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on-CO2(N2O)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최적가용기술 조사

        윤재랑 ( Jai-rang Youn ),( Nguyen Thi Huong Nhai ),여상구 ( Sang-gu Yeo ),정의택 ( Eui-taek Jeong ),동종인 ( Jong-in Do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정부의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대내외적으로 공표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해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지만, 정확한 Non-CO<sub>2</sub>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이 어렵고 감축기술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축기술 적용이 가능한 Non-CO<sub>2</sub>(N<sub>2</sub>O) 온실가스 배출원을 파악하고 예상 감축량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N<sub>2</sub>O는 대부분 경제 산업활동의 인위적 요소로 인해 발생하며 1970년 산업혁명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N<sub>2</sub>O는 연료 연소(고정연소, 이동연소), 산업공정(질산 제조, 아디프산 제조 및 카프로락탐 제조), 폐기물 소각공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N<sub>2</sub>O 온실가스 배출량은 IPCC 가이드라인의 기본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였고, 산정값들의 평균증가율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2020년까지 전망하였는데, 연료 연소 중 고정연소의 2020년 N<sub>2</sub>O 배출량은 총 5,230,760 tCO<sub>2</sub>eq으로 전망되었고 이 중 에너지산업 부문의 배출량 전망치가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동연소의 N<sub>2</sub>O 배출량은 2020년 기준으로 총 1,277,739 tCO<sub>2</sub>eq으로 전망되었고 총 배출량의 90% 이상이 도로수송의 배출량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폐기물소각과 미산정배출원(SCR/SNCR)의 N<sub>2</sub>O 배출량은 2020년 기준으로 각각 총 19,419 tCO<sub>2</sub>eq, 2,546,502 tCO<sub>2</sub>eq으로 전망되었다.

      • Non-CO2(N2O)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최적가용기술 조사

        윤재랑,Nguyen Thi Huong Nhai,여상구,정의택,동종인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정부의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대내외적으로 공표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해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지만, 정확한 Non-CO2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이 어렵고 감축기술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축기술 적용이 가능한 Non-CO2(N2O) 온실가스 배출원을 파악하고 예상 감축량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N2O는 대부분 경제 산업활동의 인위적 요소로 인해 발생하며 1970년 산업혁명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N2O는 연료 연소(고정연소, 이동연소), 산업공정(질산 제조, 아디프산 제조 및 카프로락탐 제조), 폐기물소각공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N2O 온실가스 배출량은 IPCC 가이드라인의 기본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였고, 산정값들의 평균증가율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2020년까지 전망하였는데, 연료 연소 중 고정연소의 2020년 N2O 배출량은 총 5,230,760 tCO2eq으로 전망되었고 이 중 에너지산업 부문의 배출량 전망치가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동연소의 N2O 배출량은 2020년 기준으로 총 1,277,739 tCO2eq으로 전망되었고 총 배출량의 90% 이상이 도로수송의 배출량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폐기물소각과 미산정배출원(SCR/SNCR)의 N2O 배출량은 2020년 기준으로 각각 총 19,419 tCO2eq, 2,546,502 tCO2eq으로 전망되었다.

      • 국내 항만장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추정 연구

        김보경,박민정,안승현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

        최근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인 이슈로 부상함에 따라, 해양수산부의 탄소중립로드맵이 수립되고 해양수산 전체적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다양한 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항만분야도 온실가스 감축 대상에 포함되나 자료수집의 한계 및 인벤토리 구축의 미흡으로 탄소배출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탄소중립항만 구축을 위해서는 배출량을 산정하고 전망하여 감축목표를 설정이 필수적이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IPCC Guildeline의 배출량 산정 방식에 따라, 국내 항만 장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산정하고 장래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2020년 물동량 기준으로 약 42만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었으며, 물동량 증가에 비례하여 배출량은지속 증가하며 2050년 기준 약 72만 톤이 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항만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류에 기인하는 장비를 대상으로 동력원을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여 배출량 감축을 추진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잡화 등을 하역작업이 다소 복잡한 부두를 대상으로 배출량 감축 노력이 요구된다. As carbon neutrality has recently emerged as a global issue, the carbon neutral roadmap of MOF has been established and various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entire marine industry. The port sector is also included in the target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but emissions are not being measured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no inventory construction. For building a carbon-neutral port, it is essential to calculate and forecast emissions and set reduction targets. Accordingly, in this study, CO2 emitted from domestic port equipmen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PCC Guildeline’s emission calculation method, and future emission was estim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420,000 tons of CO2 was emitted based on the cargo volume in 2020, and emission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and about 720,000 tons will be emitted by 2050.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of the port, it needs to promote emission reduction by converting the power source for oil-based equipment to eco-friendly fuel. Also container and miscellaneous ports which require complicated cargo handling need to effort to reduce CO2.

      • KCI등재

        한국형 운행 모드 기반 배출량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허혜정,Christopher Frey,윤천주,양충헌,김진국 대한교통학회 2016 大韓交通學會誌 Vol.34 No.2

