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不正咬合患者의 severity 에 關한 硏究

        朴琯洙,李東柱 朝鮮大學校 口腔生物學硏究所 1988 口腔生物學硏究 Vol.12 No.-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degree of severity for malooclusion patients and the samples were extractied among the casts of orthodontic patents filed in Infirmary of Dental College, Chosun University. The number of the casts used in this study were 641 and limited to permanent dentition Qualitative estimation was done by Angle's classification and qurntitative estimation was done by several severity indexing method which is being peing performed as a public health por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Angle's classification, it was presented that Class Ⅰ malocclusiion was 50.1%, Class Ⅱ, division 1 malocclusion was 12.6%, Class Ⅱ, division 2 malocclusion was 5.8% and Class Ⅲ malocclusion was 35.1%. 1) The number of maloccluded teeth has a range of 0∼18 and average of 5.58. 2) Malaignment Index has a range of 0∼135 and average of 8.62. 4) Handicapping Labio-lingual Deviations Index has a range of 0∼80 and average of 12.90. 5) Occlusal Feature Index has a range of 0∼8 and average 3.44. 6) Handicapping Maloclusion Accessment Index has a range of 2∼55 and average of 28.46.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dexes according to the Angle's classification compared each with Class I group. 8) Ther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es was not highly correlated except between the number of maloccluded teeth and malalignment index (r=0.96).

      • KCI등재

        어러리와 아리랑에 대한 문화적 분석

        박관수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No more than 70 years ago, the song name, Eoreori was generally used not only in Jeongseon but throughout the whole Gangwon Province. However, today the song name has been completely removed without leaving any trace. The song itself, as well as the song name, has changed, and even the fun and enjoyment of the singers have changed. This phenomenon can only partl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ong is orally transmitted. Hence,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phenomenon in its cultural aspect. In the 1930s, the song name, Eoreori, not Arirang, was mainly passed down throughout the GangwonProvince. At that time, Eoreori was passed down without any interfe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rhythm and melody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and the regions they originated from. Eoreori, the mother song native in the Gangwon Province, was introduced in Seoul, and Jeongseon Arirang, the child song, was newly created. The child song, with the help of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the phonograph and radio, played a big role in driving out the mother song, Eoreori. This phenomenon derives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Korean folk songs by record producers, folk song research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Record producers did not see folk songs as a factor that constitutes life, but rather utilized them merely as means of entertainment. As a result, they incorrectly understood Korean folk songs. Researchers on folk songs also did not attempt any field research for specific details, but judged folk songs based on their stereotypes. This can be proven by the attitude of researchers concluding that the emotion behind folk songs is only sorrow or “Han”. In addition,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Jeongseon county office paid no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folk songs, but standardized the song name and score, pursuing only their convenience. Likewise, Eoreori has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cultural environments, but also due to internal cultural environments. In the past when there was a definite division between nobles and commoners, nobles did not sing Eoreori, but it was sung by commoners or servants. However, Eoreori from phonographs or radios did not divide the class of people, and the disappearance of class divisions after independence also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Eoreori. Discussion on Eoreori needs to be progressed in depth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Actions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folksongs due to external factors were broadcasted. Record producers with the help of machinery, researchers with authority, and Jeongseon county office, using the power of organization, forced the relatively powerless singers to follow their songs and thoughts. In this process, singers could not actively enjoy Eoreori, but only passively follow the rules set by others. In other words, the joy of Eoreori ceased to exist. 어러리는 급격하게 변모했다. 불과 70여 년 전에는 어러리라는 노래명이 정선은 물론 강원도 전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제는 그 흔적조차 발견하기 어렵다. 노래명은 물론 소리 자체도 변모했고, 어러리에 대한 가창자들의 향유의식마저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민요는 구전된다는 측면만으로는 부분적으로 해명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문화적 측면에서 그 해명을 시도했다. 1930년대에는 아리랑이라는 노래명보다는 어러리라는 노래명이 강원도에서 보편적으로 전승되었다. 그 당시 어러리가 자족적으로 전승할 때에는 개인별, 지역별로 박자, 선율 등이 다양했다. 강원도에서 자생하던 모민요인 어러리는 서울에 유입되어 자민요인 ‘정선아리랑’을 생산했다. 그 자민요는 사람들의 활발한 왕래, 축음기나 라디오 등의 문명기기의 도움을 받아 모민요인 어러리를 축출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저에는 무엇보다도 음반 생산업자, 민요 연구자, 유관기관들의 민요에 대한 오해가 자리하고 있다. 음반 생산업자들은 민요를 삶을 구성하는 한 요소를 보지 않고 단순히 오락의 대상으로 활용했다. 그들은 결과적으로 민요를 올바르게 바라보지 못했다. 민요 연구자들도 전승 현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그들의 고정된 민요관에 따라 민요를 재단을 할 뿐이었다. 민요의 정조를 ‘애처로움’ 내지는 ‘한’으로 파악하는 태도가 이를 보여준다. 또한, 정선군청과 같은 유관기관은 민요 자체가 지닌 다양성을 무시하고 노래명이나 악보를 통일화하는 등 편의를 좇을 뿐이었다. 이처럼 외부적 문화 환경의 영향을 받아 어러리가 변화하기도 했지만, 내부적 문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기도 했다. 과거 반상의 구별이 심할 때 양반 행세를 하던 사람들은 어러리를 부르지 않았고, 평범한 사람들이나 머슴 등과 같은 사람들이 불렀다. 그런데 축음기나 라디오 등에서 흘러나오는 어러리는 반상을 구별하지 않았고, 해방 후 반상의 구별이 사라지는 문화적 상황도 어러리가 변화하는 데 일조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면서 어러리에 대한 논의가 더 깊이있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부적 요인에서 비롯된 민요에 대한 오해를 바탕으로 한 행위들은 전파력을 지녔었다. 음반업자들은 문명기기에 의지해, 민요연구자들은 권위에 의지해, 정선군청등은 조직에 의지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가창자들에게 그들이 만든 소리, 생각을 따르도록 압박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창자들은 적극적으로 어러리를 향유하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향유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어러리를 스스로 즐기는 힘이 소멸되어 간 것이다.

