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연하장애에 적용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TMS), 경두개 직류자극(tDCS)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NMES)의 효과

        신치환,차선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뇌졸중 후 연하장애 중재에 포함된 임상가의 조기 접근을 위해 신경근전기자극(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와 비 침습성 뇌자극(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IBS)를 적 용한 무작위 대조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효과 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 한국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통하 여 2008년부터 2019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용어는 “stroke OR CVA OR cerebrocascular accident OR vascular accident” AND “dysphagia OR swallowing disorder OR deglutition disorder” AND “tDCS 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rTMS O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R NMES OR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AND “RCT OR randomized control trial”, “뇌졸중” 그리고 “연하장애 또는 삼킴곤란” 그리고 “경두개 자기자 극 또는 경두개 직류자극 또는 신경근 전기자극” 그리고 “무작위대조실험”을 사용하였다. 포함기준과 배 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1개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전기자극 강도는 1mA, 경 두개 자기자극(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의 전기자극 강도는 3~5Hz, 신경근 전기자극(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의 전기자극 강도는 8~15mA로 다양 했으며, tDCS와 rTMS는 큰 효과크기, NMES는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3가지 치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환자 특성과 중재 방향에 따라 다 양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가지 치료는 국내 뇌졸중 후 연하장애 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안전하다고 판단한다. 향후 연하장애 회복을 이끄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 and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IBS) were applied for early access to clinicians included in a post-stroke swallowing intervention.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will provide concrete effec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from 2008 to 2019 published in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main key words are “stroke OR CVA OR cerebrocascular accident OR vascular accident” AND “dysphagia OR swallowing disorder OR deglutition disorder” AND “tDCS 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rTMS O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R NMES OR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AND “RCT OR randomized control trial,” “뇌졸중” AND “연하장애,” AND “경두기 자기자극 OR 경두개 직류자극 OR 신경근전기자극” AND “무작위대 조실험.”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a total of 11 studies. Results: The 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was 1 mA, the 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was 3-5 Hz, the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varied from 8 to 15 mA, tDCS and rTMS showed large effect sizes, and NMES demonstrated a medium effect siz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three treatments through a meta-analysis and confirmed the various results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mediation direction. However, three treatments are deemed effective for the recovery of swallowing disorder after a stroke in Korea and are considered saf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factors leading to a recovery of a swallowing disorder.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연하장애에 적용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TMS), 경두개 직류자극(tDCS)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NMES)의 효과

        신치환,차선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Obj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 and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IBS) were applied for early access to clinicians included in a post-strokeswallowing intervention.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will provide concrete effects and suggestions forimprovement.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from 2008 to 2019 published in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main keywords are “stroke OR CVA OR cerebrocascular accident OR vascular accident” AND “dysphagia OR swallowingdisorder OR deglutition disorder” AND “tDCS 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rTMS OR repetitive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R NMES OR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AND “RCT OR randomizedcontrol trial,” “뇌졸중” AND “연하장애,” AND “경두기 자기자극 OR 경두개 직류자극 OR 신경근전기자극” AND “무작위대조실험.”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a total of 11 studies. Results: The 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was 1 mA, the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was 3-5 Hz, the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varied from 8 to 15 mA, tDCS and rTMS showed large effect sizes,and NMES demonstrated a medium effect siz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three treatments through a meta-analysis and confirmed thevarious results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mediation direction. However, three treatments aredeemed effective for the recovery of swallowing disorder after a stroke in Korea and are considered safe. In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factors leading to a recovery of a swallowing disorder. 목적 : 뇌졸중 후 연하장애 중재에 포함된 임상가의 조기 접근을 위해 신경근전기자극(NeuromuscularElectronic Stimulation; NMES)와 비 침습성 뇌자극(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IBS)를 적용한 무작위 대조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효과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 한국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Service System;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통하여 2008년부터 2019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용어는 “stroke OR CVA OR cerebrocascularaccident OR vascular accident” AND “dysphagia OR swallowing disorder OR deglutitiondisorder” AND “tDCS 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rTMS OR repetitive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R NMES OR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AND“RCT OR randomized control trial”, “뇌졸중” 그리고 “연하장애 또는 삼킴곤란” 그리고 “경두개 자기자극 또는 경두개 직류자극 또는 신경근 전기자극” 그리고 “무작위대조실험”을 사용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1개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전기자극 강도는 1mA, 경두개 자기자극(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의 전기자극 강도는 3~5Hz, 신경근 전기자극(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의 전기자극 강도는 8~15mA로 다양했으며, tDCS와 rTMS는 큰 효과크기, NMES는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3가지 치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환자 특성과 중재 방향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가지 치료는 국내 뇌졸중 후 연하장애 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안전하다고판단한다. 향후 연하장애 회복을 이끄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2016-2020년)