        Atmospheric pollutants such as Nitrogen Oxides(NOx), Carbon Monoxide(CO), Carbon Dioxide(CO2), Particulate Matter(PM) and Hydrocarbons(HC) come from vehicle exhaust gases. Emission curves based on average travel speeds have been employed for estimating on-road emissions as well as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s of transportation plans and policies in Korea.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stimation methods of vehicle emission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dynamic driving characteristics and emissions, and incorporating such emission estimators into traffic simulation models. MOVES Lite, a simplified version of MOVES, is one of the estima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 authors performed a study to develop an adaptable version of MOVES Lite for Korea, called MOVES Lite-K. Vehicle types, driving characteristics, emission rates, and emission standards of Korea were reflected in MOVES Lite-K.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calculation of MOVES Lite-K and NIER emission curves were compared and the adaptability of MOVES Lite-K were examined. 차량의 배기가스에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입자상 물질(PM), 탄화수소(HC)와 같은 대기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평균속도 기반의 배출계수 곡선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통 계획과 교통 정책의 대안 평가에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할 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량의 동적 운행 특성과 배출량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론과 이 방법론을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에 통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MOVES Lite는 MOVES의 간략 버전으로서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에 통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운행모드 기반 배출량 산정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차종, 주행특성, 배출계수, 배출규제 등을 반영하여 MOVES Lite를 개량한 MOVES Lite-K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국내의 대표적 배출량 산정 방법인 평균속도 기반의 배출계수 곡선식과 MOVES Lite-K의 배출량 산정 특성을 비교하여 두 방법론의 차이와 국내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U-City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 분석

        정태웅,문수정,김윤관,구지희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1

        Since CO2 emission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the needs and international efforts for CO2 emissions reduction are increasing. The developed countries are driving strategies to boost green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Following this global trend, based on the ongoing U-City project as a new city model,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CO2 emissions in U-City to identify its potential for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otential and effects on CO2 reduction by analyzing the level of CO2 emiss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U-City. Bundang-Gu, Seongnam-City & Ilsan-Gu, Goyang-City among Phase I new towns were selected as model cities before introducing U-City and Dongtan-Dong, Hwaseong-City as a model city after introducing U-City. The result showed 30% reduction of CO2 emissions in the comparison of two models. 기후변화의 원인 중 탄소배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탄소배출 감소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탄소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국제적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탄소저감형도시(low carbon 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U-City 사업에 대하여 U-City 도입 이전 도시와 U-City 도입 도시의 탄소배출량 변화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여 U-City 도입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U-City 도입이전의 도시는 1기 신도시 중에 성남시 분당구와 고양시 일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U-City 도입이후의 도시로는 화성동탄 U-City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탄소배출량이 30%정도 줄어든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 U-City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 분석

        정태웅,문수정,김윤관,구지희,Jung, Tae-Woong,Moon, Su-Jung,Kim, Yoon-Kwan,Koo, Jee-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1

        Since $CO_2$ emission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the needs and international efforts for $CO_2$ emissions reduction are increasing. The developed countries are driving strategies to boost green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Following this global trend, based on the ongoing U-City project as a new city model,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CO_2$ emissions in U-City to identify its potential for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otential and effects on $CO_2$ reduction by analyzing the level of $CO_2$ emiss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U-City. Bundang-Gu, Seongnam-City & Ilsan-Gu, Goyang-City among Phase I new tow ns were selected as model cities before introducing U-City and Dongtan-Dong, Hwaseong-City as a model city after introducing U-City. The result showed 30% reduction of $CO_2$ emissions in the comparison of tw o models. 기후변화의 원인 중 탄소배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탄소배출 감소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탄소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국제적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탄소저감형도시(low carbon 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U-City 사업에 대하여 U-City 도입 이전 도시와 U-City 도입 도시의 탄소배출량 변화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여 U-City 도입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U-City 도입이전의 도시는 1기 신도시 중에 성남시 분당구와 고양시 일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U-City 도입이후의 도시로는 화성동탄 U-City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탄소배출량이 30%정도 줄어든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도로시설물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의 탄소배출원단위 구축

        곽인호,김건호,위대형,박광호,황용우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3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road infrastructure is repetitive carbon emissions activities to preserve the road in its originally constructed condition. In the view of road planning and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ife cycle,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 quantification of carbon emission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easily accessible activitie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road infrastructure that existing and new road. However, carbon emissions estimation i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 isyet to do, because data collection is so hard and carbon emissions estimation methodology is very complicated. In this study, abasic unit of carbon emission i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 of the road infrastructure was developed in order to get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rbon that occurring. Carbon emissions of the Expressway and Common state road was calculated by using the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 and application plan of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 are presented. 도로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는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온실가스 배출 활동이며, 도로를 계획 및 시공, 운영, 유지보수의 전과정 측면에서 봤을 때 이미 건설된 도로시설물과 신규로 건설하고자 하는 도로시설물에 대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접근이 용이한 활동이기 때문에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탄소배출량의 정량화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도로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정량적인 탄소배출량 산정은 분산되어 있는 활동 자료의 수집의 어려움과 탄소배출량 산정 과정의 복잡성을 이유로 정량적인 탄소배출량 산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탄소배출원단위를 산정하였고, 이를 활용해 2012년 기준으로 국내에 건설되어 운영중인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에 대해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시 시설물 운영단계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탄소저감평가에 관한 연구

        신주호,권기정,이동환,박승희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4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9 No.1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fossil fuels,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global warming were raised, and there is a trend towards recommending regulations related to the energy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duties by each country. Moreover, as energy consumption of construction accounts for approximately 22 percent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2010, various study on the reduction of energy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 of the construction field. This study calculated the carbon emission in the management level and carried out assessments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according to elements and technology applied to constructions on a public construction located in the first town of Sejong City, the 119 safety center. Firstly, the study assessed carbon emission and examined the studies and evaluation techniques related to carbon emission for the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of the construction. Moreover, the study presented an analysis framework for carbon emission with a set assessment criteria and scope. Through the presented analysis framework, carbon emission based on actual energy consumption was calculated and carbon emission assessment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element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The technological element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are strengthening of heat insulation, usage of high efficiency lighting equipment and usag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technological elements of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equipment, lighting and new and renewable energy, which can be said to be application of an active element, turned out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and improvement of energy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