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계’에 대한 Martin Buber의 관계신학과 대상관계이론 및 영성신학적인 조명

        김홍근(Kim Hong-ke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8

          본 논문에서 ‘관계’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조명을 하였다. 첫째는, 마틴 부버의 관계신학적인 조명이다. 부버는 관계성은 두 가지 형태를 취한다고 주장하였다. ‘나-그것’과 ‘나-너’의 관계이다. ‘나-그것’의 관계와 달리 ‘나-너’의 관계에서 ‘나’는, 너에게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나는 너를 돌보며, 너에게 헌신하며, 활기를 주고받는 관계이다. 너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성을 추구하며, 너의 자율성과 자유를 존중한다. 둘째는, ‘관계’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적인 조명이다. 프로이트는 “리비도는 본능의 긴장완화를 위해서 쾌락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으로써 그에게 있어서 ‘대상’은 본능의 쾌락을 충족시켜주는 대상일 뿐, 관계적이지 않다. 하지만 대상관계이론은 견해를 달리한다. 페어베언은 “리비도는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대상과의 관계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즉, 리비도는 대상 추구적인 것으로 보았다. 하인즈 코헛에게 있어서 자기대상은 자기의 응집력, 활기, 힘 그리고 조화로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대상을 말한다. 이는 부버의 나-너’ 의 관계와 같은 의미이다. 부버는 하나님을 영원한 당신으로 본 반면, 코헛은 하나님은 자기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영성에 대한 정의를 여러 가지로 내릴 수 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영성을 대상과의 관계성으로 본다. 그러므로 관계신학, 대상관계이론, 영성신학은 공히 대상과의 관계성의 경험을 통해 영원한 당신 혹은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경험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보았다. 이 세 가지 영역에는 ‘관계성’이라는 중요한 접촉점이 있다. 그러므로 관계신학, 대상관계이론, 영성신학은 ‘관계성’이라는 현미경을 가지고 드려다 보면, 상호 연결되는 접촉점이 많다. 이러한 연구는 ‘관계’에 대한 폭넓은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about study on three approaches about relation. Firstly, it deals with relational theology of Martin Buber. Buber insists that relation has two forms: "I-Thou relation" and "I-it relation." In "I-thou relation", "I" am related with "you" emotionally, so "I" cares "you", sacrifices myself for "you", and energizes "you" instead using "you" for "my" purpose, "I" respects your autonomy and freedom. Secondly, it deals with the perspective of Object-relation psychology. While Freud"s position that "libido pursues desires for relaxing oneself" does not have any relational implication but only one for satisfying selfish desires, object relation theory is different from Freud"s one as affirmed in Fairbairn"s statement, "libido ultimately pursues relationship with object." That is, according to Fairbairn, libido is the reality of pursuing object. In Heinz Kohut, self-object is the object who makes possible cohesive self, vitality, power, and harmoniousness. It is in the same line with Buber"s posi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While Buber saw God as eternal "you", Kohut thought God as playing a role as self-object. Thirdly, while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about spirituality, spirituality is also a kind of relationship with object. Thus relational theology, object-relation theory and spirituality are in common in that three approaches all pursue, in a sense, the relation with eternal or transcendental thee through the experience with the object. In these three dimension, there is a contact of point named relationship.

