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vine botulism outbreak associated with incidental consumption of presumably contaminated leftover food

        ( Jae Won Byun ),( Kyung Hyun Lee ),( Ha Young Kim ),( Soon Seek Yoon ),( Ji Youl Jung1 ),( Woo Seog Jeong1 ),( Jae Ku Oem ),( Jong Soo Lim ),( Myoung Heon Lee ),( You Chan Bae ) 한국예방수의학회(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13 예방수의학회지 Vol.37 No.1

        Nine cattle among 18 in a native Korean herd died or were euthanized within 3 days. The affected cattle showed cowshed. The pigs and dogs had been fed leftover food originating from nearby restaurants, and the cattle could presumably reach the contaminated food in the pig troughs. Necropsy revealed a few chicken bones and red pepper pieces as well as large amounts of grain and rice straw hay mixed in the rumen. Botulism type D was isolated in the ruminal contents of one of the cattle. We speculated that the outbreak was associated with the cattle incidentally eating presumably contaminated leftover food from the pig trough.

      •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의 설치 후 만족도에 관한 실태조사

        기광석,김종형,정영훈,김윤호,박성재,김상범,이왕식,이현준,조원모,백광수,김현섭,권응기,김완영,여준모,Ki, Kwang-Seok,Kim, Jong-Hyeong,Jeong, Young-Hun,Kim, Yun-Ho,Park, Sung-Jai,Kim, Sang-Bum,Lee, Wang-Shik,Lee, Hyun-June,Cho, Won-Mo,Baek, Kwang-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1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AMS에 대하여 설치 동기, 설치 후 우유생산량과우유품질, AMS 설치계기 및 설치 후 만족도, AMS 운영상 애로점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치 계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응답비율은 노동력 부족 44%, 체험목장으로 전환 25%, 소들의 고능력화에 대응 19% 순이었으며 기타 6%였다. AMS 설치농가의 사육경력은 평균 24.9년, 평균 연령은 53.2세로 나타났으며 가족노동력만으로 경영하는 목장이 조사농가의 38%, 고용+자가노동력 형태의 목장이 63%로 나타났다. 목장의 산유능력은 두당 평균 유량은 1일 $30.9{\ell}$, 평균 유지율 3.9%, 세균수는 9.1천개/$m{\ell}$ 수준이었다. 후계자 육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8%였으며, 보통 18%, 아니다와 매우 아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8%로 나타났다. 시스템 운영현황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AMS의 프로그램 주운영자에 대한 질문에 본인 44%, 부인 6%, 자녀 또는 후계자사람이 44%, 기타 6%나 되었다. AMS 운영상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한 조사결과, 기기 작동 및 복잡한 프로그램 운영이 각각 31%로 가장 많았다. 그 외 기계 에러 및 고장에 대한 애로사항이 25%이였다. 도태원인에 대하여 유방염 28%, 번식장애 20%, 발굽질환 19%, AMS에 부적합한 유두 배열 12%, 분만 후 대사성질병 7%, 노산 등 기타 14%였다. 시스템 설치 후 유지보수 계약 체결유무 및 비용에 대하여 유지보수 계약 56%, 유지 보수 계약 미체결 44%이었다. 유지보수 계약 평균 계약비용은 연간 658만원 정도였다. 시스템 설치 후 항목별 만족도에 대하여 5점 만점에 3.9점이었으며, 노동력 절감 3.7점, 업체의 A/S 3.6점, 산유량 증가 3.2점, 원유의 체세포 수 저감 2.8점이었다. 시스템 설치 시 고려사항 및 건의사항에 대하여 고가의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젖소의 유방과 유두 배열이 적합하도록 젖소를 선발하는 것,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 적합한 환경, 재정적 능력과 부지 확보, 지속적인 관찰 등이 권장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 업체에 대해서는 컨설팅이 체계화될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보다 저렴한 설치와 서비스의 체계화를 요구하는 결과를 보였다.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automatic milking system (AMS) in relation to purchase motive, milk yield and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difficulties of operation and customer suggestions, etc. Purchase motives of AMS were insufficient labor (44%), planning of dairy experience farm (25%), better performance of high yield cows (19%) and others (6%), respectively. Average cow performance after using AMS was 30.9l/d for milk yield, 3.9% for milk fat, 9,100/ml for bacterial counts. Sixty-eight percentage of respondents were very positive in response to AMS use for their successors but 18% were negative. The AMS operators were owner (44%), successor (44%), wife (6%) and company worker (6%), respectively. The most difficulty (31%) in using AMS was operating the system and complicated program manual. The rate of response to system error and breakdown was 25%. The reasons for culling cow after using AMS were mastitis (28%), reproduction failure (19%), incorrect teat placement (12%), metabolic disease (7%) and others (14%), respectively. Fifty-six percentages of the respondents made AMS maintenance contract and 44% did not. Average annual cost of the maintenance contract was 6,580,000 won. Average score for AMS satisfaction measurement (1 to 5 range) was 3.2 with decrease of labor cost 3.7, company A/S 3.6, increase of milk yield 3.2 and decrease of somatic cell count 2.8, respectively. Suggestions for the higher efficiency in using AMS were selecting cows with correct udder shape and teat placement, proper environment, capital and land, and attitude for continuous observation. Systematic consulting was highly required for AMS companies followed by low cost for AMS setup and systematization of A/S.

