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C PDP 네 투명 유전층의 절연내력과 투과율에 관한 연구

        박정후,이성현,손재봉,김규섭,조정수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8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4 No.-

        AC PDP(plasma display panel)는 40인치 이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AC PDP내 투명 유전층은 방전플라즈마중의 양이온 충격에 의해서 금속전극이 스파터되는 것을 보호하고, 유전층 표면에 벽전하를 형성하여 대화면 구동에 필요한 메모리기능을 부가하므로 방전 cell구조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유전층은 우수한 절연내력을 가져야할 뿐 아니라 가시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높은 투과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조건들 하에서 유전층의 절연내력과 투과율에 관하여 논하였다. 그 결과 15μm 두께를 가지고 570℃에서 소성을 행한 유전층의 경우 최소 29V/μm의 절연 내력을 가졌고, 80%정도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AC PDP에서 적정유전층의 두께는 최고인 가전압에 대해서 약 80V 정도의 마진을 가지는 15μm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AC PDP(plasma display panel) is large display panel over 40 inch. The transparent dielectric layers in AC PDP are essential to the discharge cell structure, because they protect metal electrodes from sputtering by positive ion bombarding in discharge plasma and form a sheath of wall charges which are essential to memory function necessary to drive large panel. This layer should have high dielectric strength, and also be transparent because visiable light must pass through this layer. Therefore in this paper, we discussed the dielectric strength and transmittance coefficient of the dielectric layer under various conditions. As a result, on the 15μm thickness, the minimum dielectric strength was 29V/μm and the transmittance coefficient was about 80% after 570℃ firing proces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onable dielectric thickness in AC PDP is 15μm because it has about 80V margin on the maximum applied voltage.

      • KCI등재

        한국인의 우울증 진단기준의 특성

        장성만,손지훈,이준영,최지환,조성진,전홍진,함봉진,이동현,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5

        목적 국내의 여러 역학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서구에 비하여 우울증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낮은 유병률에 대하여 서구에서 정의하는 우울증의 진단 기준이 한국인의 문화에 맞지 않다는 진단 기준의 오류를 제시하거나, 실제로 유병률이 낮다는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DSM-IV에서 제시하는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대하여 한국인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1년 KECA 연구에 응답한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6,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CIDI (K-CIDI)를 통해 정신장애의 이환을 진단하였으며, K-CIDI 내의 우울장애 진단 기준만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였다. 결과 한국인에서 DSM-IV의 주요우울장애 진단 기준의 오류는 없었으나, 진단 기준의 역치는 높았다. 한국인이 호소하는 우울증상으로서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 "수면 변화"는 진단되는 우울증의 초기부터 잘 나타나는 증상 들이며, "정선운동변화", "죽음/자살사고", "무가치함/죄책감"은 보다 심한 우울증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들이었다. 결론 DSM-IV가 제시하는 주요우울장애 진단 기준은 한국인의 우울증을 평가하는 데 있어 타당하기는 하나, 진단 기준의 역치가 높다. 우울증의 중증도에 따라 호소하는 증상들이 달랐다. Baekgrounds : Many Korean epidemiologic studies reported lower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than those of Western countries. For the low prevalence, it is explained that there's something wrong in the direct application of diagnostic criteria of depression to Korean culture, i.e. categorical fallacy, or it may be truly low-prevalent. We will analyze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tined by Western. Methods : Six thousand and two hundred seventy-five cummunity dwelling subjects, aged 18-64 years were interviewed by using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were analyzed using the item response theory. Rcsults : We could not find any fallacies of diagnostic critcria tb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when assessing depre-ssion among Koreans. Fatigue, concentration difficultics, and sleep disturbance appeared more fequently in mild depression, while psychomotor change, death/suicide, and worthlessness/guilt did not appear until severe depression. Cunclusion : The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defined by DSM-IV arc appropriate for the Koreans. There are different responding levels, i.e. threshold, of depressive criteria according to severities of depression. Koreans with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complain of appetite change, but less of worthless or guilty feelings than Western people.