      • KCI등재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작품을 통해 본 관계와 책임의 윤리학

        김모세(Kim Mo s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여러 작품을 통해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것”의 비밀을 탐색하며, 그 해답을 ‘관계’와 ‘책임’이라는 개념 속에서 찾는 것으로 보인다. 전쟁과 폭력, 물질주의의 범람과 같은 시대적 아픔을 진단하는 수단이 ‘관계’라면, 그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작가가 제시하는 약이 곧 ‘책임’인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생텍쥐페리의 소설 -특히 『어린왕자』와 『인간의 대지』- 에 나타난 ‘관계’와 ‘책임’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 내용을 마르틴 부버,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철학적 사유와 연결하여 새로운 해석의 영역을 모색해 보았다. 생텍쥐페리의 작품에서 제시되는 관계 맺기의 유형으로는 먼저 진정한 소통이 단절된 ‘사막’과 같은 관계, 즉 계열체적 관계 relation sérielle를 들 수 있다. 이것은 곧 타자를 측면적으로 대하는 방식으로, 단순히 옆에 있을 뿐, 서로 진심어린 소통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이다. 다음으로, 생텍쥐페리가 사막의 고독 속에서 인간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나와 너의 관계 relation entre Je et Tu’가 있다. 이 관계는 『어린왕자』 속 여우가 이야기하는 ‘길들이기 apprivoiser’의 관계이다. 상대방을 위해 눈물 흘리고 아픔을 느낄 수 있는 관계, 철학자 마르틴 부버의 주장처럼 깨어지고 상처받은 세계 속에서 소외된 인간을 회복시킬 수 있는 ‘나와 너’의 관계, 내가 ‘책임’을 져야하는 관계, 특별한 ‘너’를 특별히 ‘보살펴야’ 하는 관계이다. 마지막으로 ‘책임’에 기초한 ‘그들’과의 관계가 있다. 『인간의 대지』에서 생텍쥐페리는 ‘나와 너’ 사이의 관계가 ‘그들’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름조차 알지 못하는 동료들과의 연대성, 나아가 세계의 모든 고통받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그것이다. 2인칭의 관계가 3인칭 관계로 확장된다. 하지만 이 때의 3인칭 관계는 계열체적 관계, 즉 소통이 단절된 관계로의 회귀가 아니라, ‘나와 너’ 사이의 ‘책임’에 기초한 3인칭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우리는 ‘나와 너’가 ‘우리’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또 다른 ‘타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 위험을 극복하고 보편적 연대성을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In many of Antoine de Saint-Exupéry’s works, the author poses persistently this question : ‘What makes us human?’ In our point of view, for Saint-Exupéry,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question of ‘what makes us human’ are linked to th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The wa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proposed in Saint-Exupéry’s works can be characterized in several forms. The first type is a ‘desert-like’ relationship where real communications are not established, namely a serial relationship (relation sérielle).It is about people simply being next to each other without having any real, meaningful communication. The second typ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proposed by Saint-Exupéry as a way of saving people from their loneliness in the desert. This type is the ‘taming’ relationship (apprivoser) recounted by the fox in The Little Prince. As in the statement of the philosopher Martin Buber, i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which can enable an isolated person to find connection in a heartless world. The last type is the relationship with ‘them’, based on ‘responsibility’. Saint-Exupéry seems to be seeking to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in Wind, Sand and Stars. In other words, it is the solidarity felt with others even without knowing each other’s names, or more broadly,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anguished individuals in the world. A relationship with a second person broadens into a relationship with the third person. This relationship with the third person is, however, not one where communication is non-existent, but one based on the ‘responsibility’ between ‘I and Thou’. In this relationship, we can find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risk of making others into ‘third parties’ and establish a universal solidarity between people.

      • KCI등재

        만남의 철학을 통한 인간성 회복의 길 탐구: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와 헨리 제임스의 『데이지 밀러: 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경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2 문학과종교 Vol.27 No.2

        This essay aims to study Buber’s I And Thou and to examine James’s Daisy Miller: A Study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Buber. In the book, Buber mainly argues that the way of I—Thou means a personal relationship we move into existence. I—Thou is available when the sphere of between arises. In between, Thou is encountered in its entirety, which Buber calls a kind of encounter meeting. Meanwhile, the way of I—It means an impersonal relationship we move toward the object we experience. Buber argues that when I—Thou occurs, we can be moral and our life can change. In Daisy Miller: A Study, Winterbourne feels love when he first meets Daisy. But he becomes obsessed with the question, ‘is she a flirt, or a coquette, or an innocent American girl?’ From that time on he watches Daisy as if she were a thing to be known, or put to some purpose. Throughout the novel, Winterbourne shows the way of I—It toward Daisy, which causes her life to end. 부버에 따르면 ‘나—너’ 그리고 ‘나—그것’은 사람이 세계에 대해 취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근원어라고 불릴 수 있다. ‘나—그것’은 사물의 세계다. 내가 ‘그것’이라고 말할 때 ‘나’는 타인을 대상물로 소유하고 그것으로부터 사물성을 이끌어낸다. 이때 나는 대상물을 소유하는 주체로서 세워진다. ‘나—너’는 관계의 세계다. ‘나―너’는 내가 타인을 대상물로 인식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 자기중심주의가 극복될 수 있고, 자기중심주의가 극복될 때 자기중심주의 너머에 있는 사이의 영역이 모습을 드러낸다. 자아의 의도에서 도출되지 않은 이 사이의 영역에서 나는 직접적인 상태로 너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부버는 ‘나—너’를 다른 말로 만남이라고 부른다. 『데이지 밀러: 한 연구』에서 윈터본은 데이지를 ‘나—그것’으로 대한다. 윈터본은 데이지를 본 순간 그녀의 아름다운 외모에 반해 그녀에게 사로잡힌다. 그는 데이지에게 호감을 느끼면서도 그녀에게서 냉철한 시선을 거두지 않는다. 윈터본은 데이지를 범주화하고 관찰하고 연구하면서 그녀를 추론과 인과율의 세계에 가둔다. 결국 윈터본은 데이지가 창녀 같은 여자라고 확신하게 되고 그의 의식에 그녀는 일정한 내용을 지닌 사물과 같은 ‘그것’으로 저장된다. 결국 윈터본의 이런 태도는 데이지의 죽음을 초래한다.

