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주 한인언론『신한민보』의 정의부에 대한 보도와 그 특징

        조규태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4

        이 글은 미주에서 발간된 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신한민보』가 정의부에 대해서 보도한 내용과 그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먼저『신한민보』의 정의부에 관한 기사의 빈도와 출처, 다음으로 『신한민보』의 정의부 관련 기사의 유형과 내용, 마지막으로 『신한민보』의 정의부 관련 기사의 논조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한민보』는 정의부의 독립운동에 대하여 상당한 관심을 갖고 근 100회에 가까운 기사를 보도하였다. 특히『신한민보』는 1920년대 중후반 만주의 대표적 독립운동단체인 3부 중에서 의병계열인 참의부보다 애국계몽운동계열인 정의부와 신민부에 더 관심을 가졌고, 두 단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안도 지역 출신이 많고 활동도 더 활발하였던 정의부에 각별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이는 1920년대 북미대한인국민회의 구성원들이 대체로 안창호를 지지하는 평안도계열의 인사로 구성되었던 것과 관계가 있다. 『신한민보』는 정의부에 관한 정보를 정의부의 기관지인 『대동민보』와 『전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 그리고 남만주와 중동선의 통신원으로부터 얻었다. 때로는 국내의 『동아일보』를 읽고 그 내용을 거의 전재하기도 하였다. 『신한민보』는 사건의 발생일로부터 20~40일, 때로는 두 달 후에 보도하기도 하였지만, 국내언론인 『동아일보』에 비해 상당히 구체적이고 정확한 사실을 보도하기도 하였다. 『신한민보』는 정의부의 조직과 인사, 군자금과 독립군 모집, 일제관헌과 친일파 처단, 통일적 활동과 민족유일당운동, 정의부원의 체포와 재판에 관한 사실을 보도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중점을 갖고 보도한 것은 정의부원의 군자금과 독립군 모집 및 일제관헌과 친일파 처단에 대한 내용이었다. 다음으로 정의부의 통일적 활동과 그 일환으로서의 민족유일당운동도 상당히 여러 차례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신한민보』는 정의부원의 군자금과 독립군 모집 및 일제관헌과 친일파 처단에 대한 기사에서 정의부원에 대해서는 대담과 용맹과 관대를, 일제관헌에 대해서는 무능과 잔혹과 비인륜성의 특징을 드러내 보였다. 또한 국내에 정의부의 통치력과 지배력이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 정의부의 조직을 남만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이란 관점에서 다루었고, 정의부와 제 단체와의 통일적 활동을 강조하였으며, 민족유일당운동을 민족의 대동ㆍ통일을 통해 대단결력을 형성함으로써 ‘독립’이란 대계획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신한민보』는 만주지역에서 무장투쟁을 벌이는 정의부의 투쟁성과 재정적 어려움과 정의부원의 희생을 재미한인에게 알려 이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이들로부터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여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의부의 통일적 활동과 민족유일당운동을 소개함으로써 분열되어 있는 미주한인사회의 단합을 이루고 미주의 한인들이 대동단결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를 희망하였던 것이다. This thesis is a paper studying abou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of Chung-eui-boo in Shinhanminbo, which was the voice of Dae-han-in-gook-min-hoe. In this, first I reviewed the frequency and source of the articles of Chung-eui-boo. Second, I analyzed these by types. Third I investigated the tone of the articl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Chung-eui-boo inserted in Shinhanminbo is near one hundred. In this point, It is for sure that Shinhanminbo payed a lot of attention to Chung-eui-boo. Korean- americans of Dae-han-in-gook-min-hoe run more the articles of Chung-eui-boo than Cham-eui-boo and Shin-min-boo in Shinhanminbo. Because Korean-americans of Dae-han-in-gook-min-hoe were from Pyeong-an-do by the large as the member of Chung-eui-boo.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from Pyeong-an-do. Shinhanminbo got the source of the articles of Chung-eui-boo from Daedongminbo, Chunwoo(Fellow Soldier), Doklipsinmoon(Independence Paper), correspondents of Manchuria, and Dongailbo. Though Shinhanminbo reported the accidents 40~60days late compared with the source paper, sometimes it reported accidents more concrete and correct than Dongailbo. The articles of Chung-eui-boo in Shinhanminbo are classified to five categories,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tters of Chung-eui- boo, collection of the sinews of war and the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killing of Japanese officers and pro-Japanese collaborators, and unitive activities as national single party movement. Seen by percentage, the first is the articles of collection of the sinews of war and the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second is the articles of killing of Japanese officers and pro-Japanese collaborators, the third is the articles of unitive activities as national single party movement. Shinhanminbo represented member of Chung-eui-boo brave and generous, and Japanese officers stupid and brutal. And Shinhanminbo insinuated that Chung-eui-boo wielded strong influe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Shinhanminbo emphasized unification of Korean peoples and parties. In conclusion, Shinhanminbo tried to infuse patriotism into the heart of Koren-american by reporting patriotic activities of Chung-eui-boo members. And Shinhanminbo yearned for Independence of Korea through unification of Korean peoples, including Korean-americans, by publishing the articles of the unitive activities of Chung-eui-boo and its’ memb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 한국 정치소설의 모색과 이항우 : 미주(美洲) 발간 「신한민보」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이유미 ( Youmi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7

