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한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형구,문효진,윤정원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6

        본 연구에서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어떠한 형태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그리고 정확도를 유목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한국 대학생들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서 기술력을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 대학생들은 한국의 외교를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문화상품 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 대학생들은 드라마, 중국 대학생들은 관광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중국 대학생들은 한국의 영화산업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 지 개선과 문화상품 개발에 실질적 함의가 무엇인지 또한 토론하였다. Apply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mages and cultural products of Korea among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echnological dimensions of Korean images and dramas of cultural products were highly recognized among Korean students, while diplomatic skills and tourism were salient images of Korea among Chinese students.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s.

      • SCIESCOPUSKCI등재

        PLGA 담체의 제조방법에 따른 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소정원 ( Jeong Won So ),김순희 ( Soon Hee Kim ),백미옥 ( Mi Ock Baek ),임지예 ( Ji Ye Lim ),노혜원 ( Hye Won Roh ),이나리 ( Na Ri Lee ),유규하 ( Gyu Ha Ryu ),조양하 ( Yang Ha Cho ),이승진 ( Seung Jin Lee ),강길선 ( Gilson Khang )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 2008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5 No.1

        A key component in tissue engineering for bone regeneration is the scaffold that serves as a template for cell interaction and the formation of bone-extracellular matrix to provide structural support to the newly formed tissue. In this study, poly(L-Lactide-co-glicolide)(PLGA) scaffolds were prepared by solvent casting/salt-leaching, ice particle-leaching and gas-forming/salt-leaching. Cellular viability and proliferation were assayed by 3-(4,5-dimethylthiazole- 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MTT) test. Osteogenic differential cells were analyzed by ALP activity. Through RT-PCR analysis, we observed ALP and osteocalcin m RNA expression. Scaffold with BMSCs were implanted into the back of athymic nude mouse to observe in vivo behavior. Thin section were cut from paraffin embedded tissues and histological sections were stained by trichrome, immunohistochemical, von kossa staining.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of BMSCs in the scafoolds was the highest in the scaffolds using solvent casting/salt-leaching method. In RT-PCR results, in the all type of scaffolds observed specific gene expression of ALP, osteocalcin. By histological staining, we could observed collagen and calcification region in scaffolds by solvent casting/salt leaching method. Thus Solvent casting/salt-leaching method provided highly porous structure with good interconnections between each pores, which can support the surface of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solvent casting/salt-leaching is useful for osteogenesis of BMSC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습식 과립을 통해 용해도가 개선된 나프록센 나트륨 제형 설계

        이성원(Seong Won Lee),조훈휘(Hun Hwi Cho),김진우(Jin Woo Kim),김남영(Nam Yeong Kim),김필윤(Pil Yun Kim),송철의(Cheol Ui Song),이원찬(Won Chan Lee),최정민(Jeong Min Choi),송정은(Jeong Eun Song),강길선(Gilson Khang) 한국고분자학회 2021 폴리머 Vol.45 No.3

        최근 유전 및 노화로 인해 관절염(류마티스,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의 환자들은 지속적인 통증으로 인해 건강 관련 삶의 질(HQRL)이 저하되고 있다. 통증 치료를 위해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치료제로 나프록센 나트륨(NAP)이 사용된다. NAP는 발열, 염증, 통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PG)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 1과 2(COX-1, COX-2)를 억제하는 장점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반감기가 12시간이다. 그러나 NAP는 하루에 2번 275-550 mg의 경구 투여에 의해 용해도가 낮고 흡수도가 높은 생물약제학적 분류체계 c la ss 2 약물이다. 나프록센 나트륨의 낮은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K30), 폴리비닐알콜(PVA), 전분과 NAP를 습식과립법으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후 NAP의 향상된 형태와 용해도를 확인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EM), 시차주사 열량분석법(DSC), X선 회절분석법(XRD),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습식 과립 형성을 통해 NAP의 용해도가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즉시 방출 효과인 속방정으로써 관절염에 대한 치료제로 응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Recently, many patients are suffered from arthritis including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due to increment in genetic disease and aging. Most patients with arthritis have a relatively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due to persistent pain. For the treatment of pa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widely used and among them, naproxen sodium (NAP) is typically applied. NAP has merits in inhibiting cyclooxygenases 1 and 2 (COX-1, COX-2), enzym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PG) which cause fever, inflammation, and pain, and has a relatively long half-life of 12 h. However, NAP is a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BCS) class 2 drugs with low solubility and high absorption by oral administration of 275~550 mg per time, twice a day. Herein, the low solubility of NAP was improved by wet granul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polyvinylpyrrolidone (PVP-K30), polyvinyl alcohol (PVA), starch, and NAP. The improved morphology and solubility of NAP wa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X-ray diffraction (XR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verall results showed enhanced solubility of NAP through the wet granule formation and showed promising treatment for arthritis as immediate release medicinal effects.