        신치환,유은영,정지인,하예나,강병호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1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21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 근거수준, 연구 분야, 1 저자 정보, 연구 대상자, 연구 변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로 연구 유형은 기술적 연구가 33.80%로 가장 많았고, 근거수준 중 수준 4가 47.89%로 가장 높았으며, 2016년에 비해 수준 1과 수준 4의 연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야는 작업 치료일반이 28.64%로 높게 나타났으며, 게재된 논문의 1 저자 직위는 대학원생이 33.64%로 가장 높았 다. 실제 연구 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4.95%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 자 진단명은 뇌졸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 변인은 기술적 연구에서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15.28%였 고, 실험연구의 독립변인은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28.30%, 종속변인은 운동기능이 26.36%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의 근거수준의 향상과 연구분야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연구 방향의 설정에 신뢰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research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For 213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6 to 2020, the type of research, evidence level, field of research, information on the first author, type of study participation, and types of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scriptive stud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at 33.80%, and among the levels of evidence, level 4 was the highest at 47.89%.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ies at levels 1 and 4 increased compared to 2016. As for the research fiel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as the highest at 28.64%, and the first author position of published papers was the highest for graduate students at 33.64%. Among the studies that included actual subjects, those targeting adults were the largest in number at 54.95%, and the highest diagnosis of the study subjects was a stroke. As the study variable,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5.28% for the descriptive study, a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xperimental study,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28.30%. In addi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tor function was high at 26.3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evidence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It is therefor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liable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조현병의 낙인(stigma)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신치환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1

        목적 : 조현병 환자가 겪고있는 내재적 낙인과 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정신의학적 요인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그 중 어떠한 요인이 내재적 낙인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99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출판된 문헌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낙인과 다른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를 사용하였고, 국내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를 사용하였다. 해외 검색어는 “schizophrenia” AND “stigma” AND “correlation analysis”, 국내 검색 어는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 그리고 “낙인 또는 오명” 그리고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재정수준, 교육이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내재적 낙인과 가장 많은 요인과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높은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 우울, 손상회피, 레저활동, 심리적 건강, 삶의 질, 자기지향성, 사회적 관계, 자살로 나타났다. 정신의학적 요인은 심각도 와 음성증상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외에 전반적 자각, 통찰력, 치료기간, 지각된 낙인이 일관된 결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내재적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변수(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 적, 정신의학적)에 대해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개인의 특성과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였고, 그에 따라 각 요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stigma experienced b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 sociodemographic, psychosocial, and psychiatric factors,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contribute to the intrinsic stigma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igma and other factors in schizophrenic patient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18. As overseas databases, Pubmed, CINAHL (EBSCOhost), and PSYCINFO were used, and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as applied. The international search terms include “schizophrenia” AND “stigm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s domestic search terms,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 그리고 “낙인 또는 오명” 그리고 “상관관계” were applied. Results: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level and education. Psychosocial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intrinsic stigma, and in most factors, high correlations were self-efficacy, depression, avoidance of injury, leisure activities, psychological health, quality of life, self-orientation, social relations, and suicide. Psychiatric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everity and negative symptoms. In addition, overall consciousness, insight, duration of treatment, and perceived stigma were consistently correlated with consistent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that affect an intrinsic stigma through a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s, various results were shown. Therefore, studies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한국 정신건강 서비스의 배경과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함의

        신치환,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4

        Introduction: South Korea experienced a rapid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uring the 1970s, and widespread social changes occurred in all fields. As a result of such changes,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mental disorders, feelings of disgust, stigmas, and social prejudices against mental disorders, intensified. Accordingly, on December 30, 1995, the Mental Health Act was enacted, and through various amendments, a forum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for all citizens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scope of mental disorders was reduced, and related welfare services were improved and supplemented. Subject: Public interest in mental health and social demand are rapidly increasing, and associated problems are also on the rise. Accordingly, South Korea continues to create policies to strengthen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as well as to detect and treat mental disorders at an early stage. However, numerous problems and tasks remain to be resolved. Although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 re-establish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has been mentioned to solve various problems regarding mental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mental health support personnel in South Korea remain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nations. In addition, employment instability, continuous departures, and operational limitations prevent a guaranteed level of professionalism. South Korea is currently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infrastructure for community level mental health services. To this en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mental health has been emphasized abroad. Conclusion: After the revisions of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22, there have been many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area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mental health are essential and have the knowledge and skills clear enough to actually apply the values inherent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vided by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country. However, the contents of the role, manpower training, and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mental health are relatively inadequate. Therefore, the allocation and active u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mental health with a unique expertise regarding “occupational therapy,” which is provided in various countries, will be the basis for a more effective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South Korea. 서론:한국은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가 전 분야에 걸쳐서 발생했다. 이러한 변화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혐오와 낙인, 사회적 편견이 심화되었다. 이에 1995년 12월 30일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고, 지속적인 법률 개정을 통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의 장을 신설하고, 정신질환자의 범위 축소 및 관련 복지서비스 등이 개선ㆍ보완되었다. 본론:현재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사회적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문제가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한국은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강화, 정신장애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과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정신건강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 확립과 재정립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지만 한국의 정신건강 지원인력은 해외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고용불안정이나 지속적인 이탈과 각 직역의 전문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등 운영의 제한점이 따른다. 현재 한국은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 강화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는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결론:정신건강작업치료사는 필수 인력으로서, 작업치료 고유의 가치를 한국의 정신건강 서비스에 실제로 사용하기에 충분할 만큼 명확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2022년 정신건강복지법이 개정된 현 시점에서 한국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위해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들이 많다. 또한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력 양성, 교육 등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국가에서 선행되고 있는 ‘작업치료’ 고유의 전문성을 갖춘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인력 배치와 활발한 활용은 한국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근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인지 구성요소 분석