        본고는 「신한민보」에 글을 발표했던 작가 이항우의 생애를 중심으로 식민지기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한 유형을 고찰하고, 1910년대 초반 「신한민보」단편소설과의 연관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한민보」소설의 세부적인 결을 좀 더 실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그리고 본 연구는 개별작품론이나 작가론 등 구체적인 연구 방법론의 부재가 식민지기 이산(離散) 문학의 풍성한 논의로 이어지지 못했고, 한국 문학사에서도 배제되어 온 주 요인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연구 과정에서 「신한민보」 초기의 단편소설들이 한국 식민지 현실에 대한 날선 비판과 독립을 위한 구체적인 변혁을 주창하고 있으며, 이는 식민지기 국내에서 발표된 그 여타 소설과도 구별되는 점임을 발견했다.또한 그 배경의 주요 인물 중 이항우라는 대표적인 필자를 주목하고 그의 삶과 사유 체계를 추적하여 작품과의 연관 관계를 유추해 보았다.식민지기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삶을 상징화한 표본이라 할 만큼 다채로운 행적을 보여주는 작가 이항우는 런던 체류 당시 최정익, 박용만 등 미국 국민회 관계자의 주선과 후원으로 「신한민보」와 밀접한 인연을 맺고 약 2년여 간 소설 등의 여러 글을 발표했다.특히 소설의 ‘개혁주의’ 를 강조한 그의 소설론은 소설의 정치.사회적 기능에 대한 강조, 구소설 비판, 소설의 대중 영향력 등을 피력하며 중요 논제의 출발에서 박은식, 신채호 등의 국내 애국계몽소설론과 그 궤를 같이 한다.이항우가 「신한민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기간 동안 발표되었던 단편소설들은 그 주제 의식과 내용상 특징면에서 동시대 국내의 다른 소설과도 구별될 뿐만 아니라, 이후 같은 「신한민보」 소재 소설들과도 차별적인 특징을 지닌다.첫째, 당대 식민지 현실의 원인에 대한 냉철한 비판의식을 작품 전면에 직접적으로 표출했다는 점, 둘째, 현실 타개의 구체적인 대책으로 무장독립투쟁을 강조했다는 점, 셋째, 국외를 떠돌며 고국으로의 귀환을 꿈꾸고 실행하는 작중 인물을 내세운다는 점, 넷째, 향후 신한국 사회의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이상적인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이처럼 ‘소설개량’의 실천으로 창작된 신채호 등의 역사전기소설과 같은 지향점을 갖고 출발했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양상의, 보다 현실적인 기반에서 비롯된 ‘정치소설’을 모색할 수 있었던 것은 발화 가능한 미국이라는 공간적 이탈과 작가 개인의 실질적인 체험 서사가 기반이 되어 관여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type of diaspora intellects during the colonial era centering around the life of writer Lee Hang Woo who released his writings on 「The New Korea (「Sinhanminbo」)」 and examine its association with short stories in 「The New Korea(「Sinhanminbo」)」 during the early 1910’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etailed aspects of novels in 「The New Korea(「Sinhanminbo」)」more substantially. In addition, this study has begun with this author’s critical awareness that the lack of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individual theories of works ortheories of writers was one of the major factors resulting in insufficient discussion on diaspora literature in the colonial era and also excluding it from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research, this author has found that initial short stories in 「The New Korea(「Sinhanminbo」)」 criticized the colonial reality of Korea sharply and advocated concrete revolution for emancipation, and this is the point of how they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novels that release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Moreover, this study focuses on Lee Hang Woo,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and major figures in the background and traces his life and system of reasoning to infer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his works. Writer Lee Hang Woo who left very colorful highlights as an example symbolizing the lives of diaspora intellects in the colonial era had close bonds with 「The New Korea(「Sinhanminbo」)」 through the arrangement and sponsoring of those concerned in the US National Society such as Choi Jeong Ik and Pak Yong Man while staying in England and released several writings of his including novels for about two years. In particular, his theory of novels emphasizing ‘reformism’ in novels stressed the political·social functions of novels, criticized old novels, and also highlighted novels’ influence to the public. In terms of the start of major topics of discussion, it corresponded to the theory of novels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in Korea written by Pak Eun Sik or Sin Chae Ho. Short stories that Lee Hang Woo released while exhibiting influence on 「The New Korea(「Sinhanminbo」)」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novels of the time in Korea in terms of subject consciousness or contents and also show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other novels included in 「The New Korea(「Sinhanminbo」)」 later. First, he expressed his cool-headed consciousness of criticism about the cause of colonized reality at that time straightforwardly on the front of his works, second, he emphasized armed struggle for emancipation as a concrete solution to overcome that reality, third, he came up with characters wandering around foreign land and dreaming to return to their homeland, and fourth, he presented the image of the ideal future through concrete description on new Korean society coming along. As written above, he started with the same pursuit as that of historical / biographical novels written by such writers as Sin Chae Ho created as the practice of ‘reforming novels’, but consequently, he could landed on ‘political novels’ of different aspects that originated from more practical ground because his novels are grounded on practical and empirical narration of the writer himself and he could be spatially away from Korea in the US where he could speak more freely.

