교가사에서는 보수적 인식과 실천을 일정 부분 수용함으로써 관습에 익숙한 대중을 포용하여 교화하려고 했고, 당대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매우 적극적으로 추구함으로써 변화된 시대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에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불교 포교라는 목적을 잘 달성하기 위하여 관습을 따르기도 하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기도 하면서 불교 본원의 그것을 비롯한 다양한 현실 인식과 현실 대응 방법을 보인 것이 신체 불교가사의 전체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any kinds of new style Buddhist Gasa were composed by monks and lay men. The new style Buddhist Gasa contained some new thinkings and had some new forms. Here new thinking is related with the reforming bad habits. And the new form is meaning that the unlimited many sentences-traditional Buddhist Gasa without separating paragraph changed to the few sentences-traditional Buddhist Gasa with separating paragraph. Firstly, I studied the understanding of realities in new style Buddhist Gasa. There have been found the three kinds of the understanding of realities, which were the customary understanding of realities, the present age understanding of realities and the Buddhist original understanding of realities.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hree kinds of the understanding of realities each other was very interesting. In the Buddhist Gasa in whic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tried to tolerate the people who had the customary understanding of realities for Buddhism propagating. And In the Buddhist Gasa in which the present age understanding of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tried to adapt to the present age for Buddhism propagating. In the Buddhist Gasa in which the Buddhist original understanding of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tried to propagate Buddhism to people directly. Secondly, I researched what is the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in new style Buddhist Gasa. There also were three kinds of the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which are the customary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the present age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and the Buddhist original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In the new style Buddhist Gasa in which the customary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represented the sticking to Confucian ethical duties as the way of coping with realities. In the new style Buddhist Gasa in which the present age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represented the changing the bad habits as the way of coping with realities. In the new style Buddhist Gasa in which the Buddhist original direction of coping with realities appeared, the writer tried to persuade people to practice chanting and Buddhist meditation-reflecting oneself mind as the way of coping with realities.

      • KCI등재

        지형 불교 가사의 구조적 성격

        전재강(Jeon Jae-gang) 우리말글학회 2011 우리말 글 Vol.52 No.-

        I analyzed the listener inside his Buddhist Gasa works and the way of colloquy, the contents of his Buddhist Gasa works, his thinking style in order to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ihyeog(智瑩)’s Buddhist Gasa(佛敎歌辭). The first, in the aspect of the listener inside his Buddhist Gasa works, there were two kinds of listener: the ideal listeners and the real listeners. The writer Jihyeog used the name of ideal listeners, for example, wise manㆍbrave manㆍgood guy more open than the name of real listeners, for example, foolish man. The reason why he mainly used the name of ideal listeners is to make the listeners follow his Buddhist teaching voluntarily by stimulating their wish to identify with the ideal listeners by themselves. The second, in the aspect of the way of colloquy, he used the ordering and requesting narration to let the listeners hear his teachings or to realize Buddhist virtues in the sentences in which the listeners are appearing differently to his using emphasizing narration to let the listeners understand what the law of cause-effect is, how to practice the Buddhist virtues in order to conquer the pain of transmigration of the soul. The third,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of his Buddhist Gasa works, he expressed four kinds of very important theses in his all Buddhist Gasa works: the law of cause-effect and no pain of cause-effect, good conducts and conducts without good and bad sides, chanting and original my being Amitapa Buddha(自性彌陀), Seon meditation and enlightenment including many data related with them. The forth, in the aspect of his thinking style, four kinds of very important theses are based on his dualistic thinking and unitary thinking. Four kinds of very important theses have two sides. The law of cause-effect and good conducts, chanting, Seon meditation are based on his dualistic thinking, in other side, no pain of cause-effect and conducts without good and bad sides, original my being Amitapa Buddha(自性彌陀), enlightenment are based on his unitary thinking.

