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갑상선결절에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한정희(Jeong Hee Han),이성진(Seong Jin Lee),원종철(Jong Chul Won),최충곤(Choong Gon Choi),이호규(Ho Kyu Lee),공경엽(Gyung Yub Gong),강신광(Shin Kwang Khang),안일민(Il Min Ahn)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배경 : 갑상선결절은 전체 인구의 4∼7%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보고되어 있다. 갑상선결절에서 갑상선암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갑상선 세침흡인검사가 처음 도입된 이래 현재까지도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에서 갑상선암의 진단을 위한 매우 중요한 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침흡인검사는 결절의 크기가 작거나 결절이 복합낭종인 경우에는 시행에 제한이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검사의 정확성과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결절에서의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999년 7월 31일까지 갑상선결절로 서울중앙병원 내분비 내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에서 촉진에 의한 갑상선 세침흡인검사가 불가능하였던 3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였다. 흡인된 검사 표본은 진단병리과 의사가 판독하였고 세포군이 6개 이하이면 부적절한 표본 (inadequate specimen)이라고 판정하였다. 결과 : 초음파 유도하 갑상선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지 못했던 이유로는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작아서 촉진이 불가능 하였던 경우가 188명으로 제일 많았고 복합낭종이었던 경우가 88명이었다. 적절한 표본으로 판정된 경우는 79.6%이었으며 부적절한 표본으로 판정된 경우는 20.4%이었다. 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군과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군 사이의 결절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각각 1.63±1.17 cm, 1.18±0.72 cm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환자들을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시행 원인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만져지지 않아서 시행하였던 경우의 25.4%, 복합낭종으로 시행하였던 경우의 11.4%에서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졌고 이외의 적응증으로 시행한 경우에는 17.1%에서 표본이 부적절하다고 판정되었다. 갑상선결절의 크기에 따라서 환자들을 1.0 cm 이하 (135명), 1.0∼1.5 cm (64명), 1.5 cm 이상 (105명)으로 분류하였을 때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는 각각의 경우에서 27.4%, 18.8%, 13.3%로 나타나 이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25) 크기가 1.0 cm 이하인 군과 1.0∼1.5 cm인 군 사이에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빈도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22). 결절의 크기를 1.5 cm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1.5 cm 이하인 군 (198명)에서 표본이 부적절하였던 경우는 49명 (24.7%), 1.5 cm 이상인 군 (106명)에서는 13명 (12.3%)으로 나타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4). 복합낭종을 동반한 환자를 분석하였을 때 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가 78명 (88.6%)이었고, 부적절한 표본이 얻어진 경우가 10명 (11.4%)이었으며 두 군 사이의 결절의 크기는 각각 2.70±1.08 cm, 2.21±0.66 cm로 차이가 없었다 (p=0.8). 결론 : 1.5 cm 이하의 갑상선결절은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결과를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표본의 적절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복합낭종의 경우에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로 적절한 표본을 얻기가 어려움을 고려하여 볼 때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갑상선결절의 크기가 1.5 cm 이하인 경우에는 경부 초음파를 이용하더라도 세침흡인검사로 적절한 표본을 얻기가 어려워 진단이 어려워질 수 있고 만약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복하여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악성 유무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Fine needle aspiration (FNA) is regarded as initial diagnostic procedure for thyroid nodules due to its accuracy and safety. One of the limitations of FNA is variable rate of inadequate specimen. Recently, ultrasound guidance has been suggested as a valuable method to improve diagnostic performance of FN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ates of adequate specimen when FNA is done with ultrasound guidanc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304 patients who underwent ultrasound-guided FNA for thyroid nodules. Ultrasound-guided FNA was performed due to various causes. Results : Inadequat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62 patients (20.4%). The sizes of thyroid nodules from which specimen obtained were 1.63±1.17 cm for adequate specimen, 1.18±0.72 cm for inadequate specimen respectively and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When patients were divided by the size of thyroid nodules,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bove 1.5 cm and less than 1.5 cm (p=0.04).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of ultrasound guidance, 25.4% in nonpalpable thyroid nodules and 11.4% in complex cysts. When complex cyst group was divided by the size of thyroid nodules, the rates of inadequate specimen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 : There are less benefits of ultrasound-guided FNA for patients with nodule size less than 1.5 cm. We recommend ultrasound guidance for patients with complex cyst rather than nonpalpable thyroid nodules.(Korean J Med 62:430-435, 2002)