        신치환,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actors and participationaccording to the ICF core-set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stroke, and to analyze the cognitive factors affectingparticipation. Method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the cognitive factor of stroke patients, and in detail, the levelof consciousness,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language, construction, calculation, reasoning, and executivefunction were designa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m,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language,construction, calculation, and reasoning were evaluated by the Korean Neurobehavior Cognitive Status Examination(K-NCSE), and executive function was Kims Frontal-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ical Test II (K-FENTII) was used. As for the dependent variable, two dependent variables (daily activity and social role) weredesignated as the participa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Life-Habits assessment 3.1 (Korean version LIFE-H3.1) was used to divide it into daily activity and social role.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rough SPSS 25.0. Results: All cognitiv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Correlations betweencognitive factors and daily activities in stroke patients were found in the language (r = .527, p < .001), executivefunction (r = .488, p < .001), and calculation (r = .477, p < .001), and social roles were in the language (r =.481, p < .001), memory (r = .480, p < .001), and attention (r = .460, p < .001) in that order. As a result of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ily activities were in the language (t = 4.00, p < .001) and construction (t = 2.85,p < .01), and social roles were in the language (t = 2.36, p < .05).) and memory (t = 2.35, p < .05) were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various cognitiv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could beidentifi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each cognitive factor toimprove the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and establishing a more accurate intervention plan.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국제 기능ㆍ장애ㆍ건강 분류(International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핵심지표(core-set)에 따른 인지 요인과참여 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 요인이며, 세부적으로는 의식수준, 지남력, 기억력,주의집중, 언어영역, 구성능력, 계산능력, 사고력, 실행기능으로 지정하였다. 그 중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언어영역, 구성능력, 계산능력, 사고력 평가는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Korean NeurobehaviorCognitive Status Examination; K-NCSE), 실행기능은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II(KimsFrontal-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y Test II; K-FENT II)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은 참여 영역으로 두 개의 종속변수(일상적 활동, 사회적 역할)가 지정되었고, 일상적 활동과 사회적 역할로구분하여 한글판 Life-Habits assessment 3.1(Korean version LIFE-H 3.1)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을 통해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모든 인지 요인은 참여와의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인지 요인과 일상적 활동 간의 상관관계는 언어영역(r = .527, p < .001), 실행기능(r = .488, p < .001), 계산능력(r = .477, p < .001)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역할은 언어영역(r = .481, p < .001), 기억력(r = .480, p < .001), 주의집중(r = .460, p < .001) 순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는 일상적 활동은 언어영역(t = 4.00, p < .001)과 구성능력(t = 2.85, p < .01), 사회적 역할은 언어영역(t = 2.36, p < .05)과 기억력(t = 2.35, p < .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지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참여 향상을 위한 각 인지 요인을 예측하고, 보다 정확한 중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을 대상으로 한 인지재활 작업치료중재에 대한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신치환,황모세,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 applied to occupationalstroke patients as practiced by domestic and overseas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o propose the effectivenessand practicality of clinical intervention. Methods: We searched for studies from 2008 to 2017 through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 KISS,and RISS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uidelines (PRISMAguidelines). The key search terms were "Stroke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a total of 17 studies. Result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a quantitative meta-analysis,categorization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 FAME classification for the domestic clinical utility, and apost-intervention measurement tool. The orthodontic approach, adaptive approach, and dynamic interactionapproach showed moderate effects, and the functional approach showed a small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n approach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Korea by examiningthe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 applied to stroke patients as practiced by domestic and overseas occupationaltherapists. In the future, many approaches should be supplemented, and various approaches should be applied toclinical practice in Korea.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작업치료사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인지재활 접근법을 분석하여 효과와 임상 중재의 실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uideline(PRISMAguideline)을 이용하여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 KISS, RISS를 통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Stroke AND Occupational therapy ANDCognitive rehabilitation”, “뇌졸중 그리고 작업치료 그리고 인지재활”을 사용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7개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 결과는 연구의 질적 분석 및 계량적 메타분석, 인지재활 접근법의 분류, 국내 임상 실용성을 위한FAME 등급 분류, 중재 후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교정적 접근법, 적응적 접근법과 역동적 상호작용 접근법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기능적 접근법은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작업치료사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인지재활 접근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국내 임상에 즉시 적용 가능한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는 많은 접근법이 보완되고 다양한 접근법이 국내 임상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를 위한 동물-매개 중재 : 체계적 고찰

