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 개방형 조정방식(OMC)의 활용: 연금(Pensions) 분야를 중심으로

        김형민 한독사회과학회 200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9 No.4

        유럽통합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연합의 회원국 정부들이 실험하는 개방형 조정방식으로 불리는 OMC(Open Method of Coordination: OMC)가 2000년 리스본의 유럽이사회에서 결의된 리스본전략(Lisbon Strategy)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OMC는 유럽 공동의 정치적·사회적 도전에 대응하는 국가정책 수립에서 회원국 간 상호학습의 장려라는 궁극적 목적을 가진, 유럽연합 회원국 상호 간 목표설정과 정책조정의 한 형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유럽통합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연합의 회원국 정부 간에 실험되고 있는 유럽연합 개방형 조정방식의 적용을 연금정책(pensions policy)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유럽에서의 연금개혁에 대한 관심과 연금 OMC의 도입의 과정, 연금 OMC의 도입배경, 연금 OMC의 전개, 연금 OMC의 평가, 연금 OMC와 다른 분야의 OMC와의 비교, 연금 OMC의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연금개혁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과 이러한 과정에서 각 회원국 내부의 다양한 집단 간의 조율과 회원국 간 정책조율의 노력이 한국의 연금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OMC는 회원국 간의 정책조정과 아울러 회원국 안의 지방정부, 노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을 포함하는 숙의 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참여자들의 정책결정에의 참여와 개방적이고 공개적인 정책형성과 공동목표의 달성을 위한 협력은 우리의 연금개혁에 대한 유럽연합 OMC가 주는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週)’ 탄생의 사회문화사적 추적

        김형민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birth of the seven-day week system in dept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cultural history. For one reason or another, the human race needed periodic time units that were longer than a day, but shorter than a month. In other words, mankind felt the sociocultural necessity or justification to tie the time cycle repeated every several days into one time scale. Regardless of the reasons why the sociocultural necessity or justification for the ‘week’ comes from, humankind has constantly uses the artificial time cluster called ‘week’ form thousands of years ago to today. The temporal cycle of week has a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 from time cycle following the cyclic processes of nature such as day, month and year. The length of the week was arbitrarily and artificially determined by certain cultural communities based on sociocultural customs. So, the number of days which a particular cultural community ties into a week shows the sociocultural identity or originality of that cultural community. Today most cultural communities adopt the week system with seven-day cycle. In reality, the seven-day week is one of the oldest inventions of humans, with a long history of about 3,000 years. The week system with seven-day cycle is also one of the oldest sociocultural institutions made by humans, and no sociocultural institution has been accepted with absolute support by cultural communities in the world more than the seven-day week. This paper aims to clarify under what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seven-day week system adopted by the most cultural communities on the earth was born. 본 연구의 목적은 7일 1주 시스템의 탄생을 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추적하는 데에 있다. 인류는 이런저런 이유로 하루보다는 더 길지만, 한 달보다는 더 짧은 주기적 시간 단위가 필요했다. 다시 말해, 인류는 며칠을 주기로 반복되는 시간적 순환을 하나의 시간 척도로 묶어야 할 사회문화적 필요성 또는 당위성을 느꼈다. ‘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필요성 또는 당위성이 어떤 이유에서 비롯되었든 간에, 인류는 ‘주’란 인위적 시간 다발을 수천 년 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사용해 왔다. 주란 시간적 주기는 일, 월, 년 등과 같은 자연의 순환적 시간 주기와는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갖는다. 주의 길이는 문화구성원들이 사회문화적 관습에 근거하여 자의적 그리고 인위적으로 정했다. 그래서 특정 문화권이 며칠을 한 주로 묶느냐는 해당 문화권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또는 독자성을 보여준다. 그런데 오늘날 대부분의 문화공동체는 7일을 주기로 한 1주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실제로 7일 1주는 약 3,000년의 긴 역사를 가진 인간의 가장 오래된 고안품들 가운데 하나이다. 7일 1주는 인간이 만든 가장 오래된 사회문화적 제도들 가운데 하나이며, 그 어떤 사회문화적 제도도 7일 1주보다 더 많은 문화공동체의 절대적 호응을 받으며 수용된 제도는 없다. 본 연구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문화공동체가 채택하고 있는 7일 1주 시스템이 어떤 사회문화사적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원발성 악성 척추 종양에서 수술적 절제 방법과 절제연의 임상적 의의: 다기관 후향적 연구