      • 구속된 비행 청소년들의 석방 후 6개월 이내 재범의 예측요인

        서동혁,정선주,손창호,김원식,고승희,함봉진,조성진,김영기,이중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범법행위로 인해 검참에 구속된 청소년들의 6개월 이내 재범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재범의 가능성이 높은 청소년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적절한 중재를 시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 검찰에 구속된 후 교도소나 소년원에 수감되지 않고 석박된 남자 청소년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범죄기록 검토를 통해 사회인구학적, 범죄관련 변인들에 대해 조사하였고, 가족환경 및 부모양육태도, 정신병리, 성격장애, 도덕발달수준 등과 연관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이동 갈등해결척도(CTSPC), 한국판 가정환경척도(FES), 한국형 부모양육행동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Beck 우울증척도, Beck 불안 척도, 한국판 청소년용 도덕발달수준 평가도구와 한국판 성격장애검사(PDQ-R)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대상 125명 중 55명 (44%)이 석방 후 6개월 이내에 1회 이상의 재범을 행하였다. 재범군은 비재범군에 비해 구속당시 나이가 어리고, 신체적 학대력이 높았으며, 도덕발달수준이 낮고, SCL-90-R의 적대감척도점수가 높으며 PDQ-R의 반사회적 인격장애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았다. 두 집단간 가족환경이나 부모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범군은 폭력범죄로 구속된 경우가 비재범군에 비해 적었고 첫 범죄시 연령이 어리고 전과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재범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첫 범죄당시 연령(오즈비=2.91), 반사회적 성격장애(오즈비=2.85), 신체적 학대력(오즈비=2.65)의 세 변인이 포함되었으며, 재범여부에 대한 판별력은 72.8%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결과 구속된 청소년들의 재범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과 범죄행위에 가담한 연령이 어릴수록, 반사회적 성격장애가 있고 성장과정 중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을수록 반복적인 범죄를 저지를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개입 및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predicting recidivism within 6months after release in arrested juvenile delinquents for proper screening and intervention of high-risk-subjec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25 arrested male adolescents who were released after legal procedure in prosecutor office and court. The socio-demographic and crim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police records, and the familial,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measured by the Conflict Tactics Scale(CTS), Family Environment Scale(FES), Parental Behavioral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Anxiety Inventory, Korean form of Moral Developmental Inventory for adolescents, and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PDQ-R). Results : The recidivism rate within 6 months after release was 44% of the initial sample, Recidivists were younger and had higher scores on Anger-hostility scale of SCL-90-R and lower principle morality score than nonrecidivists. More recidivists had history of physical abuse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on PDQ-R than nonrecidivists. They also showed the crime-related characteristics of lower percent of violence crime, higher incidence of previous conviction, younger age of the first crime. Among those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age of first crim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history of physical abuse best predicted the recidivism within 6months after release. Conclusion : Thes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recidivism rate of arrested male adolescents is very high, and the age of first crim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history of physical abuse were key factors predicting recidivism. To prevent repeated crime of delinquent adolescent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ose high-risk groups to help rehabilitation and adaptation in community would be essenti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질환에 의한 기능장애 : 비정신병적 정신질환이 작업상실일수에 미치는 영향

        손지훈,조맹제,이준영,최지환,이해우,전홍진,함봉진,장성만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psychotic, common mental disorders and work loss days, using data from 2001 KECA survey. Methods : Six thousands and two hundred seventy-five community dwelling subjects, aged 18 years or older, were interview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Common mental disorders during last 12 months were assessed by work loss days of past month with questions from the WHO Disablement Assessment Scale version 2 (WHODAS-II). Main analysis was done by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work loss days. Results : As expected, mental disorders were associated with substantial work loss days. Subjects with major depression had highest work loss days. Many common anxiety disorders like social phobia, specific phobi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also associated with high work loss days. Conclusion : Our results show that a number of common mental disorders might have substantial effect on job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subsequently, social productivity.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attention for public mental health efforts is warran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