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에서의 주의력 장애

        김철권,조현기,장정희,강동호,조진석,김명정,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들과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그리고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지속적 주의력에 관한 사항과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 처리과정에서의 감각등록에 관한 사항을 측정하고 세 군간에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28명을 대상군으로 그리고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18명과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중고등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상군 및 두 대조군 모두에게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순차적으로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맞춘 횟수와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놓친 횟수는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장 중요한 변인인 민감도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각 변인의 변화를 보면 맞춘 횟수와 비율에서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민감도 역시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의 정답반응 횟수에서 정상 대조군의 분포 곡선중 하위 10% 수치를 절단점으로 잡아 그 수치 이하를 보이는 대상 숫자를 비교해 보면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만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군, 정상 대조군, 대상군중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가 하위 10% 이하에 속하는 군의 MMPI를 서로 비교한 결과 세 군간에 MMPI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정답반응과 오답반응을 보이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저자들은 정신분열병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군이나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대조군보다 지속적 주의력에서 결손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나아가 이와 같은 지속적 주의력에서의 결손이 정신분열병의 한 가능한 취약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tudy the possible vulnerability in the markers of schizophrenia,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n=28),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n=18), and offsprings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n=41)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by mean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Span apprehension task(SPAN)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manifested in the data of CPT by significantl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false alarm rate and response bia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CPT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2)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revealed b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was not apparent in the first part of the CPT. However it emerged and aggravated itself as the test continued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only. 3) Proportion of subjects falling in the extreme low sensitivity of lower 10% of the normal contro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 group as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with a rate of 29%, 17%, and 10% respectively.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all variables of MMPI among normal controls, index group, and the extreme low CPT sensitivity subgroup of index group. 5)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ly delayed response in the time to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 in SPAN compared to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number of incorrect response, and number of no response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SPAN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bgroup of the offsprings of schizophrenic parents may suffer from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which may be a vulnerability marker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와 형제 자매에서의 부담에 대한 연구

        김철권,김진원,서지민,이길자,김길중,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9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 92명과 그들의 형제 자매 6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척도를 사용하여 가족부담, 환자의 문제행동, 가족의 죄책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 주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그리고 가족의 죄책감 등이 주 보호자 및 형제 자매의 주관적·객관적 부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결 과: 1)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에서 주 보호자군이 형제 자매군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환자의 연령, 유병기간, 총 입원기간이 주 보호자 또는 형제 자매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주 보호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매달 수입 정도와 가족교육 여부가 주 보호자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3) 문제행동들을 양성증상, 음성증상, 기타증상으로 분류한 후 주 보호자 및 형제 자매의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을 검증한 결과, 양군 모두에서 3가지 증상 행동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양군에서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이 객관적 부담보다는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또 형제 자매의 경우에는 양성증상 행동이 음성증상 행동에 비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이 더 높았다. 4) 죄책감과 부담간의 상관성에서는 주 보호자에서만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가족중재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burdens of schizophrenics, 92 primary caregivers and 68 siblings of 92 persons with schizophrenia were examined by means of self-report scales about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scores betwee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even though the former showed a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latter. 2) Burden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age of patients, duration of illness, total duration of hospitalizations, monthly family income, and the experience of family education in the primary caregivers or siblings of schizophrenics. 3)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re related to both the severity of positive, negative, and the other symptom behavior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objective burden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perceived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negative symptom behaviors in the siblings. 4) The correlations between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and burden score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rimary caregiv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s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family intervention for reducing family burden.

