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한치과교정학회지(KJO)와 미국교정학회지(AJODO)에서 사용된 통계기법의 비교분석 및 고찰 : 1999-2003

        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는 1999-2003년 사이에 출판된 대한치과교정학회지(KJO)의 논문 247편과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의 논문 250편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계기법들을 연도별로 조사, 비교하였다. 각각의 저널에서 어떠한 통계기법들이 자주 사용되었는지, 최근들어 통계기법의 변화가 있었는지, 자주 쓰이는 통계기법들에 대한 주의할 점을 고려했는지, 어떠한 고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KJO는 이 기간 동안의 모든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AJODO는 각 해마다 50편의 논문을 original article이면서 통계기법을 사용한 논문들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빈번히 사용된 통계기법은 KJO의 논문에서는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비모수분석 회귀분석, χ²-검정, 요인 분석의 순이었고 AJODO의 논문에서는 t-검정, 분산분석, 비모수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χ²-검정 요인분석의 순이었다. 5년 동안의 통계기법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KJO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χ² = 17.38, p = 0.6881) AJODO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χ² = 42.41, p = 0.0397). 각 통계분석에 해당하는 가정의 점검을 간과한 경우가 있었으며 통계분석 전에 이상치 등의 자료의 탐색이 필요하며 소표본일 경우 좀 더 다른 통계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고급통계기법으로는 KJO에서는 인자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부정교합자에게 적용이 가능한 골격유형의 감별기준을 도출하였고 AJODO에서는 다기관센터를 통한 임상시험에서 ITT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생존분석 및 GEE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한 통계기법만으로는 정확한 자료의 분석이 행해졌다고 보기는 어렵고 자료와 가설에 맞는 단변수 분석후의 다변량 통계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결론을 유추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학 분야의 자료의 특성중 하나는 서로 상관관계가 높으며 반복 측정치를 가지는 것인데 올바른 통계기법을 도입하여 그 결과에 대한 바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types of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KJO) and th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 from 1999 to 2003. The frequency of use, transitions, assumption check of statistical methods and types of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were examined from each journal. The study consisted of 247 articles published in the KJO and randomly chosen 50 articles per year which were original articles and used statistical method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nonparametric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were the order of statistical method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KJO, while t-test, ANOVA, nonparametr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were the order of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AJODO. The changes of statistical methods observed in the KJO were not significant (χ²=17.4, p=0.6881), but the changes observed in the AJODO was seen to be significant (χ²=42.4, p=0.0397). Some of the studies examined had overlooked the assumptions of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Data investigation such as outlier should be performed before analysis and alternative statistical approaches are applied for a small sample size. Types of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in the KJO and Intention-To-Treat (ITT) analysis in clinical trials through multi-center, survival analysis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in the AJODO. Appropriate analysis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should be applied for the correlated and repeated measurements of the orthodontic data set.

      • 과학 문제해결 과정을 활용한 초등 과학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최회정,임채성,김은진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科學敎育硏究 Vol.28 No.-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using processes of solving problems in science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instruction, then their effect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the study, the students' response formats were shown to be a useful method to understand collectively the processes and products of learning, and the students' appreciation toward it was also found to be positive. Second, in science instruction which proceeded through each step of science problem solving the science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comparison one. Among the categories of science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 and the unit or topic studie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hich is interpreted as results of making harmony of preexisting students' interests with difficulty levels of tasks. Third, for overall several science process skills,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However, the subskills of inferring, data interpretation, and drawing conclusion were found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which might be due to the frequency and depth of use of these skills in real instruction. Fourth, for aspect of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knowledge and applying of i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hat is, it was interpret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task across the whole range of performance of problem solving, that the abilities to applying science knowledge to the given proble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안면비대칭 3차원 CT 분석

        윤숙자,임회정,강병철,황현식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7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6 No.1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ange of normal facial asymmetry using three-dimensional CT and to develop a simple method of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eight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16 males and 12 females; mean age 24 years and I month) were selected, whose faces were assessed to be symmetric by an orthodontist.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s were obtained utilizing spiral CT scans and a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 evaluated nineteen anatomic landmarks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Facial asymmetry index of each landmark was caluculated. Results : The range of normal facial asymmetry of each landmark was identifi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facial asymmetry index. Conclusions : The range of normal facial asymmetry identified in this study may be used as a diagnostic standard for facial asymmetry analysi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7; 37: 45-51)

      • KCI등재

        2차원 방사선 규격사진에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보정분석에 관한 3차원 CT 영상 연구