      • KCI등재

        에스닉 미디어는 동포의 재난을 어떻게 보도하는가-관동대지진 이후 한인학살에 대한 『신한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정한나 구보학회 2024 구보학보 Vol.- No.36

        이 글은 관동대지진 이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신한민보』의 보도를 미국, 조선, 일본의 관계망 안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동대지진 발발 이후 한국인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는 시기에 따라 세 가지 양상으로 정리된다. 먼저 지진 발발 직후인 9월 초의 보도는 한국인을 일탈적이고 폭력적인 존재로 그린다. 다음으로 한인학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발표가 있었던 10월 말 이후의 보도에서는 무고한 한국인의 표상이 지배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친우회의 학살사건 진상조사 요청이 있었던 11월 말~12월 초의 보도에서 한국인들은 극도로 무력한 존재로 나타난다. 요컨대 다수의 신문은 지역, 정치색과 무관하게 유사한 한국인 표상을 양산했다. 이러한 경향성은 각 신문사가 뉴스 통신사의 뉴스를 받아쓴 결과 형성되었다. 뉴스 통신사는 중립성과 객관성을 중시하지만, 일본 정부의 강도 높은 언론통제로 인해 이 가치는 충분히 구현되지 못했다. 『신한민보』의 진재 관련 보도 역시 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9월 한 달간 『신한민보』는 인근의 일간지 기사를 참조하여 진재 보도를 수행했다. 그 결과 한인 관련 보도는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신한민보』는 ‘부기’와 제목을 통해 일본 정부에 대한 반감과 “동포”를 향한 동정을 표현했다. ‘부기’와 제목은 현지의 언론에 기대면서도 이를 적절히 전유하는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10월부터 『신한민보』는 『동아일보』 기사를 전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의 보도는 재경 한인에 대한 심층적 보도를 가능케 했지만 시의성이 떨어지는 기사를 게재하고, 제국의 검열에 도전적으로 응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동반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가 한인 학살사건을 인정한 후인 11월경부터 『신한민보』의 보도는 다시 한번 변화를 보인다. 길이와 장르, 모든 면에서 텍스트의 성격이 다변화한 것이다. 『신한민보』는 단신, 사설, 번역물, 편지글, 기고 등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를 통해 한인학살 사건을 초점화했다. 이 글은 『신한민보』의 한인학살 보도가 생산, 이동, 변용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에스닉 미디어로서의 『신한민보』가 보여준 특징과 한계를 논구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verage of the The New Korea(Shinha-Minbo), a Korean newspaper, on the massacre of Koreans following the Kanto Earthquake in the networks of the United States, Korea, and Japan. The U.S. media coverage of Koreans after the Kanto Earthquak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tterns depending on the timing. Firstly, the reports in early September,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depict Koreans as deviant and violent beings. Subsequently, in the coverage after Japan’s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Korean massacre at the end of October, innocent Koreans become the predominant representation. Lastly, in the reports from late November to early December, following the request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massacre by the Korea Friendship Association, Koreans are portrayed as extremely powerless. In summary, regardless of regional and political affiliations, most newspapers generated a similar image of Koreans. This trend was formed as a result of various newspapers reproducing news from news agencies. Despite the news agencies prioritizing neutrality and objectivity, these values were not fully implemented due to the strong media control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 New Korea’s coverage of the disaster also underwent changes depending on the timing. Throughout September, The New Korea conducted disaster coverage by referencing articles from local newspapers for a month. As a result, coverage related to Koreans was carried out at a very limited level. However, The New Korea expressed resentment toward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sympathy for “compatriots” through the use of “Bugi(付記, opinion pieces)” and headlines. “Bugi” and headlines were consistently utilized as a means to express these sentiments while relying on the local press. Starting from October, The New Korea adopted a method of reproducing articles from Donga Ilbo. Although this approach enabled in-depth coverage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Koreans, it came with the drawback of publishing less timely articles and being unable to confront the empire’s censorship challengingly.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acknowledged the massacre of Koreans, around November, The New Korea’s coverage once again underwent a transformation. The nature of the text diversified in terms of length, genre, and every aspect. The New Korea focused on the Korean massacre through various forms of text, including brief news, editorials, translations, letters, and contributions. This paper seek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rack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adaptation of The New Korea’s coverage of the Korean massacre. It aims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New Korea as an ethnic media by doing so.