      • SCIESCOPUSKCI등재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2022: Comparisons with Other Treatment Guidelines

        Jong-Hyun Jeong(Jong-Hyun Jeong),Won-Myong Bahk(Won-Myong Bahk),Young Sup Woo(Young Sup Woo),Bo-Hyun Yoon(Bo-Hyun Yoon),Jung Goo Lee(Jung Goo Lee),Won Kim(Won Kim),InKi Sohn(InKi Sohn),Sung-Yong Park( 대한정신약물학회 2023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commendations of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2022 (KMAP-BP 2022) with other recently published guidelines for treating bipolar disorder. We reviewed a total of six recently published global treatment guidelines and compared treatment recommendation of the KMAP-BP 2022 with those of other guidelines. For initial treatment of man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reatment guidelines. All guidelines recommended mood stabilizer (MS) or atypical antipsychotic (AAP) monotherapy or a combination of an MS with an AAP as a first-line treatment strategy in a same degree for mania. However, the KMAP-BP 2022 recommended MS + AAP combination therapy for psychotic mania, mixed mania and psychotic depression as treatment of choice. Aripiprazole, quetiapine and olanzapine were the first-line AAPs for nearly all phases of bipolar disorder across guidelines. Some guideline suggested olanzapine is a second-line options during maintenance treatment, related to concern about long-term tolerability. Most guidelines advocated newer AAPs (asenapine, cariprazine, long-acting injectable risperidone, and aripiprazole once monthly)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s for all phases while lamotrigine was recommended for depressive and maintenance phases. Lithium and valproic acid were commonly used as MSs in all phases of bipolar disorder. KMAP-BP 2022 guidelines were similar to other guidelines, reflecting current changes in prescription patterns for bipolar disorder based on accumulated research data. Strong preference for combination therapy was characteristic of KMAP-BP 2022, predominantly in the treatment of psychotic mania, mixed mania and psychotic depression.