      • KCI등재

        풀써는소리 사설의 엮음 원리

        박관수 한국민요학회 2006 한국민요학 Vol.19 No.-

        In this article, the concept ‘hyangyuso’ is introduced to analyze the formation of words in <pulsseoneunsori>. ‘hyangyuso’ is the singer's thought toward words. When the concept is used in analyzing word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words in literary point of view. Furthemore, by examining ‘hyangyuso’, the local color in <pulsseoneunsori> become more evident. When taking ‘hyangyuso’ as a means of analyzing words, each weaving for certain kinds of grass is used in different range of area ; some weavings are used in whole area, while others are used in some ‘Guns’, still others are used in some villages. Weavings of each kinds of grass has different distribution aspect. This is because each region has mutually different ‘향유의식’. <Pulsseoneunsori> was analyzed in broad perspective. In other words, it is focused on the direction of words, not on words in detail. The direction is defined as ‘inclination’. First in this article, how the words can get the meaning of the object was analyzed. There are showing customs inclination, showing ecology inclination, particularity inclination, etc. And the ways of forming words are selectivity inclination, imperfection inclination, concreteness inclination, sensibility inclination, amusement inclination, etc.

      • KCI등재

        제7차 개정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민요교육의 문제점 연구

        박관수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과거 중학교 국어교과서에서도 민요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잘못 기술하고 있는데, 제7차 개정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중 일부 교과서에서도 여러 오류가 발견된다. 우선 대다수 교과서들이 각 개체요들이 학년별, 교과별, 단원별로 적합하게 선정되었는지를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은 채 과거 교과서의 민요 선정을 그대로 답습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학교 1학년 아이들의 정서와 맞지 않는, 어른들이 주로 부르던 민요를 수록하거나, 1920년대 전후에 창작된 민요풍 유행가를 민요라고 소개하는 등의 오류를 보인다. 또한, 일부 교과서에서는 민요의 운율적 특성과 음악적 특성을 혼동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나아가 사설 자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개체요 내지는 장르 자체에 대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국어 교과서에서 오류가 발견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교과서 집필자들의 민요에 대한 무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In the seventh revised curriculum of Korea’s education, a number of middle school first grade language textbooks have a collection of Korean folk songs as studying material. However, there are quite a few problems with such a selection, starting with the folk songs themselves; many of the selected “folk songs” are not actually folk songs at all. Furthermore, the content of these folk songs pose a problem. Most of the selected folk songs are not appropriate for the middle school first grade curriculum. Not only that, but many textbooks portray folk songs inaccurately due to a lack of comprehension. Some textbooks confuse the rhythmical character and the musical character of each song. Many err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lyrics and also the individual songs or the genre itself. Regrettably, there are a lot of obvious errors in the description and portrayal of folk song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uch problems fundamentally arise from the textbook editors and writers’ ignorance of folk songs.