      • KCI등재

        정신분열병 외래환자에서 사회기능, 정신병리, 그리고 주의력 결손간의 관계

        김철권,정순민,김진원,김상수,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증상이 안정된 83명의 정신분열병 외래 환자들을 대상으로 증상, 사회적응, 그리고 주의력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정상 대조군은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교육수준, 나이, 성별등이 비슷한 60명으로 하였다. 증상은 양성 및 음성증상 증후군 척도(PANS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사회적응은 한국판 사회적응 척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주의력은 지속수행 검사(Continuous Performance Test)와 정보 감지능력검사(Span of Apprehension Ta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지속수행 검사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 모두에서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또 사회적용 척도의 총 점수와 10개 소영역의 점수에서도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사회기능과 증상군의 연관성에서는 양성증상, 음상증상, 일반증상 모두 사회기능의 총 점수와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여가활동 소영역에서는 음성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3) 사회적응 척도의 총 점수와 지속수행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민감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응 척도의 총 점수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정답반응 횟수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응 척도중 도구적 역할 소영역은 민감도 및 정답반응 횟수와 상관성이 있었다.그리고 친구관계 소영역은 민감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증상과 주의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지속수행 검사의 민감도와 음성증상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증상이 안정된 정신분열병 외래환자에서 지속적 주의력이 전반적인 사회 기능을 예측하는 한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 between attentional deficits and social functioning of the schizophrenia, 83 stable outpatients with DSM-Ⅳ schizophrenia and matched 60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and social functioning by mean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Span apprehension task(SPAN), and Korean version of Social Adjustment Scale Ⅱ-Revised Version(KSAS Ⅱ-RV) respectively.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as manifested in the data of CPT and SPAN, compared with the matched normal controls. Schizophrenic pati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or social functioning in measure of KSAS Ⅱ-RV compared with the matched normal controls.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ree type of symptoms(positive/negative/general) and total scores of social functioning. But negative symptoms was correlated with the social leisure subarea of KSASⅡ-RV. 3) CPT was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of social functioning including the instrumental role and friend relation subareas of KSASⅡ-RV, whereas SPAN was only correlated with instrumental role subarea of social functioning. 4) In the relations between attention and symptoms, CPT was correlated with negative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ficit of the sustained attention may be a predictive factor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schizophrenic out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에서의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김철권,변원탄,장우석,장정희,조진석,김명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연구목적 :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가 정신분열병의 취약지표를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중고등학교 재학생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28명과 부모중 한 명이 알코올 의존증으로 정신과적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자녀 18명, 그리고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 41명을 대상으로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를 시행하여 세 군간에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 세 군간에 총 시행 횟수, 총 정답반응 퍼센트, 총 오답반응 퍼센트, 보속반응 퍼센트, 보속 오답반응 퍼센트, 비보속 오답반응 퍼센트, 개념수준 반응 퍼센트, 완성한 범주 수, 첫 범주를 완성하기까지의 시행 횟수, 한 분류범주를 지속하지 못한 횟수, 그리고 학습 효율성 등과 같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 대조군의 하위 10%에 해당되는 총 정답반응 퍼센트 점수를 절단점으로 삼아 세 군에서 그보다 낮은 점수를 얻은 피검자들의 숫자를 확인한 결과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 의해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취약지표를 찾아낼 수 없다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could be used to detect the vulnerability markers of schizophrenia, three groups such as offsprings of schizophrenic patients(n=28), offsprings of alcoholic patients(n=18), and offsprings of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n=41) were examined for their concept formation and abstract thinking by means of WC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all variables of the WCST such as number of total administered trials, total correct response %, total error response %, perseverative response %, perseverative error response %, nonperseverative error response %, conceptual level response %, number of completed category, number of trials to complete lst category, number of failure to maintain a set, and learning to learn among three group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ases with extreme low WCST total correct % of lower 10% of the normal controls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CST could be an ineffective instrument for using to detect the vulnerability markers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한국어판 사회적응 척도의 개발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철권,서지민,김상수,조진석,하준선,김정옥,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사회적응 척도의 한국어판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 법: 사회적응 척도를 번역한 후 정신분열병 환자 67명과 정상인 78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과: 자료분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5, 검사자간 신뢰도는 0.89, 내적 일치도는 0.87로 높은 수치였다.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사회적응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개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성적적응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들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척도의 전반적 평가 영역 결과와 GAF 결과간의 상관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검증한 공존 타당도 역시 유의하였다. 결 론: 한국판 사회적응 척도는 우수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고 나아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justment Scale Ⅱ-Revised Version(KSAS Ⅱ-RV) in the schizophrenics. Methods: KSAS Ⅱ-RV was administered to 67 schizophrenic patients and 78 matched normal controls for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Data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KSAS Ⅱ-RV.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total scores of KSAS Ⅱ-RV were 0.85, 0.89. and 0.87, respectively. Evidence for discriminant validity of KSAS Ⅱ-RV comes from the results that the mean scores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Construct valid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10 inter-subareas correlations of the KSAS Ⅱ-RV, and all except the sexual adjustment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lobal area scores of KSAS Ⅱ-RV and those of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cale lend support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is instrument indirectly. Conclusions: KSAS Ⅱ-RV was found to b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 전동공구 내구성 평가 실험장치 개발

        박근석,변영철,강이석,강배희,이동욱,차원준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7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2 No.2