      • KCI등재

        단전호흡운동이 양주시 보건소 이용주민의 체력, 혈액지질,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현경선 ( Kyung Sun Hyun ),원정숙 ( Jeong Sook Won ),원경애 ( Kyung Ai Wo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건강증진 생활방식 중에서 운동은 식이조절,금연,질주,체중조절,스트레스관리를 촉진하는 역할(Yoo, 1999)을 할 뿐만 아니라 운동으로 체력을 강화시키면 질병이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Kim, 1994; Jin & Kim, 2000). 체력은 신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소에는 심폐지 구력,근지구력,근력,유연성,평형성이 포함된다 (Kim, 1994; Jin & Kim, 2000). 또한 운동은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H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켜 서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운동을 개발하여 국민건강증진에 기 여할 필요가 있다. 건강증진 행위는 그 사람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떠나서 수행할 수 없으므로 환경적,문화적,사회적 조건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Pender, 1996). 그러므로 자연치유능력을 강화하고,면역성을 보강함으로서 만성질환을 예방하고,건강증진을 도모 하는 한방적 건강관리방안이 우리나라의 문화와 체질 에 적합한 건강증진법이 될 수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기(氣)의 순환이 좋으면 건강하다는 이론이 있으며 단전호흡은 몸안에 기(氣)를 모으고(蓄氣), 그 기(氣)를 신체 모든 부위에 순환이 되도록(運氣)하는 양생법으로 (Lim, 1998) 하단전(下丹田)에 정 신을 집중하여 깊고 천천히 하는 호흡이다. 단전호흡의 기본요소에는 자세와 동작을 바르게 하는 몸가짐(調身), 호흡을 조절하는 숨가짐(調息), 마음을 가다듬 는 마음가짐(調心)이 포함된다. 사전 준비 없이 바로 단전호흡에 들어가게 되면 주화(走火)나 입마(入魔) 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므로 단전호흡에 들어가기 전 20, 40분 동안 도인(導뤼) 체조를 하여 심신을 이완하고’ 관절의 강직을 교정하여 기(氣) 혈(血) 순환을 증진시키고 나서 단전호흡을 20· 40분 하게 된다. 단전호흡을 하고 나서는 단전에 오인 기(氣)를 온몸으로 보내기 위한 도인 (導引) 체조를 하고’ 마지막에 이완된 상태에서 일상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각성시키는 체조를 한다〈Lee, 1999). 그러므로 단전호흡의 효과는 단전호흡 자체뿐만 아니라 단전호흡 전 · 후에 시행되는 체조의 효과도 같이 얻을 수 있게 된다. 단전호흡 전· 후에 하는 도인체조는 부드럽고 느린 동작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신체에 주는 충 격이 적으므로 국민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어느 연령층에도 적극 권장할 수 있는 운동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l2주 단전호흡운동으로 배근력 과 유연성 및 평형성이 실험전보다 향상되어 단전호흡운동은 체력향상의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이 l2주 단전호흡운동으로 대조 군보다 배근력 유연성, 평형성이 향상된 (Hyun, 20이; Hyun, Kang, & Kim, 2003) 결과와 걷기운동군 보다 (Hyun, 2004- b) 배근력과 유연성이 향상된 결과와 일 치하였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l2주 단전호흡운동을 실시한 결과 유연성과 평형성이 대조군보다 향상된 (Hyun, won, Kim, Han, & Lee, 2006) 결과와도 일치 하였다. 따라서 l2주 단전호흡운동은 연구대상을 달 리 하여도 배근력과 유연성 및 평형성이 향상되는 결 과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를 간호중재로 활 용할 필요가 있다. 배근력을 강화하여 요통을 예방하는 간호를 모색하고자 할 경우와 유연성과 평형성의 향상을 도모하여 노인의 낙장예방 프로그램으로 활용 할 때도 l2주 이상을 적용하여 검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근지구력은 12주 단전호흡운동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l2주 단전호흡운동을 적용했을 때에는 실험전보다 증가하였고 (Hyun, 2004-a),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Hyun Kang,& Kim, 2003) , 근지구력의 증가는 단전호흡운동 6주 후부터 나타났다〈Hyim, 2004- a). 이러한 결과 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중년층 보다는 나이가 많은 노인층이 45 ``5% 포함되어 있어서 l2주 단전호흡운동 적용으로는 근지구력의 향상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l2주 단전호흡운동에 참여한 후 총- 콜레스테롤,중성지방,LDL- 콜레스테롤이 낮아 져 단전호흡운동은 혈중 지질농도를 낮출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에게 l2주 단전 호흡운동 적용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과(Hyun, 20이, Hyun, 2003- a), LDL- 콜레스테롤이 대조군 보다 (Hyun, 2003- a) 낮아진 결과와 일치하였다. 중년여성이 12주 단전호흡운동을 한 경우에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 보다 감소되었으나 걷기운동보다는 감소되지는 않았다〈Hyun, 2004-c). 따라서 총- 콜레스테롤은 단전호흡 운동이나 걷기운동 모두에서 감소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l2주 단전호흡운동으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및 LDL- 콜레스테롤이 낮아졌으므로 심맥관 계절환의 예방적 간호중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12주 단전호흡운동으로 HDL- 콜레스테롤은 높아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l2주 단전호흡운동을 한 경우에도 대조군 보다 높아지지 않았고 (Hyun, 2003- a), l2주 단전호흡운동이 나건2주 걷기운동군도 대조군 보다 높아지지 않았음을 보고한 (Hyun, 2004- c) 결과와 일치된다. Kim (l977) 는 폐경으로 에스트로젠이 부족하면 유산소운동을 하 더라도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기 어렵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자가 81. 8% 이고, 60세 이상이 45. 5% , 50세 이상이 59. 1% 로 연령이 많은 여성의 비 율이 높아서 폐경과 관련되어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단전호흡운동이 HDL-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효과를 검 정하기 위해서는 폐경 이전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 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l2주 단전호흡운동은 실험전보다 신체 증상점수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l2주 단전호흡운동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대조군 보다 신체증상점수가 감소하였고 (Hyun, Kang, & Kim, 2003), 걷기운동보다도 감소 하였다〈Hyun, 2004- c). 그리고 3개월 이상 단전호흡수련자는 비수련자 보다 신체증상점수가 적었으며,단전호흡수련기간이 길수록 신체증상점수가 감소하였다 (Hyun, Kang, & Ahn, 2000). 또한 단전호흡운동 프로 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에서도 단전호흡의 효과가 기력증강,통증완화 유연 성 향상,성생활 향상,수면증진,소화능력 향상,순환 증진,변비완화,월경상태 향상,호흡기능 향상,요실 금 완화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 하였다(Hyun & Kang, 2002). 이와 같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는 신체증상이 감소되는 효과들이 검정되었으나 연구대상을 달리한 본 연구에서는 신체증상점수가 감소되지 않아 연구대상자를 달리하여 반복연구를 할 필요가 있고,실험처치기간을 12주보다 길게 하여 연 구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levels of serum lipid and physical symptom of people using public health center at Yangju city. Metho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been done from July 6 to September 28, 2005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persons. Danjeon breathing exercise was carried out for 6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12 weeks.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using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developed by the Korea Physical Science Institution. Serum lipid level was measured in public health center at Yangju city. Questions of physical symptom (35 items) were chosen from Cornell Medical Index.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PC program and analyzed by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 1. The scores of back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of post-test were more increased after Danjeon breathing exercise than those of pre-test. But the score of muscular endurance of post-test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2. The degree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post-test were more decreased after Danjeori breathing exercise than those of pre-test. But the degree of HDL-cholesterol of post-test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atistics. 3, The score of physical symptoms of post-tes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atistics after Danjeon breathing exercise than that of pre-test.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Program could increase the physical fitness and decrease levels of serum lipid. So Danjeon breathing exercise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physical fittness and to decrease level of serun lipid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Yonnyuniksoogobon-dan

