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조규태 이 글은 2011년부터 사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의 3ㆍ1운동에 대한 서술의 체계와 내용을 검토하여 분석한 글이다. 구체적으로는 3ㆍ1운동의 배경에 대한 서술 체계와 내용, 3ㆍ1운동의 전개와 의의ㆍ영향에 대한 서술 체계와 내용, 3ㆍ1운동 관련 인물ㆍ사진ㆍ도표ㆍ보론의 내용을 검토한 후, 각각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2010 부분개정)>에 따라서 제작된 6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3ㆍ1운동 관련 부분을 제Ⅵ 대단원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운동의 전개’에서 다루고 있다. 이 대단원 아래 중단원의 제목은 대체로 ‘3ㆍ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라고 하고 있다. 소단원의 제목은 교과서별로 상이하나, 대체로 3ㆍ1운동의 배경, 3ㆍ1운동의 전개, 3ㆍ1운동의 의의와 영향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3ㆍ1운동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먼저 일제의 무단 통치, 즉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착취를 들고 있다. 그리고 1910년대 국내의 비밀결사활동과 교육ㆍ문화 운동, 국외의 독립운동기지 건설 운동과 이를 통한 교육ㆍ문화 운동을 또 다른 배경으로 제시하고 있다. 국제적 배경에 대한 설명에서는, 레닌의 피압박 민족 해방 지원 천명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선언을 주목하고 있다. 미래엔 컬처그룹, 법문사, 삼화출판사, 지학사 교과서는 레닌의 피압박 민족 해방 천명 사실을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선언보다 강조하는 것 같다. 레닌의 식민지의 민족해방 지원 선언을 주요한 국제적 배경으로 거론하지 않은 고등학교 한국사는 천재교육 교과서에 불과하다. 마지막으로 국외 독립운동 세력의 활동으로 인한 영향으로는 3ㆍ1운동 직전 신한청년당의 파리강화회의 대표 김규식 파견, 일본 유학생의 2ㆍ8독립선언, 만주 길림성의 대한독립선언서 발표, 선우혁의 이승훈과의 접촉, 여운형의 연해주 러시아한족대회 참석과 김규식 파리강화회의 참석 소식 전파 등, 국외 독립운동세력의 움직임을 3ㆍ1운동 발생의 배경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3ㆍ1운동의 또 다른 근본적 배경은 ‘문화 민족으로서 일본의 지배를 받는 것 자체에 대한 반감’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가 ‘레닌의 약소민족 해방 지원 천명’을 3ㆍ1운동 발생의 국제적 배경으로 들고 있으나, 민족대표 33인의 심문조서에서는 이러한 사실이 언급되고 있지 않으므로, 조금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 미래엔 컬처그룹, 법문사, 삼화출판사, 천재교육의 네 출판사의 교과서는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가 3ㆍ1운동의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고 서술하였으나,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 시기를 3ㆍ1운동 이후로 보는 견해도 있으므로, 이것을 3ㆍ1운동의 배경으로 서술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겠다. 3ㆍ1운동의 원인과 배경의 서술에 있어, 역할과 비중 등을 고려하여 순서를 정하지 않은 곳이 약간 보인다. 예컨대 법문사의 교과서에는 “천도교, 불교, 기독교 등의 종교지도자들”, 미래엔 컬처그룹의 교과서에는 “손병희, 한용운, 이승훈 등 민족 대표”라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3ㆍ1운동 시의 역할과 비중을 고려한다면, 이는 ‘천도교, 기독교, 불교 등의 종교지도자들’,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등 민족대표”의 순으로 배열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한국사의 3ㆍ1운동 단원의 전개 부분에서는 독립선언서의 발표, 서울 및 주요 도시 시위, 농촌으로의 시위 확산, 비폭력시위에서 무력시위로의 변화, 일본의 무자비한 탄압, 국외로의 시위 확산 등의 사항이 서술되고 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크게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독립선언식의 추진 주체와 민족 대표의 역할 등에 있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 지학사의 교과서에서는 민족대표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점은 거론하지 않고, 서울의 탑골 공원에서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점만을 서술하였다. 또 일제의 무자비한 진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천재교육의 교과서는 일제가 시위 초기부터 발포 명령을 내려 무자비한 탄압을 한 것으로, 지학사ㆍ법문사ㆍ삼화출판사ㆍ미래엔 컬처그룹의 교과서는 시위가 농촌지역으로 확산되자 일제가 무자비한 탄압을 실시한 것으로, 비상교육의 교과서는 농민 등의 비폭력 시위에 일제가 헌병 경찰, 군대 등을 동원하여 폭력적으로 시위를 진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주장이 다르므로, 선후관계를 다시 파악하여 내용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3ㆍ1운동을 전개한 계층을 서술할 경우에 삼화출판사의 교과서는 “처음에는 학생과 종교인들이 시위를 주도하였으나 점차 노동자와 농민들이 주축이 되었고”라고 서술하고 있는데, 참여자 수를 볼 때 ‘농민과 노동자들’로 순서를 바꾸어야 할 것이다. 3ㆍ1운동에 관련된 인명의 거론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과서는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유관순 등을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지학사의 교과서에서는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등 3ㆍ1운동의 주역은 소개하지 않고, 김규식과 2ㆍ8독립선언 참가자만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본말이 전도된 감이 없지 않다. 