      • KCI등재

        PLGA/헤스페리딘 함량별 필름에서 염증 완화 효과

        송정은(Jeong Eun Song),심초록(Cho Rok Shim),이유정(Yu Jung Lee),고현아(Hyun Ah Ko),윤현(Hyeon Yoon),이동원(Dong Won Lee),강길선(Gil Son Khang) 한국고분자학회 2013 폴리머 Vol.37 No.3

        헤스페리딘은 혈관 순환계 보호 효과, 항암 효과,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등의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헤스페리딘을 함유한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 필름을 조직공학적 세포담체로 이용하고 생체 내/외의 실험을 통하여 헤스페리딘과 염증 반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포담체에서의 세포의 증식 과 부착을 확인하고자 PLGA/헤스페리딘 필름에 세포(RAW 264.7, NIH/3T3)를 파종하여 1, 3일 후에 MTT와 SEM 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항산화 효과와 염증 완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ELISA, RT-PCR, FACS 등을 평가한 결 과 PLGA 필름보다는 헤스페리딘이 첨가된 PLGA 필름에서 염증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vivo 실험 에서도 헤스페리딘이 PLGA에 의해 유도된 염증세포와 섬유피막 축적을 감소시켜 헤스페리딘의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 PLGA 필름보다는 PLGA/헤스페리딘 필름에서 염증 반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Hesperidin (Hes) has known to having some functions like protection of blood circulatory system, anti-tumor effect, antioxidant effec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s and inflammatory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using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film including Hes as a tissue engineered scaffold. To confirm the proliferation of cells on fabricated scaffold, cells (RAW 264.7 and NIH/ 3T3) were seeded on PLGA/Hes film then analyzed with MTT and SEM at 1 and 3 days after seeding. The results from ELISA, RT-PCR, and FACS for anti-oxide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showed that inflammatory response of PLGA/ Hes film decreased more than that of PLGA film. Also, in vivo result confirmed that inflammatory response by implanted PLGA/Hes film decreased more comparing with PLGA film. This is because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Hes reducing induced inflammatory cell and accumulation of fibrous capsule. The results showed that PLGA/Hes film`s capacity on reducing inflammatory is better than PLGA film because of Hes.

      • KCI등재
      • KCI등재

        Non-rigid registration based on hierarchical deformation of coronary arteries in CCTA images

        Heeryeol Jeong,Taeyong Park,Seungwoo Khang,Kyoyeong Koo,Juneseuk Shin,Kyung Won Kim,Jeongjin Lee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3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BMEL) Vol.13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curate and rapid non-rigid registration method between blood vessels in temporal 3D cardiac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mages of the same patient. This method provides auxiliary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steps. First, global registration is conducted through rigid registration between the 3D vessel centerlines obtained from temporal 3D cardiac CT angiography images. Second, point matching between the 3D vessel centerlines in the rigid registration results is performed, and the corresponding points are defined. Third, the outliers in the matched corresponding points are removed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ickness and gradient of the vessels. Finally, non-rigid registration is conducted for hierarchical local transformation using an energy func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egistration error of the proposed method is 0.987 mm, and the average execution time is 2.137 s, indicating that the registration is accurate and rapid. The proposed method that enables rapid and accurate registr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n blood vessel characteristics in temporal CTA images of the same patient.