        김형민,장삼열,박세준,장봉순,이종서,이춘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bjectives: To analyze oncolog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resection type and surgical margin following surgical treatment for primary spinal sarc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using registry databases have shown that surgery and negative margin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for primary spinal sarcoma.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esection type and surgical margin for the oncological outcomes of this rare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r primary spinal sarcoma between 1997 and 2016 at two tertiary medical centers. Overall survival and the occurrence of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using Kaplan-Meier curve analysis and the log-rank test. Results: Thirty-three patients (21 males,12 females) with a mean age of 45.1 years and a median follow-up of 36 months were included. There were 13 (39.4%) chondrosarcomas, 12 (36.4%) osteosarcomas, and eight different histological diagnoses. The cohort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total en bloc resection with a negative margin (n=12; 36.4%), 2) total en bloc resection with a positive margin: (n=5; 15.2%), 3) total piecemeal resection (n=12; 36.4%), and 4) subtotal resection (n=4; 12.1%). Total en bloc resection with a negative margin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overall survival (p=0.030) and less distant metastasis (p=0.025) and local recurrence (p=0.004). Conclusions: Achieving a negative margin through total en bloc resection, although technically demanding, improves oncological outcomes in primary spinal sarcoma. Key words: Primary spinal sarcoma, En bloc resection, Survival, Recurrence, Metastasis 연구 계획: 후향적 다기관 연구목적: 본 연구진은 원발성 악성 척추 종양 환자에서 절제 방법 및 수술 절제연이 생존 기간,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등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원발성 악성 척추 종양에서 수술적 치료와 음성 절제연은 생존 기간의 연장 등 보다 좋은 임상 결과와 연관이 되어 있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절제 방법 및 수술 절제연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이제까지 많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 2016년까지 두 개의 기관에서 원발성 척추 종양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절제 방법(일괄 및분할)과 수술 절제연(양성 및 음성)이 생존 기간,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 분석(Kaplan-Meier curve analysis and log rank test)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33명(남자 21명, 여자 12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45.1세, 추시 기간의 중간값은 36개월이었다. 13(39.4%)예의 연골육종, 12(36.4%)예의 골육종이 가장 많은 조직학적 진단을 차지하였다. 전체 환자를 절제 방법 및 절제연을 기준으로 네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그 분포는다음과 같았다. 1) 완전 일괄 절제 (total en bloc resection) 및 음성 절제연: n=12(36.4%), 2) 완전 일괄 절제 및 양성 절제연: n=5(15.2%), 3) 완전 분할 절제 (total piecemeal resection): n=12(36.4%), and 4) 불완전 절제(subtotal resection): n=4(12.1%).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완전 일괄 절제 및 음성 절제연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유의하게 긴 생존 기간(p=0.030), 적은 원격 전이 (p=0.025) 및 국소 재발 (p=0.004)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결론: 원발성 악성 척추 종양에서 보다 좋은 종양학적 결과(oncological outcome)를 얻기 위해서는 완전 일괄 절제술을 통해 음성 절제연을 얻고자 하는노력이 필요하겠다. 약칭 제목: 원발성 척추암의 수술적 치료

      • KCI등재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김형민,조창현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4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27 No.2

        본 논문은 2014년 3월 <한국컴퓨터게임논문지>(제27권, 제1호)에 실린 "디지털 영상매체와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의 후속 연구이다.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디지털 영상매체 중의 하나인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상대성을 이해시키고 다문화 (또는 상호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에 상업영화를 적용시키는 것은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상호문화교육의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문자텍스트에 주로 의존했던 전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유학생 등과 같은 이질적인 문화구성원들의 유입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다문화사회로 진입단계에 한국사회를 보다 조화로운 사회로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런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배우려는 인간의 본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 KCI등재

