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정선아,홍덕기,이충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을 확인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41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6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 역할 관련 10 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 20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 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는 죽음에 대한 준비, 통증 예방과 감소, 삶의 질 순서로 높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낮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와 교육과정에 대 한 필요성은 높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견해 및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y confirming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nviron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6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hospice·palliative care, 20 questions on knowledge measurement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5 questions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palliative care .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y, frequency, and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y rol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measur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 The priority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pare for death, pain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Overall awarenes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ow, and the need and curriculum for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high. Comparative analysi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inion and level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duct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에서 사례관리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역할 : 조사연구

        김아영,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 야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사례관리에 대한 설문 문항은 국내외 문헌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지역사회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사 145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신된 설문지 중 정보가 불명확한 12부는 제외하여 총 133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다중응답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사례관리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으나, 사례관리에 대한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 다수는 사례관리 경험(83.5%)이 있었으며,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직종에 작업치료사(31.7%) 가 포함되었다. 사례관리자로서 작업치료사의 강점은 사정(28.1%), 직접개입(23.3%)과 같은 직접 서비스에 대한 인 식이 높았다. 사례관리자로서 작업치료사의 약점은 행정업무(21.0%), 서비스 연계(19.6%)와 같은 간접 서비스로 나 타났다. 사례관리에 대한 교육 경험은 대부분이 없다(71.4%)고 응답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83.5%) 및 보수교육 (78.9%)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되는 환경은 작업치료 필요성 인식 저하(29.6%)가 높은 빈도를 보였고, 필요한 환경에서는 작업치료 업무 및 역할 인식 확대(27.2%)가 높 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 결과에서는 서비스 실행 역할의 일상생활 훈련(4.74점)과 사정 역할 의 작업수행 분석 및 평가(4.64점), 사정 및 중재 계획 수립(4.63점)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역할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작업치료사가 사례관리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지원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 며,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awareness and role of case management among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establish basic data on case management in the field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Questionnaires on case management were produced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5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community organizations. Among the returned questionnaires, a total of 13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12 with unclear inform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Although there was general awareness of case management and the need for it, expertise in case management was found to be low.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83.5%) in case management , and expert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cluded occupational therapist(31.7%). The strength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case managers was their high awareness of direct services such as assessment(28.1%) and direct intervention(23.3%). The weakness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case managers were indirect services such as administrative duties(21.0%) and service linkage(19.6%). Mos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d no training experience on case management(71.4%), and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ment(83.5%) and continuing education(78.9%) was very high.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the most important roles were ADL training(4.74 points) in the service execution role. In the assessment role, the import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order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4.64 points) and establishing a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lan(4.63 points). Conclusion : In order for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s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as case management experts, systematic suppor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necessary, and continuous research related to this needs to be conducted.

      • KCI등재
      • KCI등재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노인 인식 및 의사소통 현황

        박성지,한희원,정유진,우희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3

        목적 : 국내의 빠른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작업치료의 주요 영역들에서 노인들과의 대면하는 비율이 높은 현 상황에서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노인들과의 의사소통 현황을 파 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병원 및 보건소 등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중재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들 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저해요소, 노인과 의 의사소통 방식을 묻는 3종의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8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항목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과의 의사소 통 저해요소로서 청각 관련, 언어이해 관련, 조음 관련 순으로 응답하였다. 노인들과의 의사소통 방식을 확인한 결과 작업치료사들은 대화반응 관리, 정서표현, 이해증진, 관계조절 순으로 노인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은 대상자들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 증진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보건의료전문가인 만큼 노인들 의 의사소통 방식 및 자신의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면밀히 파악하고, 개선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하여 전문적인 치료 적 중재 및 관련 교육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country,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the ratio of face-to-face meetings with the elderly in major areas of occupational therapy is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status of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0.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in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 total of 9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f which 8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9 with insufficient responses. Results : Occupational therapists generally had a lot of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ly. In addition, as factors that hindere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they responded in order of hearing-related, language understanding related, and articulation related. Lastl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found to induce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in the order of conversation response management, emotional expression, understanding enhancement, and relationship control. Conclusions : Occupational therapists are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play a major role in improving the subjects'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related education using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level of communication.

      • KCI등재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은경,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려움에 대한 적응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11개월의 임상경험이 있는 5명의 아동작업치료사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주로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수집 및 대상자의 면담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겪는 임상 경험에 관하여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는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을 경험하였다.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의 중심의미에는 아동작업치료의 선택, 기대, 역할이 포함되었고, 능력 부족의중심의미에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신감 부족이 있었다.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의 중심의미에는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과 불만,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이 포함되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의 중심의미에는 학교 교육, 교육에 대한 지각, 교육방법이 포함되었으며 적응 전략의 중심의미에는 개인생활, 치료와 조직의 적응 전략이 있었다. 결론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의 경험을 겪었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아동작업치료사로써의 역할에 부응하고, 소속기관에 적응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기관장이나 선임 치료사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과정의 개편 및 기관의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경북지역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강석구,이춘엽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 경북지역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지역의 14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04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편차,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이 작업치료를 처음 받은 시기는 평균 3.25세, 작업치료서비스를 받아 온 기간은 평균 31.84개월 이었고, 작업치료를 이용한 주된 동기는 어린이집 상담을 통한 것이 40.4%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이 외 받는 서비스는 언어치료가 78.0%로 가장 많았고, 작업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필요가 69.3%로 가 장 많았다.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작업치료사의 태도가 평균 4.49점이었고, 작업치료 프로그램 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36점이었으며, 작업치료실의 환경이 평균 4.26점으로 작업치료사의 태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시각으로 작업치료를 볼 수 있었고, 보다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작업치료가 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disabled in Gyeongbuk.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parents who have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at 14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disabled in Gyeongbuk.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July, 2014 to March, 2015. Descriptive statistics of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ANOVA study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 Disabled children got occupational therapy at first when they were 3.25 years, on average. Du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use were 31.84 month, on average. The subjects determined to got occupational therapy mostly through consultation nurseries(40.4%). Most of them got speech therapy(78.0%) other than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responded very necessary to occupational therapy(69.3%).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were 4.49 point at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4.36 point a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4.26 point at environment of occupational therapy room.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the highest satisfied. Conclusion :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and meaningful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objective view.