화보와 캡션 설명에 있어서도 오류가 간혹 보인다. 불탄 제암리교회의 사진은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의 사진이 다르다. 그리고 지학사의 <종로 거리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는 여성들>의 사진은 주위의 인물과 행진하는 여성들의 시선이 다른 점, 여성들의 얼굴 표정이 너무나 밝은 점 등으로 볼 때 3ㆍ1운동 당시의 사진인지 의문이 든다. 전거를 확인하여 정확한 사진을 실어야 할 것이다. 법문사 교과서의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된 임시정부 대표단과 한국 공보국 직원들(1919.3)>이란 사진과 천재교육 교과서의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된 김규식>이란 사진은 동일한 사진이나 캡션은 다르다. 임시정부가 조직된 것은 1919년 4월이므로 법문사 교과서의 캡션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Cho, Kyu-tae This research paper is on the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used from 2011. Concretely, I studied the description forms and contents about backgrounds of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And I examined thoroughly the description forms and contents about development, influence of 3ㆍ1 Movement. Finally I reviewed persons, photographs, diagrams,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s about 3ㆍ1 Movement. In these textbooks, Japanese political suppression and economical exploitation are narrated as fundamental backgrounds of 3ㆍ1 Movement. As external causes, Wilson’s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and Lenin’s clarification for supporting the people of a small and weak power are described. In these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Lenin’s clarification for this point is especially emphasized. In the section of background of 3ㆍ1 Movement, antagonism to Japanese rule itself should be narrated as a fundamental background of 3ㆍ1 Movement. And the announcement of the Daehan Independence Declaration should not be described as a background of 3ㆍ1 Movement. Because a theory has insisted that the announcement of the Daehan Independence Declaration did after 3ㆍ1 Movement. It is reasonable that the way of describing to ignore the role and importance in 3ㆍ1 Movement like “Cheondogyo, Buddhism, Christianity”, or “Son Byeong Hee, Han Yong Woon, Lee Seung Hoon” is changed to the way of describing to reflect the role and importance in 3ㆍ1 Movement like “Cheondogyo, Christianity, Buddhism”, or “Son Byeong Hee, Lee Seung Hoon, Han Yong Woon”. In the section of development of 3ㆍ1 Movement, announcemen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emonstration in Seoul and great cities, demonstration in rural cities, Japanese cruel repression, and 3ㆍ1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is described. Most of these is appropriate. But a few of these are not reasonable. Explanations on the reason of armed crackdown are different each other. We have to endeavor to find reasonable explanation of this. Jihaksa textbook emphasize students’ role in 3ㆍ1 Movement, without mentioning religion leaders. But this is different from historical fact. Therefore Jihaksa textbook should be amended to the way to emphasize religion leaders’ role. And Samhwa Press textbook should be changed to the way to put stress on peasant than laborer. Besides, a few pictures should be replaced, because these are not appropriate. And inconsistency of Bopmoonsa textbooks’s caption with it’s picture should be amended rightly.

