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마 방법과 칫솔질이 아크릴릭 레진의 표면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이주,정철호,최정한,황재웅,이동환,Lee, Ju-Ri,Jeong, Cheol-Ho,Choi, Jung-Han,Hwang, Jae-Woong,Lee, Dong-H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연마 술식에 따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의 표면 거칠기의 차이를 비교하고, 광중합 광택제가 PMMA의 표면 거칠기에 주는 영향과 이후 칫솔질에 의한 거칠기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60개의 $10{\times}10{\times}5\;mm$ 크기의PMMA 시편을 만들었다. 중합 방법 (압력 하 중합과 대기압 하 중합)과 표면 연마 방법 (기계적 연마와 화학적 연마)에 따라 대조군을 포함하여 각 10개씩 총 6군으로 나누었다. 기계적 연마는 카바이드 덴처버로 표면 마무리 한 후, 러버 포인트와 퍼미스를 이용하여 하였으며, 화학적 연마는 표면 마무리 후 광중합 광택제 ($Plaquit^{(R)}$; Dreve-Dentamid GMBH)를 도포하여 실시 하였다. 연마가 완료된 후 비 접촉식 3차원적 표면 형상 분석장치인 Accura $2000^{(R)}$으로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3차원적 영상을 얻었다. 그 후 칫솔질에 의한 마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 전동 칫솔을 이용하여 각 시편당 칫솔질을 행하고 다시 Accura $2000^{(R)}$에 의한 표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거칠기의 정도는 Ra 값으로 표시하였다. 연마 후와 칫솔질 후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은 Mann-Whitney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화학적 연마군은 기계적 연마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작은 평균 표면 거칠기 값을 보였으며 (P = .0045), 일반 대기압 하에서 중합시킨 군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P = .0138). 초음파 전동 칫솔에 의한 모의 칫솔질 후 표면 거칠기는 기계적 연마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칫솔질 후의 표면 거칠기는 각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록 칫솔질에 의한 마모의 영향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화학적 연마가 기계적 연마에 비해 우수한 표면 거칠기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polishing techniques on surface roughness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s well as the influence of light-cured surface glaze and subsequent brushing on surface roughnes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0 PMMA specimens ($10{\times}10{\times}5\;mm$) were made and then divided into 6 groups of 10 each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methods (under pressure or atmosphere) and the surface polishing methods (mechanical or chemical polishing) including 2 control groups. The mechanical polishing was performed with the carbide denture bur, rubber points and then pumice and lathe wheel. The chemical polish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a light-cured surface glaze ($Plaquit^{(R)}$; Dreve-Dentamid GmbH). Accura $2000^{(R)}$, a non-contact, non-destructive, optical 3-dimensional surface analysis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surface roughness (Ra) and 3-dimensional images were acquired. The surface roughness was again measured after ultrasonic tooth brushing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brushing on the surface roughnes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ann-Whitney test and t-test using a 95% level of confidence. Results: The chemically polished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lower mean surface roughness in comparison to the mechanically polished group (P = .0045) and the specimens polymerized under the atmospheric pressure present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P = .0138). After brushing, all of the groups, except the mechanically polished group, presented rougher surfaces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after brushing, the chemical polishing technique presented an improved surface condition in comparison to the mechanical polishing technique.

      • 혀에 발생한 골종 1예

        이주한,박일석,Lee, Ju Han,Park, Il Seo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8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4 No.1

        Tongue osteoma is a rare disease. Clinically, it occurs mainly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tongue and may cause foreign body sensation, but most of it is found incidentally without any symptom. Clear mechanisms of development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but many hypotheses have been proposed. Treatment is possible with surgical resection and no recurrence or malignancy has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29 year old man with osteoma of tongu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자의 식이이행과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 및 특성 간 상관관계

        이주임 ( Ju Im Lee ),한상숙 ( Sang Sook Han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5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1 No.1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related the dietary behavior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and to made the data for nursing which is thought to improve the dietary behavior. Method: The study population was the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outpatient base. The study method was the dietary behavior, diet self-efficacy, perceivedhealthy behavior, social support measurement & characteristics. All of the above tool was validated for its composition proriety and confiden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SPSS PC 11.0 program.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score of dietary behavior in the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was 4.57 point. The score of perceived-benefits was the highest among the association factor(point) and the score of perceived-barriers(m=2.78), diet self-efficacy(m=5.12), social support(m=4.86 point), exercise and chest pa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efficient dietary education that prevents the progression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is needed.

      • KCI등재

        현대 교육사조에 비추어 본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철학적 사고 경향과 일관성

        이주한 ( Ju Ha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본고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철학적 사고의 경향과 일관성 정도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교육철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 예비교사들은 어떠한 교육철학적 사고 경향을 갖고 있으며, 그들의 교육철학적 사고는 얼마나 일관적인가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7개 교육대학 1, 2, 3학년 재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교육에 대해 실존주의적 사고 경향을 가진 예비교사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사고의 일관성 정도에 있어서는 일관적이지 못한 경우가 일관된 경우보다 훨씬 많았다. 특히 사고의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은 교육대학의 교육철학 교육에서 교육철학 관련 지식을 전수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에 대한 철학적 사고 능력을 실질적으로 함양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clination for philosophical thought of education and its logical consistency, and then infer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is study, I classify into four large groups the current of modern educational thoughts. An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I develop questionnaires and survey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clination for philosophical thought of education and its logical consistency. And I make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pret it in the philosophical view point, and analogize its important suggestions to the practice of educa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a) A lo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has existential perspective on education, (b) a lo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on education do not have the consistenc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we have to chang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ed on transmission of philosophical knowledge on education into program focused training of philosophical thinking on education.

      • 입체적 도시의 속성을 지니는 건축의 바닥에 관한 연구

        이주한(Lee Ju-Han),김광현(Kim Kwang-Hyun)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and problem about the modern city. The urban environment is divided into some separated functions; therefore the city is unable to support human life. The characteristics of 3-dimensional city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that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a concept with a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modern city. Through this study, it is cleared that the urban floor is an important factor of 3-dimensional city. To make urban floor in architecture is an attempt to get architecture to work with city and that process makes a human environment connecting to the city. After all, making 3-dimensional city is the matter of how to make urban floors naturally.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권의식 및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에 관한 인식

        이주한 ( Ju Ha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권의식과 교육대학의 인권보장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교육대학 학생들의 일반적 인권에 대한 의식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에 대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인권에 대한 의식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종합대학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인권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일반적 인권 전체에 대해 학년 간, 학교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로는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의식수준을 보였다. 둘째,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 실태에 대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인식은 보통 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기대에 비해 교육대학의 인권환경 혹은 인권보장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별 통계적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별,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 실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교육대학에서의 인권침해는 주로 학생과 학생 사이에서, 교수와 학생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고,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대학에서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바 인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대학에서 인권교육을 한층 더 강화해야 하며, 대학의 환경을 인권 친화적으로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s and their perception of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65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rom 5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s is above average and higher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ades, universities but is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ex;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is below the average. This result means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falls short of their expectation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but is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ex, grades; male students and the lower grade students perceive human rights guarantee negatively than female students and higher grade students. Also, a human-rights violations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arise between students,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main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and expended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education and life environment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must be improved more human rights-frien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