      • KCI등재

        『태고록(太古錄)』 시문에 나타난 선(禪)의 비언어적(非言語的) 표현 원리

        전재강(Jeon, Jae-ga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문학적 가치가 높은 선사 어록의 시문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고려말 태고보우의 경우를 논의하였다. 역사와 철학, 사상적 분야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고려말 태고보우 선사의 『태고록』을 대상으로 문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태고의 시문에서 선 표현의 비언어적 표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음에도 이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이것은 이들 표현이 그 선시문의 독자적 성격을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선의 핵심을 드러내며 또한 선의 문예적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를 구명하기 위해서 먼저 비언어적 표현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구체적으로 비언어적 표현을 동작으로 하는 것과 음성으로 하는 것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해당 작품을 논의했다. 비언어적 표현의 개념과 유형에서 통사적 문맥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선사의 시문에 사용된 행위나 음성을 비언어적 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행위로 하는 비언어적 표현은 지문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고 음성으로 하는 비언어적 표현은 발성하는 목소리를 본 따는 의성어의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행위로 하는 비언어적 표현은 관련 대상물에 따라 다시 공간 관련 행위, 주장자나 불자와 같은 불구를 사용한 행위, 불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향이나 의복을 사용한 행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음성으로 하는 비언어적 표현은 소리 내는 방식에 따라 고함에 해당하는 할(喝)과 이(咦) 유형, 혀를 차는 것에 해당하는 돌(咄) 유형, 웃음을 웃는 아가가(啊呵呵) 유형, 대중을 부르거나 침묵하는 소대중(召大衆)과 양구(良久) 유형 등 네 가지로 나타났다. 다음은 행위로 하는 세 가지 비언어적 표현 가운데 공간 관련 행위로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은 시작과 중간과 끝이라는 법석의 전체에 관여된 것으로서 상당(上堂)과 취좌(就座), 승좌(陞座)와 같은 행위는 표면적으로 행사의 시작이면서 법을 강설하는 자와 듣는 자라는 주객이 나누어지는 계기를 만드는 이면적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었다. 거실(據室)이나 지법좌(指法座), 방장(方丈), 태조전(太祖殿)과 같은 공간의 제시는 그 공간이 가지는 선적 의미를 강설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하좌(下座)나 귀방장(歸方丈)과 같이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행위는 겉으로 행사의 종결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본래성불의 세계에 옥상옥(屋上屋)으로 더했졌던 교시 행위의 부정 종결이고 이루어진 모든 행위를 종결함으로써 다시 본래 성불의 세계로 되돌아온다는 의미를 나타냈다. 태고 시문의 성격에서 실제 공간을 두고 보인 비언어적 행위는 전체 글을 구성하는 단락에 생생한 현장감을 더해 주었다. 주장자나 불자와 같은 불구를 사용하는 비언어적 행위는 주객 미분의 법을 보이거나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내용을 부정하거나 진리 그 자리를 묻는 질문에 대답으로 사용되어 단락 내에서 제시의 기능, 부정의 기능, 문답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항상 본래성불의 입장을 드러내는 선적인 기능을 이면적으로 하고 있었다. 불구를 사용한 다양한 행위는 하위 각 단락 안에 나타나면서 평면적 언설로 이어지는 문장 사이에 단절과 새로운 시작점을 만들어서 문장 전개의 역동성을 더해 주었다. 다음 향과 옷을 사용한 비언어적 행위 유형에서는 행사 과정에서 가지는 대상의 상황적 의미를 말하면서도 두 가지 물건을 통하여 역시 근원적 진리의 세계를 드러내는 상징적 기능을 동시에 보여 주고 있었다. 의식에 사용된 이 같은 대상들은 본래성불의 진리를 드러내면서 태고 시문에 상징적 성격을 더해주었다. 끝으로 음성으로 하는 비언어적 표현은 고함에 해당하는 ‘할과 이’ 유형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나 특정 언사에 대한 부정, 종결의 기능을 수행하고, 혀를 차는 것에 해당하는 ‘돌’ 유형은 주로 언어로 제시된 내용을 부정하는 기능, 웃음을 웃는 ‘아가가’ 유형은 발견이나 언설의 내용을 긍정하고나 법을 드러내는 기능, 대중을 부르거나 침묵하는 ‘소대중과 양구’라는 유형에서 전자는 대중에게 질문을 하거나 교시를 내릴 때 주로 사용되고 후자는 주객일체의 진리를 드러내는 상징적 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있었다. 시문에 사용된 이와 같은 음성으로 된 비언어적 표현은 현장에서 이루어진 생생한 구어로 선을 표현한 태고의 시문에 놀라움과 변화의 면모까지 더함으로써 그 시문의 역동성을 더욱 높이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요컨대 선의 비언어적 표현은 태고 보우의 시문이 글말의 선형적 언어 구사에서 벗어나 살아 있는 입말의 역동적 성격을 획득하고 본래성불이라는 선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the principle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禪) in 『Taegorok(太古錄)』 poetry and prose in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definition of conception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禪) and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acting, the third aspect is about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voice.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definition of conception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禪) and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I defined the nonverbal expression of Seon(禪) is the acting and voice which are expressing Seon without logic. And there are two kinds of big categories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acting and voice.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acting, there are three kinds of lower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acting: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eing related with the acting in space and the using Buddhist tool, for example, Bulja(拂子) and Jujangja(拄杖子), the using monk suit and incense. Those categories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acting have functioned to make 『Taegorok(太古錄)』’poetry and prose very active.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voice. there are four kinds of lower category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voice: the category of using Hal(喝) and Yi(咦), the category of using Dol(咄), the category of using Agaga(啊呵呵), the category of using Sodajoong(召大衆) and Ryangu(良久). Those categories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 by voice have functioned to make 『Taegorok(太古錄)』’poetry and prose very dynamic. Even though I studied the principle of nonverbal expression of Seon(禪) in 『Taegorok(太古錄)』 poetry and prose in three aspects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structure of Seon master Taegobowu"s the Seon pros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황윤석 시조의 교술적 성격과 작가 의식