      • KCI등재

        지리적 경계의 일탈과 개화기 소설의 지속과 변이

        송명진(Song, Myung-jin)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9

        본 연구는 1910년대 미국 한인에 의해 발간된 『신한민보』 소재 소설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개화기 소설의 지속과 변이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는 그동안 ‘통속’으로 획일화된 1910년대 소설사를 다양화하는 동시에 1910년대 미국 한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이산(離散) 문학에 대한 조망이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주로 번역소설과 창작소설로 구성된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식민지의 현실과 민족적 저항이라는 맥락을 함께 수용했다. 개화기 소설에서 식민화된 현실에 대한 소설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실을 형상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던 신소설은 가시화된 식민화의 위험보다는 개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저항에 관심을 가졌던 역사?전기소설은 과거의 형상화를 통해 현재에 대한 알레고리적 접근만을 시도했을 뿐이다. 경술국치는 식민지현실을 외면하고 이에 대한 저항을 아예 배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제에 대한 저항의 소설화는 미국 한인들의 소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1910년대 『신한민보』소재 소설은 한국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초월함으로써, 식민지 현실과 이에 대한 저항을 적극적으로 소설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에 형상화된 남녀의 연애담은 ‘근대적 개인’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1910년대 신소설의 전개는 개화기의 긍정성을 상실하고 통속화는 물론 근대적 가치마저 부정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국내의 상황에 비해, 한국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일탈했던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개화기소설이 거두었던 긍정성을 보다 확대했다. 특히, 근대적 개인의 출현과 이에 따라 변화된 연애 문법의 소설화 더 나아가 부부 중심의 가치 지향성 및 전통적인 남녀 이분법 해체 등은 개화기 소설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소설적 가치들이었다. 이국의 한인 문학 즉, 이산(離散) 문학에 대한 논의는 보다 심화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획일화된 기존의 한국문학사를 다양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또한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에 대한 논의를 통해, 1910년대 소설사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하고자 노력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inuance and change of the novels in Enlightenment perio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minbo, a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s in America during the 1910’s. The 1910’s was “omitted” from the existing novels or only briefly mentioned as a popularization process. However, the history of the 1910’s novels was unfolded in Shinhanminbo by Koreans in America,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Materials for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 minbo during the 1910’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accepted both the reality of a colony and the national resis tance. This novels integr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Novels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dopting civi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hich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calling the past war heroes as the national heroes. In other words, both the “reality” and the “resistance” were described at the same time in one novel. Such feature cannot be found in novels written in Enlightenment period. Second, man-woman love stories published in Shinhanminbo in the 1910’s were based on “modern individual.” The Sin-Novels of the 1910’s lost novelty of the past and advocated premodern values instead. However, materials of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minbo were based on the free will of individuals and in particular, women had dominant influence in love affairs. I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n awareness for modern individuals. The argument made above has significance as it diversifies the history of 1910’s novels which was usually considered “conventional” until now and takes a view of Dispersed Literature unfolded mainly in America in the 1910’s.

      • KCI등재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미주에서 발행된 신문연재물과 단행본을 중심으로 -

        김진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7

        The United Korean News(新韓國報) and The New Korea(新韓民報) were published by the Korean immigrants in Hawaii and San Fransisco repectively in the first decade of 20th century. Here biographical literature was introduced to promote the idea of patriotic enlightenment to save Korea from Japan. Biography booklets, Two Patriots Biography(兩義士合傳), 1909 and Biography of Anjunggeun, the Great Patriot of the East(大東偉人安重根傳), 1911 were published by these two newspapers, with the appendix of the list of donors and their donations. This compilation of bioghrapy and the list of donors is unique, and it shows how Korean immigrants recognized literature in terms of the tool to enlighten themselve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liberation movement of Korea by placing their names next to the great patriots. Other than these two biography booklets, there are a lot of pieces of 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United Korean News(新韓國報) and The New Korea(新韓民報), which are needed to be examined with a comparison of contemporary works of biography published in Korea. 애국계몽기는 언론과 문학의 창작 주체인 지식인들 다수가 해외 망명이 불가피하였고 동일 인물이 조선이라는 지역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창작 활동을 벌이던 시대였다. 특히 미주 지역의 신문인 <신한국보>와 <신한민보>는 광무 신문지법이 발효된 뒤에도 국내 언론과 달리 정치적인 사안들에 대해 자유롭고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였다. <신한국보>와 <신한민보>의 여러 서사물 가운데 전기문학은 애국계몽기 문학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그 양상은 국내에서 발표된 전기문학이 전재되거나 요약되는 형태, 국내 발표의 동일한 저본을 두고 독자적인 국문 번역이 시도된 형태, 또는 단행본 전기가 출판된 형태 등 다양하다. 특히 신한민보사 발행의 <양의사합전>과 신한국보사 발행의 <대동위인안중근전>은 장인환, 전명운 의사의 스티븐스 저격 사건과 안중근 의사의 의거가 일어난 직후 단행본으로 출판된 것으로 전기 뒤에 의사들을 위한 의연금 모집에 참여한 미주 한인들의 명단을 부록으로 넣은 편집 체제가 독특하다. 이런 편집 체제는 의사들의 의거에 미주 노동 이민자들이 의연 모금으로 동참한 것을 기념함으로써 의사들의 전기가 동시대 민족 운동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 것이다.