        Jeong, Chun-Geun,Park, Min-Hee,Seong, Ju-Won,Lee, Hyun-Sam,Park, Seong-Kyu,Kim, Sun-Yeou,Kim, Yoon-Bum,Jung, Hyuk-Sang,Sohn, Nak-Won,Sohn, Young-Joo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2008 대한한의학회지 Vol.29 No.5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s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Yonnyuniksoogobon-dan on shaved C57BL6 mice. Methods : Yonnyuniksoogobon-dan was administered orally (Group I) and both orally and by skin application (Group II) once a day for 12 day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to Control, which was orally administered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Hair regrowth was phot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determin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levels of hair growth cycle related factors (EGF, TGF-${\beta}$1) and vascular factors (VEGF, iNOS) were also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On gross observation of hair growth, both Group I and Group II shaved C57BL6 mice showed accelerated hair regrowth. Results : The hair regrowth index of Group I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 days (P<0.05) to 12 days (P<0.01) after shaving and that of Group II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2 days (P<0.05). On histological observation, both Group I and Group II demonstrated histological improvement and increases in the number and diameter of the hair follicles. EGF expression on the root sheath of hair follicles was up-regulated in both Group I and II. TGF-${\beta}$1 expression on the root sheath of hair follicles was unchanged in both Group I and II. VEGF expression in the tissues surrounding hair follicles was up-regulated in both groups. iNOS expression in the tissues surrounding hair follicles was down-regulated in both group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nnyuniksoogobon-dan promotes hair growth and this effect is related to up-regulation of EGF and VEFG expression and down-regulation of TGF-${\beta}$1 and iNOS expression on hair roots.

