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기술 교과에서 기술적 창조성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If technology teacher wants to teach student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he wanders how to, and what it mean. In spite of the value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the cognitive proces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echnology class are not defined clearly yet. In going to approach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y, one must consider both the thinking that is involved and what constitutes creativity itself.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how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area of educating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2)what content areas were studied and what were the valuable researches findings for improving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s trends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were review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s to improve technology education and could giv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s. 21세기에 들면서 기술교육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생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선행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의 의미와 그에 관한 교육 방안에 관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10년 동안에 발표된 기술교육 관련 학술지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그리고 외국 학술지로는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JT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J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IJTDE),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JITE)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이들 학술지에서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기술적 창조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학문적 연구와 실천 사례 등의 경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로 우리 기술교육에서 창조성 함양교육을 위하여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와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 KCI등재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강경균,이승원,김승현,연정아,홍영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engineering technology,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and flow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typ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5 domestic academic journals, as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edition till April 30th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out of 83 volumes in total, more than 10% per academic journal contained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ost number of thesis were be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re were more researchers who were middle-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subject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was indicated to the highest and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tre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were being conducted in majority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es so quantitative researches took up a large part. As for research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verifications on the assessment and effect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 number of professor researches was the highest in both independent research and joint research. In case of joint research, there were many field teachers. This confirms that a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sites in the majority of STEAM education researches, joint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 및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기술 관련 국내 5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5종 학술지는 공학기술 관련 학회지로서 학회지 발간 호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공학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회지 분석 결과 전체 83편중 각 학회지 별로10%이상의 융합교육 관련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육보다 중등교육에서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자별 분석 결과에서도중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구자가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 문헌분석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융합교육 연구에서 교육 동향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로는 평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을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연구자 별 분석결과는 단독 연구 및 공동 연구 모두 교수 연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 연구의 경우는 현장교사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STEAM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생명기술시스템 관련 성취기준을 위한 ‘모의 전시회 체험 활동’ 수업 과정안 개발

        김성애,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1

        To achieve standards related to biotechnology systems in the 2015 revised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subject curriculum,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nstruction process plan for the 'Exhibition Trial Activity' program. This study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we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biotechnology systems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set detailed objective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stage, we developed a model for the 'Exhibition Trial Activity' program and then developed the 'Exhibition Trial Activity'.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he expert group and supplemented, and applic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pilot test and field test.
 Based on this, we completed the 'Exhibition Trial Activity' program to achieve the standards of 'Biotechnology Systems' for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Exhibition Trial Activity'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understanding of problems, research and development, realization, and evaluation of ideas. Students choose their own sub-topics and engage them through individual and small group learning.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students will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biotechnology systems by operating exhibition booths for sub-themes and watching another booths.
This program extends the activities of the exhibition, which was limited to corporate education, museum education, and exhibitions of student work to whole class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utilized in the 'Technology world' and 'Family life' fields in the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s well as i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Bio-Technology, because student-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re actively promoted. 이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생명기술시스템 관련 성취 기준을 위한 ‘모의 전시회 체험 활동’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생명기술시스템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성취기준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모의 전시회 체험 활동’의 수업 과정안 개발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모의 전시회 체험 활동’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아 수정・보완 하였으며 예비 시험 및 현장 시험 적용 결과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의 전시회 체험 활동’ 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었으며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탐색과 개발, 실현, 평가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졌다. 교사는 ‘생명기술시스템’ 관련 성취 기준이 적용된 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여 하위 주제를 선정하고 모둠별 활동을 구체화 한다. 학생들은 제시된 하위 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 이를 개별 학습 및 모둠(팀) 학습을 통해 하위주제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달성한다.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하위 주제별로 부스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다른 모둠의 부스를 관람하면서 생명기술시스템 관련 성취기준을 모두 달성하게 된다. 그동안 기업교육이나 전시관 관람 및 학생 작품 관람으로 국한되어 있던 전시회 활동을 수업 활동 전반으로 확대시킨 것으로서 나눔 활동과 배움 활동이 이루어지는 만큼 생명기술시스템 단원 뿐 아니라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세계’, ‘가정생활’ 분야의 전 단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술 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영향평가 도구 개발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chnology Assessment tool for the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improve and apply the cognition of the Technology impac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had accomplished a literature study and four sequential Delphi studies with the experts who are in various fields of Technology Education.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using it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four Delphi studies. The reliability tests were made by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this researcher developed. Deriv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 : First, the 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consisted of 5 fields :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al, technological, and ethical aspects. Second, the twenty sub-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were derived: the effects on humans' physical states, on individuals' mental states, on living styles, on organizing social groups, on cultures, on educations, on politics, on economics, on national defences, on natural environments, on artificial environments, on conservations and protections of nature, on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n other technology systems, the possibility to propose alternative plans, on efficiency of production, on individuals' ethics, on social ethics, on bioethics, and on property rights protection. Third, the total average of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in Technology Assessment was 4.51 and every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was over 4.2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mportance degree, Cronbach's α was .907 so the reliability was so high. Fourth,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consist of 20 sub-categor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Delphi studies. The Cronbach's α of the main studies was .900 that shows so high reliability. Therefore, it proved that the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the measurement tool that can be relied on.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중이 기술영향평가에 쉽게 참여할 수 있고, 기술 교과 교육에서의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활용을 위하여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 후 기술 교육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하여 델파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영향평가 영역은 개인적 측면, 사회적 측면, 환경적 측면, 기술적 측면, 윤리적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은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생활 양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 집단 구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에 미치는 영향, 정치에 미치는 영향,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방에 미치는 영향,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인공 환경에 미치는 영향, 환경 보호와 보전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다른 기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대안 제시의 가능성, 생산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 윤리에 미치는 영향, 사회 윤리에 미치는 영향, 생명 윤리에 미치는 영향, 재산권 보호에 미치는 영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델파이 조사 결과 기술영향평가 항목에 대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4.51이었고, 모든 항목이 4.21 이상으로 높게 도출되었다. 중요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07로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넷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20개 문항의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한 검사의 Cronbach's α값은 .900으로서 신뢰도가 상당히 높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영향평가 도구는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조정아,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of Gyeonggi-do middle school about contents system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found out the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of 'World of Technology' contents system, which the technology teachers of Gyeonggi Middle School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gender, major, technology education care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using the research tool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World of Technolog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among the contents system of 'technology world', the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of contents newly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or contents related to high technology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uture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new and renewable energy, media and mobile communication, sustainable technology,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were high.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at the level of consent such as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system, the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use and standard of technology, which was expanded and revis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as lower than other content factor in terms of level of consent and importance.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에 대한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성별, 전공, 기술 분야 교육 경력, 기술 교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의 동의 수준과 중요도 순위를 구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분야의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작성된 조사 도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의 세계’ 분야의 내용체계 중에서 기술 활용, 통신 기술, 미래 기술과 생명 기술, 신․재생 에너지, 미디어와 이동 통신, 지속 가능한 기술, 기술과 사회 변화, 발명 아이디어의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과 같이 교육과정에 신설된 내용이나 첨단 기술 관련된 내용체계의 동의수준과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조 기술 시스템, 발명 아이디어의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동의 수준에서 성별에 따라 남교사와 여교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확대 개편된 기술의 이용과 표준은 동의수준과 중요도가 다른 내용요소와 비교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기술 담당 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 제시와 함께 변인에 따른 교사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2011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 방향