      • KCI등재

        <신한민보> 수록 한시의 주제의식과 근대 한문맥의 존재양상

        이민규 한민족어문학회 2024 韓民族語文學 Vol.- No.104

        본 연구는 <신한민보> 수록 한시작품들의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근대 한문맥이 어떻게 존재했는지 그 양상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1909년 2월 10일 창간 이후 국내외 한인을 이어주던 신문인 <신한민보>는 한글 중심의 언론매체였지만, 「사조」란에 한시작품들을 수록하기도 했다. <신한민보> 수록 한시의 주제의식은 크게 군주제에 대한 애증과 독립정신 고취, 유럽정세에 대한 민족적․개인적 소회, 금문공원에 대한 소감, 작자 개인의 인적 교류 및 교감 등 네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주제의식들은 <신한민보> 수록 한시가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전근대 한문학이 갖는 성격과도 연관되어있다. 전근대 한문학이 란 사대부 남성 개인의 문예적 능력을 증명하며 사회적 명망과 지위를 얻는 수단이었다. 그러나 근대 국민국가의 시대에는 소수 문인이 아니라 전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모어의 문학인 국문학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는 <신한민보> 수록 한시에서 전근대 문인의 필명성과 근대 국민의 무명성 간 착종, ‘辭調’라는 한자어의 부분적 변용, 태평양을 넘나드는 월경성 등을 통해 전근대 한문학에 대한 이해와 배경이 근대 국문학에 대한 요구와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me of Chinese poetry included in Shinhanminbo and discusses the existenc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within this context. Shinhanminbo , a newspaper that has connected Korea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broad since its establishment on February 10, 1909, primaril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included Chinese poetry in its 「Sajo」 section. The Chinese poetry included in Shinhanminbo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expressions of love, hatred, and encouragement towards the monarchy and independence, reflections on both pers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of the European situation, emotions related to Golden Gate Park, and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sympathies of the authors. These themes demonstrate that Chinese poetry in Shinhanminbo served various purposes beyo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se purposes a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Chinese literature. In that era, Chinese literary works were used to showcase the literary skills of individual male noblemen and to gain social prestige and power. However, in the modern nation, Korean literature became significant as it could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the entire population, rather than just a select few writ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background of pre-modern Chinese literature by exploring the use of pseudonyms by pre-modern writers and the challenges faced by modern readers in understanding Chinese poetry included in Shinhanminbo .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辭調’ and its relevance to the demand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imitation of Chinese poetry in Shinhanminbo being predominantly male-authored highlights a clear gap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This limi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이범진(李範晉)의 자결(自決) 순국과 러시아와 미주 한인사회의 동향(動向) : 1905년 이후를 중심으로