        황현식,김형민,이기헌,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5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를 정확히 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차원 방사선사진에서 정면 상행지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경사도를 이용하여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보정하는 방법이 비대칭 판정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부 편위가 있는 안면비대칭자 40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고 좌우 각각의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측정하는 한편 정모 및 측모 방사선사진에서 계측된 정면 상행지 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한 후, 실제 3차원 영상에서의 비대칭 판정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측정결과,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는 이부편위측에 비하여 반대측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보정 후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보정 전 그리고 보정 후 각각에서 상행지 고경의 좌우비대칭 여부를 판정한 후, 3차원 영상에서의 판정을 기준으로 하여 보정에 따른 sensitivity, specificity 그리고 accuracy 변화를 살펴본 결과, specificity는 44%에서 22%로 감소하였으나 sensitivity는 74%에서 94%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accuracy가 보정 전 68%에서 보정 후 7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할 경우, 이는 보다 정확한 비대칭 판정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Objective: Defining right and left side differences in mandibular ramus height is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rrection of ramus height with frontal and lateral ramal inclinations (FRI and LRI) in 2-dimensional cephalograms and observe how this affec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asymmetry. Methods: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in 40 individuals with chin deviation. FRI and LRI were measured on each side and ramus height measurement was corrected with these inclinations using Pythagorean's theorem. The results of diagnosis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n cephalogram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in 3D CT images. Results: Both FRI and LRI showed greater values in the contralateral side than in the chin-deviated side and these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right and left side ramus height differences. After comparison of diagnostic results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n cephalograms with the results on 3D CT images, the sensi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4 to 94 %) whereas the specificity decreased (from 44 to 22 %). Overall accuracy increased from 68 to 78% with the correction using FRI and LRI.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rrection of ramus height with FRI and LRI is useful for an accurat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on frontal cephalograms.

      • KCI등재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황현식,,은춘선,황정현,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4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 mm 크게는 11.31 mm까지. 평균 9.10 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 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Enlargement is an inherent property of X-rays which occurs when straight lines diverge from small a focal spo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ldity of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from each other. In 40 adult individuals,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t a 90℃ angle using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angle width was measured on the frontal cephalogram and subsequently, the corrected angle width was calculated using the magnification rate of two cephalograms. Measured and corrected angle width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from the 3D CT image. The measurement on the frontal cephalogram showed a 9.10 mm of enlargement on average, ranging from 7.92 to 11.31 mm. Corrected angle width measurement showed a 0.14 mm difference with the 3D CT image measurement,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tual angle width can be approached through calculation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with the help of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correction err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and it suggests that the present correction method is valid even in individuals with severe facial asymmetry.

      • KCI등재

        안면비대칭자의 하악골 악교정수술 후 정면 연조직 변화 예측을 위한 연구

        황현식,Lee, Jessica J.,황정현,최학희,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 시 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정면에서 평가함으로써 정면 얼굴 이미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이 동반된 하악골 수술 예정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정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얼굴사진(photo)을 술전 및 술후에 각각 같은 각도로 촬영한 후, 술전 및 술후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얼굴사진을 이용하여 연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한 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조직 변화와 경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1:1 mean ratio 산출을 위하여 서로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경조직 계측점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선택한 결과 직하방에 있는 경조직보다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경조직 계측점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경조직 변화를 이용하여 연조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산출한 결과 연조직 수평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직변화도 사용되고 연조직 수직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평변화도 사용되었으며, 수평과 수직변화 모두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방정식은 연조직 menton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하부 경조직 계측점과 상부 연조직 계측점의 비율을 이용하는 1:1 mean ratio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조직 변화 예측은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이미지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To aid the development of a frontal image simulating program, we evaluated the soft tissue frontal changes in relationship to movement of hard tissue with orthognathic surgery of facial asymmetry patients. Method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rontal cephalograms and frontal view photographs of 45 mandibular surgery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were obtained in a standardized manner.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of hard tissue and soft tissue were measured from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 in result to hard tissue change was then analyzed. Result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Hard tissue points that were picked for 1:1 mean ratio with soft tissue poi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evance. For each soft tissue change, regressive equation was formul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quation for soft tissue Menton was most reliable in predicting change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hard tissue changes were used together in prediction of vertical or horizontal soft tissue change.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uterized image simula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may be of help for prediction of soft tissue change, while 1:1 mean ratio method is not useful.

      • KCI등재
      • KCI등재

        치의학 분야에서 SPSS를 이용한 일반화 추정방정식의 단계별 안내

        임회정(Hoi-Jeong Lim),박수현(Su-Hyeon Park) 대한치과의사협회 2016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4 No.11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approach is a widely used statistical method for analyzing longitudinal data and clustered data in clinical studies. In dentistry, due to multiple outcomes obtained from one patient, the outcomes produced from an individual patient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is study focused on the basic ideas of GEE and introduced the types of covariance matrix and working correlation matrix. The quasi-likelihood information criterion (QIC) and quasi-likelihood information criterion approximation (QICu) were used to select the best working correlation matrix and the best fitting model for the correlated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detailed process for the GEE analysis using SPSS software along with an orthodontic miniscrew example, and to help understand how to use GEE analysis in dental research.

      • KCI등재

        치주 영역에서 오렌지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단계별 안내

        임회정 ( Hoi-jeong L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1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5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a procedure for a random forest (RF) analysis which predicts periodontal disease status by using R and Orange Data Mining software, and helps us to understand how to apply the RF technique for dental research. Methods: Oral examination data of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 RF model was adopted to analyze the data where the target variable was periodontal disease status and the features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lcohol consumption level, smoking status, brushing before sleep, hypertension, and diabetes-related variables. Results: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RF analysis were in the order of age, marital status, and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The accuracy of the RF analysis was 73% which is not high enough for use in the clinical field. Conclusions: The RF technique is an ensemble method used to predict periodontal disease status which produces higher accurate outputs than a single method. This study provides a step-by-step guide using Orange Data Mining for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