      • KCI등재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에 표명된 대화철학적 인간론 다시 보기 :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윤형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 anthropology of dialogue philosophy and theological anthropology by re-reading Martin Buber’s Ich und Du(I and You). Buber divides the dual ways humans treat the world into ‘I-It’ (Ich-Es) and ‘I-You’ (Ich-Du). He warned of the expansion of the world of ‘I-It’, which would lead to the destruction of impersonality by making others instrumental and objectified, and suggested reciprocal personalism of ‘I-You’ as an alternative to mitigate and correct it. Buber’s anthropology has points where it can overlap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it corrects the mechanical and impersonal anthropology of modern times, emphasizes openness and love for others, raises alarms against modern inhuman behaviors that objectify and instrumentalize others, and calls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Nevertheless, Buber’s anthropology has a fundamental limit to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anthropology's thinking and discourse. First, Buber’s theory of God and religion, which emphasize the reality of relig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ristian theology, which presupposes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consequently approaches panentheism. Second, Buber confines human attitude toward God to the dichotomous frame of ‘perception and presence,’ ‘propositional doctrine and personal fellowship.’ Third, unlike Christian anthropology, which accepts the total depravity of man and depends on God's sovereign work, Buber believes that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depends on man’s free choice and ability to transform. Fourth, to Buber, Jesus was only a Jew who lived a prophetic life, not an object of faith who became incarnated as the triune God and accomplished redemption on the cross. This is fundamentally contrary to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ains what humans ar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Christology. In conclusion, despite the relevance of the anthropological critical mind raised by Buber, his dialogue-philosophical anthropology allows contact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only in a limited range due to subtle or stark differences between Jewish and Christian beliefs. 본 연구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 다시 읽기를 통해 대화철학적 인간론과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가능성을 타진한다. 부버는 인간이 세계를 대하는 이중적 방식을‘나-그것’(Ich-Es)과 ‘나-너’(Ich-Du)로 구분한다. 그는 타인을 도구화하고 대상화함으로써 비인격성의 파괴를 초래할 ‘나-그것’의세계의 확장을 경고하면서, 이를 완화하고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나-너’의 상호적 인격주의를 제시하였다. 부버의 인간론은, 근대의 기계적이고 비인격적인 인간론을 교정하고, 타자를 향한 개방과 사랑을 강조하며, 타인을 대상화하고도구화하는 현대의 비인간적 행태에 경종을 울리며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신학적 인간론과 중첩된다. 그럼에도, 부버의 인간론은 기독교 인간론의 사유와 담론에 원용되는 데에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첫째, 종교의 현실성을 강조하는 부버의 신론과 종교론은 하나님의 초월성을 전제하는 기독교 신학과중대한 차이를 보이며 만유재신론에 근접한다. 둘째, 부버는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태도를 인식과 임재, 명제적 교리와 인격적 교제라는 이분법적 틀에 가두고 대립시킨다. 셋째, 인간의 전적 타락을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에 의존하는 기독교 인간론과 달리, 부버는 진정한 인간성의 실현이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전환하는 능력에 달려있다고 믿는다. 넷째, 부버에게 예수는예언자적 삶을 산 유대인일 뿐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성육신하고십자가에서 구속을 이루신 신앙의 대상이 아니다. 이는 기독론의중재를 통해서만 ‘인간이 무엇인지’가 해명되는 신학적 인간론과근본적으로 어긋난다. 결론적으로, 부버가 제기한 인간론적 문제의식의 적실성에도불구하고, 그의 대화철학적 인간론은 유대교적 신념과 기독교적신념 사이의 미묘하거나 혹은 극명한 차이로 인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신학적 인간론과의 접점을 허용한다.