        반병률 ( Ban Byung-yoo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이범진은 일본의 강제적인 한국병합 5개월 후인 1911년 1월 26일 제정러시아 수도인 상트 페테르부르그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그는 러시아짜르니콜라이2세, 고종황제, 그리고 서울에 거주하고 있던 장남 이기종 앞으로 유서를 남겼다. 나라의 멸망과 고종의 권력 상실에도 원수인 일본을 물리칠 수 없고 국권회복의 방책도 없는 상태에서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으니 양해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이범진은 자결 3개월 전인 1910년 10월경 러시아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의 김현토와 미주 샌프란시스코의 신한민보사로 유서와 같은 맥락의 심경을 밝히는 편지와 함께 갖고 있던 재산을 나누어 보냈다. 이범진은 자신의 기부금의 수신자로 블라디보스토크 한인사회에는 청년회와 한민학교 두 기관과 개인 6명(이범윤, 이상설, 유인석, 김현토, 안중근 의사 부인, 민긍호 의병장 부인)에게, 그리고 미주 한인사회에는 신한민보사와 대동보국회, 한인소학교 등 기관과 단체를 구체적으로 거명하였다. 이범진이 명시한 기부금의 수신처를 비교해보면, 우선 그가 청소년교육과 언론활동에 큰 기대를 걸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그가 신한민보사에 보낸 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 1906년 이후 추구했던 외교활동과 급진적인 의병활동이 모두 실패로 귀결된 상황에서 청년교육과 언론활동 등의 점진적인 활동에서 국권회복의 잠재적 가능성을 찾았음을 의미한다. 러시아 연해주의 경우 특히 기부금의 수신자로 거명된 인물들은 헤이그밀사 사건, 동의회 의병활동, 13도의군, 성명회 등 이범진이 러일전쟁 이후 항일구국운동에서 자신이 지원하고 협력했으며 국권회복의 마지막 희망을 걸었던 항일운동의 동지들이거나, 안중근 부인이나 민긍호 의병장 부인처럼 당시 연해주에 머물고 있었으나 생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항일투사들의 가족들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범진의 자결과 기부금 송금과 관련하여 1910년 일본의 강제적인 한국병합에서 자결에 이르기까지의 5개월간의 기간에 상트 페테르부르그에서 이범진과 가장 가깝게 지내며 기맥을 통하고 있던 이갑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갑은 1910년대 3월 이후 고종황제를 수차례 접견하고 러시아황제 니콜라이2세에게 전달하는 밀서의 전달을 책임진 밀사로 선임되어 러시아에 파견되었다. 그리하여 이갑이 국내를 탈출한 이후 칭다오, 상하이를 거쳐 연해주의 얀치허(연추), 블라디보스토크을 지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이르는 행적을 밝혔다. 이범진과 이갑의 만남은 1910년 11월경으로 추정되며, 이범진은 이갑을 통하여 고종과 러시아지역 항일세력들의 동향, 특히 한인사회내의 지방파쟁에 대한 자세한 정황을 파악하게 되었다. 특히 이범진은 청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갑의 계획에 공감하게 되었다. 또한 주미공사로서 미주의 한인사회에 인연을 갖고 있던 이범진은 안창호 등 공립협회-국민회-대한인국민회의 주요인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이갑을 통하여 미주 한인사회, 특히 신한민보의 언론활동과 학생양성소 설립 등의 청년교육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러시아의 지원을 배경으로 하여 기울어가고 있던 대한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외교적, 군사적 항일운동을 전개하던 이범진이 ‘한일병합’으로 인한 절망적 상황에서 새로운 국권회복방안으로 점진적인 교육ㆍ언론활동에 희망을 걸게 된 것이다. 러시아지역은 1906년 이후 일본통치하의 대한제국 정부의 주러 공사직을 박탈당하여 사실상 망명생활에 들어간 이범진이 국권회복운동에 마지막 기대를 걸었던 곳이다. 러일전쟁 이후 연해주에서 전개되었던 항일구국운동이 일본의 강제적 한국병합으로 실패로 돌아가게 되자 이범진은 국권회복에 대한 희망을 상실하였다. 설상가상으로 한인사회에서 전개된 동족상잔의 지방파쟁은 이범진이 더 이상 연해주 지역에서의 구국운동에 대한희망을 접게 만들었다. 미주한인사회에서 이범진은 헤이그 평화회의 파견대표단의 주역으로, 그리고 고종황제의 외교대권수행자로 알려지기도 했다. 자결순국이전 미주 한인사회의 이범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그것은 아관파천의 주역으로 국권을 외세인 러시아에 위탁한 점, 주미공사시절 유학생 등 미주 한인사회를 위해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고 불미스러운 일화을 남긴 점, 합병직전에 권위주의적이며 특권적 행태를 보이고 있던 의병장이 범윤과의 긴밀한 관계 등이 그러한 부정적인 평가의 근거들이었다. 그 배경에는 공화주의적 정치이념을 선호하였던 국민회와 신한민보 등 미주한인사회의 지배적인 정치적 이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종황제의 충신으로 군주론자였던 이범진에 대한 평가가 좋을 리가 없었다. 그러나 자결순국이후 이범진에 대한 미주 한인사회의 평가는 대한인국민회 기관지인 신한민보의 주도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긍정적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이범진은 국권회복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로서 소개되었으며, 청국과 일본에 대하여 남다른 독립정신을 소유했던 인물로 재평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순국 전후 이범진이 미국의 신한민보사에 보낸 이범진의 사진, 서신과 시(詩) 등을 게재한 『신한민보』 등의 보도기사 등을 새로이 소개하였고, 이를 통해 사후에 이범진이 1945년까지 미주한인사회에서 어떻게 기념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범진의 자결 순국은 항일구국운동의 한 시기가 종결됨을 의미한다. 1904~1905년의 러일전쟁 이후 이범진이 국내의 고종황제와 긴밀히 연락하면서 추진했던 외교적 활동과 무장투쟁 방식의 구국운동은 러시아의 지원과 원조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일본과 사실상의 동맹관계로 들어가게 되고 ‘한일합병’이 체결되면서 이들 항일운동이 좌절되었고, 이범진은 새로운 항일방략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이범진은 장기적인 전망 하에서 청년을 교육 양성하는 방안에 희망을 걸었다. 그 동안 추진했던 일련의 구국활동이 모두 좌절된 상황에서 이범진은 자결을 결심함과 동시에 자신의 모든 재산을 러시아연해주와 미주의 한인사회에 기부하였다. 청년양성과 언론활동에 대한 이범진의 희망과 기대가 담겨진 것이었다. Yi Beom-jin committed suicide in St. Petersburg, the capital of Tsarist Russia on January 26, 1911, five month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Yi Beom-jin left three draft telegrams (suicide notes) under his bed. One telegram was for the Russian Emperor (Nikolai II), one was for the Korean Emperor Gojong, and the other one was for his first son in Seoul, Korea, Yi Gi-jong. All telegrams had the same content. “Our country has been destroyed and the emperor has lost his place. But we cannot repulse our enemy. It is a sin to live without having any plan to restore our statehood. As I cannot control my great anger any further, I can only choose to commit suicide. I hope you will understand this.” About three months before his sacrificial death, Yi Beom-jin had divided his assets to be donated to the Korean community in Vladivostok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to the Korean community in San Francisco in the United States. Yi Beom-jin had paid a lot of attention with great expectation to the two areas particularly since Korea had been robbed of its diplomatic rights by Japan in 1905. With this context in mind,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look at the movements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in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time of Yi Beom-jin's suicide.