      • KCI등재
      • KCI등재

        생식생장기에 지하수위 처리가 콩의 생육과 질소 및 몇가지 양이온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관수,안태환,조진웅 한국작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4 No.2

        본 연구는 생식생장기의 습해에 의한 콩 수량과 질소 및 여러 가지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지하수위를 0 cm, 10 cm 및 40 cm로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지하수위가 높음에 따라 생육과 수량은 감소되었으며 다원콩의 감소정도가 풍산나물콩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질소흡수량은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으며 수량과의 상관관계는 R2=0.872 로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다. K함량은 지하수위 높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뿌리 제외), Ca함량은 감소(잎, 줄기) 또는 증가(뿌리)하였지만 Mn과 Fe 함량은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다원콩이 풍산나물콩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ponse the growth, seed yield, nitrogen content and different cation content of two soybean, flooding-tolerant cv. Pungsannamulkong (PNSK) and flooding-sensitive cv. Tawonkong (TWK) when these were subjected to flooding stress at R1 stage for cultivation in paddy field. Flooding, underground water levels (UWL) of 0 cm, 10 cm and 40 cm, was experimented from flowering time to harvest time. The dry matter and seed yield of soybean with UWL of 0 or 10 cm declined in comparison with UWL of 40 cm and these were more reduction in TWK than in PNSK. The amount of nitrogen uptake decreased in higher UWL and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relationship (R2=0.872) between nitrogen content and seed yield at flooding stress. K content of leaf and stem in soybean plants had a small change with UWL but Ca content had a decrease (leaf and stem) or increase (root). Mn and Fe content were increased at higher UWL and were more in TWK than in PNSK.

      • KCI등재

        정선 지역 마실돌이 놀이판의 심리치유적 효과

        박관수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5

        ‘마실돌이 놀이판’은 한 마을 안에서 이 집 저 집 다니면서 노는 놀이판을 의미한다. 이 놀이판은 보통 곡식을 추수한 동짓달부터 정월 보름 정도까지 진행된다. 이 놀이판에서는 ‘정선아리랑’, ‘다복녜’, ‘성님오네’ 등과 같은 소리도 하지만, ‘춘향이놀이’, ‘방맹이점’, ‘종지놀음’ 등과 같은 놀이도 한다. 이러한 놀이판에는 동갑내기들이 10여 명 정도가 모이고, 놀이는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마실돌이 놀이판에서는 동갑내기들이 모이는 분위기에서 만나기 때문에 개인들끼리의 거리감을 덮어둔 채로 만나는 경우가 많게 마련이다. 이러한 현상은 놀이라는 문화적 속성 속에 일상적 속성이 흡입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속에서 일상생활에서의 문젯거리는 기본적으로 배제되기 마련이다. 놀이판에서 다양한 감정이 드러나더라도, 원망의 감정이 없이 바라보려고 할 뿐이다. 이처럼 놀이판에서는 ‘나’와 ‘너’에 대한 공감의 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감의 밑바닥에는 ‘나’가 ‘너’를 있는 그대로, ‘너’가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가능해진다. 서너 시간의 놀이를 거치면서, 놀이판에 참여한 사람들은 일상을 습관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새롭게 바라본다. 놀이판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신을 이해하기도 하고, 상대를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상대와 나의 관계를 이해하기도 한다. 실생활에서 이루기 힘든 일들이 놀이판에 참여하면서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 개선은 일시적이다. 서너 시간 놀이판에 참여함으로써 깊은 깨달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겠지만, 놀이판에 참여함으로써 얻어지는 새로움은 일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놀이판에 참여하는 횟수가 잦아지면서, 그러한 일시성에서 벗어나게 되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