      • KCI등재

        1920년대 경북 청도인의 민족운동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3

        ■국문요약 1920년대 경북 청도인의 민족운동 1. 조규태 경북지역 청도인들은 3ㆍ1운동 후 문화운동의 추세에 맞추어 청년단체를 만들고 청년운동을 전개하였다. 청도인들은 1920년 화양면 청도청년회를 만들고, 1924년 풍각면 송서동에 풍각수양단을 만들었다가 풍각청년회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1927년 대성면에서는 대성청년회를 설립하였다. 이 청년회에서는 주로 강연에 의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사회주의의 확산과 아울러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점차 그 구성원과 운영체제와 활동내용이 변화되었다. 먼저 청도지역의 청년들은 1925년 경 운영체제를 회장ㆍ간사제에서 위원회제로 바뀌었다. 그리고 회원의 가입연령을 낮추었다. 이에 따라서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지역 유지들의 의견에 의하여 운영되던 데에서 청년회원의 주장에 따라 운영되게 되었다. 그리고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민족협동전선운동이 전개되던 흐름에 맞추어 1928년 청도청년동맹을 조직하였다. 청도청년동맹은 청년에 대한 계몽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경북청년연맹과 연계하여 청년대중의 정치ㆍ경제ㆍ민족적 권리를 획득하는 활동을 전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경북청년연맹의 간부들이 ML당사건으로 검거된 후, 청도청년동맹에 대한 일제당국의 제제가 강화되자 청도청년동맹은 활동을 전개하기가 여의치 않았다. 그 후 청도청년동맹의 청년들은 신간회 청도지회에 참여하여 민족협동전선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청도인들은 1924년 사상단체인 의우단을 만들고 사회사상을 학습하였다. 그리고 청도인들은 이 의우단을 통하여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고, 소외되고 차별받은 이웃을 위한 형평운동, 소년운동, 농민조합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 의우단은 1927년 이후 신간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청도인들은 1927년 전국적으로 신간회 지회가 만들어지자 준비에 착수하여 그 다음해 신간회 청도지회를 조직하였다. 신간회 청도지회는 계몽운동과 아울러 민족문제의 해결, 민족단일당의 촉성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청도인들은 청도지역 내에서 문화운동, 사회운동, 신간회운동 등 합법적인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국내와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매전면 온막동에 거주하던 李庭禧는 서로군정서 국내파견원 金元植과 연계를 맺고 대구와 청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서면 서원동 출신인 강수영은 서간도에서 대한독립단과 통의부의 독립군으로 활동하였고, 이 활동으로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각남면 예리봉 출신의 이월봉은 1920년대 중후반 대구에서 사회주의계 비밀결사인 혁우동맹 등에 간여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외에 최태욱은 대한민국임시정부에 군자금을 보내는 활동을 전개하였다고 한다. 1930ㆍ40년대에 일부의 청도인들은 동진회 등의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철로를 파괴하는 등 일본의 전쟁수행을 방해하였다. 또한 1940년대 대구에 유학한 학생 가운데에는 대구지역의 학생비밀결사에 참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몇몇의 청도인들은 1940년대 중국의 관내에서 광복군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일제의 전시동원체제에 저항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Activities of Cheongdo Peoples of Kyungsangbukdo in 1920s. Cho, Kyu Tae Cheongdo young men, who were teachers, officers, wealthy persons, and etc, established Cheongdo Young Men Association, Poonggak Young Men Association, Daesung Young Men Association, and Yoochun Young Men Association in 1920s. They did enlightenment movement by educations, lectures, speeches, and sports. At first, the members of them were composed of the wealthy and the powerful, but they were changed gradually to journalists and men of progressive thought younger than the early days. Hence they converted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from manager system to committee system. And they did peasant movements, equilibrium movement, and nation cooperation movement by the solidarity of mass of people. For the unification of activities, they organized Cheongdo Young Men Union in 1928. By the way, men of progressive organized Euiwoodan(義友團). The members of it studied socialism and did a lot of activities for the poor and the weak. And they organized the Cheongdo Branch of Singanhoe(新幹會). The Constituents of Cheongdo Branch did enlighten movements, activities for supporting Cheongdo peoples and Korean. And they worked like a horse to organize the national party of Korea. Some of Cheongdo peoples did independent movements. They gathered money from the wealthy men and gave it to the patriot groups that were Seorogoonjungseo(西路軍政署) and a provisional government by example. In 1930s and 1940s, a few of Cheongdo peoples made a secret group or a secret organization like Dongjinhoe. They made activities of destroying rail of train, disturbing of supplying goods. Key Words : Cheongdo Young Men Association, Poonggak Young Men Association, Daesung Young Men Association, Yoochun Young Men Association, Cheongdo Young Men Union, Euiwoodan(義友團), the Cheongdo Branch of Singanhoe.

      • 구(句) 구성소의 성립상과 소화방법

        조규태 군산대학교 1969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3 No.1

        A sentence consists of a group of sounds, words, phrases, and clauses. Various kind of phrases is more complicate than any other constituent which is an element in clausesor sentences. Notwithstanding phrase has several geniuses as well as others. For example, no word is omitted in them. Here the definition or genius of phrase which has much complicacy is little mentioned, but the organized aspects and meanings that have a variety are examined by establishing a new comparison with such as impressive, kindred, relative, figurative and interchangeable ones. The auther especially has organized how to reasonably learn by heart English phrases for a foreigner who is not a native speaker. Scientific written practice is positively emphasized because the tactual approach to the mental faculties has more effect than the visual and auditorial only. Most of phrases what we call idioms, moreover, are connecting themselves the strongest ties with another words or clauses in a sentenoe, so they must closely be obserbed to build up an agreeable diagram and to have a fruitful matuarity lest they shuold imperfectly be memorized, resulting in hasitancy, confusion, etc. The synonymous and antonymous otherwiseminded are carefully related to a certain phrase. In order to get an effective digestion the standard cards(3"×5") shiuld be used by means of vertical wri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