      • KCI등재

        교사 열정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진영은(Chin Youngeun),이선영(Lee Seonyoung),김진희(Kim Ji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s’ passion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s. While previous research centered on teachers’ passion as an instrumental tool, I intended to reveal their passion on the basis of relationship dimension and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teachers’ passion by in-depth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observation in their classes. Although teachers’ 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was beyond the teaching techniques to connect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it was not only a thankful affection but also a burden. In the relationships among co-teachers, passion became both a restriction as well as a shared energy. From the view of education, teachers’ passion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gained authentic meaning when a potential passion was transformed into practical passionate behaviors of teachers through struggling human beings(entwurf). Second, passionate teachers tried to embrace others’ perspectives and to reflect on their own activities in spite of their desire for deterritorization. Third, passions were increased by various layers of relationships. In this respect, teachers’ passions in education should be tolerant passions, rather than immersed passions. Also, teachers’ passions had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hoice between two extremes such as ‘to be, not to be.’ or ‘much, little.’ 이 연구는 관계 측면에서의 교사 열정 체험에 관한 탐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열정의 도구적 역할에 중점을 둔 반면, 이 연구는 열정적인 두 교사와 학생들을 심층면담하고 참여관찰 함으로써 열정의 속성을‘관계’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열정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열정은‘내가 불을 밝혀서 함께 쓰는 에너지’이기에 관계가 기반이 된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열정은‘테크닉 너머의 가르침’이고‘나와 너로 이어주는 힘’이었으며 또한‘고맙지만 부담스러운 마음’이기도 했다.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열정은‘함께 나누는 에너지’였지만 때로는‘삶을 구속하는 모습’이기도 했다. 교육의 관점에서 열정 체험은 첫째,‘기투’라는 존재론적 특성에 의해 잠재적 열정이 실천적 열정으로 이행된 것이며 타자에게 전이될 때 의미를 더했다. 둘째, 탈영토화의 욕망 속에서도 자신의 지평을 성찰하고 타인의 지평을 포용하려 했다. 셋째, 여러 층 관계 구조도‘나와 너’의 존재적 관계에서의 열정을 상승시켰다. 열정 체험이 갖는 이러한 의미는 교사의 열정이 몰입하기 보다는 배려하는 열정이어야 하며 열정은‘있다, 없다’,‘많다, 적다’로 단정 지을 수 없는 다양한 모습의 존재 특성임을 함의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

        오정미 ( Oh Jung-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인간의 관계 속에서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건강한 자기서사가 치료의 목표인 문학치료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 그리고 문화를 표상하는 다문화사회에서 더욱 필요한 학문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정, 다문화인에서 나오는 ‘다문화’라는 용어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한국사회와의 관계에서 갖게 되는 자기서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자신을 사회에서의 타자 혹은 소수자의 위치에서 운영하는 이주민 서사를 발견하였다.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한 자녀서사ㆍ남녀서사ㆍ부부서사ㆍ부모서사가 보편적 인간관계 속에서 견인한 문학치료의 자기서사라면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로 규정된 공동체 속에서 발현되는 유형성 내지 정형성을 지닌 자기서사이다. 자신을 타자화하는 서사가 강하다면 우리는 누구나 이주민 서사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다문화가정 구성원은 한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주민 서사를 자기서사로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결혼이주여성 혹은 한국 남편의 부부서사 문제의 심연에는 이주민 서사가 원인으로써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문학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이 가진 이주민 서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에 다문화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 한국 남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이주민 서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틴 부버(Martin Buber)의 인간의 관계론, ‘나와 그것’과 ‘나와 너’의 이론을 통해 건강하지 못한 방향과 건강한 방향으로 이주민 서사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설화 <막산이>를 통해 이용과 목적 수단을 위한 도구의 비인격적 관계, 즉 건강하지 못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그것’을 제시하였고, 설화 <반쪽이>를 통해 직접적이며 순수한 인격적 관계, 건강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너’를 제시하였다.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가정 나아가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이주민과 정주민 모두에게 존재할 수 있는 자기서사로, ‘나와 너’의 관계 속 이주민 서사를 통해 문학치료의 지평을 넓히길 기대한다. Literature therapy, whose goal is to discover and promote healthy story-in-depth of self in human relations, is a particularly critical field of stud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term ‘multi-culture’ from the viewpoints of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people. It also, examined the story-in-depth of self that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hav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and found the following: An immigrant epic, in which the self i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or minorities was found. If son-daughter, man-woman, husband-wife, and father-mother epics are story-in-depth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an immigrant epic is the story-in-depth of self found in multicultural communities. If the epic to make one’s self be an outsider is strong, anyone can have an immigrant epic. In particula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cannot help but have such an immigrant epic as a story-in-depth of self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an immigrant epic can be the primary cause of an immigrant woman's or her husband’s psychological issues. It is important for literature therapy on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their immigrant epic and further examine it against immigrant women, their husbands, and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an immigrant epic with healthy and unhealthy aspects through Martin Buber’s Interpersonal Theory (“I-Thou Relations” and “I-It Relations”). It also proposed a non-personal “I-It relation” through the folk tale ‘Maksani’ and a direct and pure “-Thou” interpersonal relation through ‘Banjjogi.’ An immigrant epic is a story-in-depth of self that can be found in both immigrants and settl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 multicultural fami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scope of literature therapy through an immigrant epic with “I-Thou relations”.