        For the endurance test, it is necessary to test the portable electric tools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e actual operation condition. It is also essential that the test equipment is convenient to fix the tool. Those are necessary to control the loaded torque and to acquire and analyze the test data with a computer.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endurance test equipment for portable electric tools, where a hydraulic control system with a proportional relief valve was applied to control the load for the test. The developed test equipment used an industrial hydraulic pump as a load supplier to ensure a firm endurance of the test equipment itself. The data acquisition system has been automated by composing with a personal computer and RS-232C communication nets. This test equipment reduced the manhour for the test and also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tested data which were measured and graph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신병적 증상과 위스콘신카드 분류검사와의 관계

        엄양기,김철권,조진석,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o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between schizophrenecs and normal controls, 2) and the change of performance while clinically improved. WCSTs were administered in 28 schizophrenics and 32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ed poorly on the WCST compared to normal controls. 2)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performance in WCST as clinical symptoms improved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age, sex, education level and volcabulary test in both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WCST mat be an indicator of vulnerability to schizophrenia.

      • 정상인에서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의 변이가 복부 비만도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윤석기,김철희,서교일,김학선,김극배,변동원,유명희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1

        The β₃-adrenergic receptor is expressed in visceral adipose tissue in humans and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regulation of the resting metabolic rate and lipolysis. We studied the influence of a mutation in the β₃ -adrenergic receptor gene(Trp64Arg) on body fat distribution, central obesity, lipid metabolism in 65 healthy young male adults. One out of 65 subjects were homozygous (Arg/Arg) for the trp64Arg mutation, 17 subjects were heterozygous (Trp/Arg), and 47 lacked the mutation(Trp/Trp). The body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waist-to-hip ratio were similar between the subjects with- and without the mutation. Total body fat, abdominal fat amount, body fat distribution, serum total- and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also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ut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rp64Arg mutation in β₃-adrenergic receptor gene is not a major contributing factor for central obesity or change in lipid metabolism in Korean young adults.

      • KCI등재

        정신재활 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그리고 치료 경비에 미치는 효과 : 2년 추적조사 연구

        조진석,공지현,김진원,심경순,하준선,김철권,강동호,장정희,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목 적 : 사회기술훈련, 환자교육, 가족교육, 집단치료, 예술치료, 작업치료와 같은 포괄적인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 등에 어떤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1993년 9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양산 신경정신병원의 폐쇄병동에서 퇴원한 20∼35세 사이의 정신분열병 환자 173명을 대상으로 46명에게는 6개월동안 정신재활 치료를 시행하였고 127명에게는 통상적인 외래치료만 시행한 후 연구시작 시점을 포함하여 2년동안 양군에 속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 등을 1년 단위로 추적 조사하였으며, 연구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전과 후의 매년 평균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경비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비용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정신재활 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 직접 치료비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통상적인 외래치료만 받은 군에서는 치료 전과 후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정신재활 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약물치료만 시행할 때에 비해 환자의 임상적 경과를 호전시킬 뿐 아니라 가족의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다. Objective : We evaluated the clinical efficacy of a comprehensive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including family psychoeducation, patient education,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psychotherapy, art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Method : From September 1993 to February 1995, 173 chronic schizophrenics who met DSM-IV criteria and were discharged from a locked ward were assigned into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 group(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n=46) or the customary out-patient service group(out-patient group, n=127) prospectively, but not randomly. Assignment was based on preferences of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Each subject included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received twice weekly patient education, social skills training, family psychoeducation, group psychotherapy, art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during a 6-month period. Those in the out-patient group received individual supportive psychotherapy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according to their clinical needs for 10-20 minutes once per week. After entry into the study, all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 number of readmission, days of hospitalization, and the direct treatment cost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follow-ups. These outcome variables were also compared pre-and post-2 years at the time point of entry into the study. Aftercare chemotherapy on a weekly to monthly basis continued for the remainder of the two year follow-up period. Results : With regard to the mean number of hospital admissions per year, the mean days of hospitalization per year, and the direct treatment costs per year,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ll clinical outcomes 2 years after compared with before receiv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 clinical outcomes between before and after study intake in the out-patient group. For the number of relapse regardless of drug compliance, 4 patients(9%) during first year and 14 patients(30%) during second year were relapsed in the 46 subjects of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In contrast, 75 patients(59%) during first year and 90 patients (71%) during second year relapsed in the out-patient group.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drug noncompliance to relapse, 4(9%) and 14 patients(30%) were relapsed while on medication respective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year in the 46 of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group, vs. 27(34%) of 79 patients on medication during the first year and 31(46%) of 68 patients on medication during the second year were relapsed in the out-patient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rehensive psychiatric rehabilitation can be us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both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reduce the economical burden of their rel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