      • KCI등재

        작업치료 중재가 노인의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문영,정혜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4

        목적 :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 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체계 내에서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를 받은 5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지 않은 5명을 대상으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작업치료사가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9월부터 12월까지였다. 대상자의 만족도 측정을 위해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작업치료 비중재 집단 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복지용구 기기에 대한 항목 중 효과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복지용구 서비스에 대한 항목에서는‘수리와 유지관리 서비스’항목(p=.02)과‘전문가 서비스의 질’항목(p=.0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급여 서비스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대상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기초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self-care training 치료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곽호성,정봉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self-care training) 치료과 정 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자기관리훈련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은 무엇인지 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지닌 치료사들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신규 작업치료사들이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 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 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심층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 행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토대로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크게 4가지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연령별 치료대상에 대한 치료전략을 아동과 성인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치료환경구성에 따른 치료전략을 클라이언트의 가정과 치료실에서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었다. 세 번 째로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따른 치료전략 설정에서 작업에 기초한 치료를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 전략을 사용하였다. 네 번째는 자기인식을 통한 치료전략 중 동기부여 과정에서 서로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인식을 달리 하였다. 결론 : 자기관리훈련은 단순히 환자를 대상으로 ADL 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별 치료대상, 치료 환경구성,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클라이언트의 자기인식의 네 가지 항목별 치료전략을 이해하고 클 라이언트 연령 및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설정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 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self-car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loring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in self-care training Method :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use of self-care training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different setting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by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Result : The self-care training strategies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summarized to four main themes; 1.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age group, 2. Design therapeutic strategy rely on client’s natural environment, 3. Use of theoretical background: occupation-based or client-centered, or both. 4. Use of self-awareness stragety; using different method to reflect self-awareness. Conclusion : The self-care training is not just simply conduct ADL training but understanding client’s age, environment,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f-awareness of the client. Through eatablishing understandable self-care training strategy according to client’s age and environment, the more effective self-care training would be possible.

      • KCI등재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이혜경,Lee, Hye-Kyoung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Objective : The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and the necessity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t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investigating actual use and satisfaction of parent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in Daegu Kyonbuk area. Methods : From May 15 to 29, 2009, 105 parents using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Results : Terms of age group, parents using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re mostly 30s and 40s.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58% of secondary school graduates and 38.9% of college graduates. Parents with experiencing 3 years of the occupational theory had 37.1%, which held the largest group. 75% of the objects agreed that infa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enough occupational therapy, while they pointed out that the financial burden for therapy would be the major factor in the therapy. Conclusion : In order to provide a qualified occupational therapy in accordance with each individual's purpose at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occupational therapy,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occupational therapy from parents, and to secure enough number of therapists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목적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작업치료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작업치료 저변 확대 및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2009년 5월 15일부터 29일까지 장애아전담어린이집 부모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실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의 연령층은 30, 40대가 다수였으며 교육 수준은 중졸과 고졸이 58%, 대졸이상이 38.9%였다. 작업치료 기간은 3년 이상인 경우가 37.1%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 빈도는 주당 3~4회, 치료시간은 일회 20~30분이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의 세부적 프로그램으로는 감각통합치료, 사회적응훈련, 일상생활 동작훈련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75%가 장애아동이 작업치료를 충분히 받고 있다는 견해를 보였으며 치료비용에 대한 부담이 작업치료를 받는데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 :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아동의 개별화된 목표에 맞는 질적인 작업치료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에 대한 작업치료의 저변확대, 장애아동부모의 작업치료 욕구 증가, 충분한 인원의 작업치료사 확충과 시설확보, 정부 및 지자체의 재정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작업치료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바람직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정부 및 지자체와 보육시설장, 작업치료사, 부모 모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2016-2020년)

        신치환,유은영,정지인,하예나,강병호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1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21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 근거수준, 연구 분야, 1 저자 정보, 연구 대상자, 연구 변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로 연구 유형은 기술적 연구가 33.80%로 가장 많았고, 근거수준 중 수준 4가 47.89%로 가장 높았으며, 2016년에 비해 수준 1과 수준 4의 연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야는 작업 치료일반이 28.64%로 높게 나타났으며, 게재된 논문의 1 저자 직위는 대학원생이 33.64%로 가장 높았 다. 실제 연구 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4.95%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 자 진단명은 뇌졸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 변인은 기술적 연구에서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15.28%였 고, 실험연구의 독립변인은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28.30%, 종속변인은 운동기능이 26.36%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의 근거수준의 향상과 연구분야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연구 방향의 설정에 신뢰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research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For 213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6 to 2020, the type of research, evidence level, field of research, information on the first author, type of study participation, and types of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scriptive stud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at 33.80%, and among the levels of evidence, level 4 was the highest at 47.89%.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ies at levels 1 and 4 increased compared to 2016. As for the research fiel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as the highest at 28.64%, and the first author position of published papers was the highest for graduate students at 33.64%. Among the studies that included actual subjects, those targeting adults were the largest in number at 54.95%, and the highest diagnosis of the study subjects was a stroke. As the study variable,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5.28% for the descriptive study, a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xperimental study,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28.30%. In addi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tor function was high at 26.3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evidence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It is therefor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liable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