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where Yi Beom-jin worked as a diplomat, also provided important bases for anti-Japanese “save-the-nation” movements during the Empire of Korea. While in the peripheries of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the two regions were important bases of save-the-nation movements and the following independence movement, as they were the hubs of domestic and overseas anti-Japanese movements.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Manchuria had advantages as bases for independence movements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to the Korean Peninsula, historical connections, and existence of widely scattered Korean compatriots. Compared to these areas, there were not as many Korean compatriots in America. However,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had significant domestic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in movement strategies and political ideas because of the country's republican political system and political conditions that allowed relatively freer political activities. Yi Beom-jin mentioned specific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o Kim Hyeon-to, along with 5,000 rubles set for them. They included the Vladivostok Youth Association, the Hanmin Hakkyo (Korean People's School) and six people living in Vladivostok. The individuals designated by Yi Beom-jin as beneficiaries of his donations were related to anti-Japanese save-the-nation movemen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Yi Sang-seol was involved in the event involving secret messengers sent to the Hague. Yi Beom-yun was involved in the Anti-Japanese Righteous Army movement of the Donguihoe (Comrade's Association), and Yi Beom-yun, Yi Sang-seol and Yu In-seok were involved in the Sipsamdo Eugun (Righteous Army of the 13 Provinces) as well as the Manifesto Association's activities. These three individuals specified by Yi Beom-jim were all leaders of anti-Japanese movemen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 December, 1910, one month before his suicide, Yi Beom-jin sent 6,000 rubles (3,000 US dollars) to Gungminhoe with a note designating the use and purpose of the donation. The beneficiaries were the Sinhan Minbo (NewKorea), the Daedong Chonghoe, and the Korean primary school in San Francisco. By observing the recipients of Yi Beom-jin's donations, we can see that he had a great desire to further both youth education and media activities - this can be confirmed by his letter sent to the Sinhan Minbo. His final decision to conclude his own life was based on the reality that all kinds of d iverse anti-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diplomatic activity and military measures of the righteous army since 1906 through 1910 had failed. In this paper, the author also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and activities of Yi Gap, who had kept close relations with Yi Beom-jin from November 1910through January 25, 1911 when Yi Beom-jin committed suicide. Yi Gap had been appointed as a secret emissary to Russia by Emperor Gojong around April or May, 1910. Emperor Gojong gave Yi Gap the special assignment of delivering Gojong's secret letter to Nikolai II. Yi Gap had travelled to Qindao, Shanghai and Vladivostok before he met Yi Beom-jin in St. Petersburg. The Sinhan Mino voiced the public opinion of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t that time, and expressed deep respect for Yi Beom-jin.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show how Yi Beom-jin was remembered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Gongnip Sinbo (The United Korean) and the Sinhan Minbo from 1907 through 1945. Yi Beom-jin was introduced and praised as a national hero who had fought for the sovereignty of Korea. In this paper, the pictures, letters, and poems which were sent by Yi Beom-jin and Yi Gap in 1910 and 1911 to the Sinhan Minbo (NewKorea) are introduced

