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출원의 공시와 주식가치

        김민조,정형찬,Kim, Min-Jo,Jeong, Hyeong-Cha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5 財務管理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의 결과로서 특허출원에 대한 공시가 해당 기업의 주가(株價)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특허출원의 공시에 빠른 주가변동(株價變動)이 어떠한 요인(要因)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1989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 동안 특허출원에 대한 공시를 한 47개 상장기업을 연구표본으로 하여 특허공시의 가치효과를 분석한 결과, 특허 공시일을 기준으로 t=-30에서부터 t=+10일까지의 누적초과수익률이 약 6.05%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특허공시의 가치효과는 해당 특허의 대상이 되는 기술개발에 투하된 투자액의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특허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경우보다 타기업이나 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하였을 경우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기업이 기술개발을 완료한 후 특허를 국내에서 보다는 국외에 출원하는 경우가 해당기업의 주가(株價)에 더욱 호의적인 반응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새로운 미국 학교(NAS)’ 학교개혁 추진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김민조(Kim, Min-Jo),박효정(Park, Hyo-J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본 논문은 미국에서 ‘새로운 미국 학교’(New American Schools, 이하 ‘NAS)’를 중심으로 추진된 학교개혁 추진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과제 탐색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컨설팅이 범학교차원 접근방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이 다양화되고 특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컨설팅은 궁극적으로 단위학교의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컨설팅 활성화 추진 과정은 3~4개년에 거친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전략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과 의뢰인의 비용 확보를 위한 공적 자금 뿐만 아니라 민간기금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에 있어 다양한 기관들의 역할과 기능이 보다 명확히정립되어야 한다. 일곱째, 학교컨설팅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여러 요인들과 여건들을 잘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implications for making strategy to disseminate ‘school consulting’ by an analysis of the overall school reform from the cases of ‘New American Schools(NAS)’ in the U.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to be suggested. First, school consulting needs to take a school-wide approach. Second, it requires to have executive organizations which become diverse and specialized. Third, the purpose of school consulting ought to be empowering individual school’s competence. Fourth, school consulting dissemination asks for more step-by-step actions with a plan longer than 3-4 years. Fifth, more positive utilization of private investment as well as public fund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for organizations and clients to secure costs for school consulting. For the last, roles and functions of school consulting organizations needs to be clearly set while building a system of school consulting.

      • KCI등재

        고차자원이 성과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기업을 중심으로

        김민조(Min Jo Kim),이윤표(Yun Pyo Lee),황승준(Seung June Hwang)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Higher-order resources on profit sustainability for domestic companies using a mathematical statistical model. Higher-order resources refer to resources that do not directly affect profits but influence other resources that directly contribute to profits.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30 years of actual data from more than 650 domestic companies, the average duration of competitive advantage including high-order resources was found to be about twice as long as the period suggested by the autoregressive model excluding high-order resources. Through this, if companies want to earn more profi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an their competitors, they must not only possess resources that are more valuable, rare, difficult to imitate, and non-substitutable compared to their competitors, but also that higher-order resources can contribute to changes in these resources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it must lead the long-term profit difference. High-level resources include strategic planning, mergers and acquisitions (M&A) capabilities, and good forecasting.

      • KCI등재
      • KCI등재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민조(Kim Min Jo),이현명(Lee Hyun M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학교문화에 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 종합하고 성찰하여 향후 학교문화 연구의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연구 영역 및 주제, 연구방법의 차원에서 학교 문화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영역과 주제 차원에서 연구동향의 특징과 한계는 무엇인가? 연구 동향 분석 결과를 연구영역과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조직문화연구가 4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직(사)문화 연구가 28편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 연구 영역에서는 문화 측정 및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31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교직(사) 문화 연구 영역에서는 문화 특성 분석 연구가 26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학교문화 연구의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등의 영역에서 연구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조직문화와 학교문화 개념에 대한 보다 명확한 논의와 연구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직(사) 문화 연구와 관련하여 직업적 문화뿐만 아니라 개별 교사 집단의 특수성과 독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문화에 대한 연구 관심의 확대가 필요하고,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의 관점에서 수업문화를 들여다보는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이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이 공유하는 학교문화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for setting direction of school change and researching on school cultur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current studies of school culture in Korea. There were two prominen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school culture. First,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f school(organizational)culture,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 instructional culture in terms of its topics, areas, and methods of research?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e research trends in terms of its topics and area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in its topics and area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school(organizational) culture was 41 and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 was 28. Second, the correlational analyses of other variables and measur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al) school culture were 31 and the analyses of cultural attributes in (occupational)culture of teachers were 26.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future study of school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range of study of school culture should be extended in terms of participants, areas of study, and research topic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make clearer concept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culture and to discuss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school culture. Third, researchers need to work on identifying particularity and distinctive features of individual teachers groups and occupational culture in relation to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shift their focus on teachers to on students when they are working on studying instruc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extend the area of research interest in instructional culture. Finally, fifth, researchers need to add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culture for those who share with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 KCI등재
      • KCI등재