        이은희,진의남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According to the recently announced 2015 curriculum frameworks by curriculumrevision on demand, each subject matter has faced a difficult situation that shouldrevise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implement it in all school levels and doing previous research on 2009 revised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improve the documentation system of the 2011 revised Technology·HomeEconomics curriculum. In order to provide an essential and informative referenc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5 parts, nature, objective, content,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2011 revised national Technology·Home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improving thenational curriculum document. A methods of this study was used such as asurvey, document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So far, onlythe nature of the subject curriculum document system, which has been recognized,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configuration system will attempt to assess, in the future in the curriculumrevision, the identity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 will be developing acurriculum document that can save systems.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improvethe curriculum content as well as the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in the following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ork. 국가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체제에서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사항이 발표됨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2011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실태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도 없이 교육과정을 다시 개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년에 수행될 차기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작업에 요구되는 기초 연구의 성격으로, 현행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문서체제를 평가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에서는 2011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관련 선행연구와, 국외 교육과정 분석, 실과(기술·가정) 교과 전문가를 포함한 초·중학교 교사, 대학교 교수 총 228명을 대상으로 2011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문서 체제 내용 구성과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항목의 구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로만 인식되어왔던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문서 체제의 변화도 시도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는 기술·가정 교과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발하여야 하겠다. 또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시 문서 체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국가수준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가정과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보다 발전적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제시된 체험 활동 과제의 부합도

        장민수(Minsoo Jang),이상봉(Sangbong Yi)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과제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 시스템’영역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의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매우 부합하는 체험 활동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주)교학도서, (주)삼양미디어이다. 둘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9종((주)교문사, (주)금성출판사, 두산동아, (주)미래엔, 비상교육, 씨마스,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이다. 셋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보통 수준의 과제를 제시하는 교과서는 교학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행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대부분의 체험 활동 과제들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extbooks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is end, the revised 2015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nd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and an analysis frame was developed to produ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task of hand-on activitie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solving problem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Kyohakdoseo and Samyang Media. Secon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9 kinds of textbook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are Kumsung Publishing, Doosan Dong-A, Mirae-n, VISANG education, CMASS, Wonngyojaesa, Jihak-sa. Thir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average level of tasks to achievement standards on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Kyohaks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hand-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hapt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curriculum.