      • KCI등재후보

        기독교철학과 상담심리와의 만남 인간의 존재 방식과 관계에 대한 고찰 -마틴 부버의 『나와 너』와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변복수 ( Bok Soo Byu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2 No.-

        This study focused on Martin Buber`s ``I and Thou`` and Erich Fromm`s ``To Have or To Be`` concerning the way of human beings and relationships, Buber would say that no one exists in isolation as just an I and no I exists without a Thou. That is, I only exists in relationship to the other. Buber understands I as a ``between existence``. Erich Fromm classified the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according as existing patterns. Both existing patterns and ways of life would be altered when one`s existence focuses on either possessive manner or existential one. Buber shared Fromm`s view; we always exist in one of two relationships, and only when being as a ``between existence``, the existence could be a real one that is dematerial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and existence has an unconditional impact in counseling. If you meet a client who had been branded as a possessive object, materialized one or diagnoses. Understanding the existence has an impact on someone`s attitude to relationship, eventually it affects the consequences of counseling. In conclusion, contemplating the way of human beings and relationships make counselors being more mature for themselves, respectful of clients and treating human beings to uphold their dignity in all areas of life as well as having wide recognition to have new relationships.

      • 마틴 부버의 ‘나와 너’에 나타난 교육적 세계관

        박주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

        Human beings are alone but at the same time always live with others. It seems so natural that human beings themselves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formation with others. The scholar who theoretically organized this is Martin Buber. Buber thoughtfully conceptualized and organized the concept of meeting. As we go back in history and live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in the past, modern society has to wonder what the natural questions and existential encounters with humans are and why education is needed.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have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and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but it is worth considering beyond the age, gender, and culture in the immediate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corporating this into the educational situation, theorizing and explaining the main concepts of Buber's meeting with you, the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y, and further modernization.

      • KCI등재

        정선 지역 마실돌이 놀이판의 심리치유적 효과

        박관수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5

        ‘마실돌이 놀이판’은 한 마을 안에서 이 집 저 집 다니면서 노는 놀이판을 의미한다. 이 놀이판은 보통 곡식을 추수한 동짓달부터 정월 보름 정도까지 진행된다. 이 놀이판에서는 ‘정선아리랑’, ‘다복녜’, ‘성님오네’ 등과 같은 소리도 하지만, ‘춘향이놀이’, ‘방맹이점’, ‘종지놀음’ 등과 같은 놀이도 한다. 이러한 놀이판에는 동갑내기들이 10여 명 정도가 모이고, 놀이는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마실돌이 놀이판에서는 동갑내기들이 모이는 분위기에서 만나기 때문에 개인들끼리의 거리감을 덮어둔 채로 만나는 경우가 많게 마련이다. 이러한 현상은 놀이라는 문화적 속성 속에 일상적 속성이 흡입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속에서 일상생활에서의 문젯거리는 기본적으로 배제되기 마련이다. 놀이판에서 다양한 감정이 드러나더라도, 원망의 감정이 없이 바라보려고 할 뿐이다. 이처럼 놀이판에서는 ‘나’와 ‘너’에 대한 공감의 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감의 밑바닥에는 ‘나’가 ‘너’를 있는 그대로, ‘너’가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가능해진다. 서너 시간의 놀이를 거치면서, 놀이판에 참여한 사람들은 일상을 습관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새롭게 바라본다. 놀이판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신을 이해하기도 하고, 상대를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상대와 나의 관계를 이해하기도 한다. 실생활에서 이루기 힘든 일들이 놀이판에 참여하면서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 개선은 일시적이다. 서너 시간 놀이판에 참여함으로써 깊은 깨달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겠지만, 놀이판에 참여함으로써 얻어지는 새로움은 일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놀이판에 참여하는 횟수가 잦아지면서, 그러한 일시성에서 벗어나게 되기도 한다.