      • Blu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diphenylamino dibenzo[<i>g</i>,<i>p</i>]chrysene derivatives

        Jeong, Sujin,Kim, Se Hyun,Kim, Dong Young,Kim, Changmin,Lee, Ho Won,Lee, Song Eun,Kim, Young Kwan,Yoon, Seung Soo Elsevier 2017 THIN SOLID FILMS - Vol.636 No.-

        <P><B>Abstract</B></P> <P>Three blue materials based on diphenylamino dibenzo[<I>g</I>,<I>p</I>]chrysene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I>via</I> Buchwald-Hartwig amination. To characterize their electroluminescent properties, multilayer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were fabricated with the following device structure: indium tin oxide (ITO) (180nm)/4,4′,4″-tris[2-naphthyl(phenyl)amino]triphenylamine (2-TNATA) (40nm)/<I>N</I>,<I>N</I>′-diphenyl-<I>N</I>,<I>N</I>′-(1-napthyl)-(1,1′-phenyl)-4,4′-diamine (NPB) (10nm)/2-methyl-9,10-di(naphthalen-3-yl)anthracene (mADN): 3 or 7% blue dopants (20nm)/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Alq<SUB>3</SUB>) (30nm)/lithium quinolate (Liq) (2nm)/Al (100nm). All the devices showed blue emission with high electroluminescent efficiencies. Particularly, a device using 2-methyl-9,10-di(naphthalen-3-yl)anthracene as the host material and 3,6-di[4′-(1-di(<I>tert</I>-butyl))phenyl]-11,14-bis(diphenylamino) dibenzo[<I>g</I>,<I>p</I>]chrysene (<B>2</B>) as the dopant material at 3% doping exhibited highly efficient blue emission with an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4.72% at 20mA/cm<SUP>2</SUP>.</P> <P><B>Highlights</B></P> <P> <UL> <LI> We synthesized blue materials based on dibenzochrysenes. </LI> <LI> Dibenzochrysenes showed the highly efficient blue electroluminescent performances. </LI> <LI> Dibenzochrysenes have great potential for blue emitters in OLEDs. </LI> </UL> </P>

      • Characterization of Inhibitory and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s of Medial Vestibular Nucleus Neurons in Rats

        Hyun, Chul-Ho,Choi, Jeong-Hee,Song, Won-Jeong,Chun, Sang-Woo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圓光齒醫學 Vol.12 No.2

        자세유지와 전정보상작용에 관여하는 내측전정핵 부위를 생후 13 - 17일 경의 흰쥐에서 뇌절편을 만든 후 patch clamp 방법을 이용하여 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 후 전류를 기록하였다. 자발적 억제성 시냅스 후 전류는 유지전압 -60 mV에서 글루탐산염 수용체 차단제인 DNQX (20 μM)와 AP5 (50 μM)가 포함된 용액에서 내향성으로 기록되었다. GABA_A 차단제인 bicuculline (20 μM)에 의해 거의 완전히 차단되었고, glycine 수용체 차단제인 strychnine (1 μ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억제성 시냅스 후 전류의 빈도, 크기, 전류 감소의 시정수는 각각 4.3 ± 0.9 Hz, 18.1 ± 2.0 pA, 8.9 ± 0.4 ms 이었다. Bicuculline (20 μM)이 포함된 세포의 용액에서 non-NMDA 와 NMDA 수용체를 통한 흥분성 스냅스 후 전류가 기록되었다. non-NMDA 수용체를 통한 전류는 AMPA 수용체 차단제인 GYKI - 52466 (50 μM)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었으며, 빈도, 크기, 전류감소의 시정수는 각각 1.5 ± 0.4 Hz, 13.9 ± 1.9 pA, 2.8 ± 0.2 ms 이었다. 대부분의 (15/21) AMPA 수용체를 통한 전류는 직선형 혹은 약간의 외향성 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내어 내측전정핵 세포의 AMPA 수용체는 GluR2 소단위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내측전정핵 세포는 GABA_A 수용체를 통한 억제성 시냅스, AMPA 수용체와 NMDA 수용체를 통한 흥분성 스냅스 연결을 받고 있으며, 안정상태에서는 억제성 시냅스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