      • KCI등재후보

        신경세포 이주 및 조직화 장애의 임상상과 신경 방사선학적 소견에 대한 연구

        김정호(Jeong-Ho Kim),고태성(Tae-Sung Ko),문형남(Hyung-Nam Moonm),최충곤( Choong-Gon Choi)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연구 배경 : 신경세포 이주 및 조직화 장애에서 보이는 간질 증상은 난치성인 경우가 많으나 간질 수술 요법의 발전으로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뇌자기 공명영상(MRI) 도입 이후에 이 질환에 대한 진단이 용이해 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니 국내에서는 아직 이 질환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신경세포 이주 및 조직화에 장애로 진단된 30례를 대상으로 이 질환의 임상상과 신경 방사선학적 소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9년 9월부터 1995년 8월까지 만 6년동안 서울중앙병원에서 내원하여 뇌자기 공명영상이나 뇌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소아환자중에서 신경세포 이주 및 조직화 장애로 진단되었던 30례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소견, 임상증상및 뇌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30례중 이소성 회백질이 11례(36.6%)로 가장 많았고, 편평뇌증이 9례(30%) 분열뇌증 6례(20%)의 순이었고 이소성 회백질, 거대뇌증도 각각 2례(6.7%)씩 있었다. 방사선학적 소견은 병소의 위치 및 침범엽의 분포상 편평뇌증, 이송성 희백질은 모두 양측성, 거대뇌증은 모두 일측성이었고 편평뇌증의 경우 중 무뇌-경뇌증에서 무뇌는 모두 두정-후두엽에 있었다. 주된 병변이외의 동반 이상소견증 뇌실 확장이 가장 많았고(14/31, 45.2%), 정체의 16%에서는 다른 형태의 신경세포 이주 및 조직화 장애의 병변이 공존하였다. 임상소견은 간질발작, 운동발달지여느 지능장애 등의 순이었고, 간질발작의 형태는 편평뇌증, 이소성 회백질은 모두 전신 발작이었고 피질 이형성증과 분열뇌증은 부분 발작이 각각 62.5%, 50.0%였다. 뇌파소견상 피질이형성 8례중 7럐(87.5%)에서 초점성 극파 또는 예파 소견이 있었고, 편평뇌증 7례중 3례(42.9%)에서 hypsarrhythmia가 나타났다. 항경련제 투여후 반응은 편평뇌증은 100%(5/5), 피질 이형성증은 66.7%(4/6)에서 1년에 한번 이상의 경련발작을 보여 다른 병변보다 좋지 않았다. 결론 : 임상소견중 간질발작은 병소의 크기와 관계가 없었고 운동발달지연은 병소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다. 그러나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The disorders of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or Cortical Malformations) are a complex and rather heterogeous group that are characterized by ab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erebral cortex. The causes of disorders of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may be both genetic and maternal/environmental. A defect in the radial glial fibers bas been proposed to be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migrational arrest in many of the neuronal migration disorders. Morphologically, the disorders can be classified with Lissencephaly, Schizencephaly, Cortical dysplasia, Heterotopia, and Megalencephaly. The clinical and imaging manifestations of these disorders vary considerably. Clinical features include mental retardation of variable of variable degree, neurological signs, and epilepsy. Methods : In this study, we reviewed 30 cases of the disorders of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 radiologic, clinical, and EEG findings. Results : The 30patients with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disorders consisted of 11 with cortical dysplasia, 9 with lissencephaly, 6 with schizencephaly, 2 with heterotopia, and 2 with megalencephaly. The age of patient at diagnosis ranged from 1days to 15 years of age and mean age was 3.6 years. Associated cerebral anomalies included ventricular dilatation in 14 patients, agenesis of septum pellucidum, and hypoplasis of corpus callosum in 6patients. In addition, among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disorders, other types of cortical malformations are mixed in 5patients. Clinically, these patients presented with seizures in 73.3%, motor developmental delay in 50.0%, intellectual retardation in 36.7%, and hypotonia in 3.3%. Patients with large or medium size of neuronal migration disorders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developmental delay than those with small size(P<0.05), but do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i seizure. Conclusion: patients with disorders of neuronal migration and organization can be diagnosed with improved brain imaging techniques. Seizures were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among neurologic manifestations, and patients with larger size of cortical malformations have more motor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괴사성 뇌증 1례

        김자형(Ja Hyung Kim),윤혜진(Hye Jin Yun),김덕수(Deok Soo Kim),고태성(Tae Sung Ko),최충곤(Choong Gon Choi)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1

        저자들은 생후 9개월 환아에서 급성 장염 후 급격하게 발생한 발작과 의식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과 뇌 자기 공명 영상으로 양측 시상, 뇌간, 뇌실 주위의 백질을 대칭적, 다발성 침범을 보여 전형적인 급성 괴사성 뇌증으로 진단하고 steroid를 투여하여 임상증상 및 뇌병변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is a recently established disease entity, proposed by Mizuguchi et al in 1995, that shows a characteristic symmetric and multifocal involvement of both thalamus, brainstem tegmentum, cerebral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and cerebellar medulla. It is known to be prevalent in Japan and other Far Ease countries. The etiology of the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remains unknown. The typical course of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is the development of the irreversible neurologic symptoms related to brain lesions. The diagnosis can be made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a typical clinical profile and characteristic radiologic findings. We experienced a first case of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in a 9 month old boy in Korea.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대뇌 변연계의 방사선학적 해부학

        최충곤 대한치매학회 2004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3 No.2

        The limbic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ention, memory, and the emotions. The limbic lobe comprises four C-shaped arches stretching from the medial surface of frontal lobe to the temporal pole. These structures are limbic gyrus (subcallosal area-cingulated gyrus-parahippocampal gyrus-uncus), Broca's intralimbic gyrus (paraterminal gyrus-supracallosal gyrushippocampal tail, body, head), hippocampal and callosal sulcus, and fimbria/fornix. These gross anatomical relationships can be clearly demonstrated by high-resolution MR imag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