      • KCI등재

        1905~1910년 미주 한인신문과 전통의 문제-『공립신보』와 『신한민보』를 중심으로-

        황재문 국문학회 2016 국문학연구 Vol.0 No.33

        미주 한인사회는 한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 이후 형성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이민자들의 단합과 이익을 위한 단체를 결성하고 신문을 발간하는 등 독자적인 사회를 이루게 된다. 초기 이민사회에서는 본국과 교류하는 한편으로 나름의 삶의 방식을 갖추는 등의 모습이 드러나는데, 여기서 산출된 문학에는 ‘망명지문학’과 ‘이민문학’으로 각기 지칭할 만한 요소가 발견된다. 즉 이들의 문학에는 한국적 특수성에 주목하면 ‘망명지문학’으로 이해되는 요소가 있고, 이민사회 자체의 특성에 주목하면 ‘이민문학’으로 이해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미주 한인사회의 문학 연구에서는 망명지문학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지만, 앞으로는 이민문학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리라고 본다. 이민문학적 속성에 유의하면서 한인신문인 『공립신보』와 『신한민보』를 살펴보면, 한반도와 직접 연관되지 않은 기사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소식과 역사, 상식 등이 적지 않게 신문에 나타나며, 독자의 흥미를 끌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만한 읽을거리가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학의 측면에서는, 『공립신보』와 초기 『신한민보』에서 모두 전통적인 양식의 문학작품을 싣거나 그 표현법 등을 활용하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신한민보』의 시기에는 유학 경험을 가진 기고자나 편집인이 등장하면서 지면 구성이 상대적으로 안정되는 면모가 나타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문학 양식을 활용하는 사례들이 새로운 문학 양식에 대한 요구와 병행하여 나타난다. 문학 양식에 있어서 옛 것과 새로운 것이 공존하면서 경쟁한 결과를 잘 보여주는 사례로는 1909년 12월부터 1910년 1월까지 『신한민보』의 광고란에 6회 동안 실린 <거짓말신문>을 주목할 만하다.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사건을 소재로 하여 구성한 ‘신문 속의 신문’인 <거짓말신문>은, 기본적으로는 침략적인 일본과 국내 친일 세력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목적으로 한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내용의 측면에서는 그리 특이할 것이 없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비판이나 풍자를 위한 표현이나 소재에서는 전통적인 문학을 활용하거나 미주 한인들의 실제 삶의 문제들을 담아낸 흔적이 보이는데, 이는 근대로의 이행 과정에서 미주 한인들이 경험하는 현실 상황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그것이 신문이라는 매체와 이민 및 유학을 통해 형성된 새로운 지식인의 참여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전통과 근대가 만나면서 이루어낸 새로운 비판 양식의 하나로 해석할 만하다고 판단된다. From the signing of the Korean-American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in 1882 onwards, Korean immigrant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had grown in its regional size and population, and it published newspapers and established organizations for the benefit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early stage of the society’s development, Korean immigrants not only maintained interactions with their home country, but also built an independent community in which they created literature—exile literature and immigrant literature. While exile literature showe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Korean culture, immigrant literature reflected realities of immigrant society itself. In earlier studies on literature of Korean immigrant society, exile literature has received most scholarly attention. With this being the case, there need to be more works focused on the nature and history of immigrant literature. Focusing on various features of immigrant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overseas Korean newspapers, Kongnip sinbo(the United Korean) and Sinhan minbo (the New Korea), both of which were published in United State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t argues that a number of articles in the two newspapers covered events and things that happene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ime. Those newspapers had wide coverage ranging from news and histories of many different countries to common knowledge. They also had diverse reading materials to draw r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both Kongnip sinbo and Sinhan minbo included traditional literary works and borrowed their expressions. As contributors and editors who studied abroad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Sinhan minbo, its news reports and articles became more stable and organized than before. But Sinhan minbo still relied on the traditional forms of literature while seeking to satisfy the readers’ needs for new literary styles. A great example that shows well the coexistence and competition between the old and new literary style in Sinhan minbo is Kachinmarl Sinmoon(a newspaper of lie), which was serialized six times in the advertisement section from December, 1909 through January, 1910. Kachinmarl Sinmoon, as “a newspaper within the newspaper,” dealt with An Chunggŭn’s assassination of Ito Hirobumi(1909) and aimed at denouncing the Japanese empire and pro-Japanese Korean collaborators. In its blame fo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Kachinmarl Sinmoon was not different from the other contemporary newspapers. However, it took advantage of traditional literary works for its own expression and subject matter. It also sought to reflect experiences and problems of the live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Kachinmarl Sinmoon represented overseas Koreans’ various realities and offered a site in which the media and new immigrant intellectuals intersected, it was a critical form of knowledge production during Korea’s transitional period from tradition to modernity.

      • KCI등재

        재미 한인의 연극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신한민보(新韓民報)』,『국민보(國民報)』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윤금선 ( Keum Sun Yeun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study analyzed about Korean play activity of ko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is treatise considered play data reported to a newspaper, that is,『The New Korea』 and 『The Korean National Herald』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play and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which it was collected at newspapers, and arranged at the main subjects. It was paid attention by the following matters. The the first, the subject part that put on a display of play activity is anyone, and an actor and a director, a performance purpose is anything. The the second, the play work is anything, and the internal volume characteristics are anything. The third, how to unfold the play and the drama-theory. The fourth, how to response of audience. It tried to consider play activ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above-mentioned examinations. And It would enlarge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regarding play activity of a Korean abroad. Actual study analysis analyzed through understanding regarding 1) performance subject and play activity, 2) play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3) play and audience responses etc. tables of contents and would grasp real truth by play activity through these process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