        변경될 상호나 목적 또는 상호와 목적으로 본점이전 상호 가등기를 신청하는 문제에 관한 연구

        김민조 ( Kim Min-j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一鑑法學 Vol.0 No.38

        상호 가등기 제도는 유한회사나 주식회사를 설립하거나, 상호 내지 목적을 변경하거나, 본점을 이전하기에 앞서 타인의 상호 선점을 예방하는 제도다. 따라서 발기인이나 사원 또는 회사는, 향후 사용할 예정인 상호를 미리 가등기해 둠으로서 타인의 고의적인 혹은 우연한 선행 등기를 예방하여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유용한 제도지만, 본점을 이전하고자 하는 곳을 관할하는 등기소에 현행 상호와 동종영업의 동일한 상호가 이미 등기되어 있거나 상호 내지 목적을 변경하면서 본점을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허점을 드러낸다. 관련 법령이 이러한 상호 가등기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상법은 본점을 이전할 때에는 신본점 소재지를 관할하는 등기소에 상호 가등기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할 뿐, 이때 현행 상호 내지 목적이 아닌 변경될 상호 내지 목적으로 본점이전 상호 가등기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한편, 상업등기법은 현행 상호로 본점이전 상호 가등기를 신청하는 경우를 전제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변경이전 상호 가등기를 반드시 배제했다고 볼 수는 없다. 본고는 관련 법령을 고려해보았을 때 변경될 상호 내지 목적으로 본점이전 상호 가등기(변경이전 상호 가등기)를 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호 가등기의 전체적인 취지와 목적을 고려해 보았을 때 그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특히 상호 가등기 제도가 도입된 연혁이 일본의 경우와 다르다는 점을 살펴본 후, 이러한 차이점이 변경이전 상호가등기의 해석에 주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구상업등기법에 일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일본의 경우와 달리, 상호 가등기에 대한 사항을 상법과 상업등기법에 나눠놓은 우리 법제를 조화롭게 해석하기 위해 두 규정을 어떻게 이해할 필요가 있는지 역시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변경이전 상호 가등기가 불필요하다는 반론과 관련하여, 본점을 이전하면서 상호 내지 목적을 동시에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어떨 때에 발생할 수 있는지와 그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또 변경이전 상호 가등기의 불인정이 어떻게 상호가등기 제도의 목적 달성을 저해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변경이전 상호 가등기의 본질을 고려하였을 때, 어느 등기소가 관할이 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어느 상호 가등기부 양식 및 신청서를 사용해야 하는지 여부, 그리고 만약 개정을 할 수 있다면, 어느 법령 내지 규칙을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Applying for a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prior to incorporating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r a stock company, changing the trade name or purpose of a company, or relocating the company’s corporate main office can be a convenient tool that may be used to prevent others from registering the same name in advance. A promoter, partner or company can reduce business risk by preventing antecedent registries, either intentional or accidental, through the act of registering the trade name it plans to use in the future. Although a convenient system, it has weaknesses such as when the same trade name of the same business category is already registered where the company wishes to relocate, or if the company simply plans to relocate at the same time it changes it’s trade name. In other words the law is rather unclear whether a company can file for a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for relocation of main office using a trade name and/or purpose that is different from what it is currently using(hereinafter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a company, when moving it’s main office to a new location, may provisionally register it’s trade name with the registry that has jurisdiction over the new location, but remains silent as to whether such a main offic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is possible under a different trade name and/or purpose. The Commercial Registration Act, on the other hand, seems to be based on the premise that one can only provisionally register it’s current trade name prior to moving it’s main office, although it does not explicitly prohibit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assert that considering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not only is it possible to file for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but after a close examination of the overall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y system, it can be necessary. In this regard,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history of how the trade name registry system was indoctrinated into the Republic of Korea and how it differs from its Japanese counterpart, will attempt to verify the effects this difference has on whether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is possible. Furthermore, it will attempt to review how we need to harmonically interpret our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system which is regulated by both the Commercial Act as well as the Commercial Registration Act, unlike Japan, where it was overseen unilaterally by the Commercial Registration Act of Japan. Meanwhile,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that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is unnecessary, this paper will touch on when a company might wish to change it’s trade name and/or purpose while at the same time relocate it’s main office and why it may wish to do so. It will also discuss how not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can in fact undermine the very foundation of the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system itself. Finally, it will examine, after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trade name registration system, which registry office should have jurisdiction over a transformative relocation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ation, which provisional trade name registry format and which application form should be used, and if possible, which law or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and in what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