        독일어 동사 tun의 다기능성

        김형민,반정석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2 No.-

        Im vorliegenden Aufsatz wird versucht, in der modernen deutschen (Standard-)Sprache die Polyfunktionalität des deutschen Verbs tun ausführlich zu erörtern. Das Verb tun wird im modernen (Standard-)Deutschen als lexikalisches Vollverb, Reflexivverb, Pro-Verb, Funktionsverb und Hilfsverb verwendet. Das lexikalische Vollverb tun verfügt über ein breites Bedeutungsspektrum, so dass es sich als verschiedene Bedeutungsvarietäten verwenden lässt. Tun als reflexives Verb erfüllt zusammen mit dem akkusativischen Reflexivpronomen die semantische Funktion ‘Auftreten (einer unbestimmten Aktivität)’. Als Pro-Verb ersetzt tun zusammen mit dem neutralen Personalpronomen es oder dem neutralen Demonstrativpronomen das/dies oder dem Relativpronomen was das Verb bzw. Verbalphrase des vorhergehenden Satzes. Das Funktionsverb tun bildet zusammen mit einer bestimmten Nominalphrase im Akkusativ ein Funktionsverbgefüge. Tun als Hilfsverb verliert einen Großteil der lexikalischen Bedeutung des entsprechenden Vollverbs und erfordert als seine syntaktische Ergänzung ein infinites Vollverb in der Form des reinen Infinitivs. Die tun-analytische Konstruktion, in der das Hilfsverb tun vorkommt, wird vor allem im Verbzweitsatz von alltäglichen Texten mit starker Mündlichkeit in drei Typen klassifiziert: 1. [VVINF]VF + [tunInd. FIN]LSK + [...], 2. [...]VF + [tunInd. FIN]LSK + [...] + [VVINF]RSK, 3. [...]VF + [tunKonj.II. FIN]LSK + [...] + [VVINF]RSK. 이 논문은 현대 (표준)독일어에서 동사 tun이 수행하는 언어 사용의 다기능성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동사 tun은 현대 (표준)독일어에서 어휘적 완전동사, 재귀동사, 대동사, 기능동사, 조동사로 사용된다. 어휘적 완전동사로서의 tun은 넓은 의미 스펙트럼을 갖고 있어 다양한 의미 변이형으로 사용된다. 재귀동사로서의 tun은 4격 재귀대명사와 함께 ‘(불특정한 활동의) 발생’이란 의미 기능을 수행한다. 대동사로서의 tun은 중성 인칭대명사 es 또는 중성 지시대명사 das/dies 또는 관계대명사 was와 함께 선행절의 동사나 동사구를 대신한다. 기능동사로서의 tun은 특정 4격 명사구와 함께 기능동사구문을 구성한다. 조동사로서의 tun은 완전동사의 어휘적 의미를 상당 부분 잃어버리고, 자신의 보족어로서 순수 부정사 형태의 부정형 완전동사를 통사적으로 요구한다. 조동사 tun이 출현하는 tun-분석적 구문은 특히 구어성이 강한 일상 텍스트의 동사 두 번째 문장에서 세 가지 유형으로 실현된다. 1. [VVINF]VF + [tunInd. FIN]LSK + [...], 2. [...]VF + [tunInd. FIN]LSK + [...] + [VVINF]RSK, 3. [...]VF + [tunKonj.II. FIN]LSK + [...] + [VVINF]RSK.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시장·기술지향성과 경제적 성과를 매개로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

        김형민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nhance economic sustainability from the perspective that economic performance must be a prerequisite for social enterprises to achieve social performance. It aims to present a performance model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which has been verified in the research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trac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y using the raw data of the ʻSocial Value Survey 2021ʼ conducted by the Social Value Research Institute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Social Performance Incentive (SPC). and analyzed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by the PLS-S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entrepreneurship directly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performanc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and competitor orientation,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social performance. Indirect routes including customer orientation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strategic orientation, such as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was verified for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It is hoped that insights and implications will b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경제적 성과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가가 갖춰야 하는 핵심 역량인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마케팅 및 기술창업 연구분야에서 검증된 바 있는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여 성과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가치연구원에서 사회적성과인센티브(SPC)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ʻ사회적 가치 서베이 2021ʼ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추출하고 PLS구조방정식으로 수립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성과에 직접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적 성과에는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경쟁자지향성, 부서간협업, 기술지향성은 경제적 성과와 함께 사회적 성과에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지향성을 포함한 간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회적기업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시장지향성 및 기술지향성과 같은 전략적 지향성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조직 생태계 활성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 담당자와 기업 실무자에게 사회적기업 성공을 위한 통찰력과 시사점이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부분적 단계법을 이용한 비정상 Navier-Stokes 방정식 해석 Code 개발

        김형민 경기대학교 산업기술종합연구소 2000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Vol.20 No.-

        A numerical simulation code has been developed for unsteady incompressible Navier Stokes equation based on Fractional Step Method. FSM has been developed in 1985 by Kim and Moin and it is continuously being modified to reduce the numerical error and speed up the simulation. In this development, the code basically employed FSM in the staggered grids and the assumption applied to reduce CPU time was neglected in the process of intermediate velocity variable calculation and It was also considered the extension to 3 dimensional, Large eddy Simulation and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Numerical simulation of unsteady incompressible backward facing step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evious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