      • KCI등재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영역의 내용 구성 요소 구명

        이광재,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tents for Bio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 level Technolog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definition and rationale of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and analyzed biotechnology contents presen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of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Three large categories and twenty five sub-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for Technology Education were chosen by categorizing themajor contents found in the literature study. The first round of Delphi study was to verify the chosen categories and collect comments from selected experts. At the second round of Delphi study, the categories were modified by the consented opinions of the experts and grouped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sixteen sub-categories. With a synthesis of literature study and Delphi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wo 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wer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and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Secondly, th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included nine sub-categories such as definition (concept) of Biotechnology, history of Biotechnology, Scope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ical system, relationship between Biotechnology and related disciplines, social impact of Biotechnology, environmental impact of Biotechnology, ethical issue in Biotechnology, and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Biotechnology. Thirdly, the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included seven sub-categories such as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utilizations and practices of Biotechnology in the field of animal and planting scienc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al engineering, medical 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industrial field. 이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내용을 구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교육의 개념과 당위성을 살펴 보고, 국내외 기술교육 이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물기술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추출된 교육 내용을 범주화하여 3가지 영역과 25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연구자가 고안한 생물기술 교육 내용에 대한 검증 과 추가되어야 할 내용 요소에 대한 의견 수렴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제2차 델파이 조사 지는 제1차 조사 결과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재구성되었고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 가지 영역 내에 16개의 생물기술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악할 수 있다. 첫째, 생물기술의 교육 영역으로는 ‘생물기술의 이해’,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 구분된다. 둘째, ‘생물기술의 이해’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개념, 생물기술의 역사, 생물기술 의 영역, 생물기술 체제, 생물기술과 타 기술 및 학문과의 관계, 생물기술의 사회적 영향, 생물기술의 환경적 영향, 생물기술의 윤리, 생물기술과 관련된 진로탐색 등 9가지이다. 셋째,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문제 해결 체험 활동, 식 물 및 동물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식품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환경 분야에서의 활 용과 실제,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유전 공학에서의 활용과 실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7가지이다.

      • KCI등재

        중 · 고등학교 기술교과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진연,허혜연,김영민,김기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training for teacher about the SW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SW education for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wareness and needs assessment of Technology teachers in SW education.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needs of education to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training in the SW education or operated SW education model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42(72.41%) of the teacher who conducted this survey think that they should teach SW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Technology education. Because they think that SW education could help students improve technical literacy (69.05%) and in career exploration (21.43%). Furthermore, most of the teachers think SW education should be added as a separated section or problem-solving activities in curriculum of Technology education. Second, through ‘A needs assessment model by Borich’, the suitable type of SW educaion that teachers think are ‘the type of Physical Computing (Arduino, Mindstorms etc.)’, ‘the type of Making Application (AppInventor, M-brizmaker etc.)’, ‘the type of Textual (RUP-PLE, Small BASIC etc.), ‘the type of Project (Scratch program, Entry etc.)’. Third, through ‘A needs assessment model by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by Mink, Shultz & Mink’, the priority between the type was analyzed. ‘The type of Physical Computing’ and ‘the type of Making Application’ are first priority that need training for Technology teacher, ‘the type of Project’ and ‘the type of Textual’ are second. 이 연구의 목적은 SW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기술교사가 인식하는 기술교과에 적용 가능한 SW교육환경과 교육요구도를 통한 교사연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교과를 통한 SW교육의 적용방안에 대한 탐색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판단표본추출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비교적 SW교육에 대한 이해가 깊을 것으로 예상되는 SW교육 연수에 참여한기술교사(2개 연수 70명)와 ‘15년 SW시범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술교사(106명)를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58부를 활용하여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기술교사의 42명(72.41%)이 중․고등학교의 기술교과에서 SW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는 SW교육은 기술교육의 내재적 가치 중 기술적 소양함양(69.05%)과 외재적 가치 중 진로 탐색 기능(21.43%)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술교과에서 SW교육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독립된 단원 혹은 문제해결 활동으로 첨가시키는 방안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수업시수가 늘어나야 하며, SW교육에 대한 교사연수, 교육환경(컴퓨터실)과 관련예산(소프트웨어 및 보드구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가 인식하는 기술교과에 적합한 SW교육 학습 환경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해 Borich 교육요구도 계산식을 활용하였으며, 교육요구도 평균보다 높은 항목은 피지컬 컴퓨팅 형(아두이노, 마인드스톰 등), 앱제작 형(앱인벤터, M-bizmaker 등), Textual 형(러플, 스몰베이직 등), 프로젝트활동 형(스크래치, 엔트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SW교육 학습 환경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Borich의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결과 1순위에 피지컬 컴퓨팅 형, 앱제작 형, 2순위에 프로젝트활동 형, Textual 형으로 나타났다. 피지컬 컴퓨팅 형은 Borich의 교육요구도와 LF모델 모두에서 1순위로 선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