        신치환(Shin, Chihwan)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다양한 증상을 포함하고 있는 정신장애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 중재(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에 대하여 연구대상자 특성, 평가도구, 중재, 결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근거와 지식을 통합하고 국내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RISMA guideline을 토대로 2021년 6월 21일부터 2021년 7월 5일까지 문헌 검색이 진행되었고, 해외 검색어는 ‘Mental disorder’, ‘Animal-Assisted therapy’에 따른 MeSH(Medical Subjects Headings) 용어를 중심으로 사용되었고 데이터 베이스는 Pubmed, PsycINFO, EBSCO를 사용하였다. 국내 검색어는 ‘정신질환’ 또는 ‘정신장애’그리고 ‘동물매개치료’가 사용되었고,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가 사용되었다. 결과 : 총 28편이 최종 선정되었고, 동물-매개 중재의 용어는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nimal-assisted activity와 Animal-assisted therapy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평가도구는 기능 및 작업을 위한 평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개를 통한 연구가 19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 동물-매개 중재는 정신장애의 다양한 문제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동물-매개 중재를 위한 적극적인 시도를 위해 근거와 지식을 통합하고 국내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For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for mental disorder with various symptoms, systematic review of subject characteristics, evaluation tools, interventions, and results to integrate evidence and knowledge and To promote research. Methods : Based on the PRISMA guideline,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rom June 21, 2021 to July 5, 2021, and the overseas search terms were Medical Subjects Headings (MeSH) terms according to ‘Mental disorder’ and ‘Animal-Assisted therapy’ was mainly used, and the databases Pubmed, PsycINFO, and EBSCO were used. The domestic search terms ‘정신질환’ OR ‘정신장애’ AND ‘동물매개치료’ were used, an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as used for the database. Results : A total of 28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 term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er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nimal-assisted activity, and Animal-assisted therapy. As for the evaluation tool, the evaluation for function and occupation was used the most, and the number of studies using dogs was 19. Conclusion :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a variety of problems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s evidence and knowledge for an active attempt for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research.

      • 조현병의 사회인지(social cogni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정지인 ( Jeong Jiin ),신치환 ( Shin Chi-hwa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와 조현병의 기능장애와 관련된 요인 간 상관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각 요인과 사회인지의 상관관계여부와 그 크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출판된 문헌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지와 다른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를 사용하였고 국내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였다. 해외검색어는 ‘Schizophrenia OR Mental disorder OR Psychotic disorder’ AND ‘Social cognition OR Emotional perception OR Emotional processing OR Attribution OR Theory of mind OR Social perception’ AND ‘Correlation analysis’였으며, 국내 검색어는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 그리고 ‘사회인지 또는 정서지각 또는 귀인 또는 마음이론 또는 사회지각’ 그리고 ‘상관 또는 연관’이었다. 결과: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는 학력과 사회경제적 상태가 중간 크기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의학적 요인 중 치료동맹이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음성/양성증상, 정신과적 증상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적/직업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에서 큰 크기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능적 요인은 사회인지와 가장 큰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신경인지와 IQ 모두 큰 크기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조현병과 관련된 요인과 사회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조현병의 사회인지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erception and factors related to schizophrenia was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rough meta-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social cognition and its size was identified. Methods: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or 10 years from 2011 to 2020, a study was selected tha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gnition and other factors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ere used as databases. For English key terms, ‘Schizophrenia OR Mental disorder OR Psychotic disorder’ AND ‘Social cognition OR Emotional perception OR Emotional processing OR Attribution OR Theory of mind OR Social percep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Korean key terms were the same as English key term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13 studies,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 medium-sized correlation in sociodemographic factors. Among psychiatric factors, treatment alliance had the greatest correla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negative/positive symptoms, and psychiatric symptoms. Psychosocial factors showed a large-sized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and social functions. Functional factors showe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social cognition, and both neurocognition and IQ had a large-sized correl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s meta-analys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related to schizophrenia and social cogni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social cognitiv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