      • KCI등재후보

        갑상선결절에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한정희(Jeong Hee Han),이성진(Seong Jin Lee),원종철(Jong Chul Won),최충곤(Choong Gon Choi),이호규(Ho Kyu Lee),공경엽(Gyung Yub Gong),강신광(Shin Kwang Khang),안일민(Il Min Ahn)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배경 : 갑상선결절은 전체 인구의 4∼7%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보고되어 있다. 갑상선결절에서 갑상선암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갑상선 세침흡인검사가 처음 도입된 이래 현재까지도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에서 갑상선암의 진단을 위한 매우 중요한 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침흡인검사는 결절의 크기가 작거나 결절이 복합낭종인 경우에는 시행에 제한이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검사의 정확성과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결절에서의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999년 7월 31일까지 갑상선결절로 서울중앙병원 내분비 내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에서 촉진에 의한 갑상선 세침흡인검사가 불가능하였던 3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였다. 흡인된 검사 표본은 진단병리과 의사가 판독하였고 세포군이 6개 이하이면 부적절한 표본 (inadequate specimen)이라고 판정하였다. 결과 : 초음파 유도하 갑상선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지 못했던 이유로는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작아서 촉진이 불가능 하였던 경우가 188명으로 제일 많았고 복합낭종이었던 경우가 88명이었다. 적절한 표본으로 판정된 경우는 79.6%이었으며 부적절한 표본으로 판정된 경우는 20.4%이었다. 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군과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군 사이의 결절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각각 1.63±1.17 cm, 1.18±0.72 cm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환자들을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시행 원인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만져지지 않아서 시행하였던 경우의 25.4%, 복합낭종으로 시행하였던 경우의 11.4%에서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졌고 이외의 적응증으로 시행한 경우에는 17.1%에서 표본이 부적절하다고 판정되었다. 갑상선결절의 크기에 따라서 환자들을 1.0 cm 이하 (135명), 1.0∼1.5 cm (64명), 1.5 cm 이상 (105명)으로 분류하였을 때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는 각각의 경우에서 27.4%, 18.8%, 13.3%로 나타나 이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25) 크기가 1.0 cm 이하인 군과 1.0∼1.5 cm인 군 사이에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빈도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22). 결절의 크기를 1.5 cm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1.5 cm 이하인 군 (198명)에서 표본이 부적절하였던 경우는 49명 (24.7%), 1.5 cm 이상인 군 (106명)에서는 13명 (12.3%)으로 나타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4). 복합낭종을 동반한 환자를 분석하였을 때 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가 78명 (88.6%)이었고,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가 10명 (11.4%)이었으며 두 군 사이의 결절의 크기는 각각 2.70±1.08 cm, 2.21±0.66 cm로 차이가 없었다 (p=0.8). 결론 : 1.5 cm 이하의 갑상선결절은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결과를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표본의 적절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복합낭종의 경우에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로 적절한 표본을 얻기가 어려움을 고려하여 볼 때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1.5 cm 이하인 경우에는 경부 초음파를 이용하더라도 세침흡인검사로 적절한 표본을 얻기가 어려워 진단이 어려워질 수 있고 만약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복하여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악성 유무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Fine needle aspiration (FNA) is regarded as initial diagnostic procedure for thyroid nodules due to its accuracy and safety. One of the limitations of FNA is variable rate of inadequate specimen. Recently, ultrasound guidance has been suggested as a valuable method to improve diagnostic performance of FN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ates of adequate specimen when FNA is done with ultrasound guidanc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304 patients who underwent ultrasound-guided FNA for thyroid nodules. Ultrasound-guided FNA was performed due to various causes. Results : Inadequat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62 patients (20.4%). The sizes of thyroid nodules from which specimen obtained were 1.63±1.17 cm for adequate specimen, 1.18±0.72 cm for inadequate specimen respectively and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When patients were divided by the size of thyroid nodules,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bove 1.5 cm and less than 1.5 cm (p=0.04).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of ultrasound guidance, 25.4% in nonpalpable thyroid nodules and 11.4% in complex cysts. When complex cyst group was divided by the size of thyroid nodules,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 : There are less benefits of ultrasound-guided FNA for patients with nodule size less than 1.5 cm. We recommend ultrasound guidance for patients with complex cyst rather than nonpalpable thyroid nodules.(Korean J Med 62:430-435, 2002)

      • KCI등재

        조직공학적 연골재생을 위한 In Vitro 환경에서의 탈미네랄화 골분용액을 함유한 PLGA 지지체의 효과

        이동원(Dong Won Lee),강길선(Gil Son Khang),안우영(Woo Young Ahn),김혜린(Hye Lin Kim),송정은(Jeong Eun Song) 한국고분자학회 2011 폴리머 Vol.35 No.6

        본 연구팀은 탈미네랄화 골분(DBP)이라는 천연재료를 졸(sol)화시켜 poly(lactide-co-glycolide) (PLGA)에 함침시킨 지지체를 개발하였다. DBP를 함침시킨 PLGA 지지체 상의 세포증식과 모폴로지를 평가하기 위해 MTT 분석 과 SEM을 측정하였다. 또한 sGAG와 콜라겐 함량 측정과 파종된 연골 세포의 표현형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 다. 그 결과 PLGA에 DBP를 함침시킨 지지체가 PLGA 지지체보다 높은 세포 증식률을 보였다. 또한 파종된 연골세포 의 표현형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PLGA에 DBP를 이용한 용액을 함침시킴으로써 DBP내의 성장인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골세포의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안정되게 연골을 조직 화할 수 있는 연골조직공학 지지체로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Articular cartilage has an intrinsic difficulty in recovering damages, which requires its tissue engineering treatment. 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 contains various bioactive molecules. It is widely used biomaterials in the field of tissue engineering. We developed the synthetic/natural hybrid scaffolds with poly(lactide-co-glycolide) (PLGA) and solution of DBP. The chondrocytes were seeded on the PLGA-DBP scaffolds and MTT assay, morphological observation, biological assay for collagen, sGAG, and RT-PCR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BP on cell viability and extracellular matrix secretion. In SEM observation, we observed that PLGA-DBP scaffolds had uniform porosity. As MTT assay showed scaffolds containing DB solution had higher cell viability then only PLGA scaffolds. The PLGA-DBP scaffolds had better ECM production than PLGA scaffold. It was proven by the higher specific mRNA expression in the PLGA-DBP scaffold than that in PLGA scaffol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LGA-DBP scaffolds might serve as potential cell delivery vehicles and structural bases for in vitro tissue engineered articular cartilag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