        전재강(Jeon Jae-Gang) 한국시조학회 2003 시조학논총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사대부 시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황윤석 시조의 성격과 그 작품에 나타난 작가 의식을 논의했다. 사실을 제시하거나 교훈을 내리는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황윤석 시조는 교술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사실의 중심 내용은 군주의 격려, 군주의 생일과 忌日, 벼슬제수 등 君恩 관련 사항과 선산의 풍수적 빼어남, 선조의 훌륭한 행적, 가문의 아름다운 전통, 작가의 출생지, 태몽 등 집안 관련 사항들로 되어 있다. 교훈의 중심 내용은 유교 학문의 목적, 성선설의 입장, 인간 심성의 특성, 심성 수양의 방법 등 심성 수양 관련 사항과 오륜, 부부유별, 남여유별 등 유교 실천 윤리 관련 사항들로 되어 있다. 황윤석은 시조에서 정치, 경제적으로 상승하려는 의식과 이념을 지향하는 의식을 표현했다. 정치적 참여의 기회를 부여한 군주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보이거나 治國이나 平天下의 준비를 갖춘 가문에 대한 자랑을 하는 과정에서 상승 지향적 의식을 드러냈고, 주로 유교 윤리의 철저한 실천이나 전통 성리학의 고수, 人物性同論의 주장으로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데서 이념 지향 의식을 드러냈다. 정치ㆍ경제적 상승과 이념 지향적 작자 의식의 작용으로 작품은 교술적 성격을 상당 부분 가지게 되었고, 사실의 전달과 가르침의 제시라는 교술적 효과를 높이려는 과정에서 직설적 표현의 방법을 선택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Huang Yunseok's sijo and it's implications for his poetic intentions. Huang Yunseok's sijo is didactic in its presentation of facts and ethical lessons. The two main facts it presents are royal favors and his clan's pride. Royal favors concern. for example, encouragement of the king, the king's birthday and deathday, and securing a government position by the king's order. His clan's pride concerns, for example, the geographically wonderful place of Huang Yunseok's ancestor's tomb, his ancestor's great conduct, his clan's beautiful tradition, his birth place, and his birth dream. The main content of the ethical lessons concerns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and practicing Confucian ethics. Examples of the former describe the purpose of Confucian study, the ethical doctrine that human being's inborn nature is good, the character of the human mind, and the method of cultivating the human mind. Examples of the latter describe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separ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discrimin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poetic intention of Huang Yunseok's sip consists of political and economic self-promotion and theoretical devotion to Confucian ideology. Proud of his educated, high Confucian clan, he tries to get self-promotion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by vowing loyalty to the king. He implies devotion to the Confucian ideology through his description of the practice of the Confucian moral rules, the clinging to traditional Nee-Confucianism, and his insistence on the Nee-Confucian theory that all human beings and animals are the same in their original nature. In conclusion, the didactic character of Huang Yunseok's sip stems from his intention to promote himself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nd his theoretical devotion to Confucian ideology. The way of indicative expression originates from the didactic character of Huang Yunseok's sip.

      • KCI등재

        나옹 가사에 나타난 시적 대상 내용과 대상 인물의 성격

        전재강(Jeon Jae-gang) 한국어문학회 2011 語文學 Vol.0 No.111

        NaongHaegun(懶翁慧勤) is very famous Seon monk(禪僧) in late Korea dynasty as one of three great monks: PaegoonKyeonghan(白雲景閑), TaegoBowoo(太古普愚), NaongHaegun(懶翁慧勤). He was dynamic in two aspects, practicing and teaching. Even though he got enlightenment in his nation Korea already, he visited China in order to meet Seon muster. Eventually he met two big monk, Jigongwhuasang(指空和尙) and PyeongsanCheorim(平山處林) ending up getting Inga(印可) from them. He made a big effort to teach many various levels of people, for example, Seon monks, chanting people, his disciples, lower class people and high class people. According to their level and character, he gave them a dharma teaching properly. In order to express his practicing experience and to teach many various levels of people, he composed Buddhist Gasa(佛敎歌辭) and Chinese poetry song(漢文詩歌). I researched these two kinds of his literature in two points of view: the poetic contents and the poetic listener. The first, in the poetic contents he narrated his practicing life time as monk and taught various people dharma. When expressing his life time, he contained the whole process of his monk life: leaving home, entering mountain forest, practicing, getting enlightenment, teaching various people dharma. When expressing teaching various people dharma, he contained the explanation about The Sabba world, The Hell, The Nirvava and persuading people chanting in order to go The Nirvava. The second, I tried to research the poetic listener. I found out the two kinds of work styles: Nakdoga(〈樂道歌〉) and Seowangga(〈西往歌〉) did’nt have their being named poetic listener in aspect of his whole lifetime, But the last part of Seowangga(〈西往歌〉) and the whole part of Sungwonga(〈僧元歌〉) have their being named poetic listener in aspect of teaching various people dhar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