      • KCI등재

        신권 정치와 무정부주의 사이에서 -마르틴 부버의 성서적 휴머니즘에 관한 시론-

        조효원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3

        Although it is mainly by virtue of I and Thou, a book Martin Buber published in 1923, that he won a world-wide reputation as a religious thinker, his own multi-faceted thought far exceeds the rather mystical framework the book seems to offer. As an intelletual of the Weimar republic who has been nurtured by the German-Jewish complex of culture and politics, Buber evolved from a Hasidic mystic via a representative of the philosophy of dialogue into a leading exponent of biblical humanism. Setting in motion this idea,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very strand of political Zionism, Buber strove to merge the Hebrew ideal of theocracy with uniquely anarchic ideas that acknowledge neither the powers that be, nor all kinds of violent revolutions. This essay aims both at highlighting which inspiration Buber gained from German philosophy and at specifying on the questions he felt obliged to address as a Jew. As for the former, one may well start with Friedrich Nietzsche whose writings Buber in his youth regarded as a kind of revelation. But it is from Wilhelm Dilthey and Georg Simmel, inter alia, that Buber took his cue when he set forth on his own philosophical journey from Berlin to Jerusalem. Armed with Dilthey’s concept of experience and Simmel’s idea of interaction, Buber could keep wrestling with the problem Nietzsche had posed in a new way: What is human being?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question can be grasped if we modify it as follows: Who is Jesus? To this question Buber answered that he is the greatest prophet in history. As for the latter, it is imperative to bear in mind that for Buber one of the contributory factors to the rise of Nazi regime was the craze for Paulinism among many Weimar intellectuals, German and Jewish alike. The Paulinism of the Weimar era was basically initiated by the Swiss theologian Karl Barth. His radical distinc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hereafter was, in Buber’s view, nothing but a germ of the catastrophe to come. Against Barth and his ilk, to which Buber believed his Jewish fellow Franz Kafka also belonged, Buber never ceased to raise objection. And it is on the basis of his solid faith in theopolitics, i.e., messianism of continuity, that Buber could keep distance both from political Zionism and religious quietism. 이스라엘의 사상가 마르틴 부버의 철학은 보통 나와 너 로 집약-표상된다. 하지만 바이마르 공화국의 독일-유대 지식인으로서 부버가 보인 사유의 행로는 그 책 한 권으로 환원될 수 없는 거대한 복잡성을 내포한다. 독일 사상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니체의 철학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철학적 사유를 개시한 부버는 빌헬름 딜타이와 게오르크 짐멜에게 사사했고, 나아가 전자의 체험 개념과 후자의 상호 작용 개념을 창조적으로 응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대화 철학을 구축했다. 그런가 하면, 유대인으로서의 자각을 누구보다 뚜렷하게 가졌던 부버는 민족주의의 한 변이형에 불과한 정치적 시온주의와 이에 대한 타민족의 적대를 극복할 방안을 모색했다. 이때 그에게 핵심 사안으로 등장한 것은 ‘예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었다. 부버는 아브라함 가이거의 예수-바리새인 가설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예수를 ‘가장 위대한 예언자’로 규정했다. 이는 기독교와 유대교의 경계를 초월하는 보편적 휴머니즘을 향한 행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부버는 칼 바르트로 대표되는 당대의 이원론적 바울주의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그것이 무책임한 정적주의를 추동하여 돌이킬 수 없는 정치적 재앙을 초래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맞서 부버가 주창한 것은 연속성의 메시아주의, 즉 신권 정치와 무정부주의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는 성서적 휴머니즘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