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실시한 뒤, 예비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도구 활용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기 전에는 본인이 속한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도구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주로 사용된 온라인 수업 도구 위주로만 알고 있을 뿐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예비 과학 교사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자료를 관리하기 용이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호하였다. 예비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중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 중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 관련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본인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과 수업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예비 과학 교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으로서 온라인 수업 도구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o a group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 semester. An inventory of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consisted of five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uch programs,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lesson designs based on onlin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demonstration skills. The finding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show that they did not know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before receiving education on their utilization. They were only familiar with real-time video lecturing tools that they usually used in the college and the online teaching tools used in the face-to-face lessons. After receiving training, however, they became familiar with various online teaching tools and developed a preference for such online learning tools which could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to more easily manage learning materials. The study also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found that they had the greatest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which provided experiences of selecting and making use of online teaching tool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ere helpful to enhanc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e and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design a lesson, and give a teaching demonstration. That 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reactions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eded to consistently run and expand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s par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 및 일반교육학 영역을 중심으로-

        김영민 ( Young Min Kim ),박종원 ( Jong Won Park ),박종석 ( Jong Suk Park ),이효녕 ( Hyo Nyong Lee ),김영신 ( Young Sin Kim ),오희진 ( Hee Jin 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과학 교사 양성의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과학 교사 양성에 대한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나라 모두 과학 교사 양성은 사범대학, 일반 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이루어진다. 둘째, 미국과 영국의 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일반 교육학이 과학 교육학 과목과 깊이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 양성기관에서는 일반 교육학과 과학교육학 과목들의 관련성이 약하고 거의 전부 필수로 부과되고 있다. 셋째,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교생 실습 기간이 약 한 학기 정도로 길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5주 정도로 상대적으로 매우 짧고 학점 수도 적다. 넷째, 미국에서는 과학교육학 교재가 다양하고 내용도 다양하지만 한국의 경우 과학교육학 교재들은 창의성 교육, 다문화 교육, 탐구 자료의 개발 등의 내용을 다루지 않고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and compare the policy, general education subject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textbooks among Korea, America, and England. For this study, literature and materials on internet sites related to science teacher prepa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were mainly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ience teachers are prepared in teachers colleges, general universities, educational graduate programs in all the three countries. Secondly, general education subjects in American and British institutes are deep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subjects while in Korean institutes they are separated from them and mandatory. The students in America learn more than 18 credits of science education subjects while the students in Korea do about 8 credits on average. Thirdly, in America and England, the term of the student teacher internship is long (for about one semester) and emphasized (in case of America, 11 credits) while in Korea, the term is just 4 - 5 weeks with 3 credits. Fourthly, the printed teaching materials used in America have various and even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while those in Korea lack of creativity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of inquiry materials.

      • 부산지역 과학관의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지역과학관 활성화 방안 연구

        조민아,한국인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지역 과학관이 지역사회의 과학교육과 과학 대중화에 유의미하게 부응하고 있는지를 부산 지역 과학관 실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과학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과학교육의 진흥이라는 일관되고 광범위한 목적으로 과학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접근성이 낮아 지역적 특성을 살린 소규모 특성화 과학관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과학관의 전시 공간이 부족하고 전시물에 대한 평면적 전시가 많아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기법의 활용과 체험 위주의 전시형태로의 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과 일반 시민을 위한 과학 강연 및 강좌 부족하며,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아 과학교육 목표 달성이 비효율적이므로 관람대상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연계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넷째, 과학관의 인력 구조면에서 교육연구직의 비중이 적고 자원봉사자의 활용도가 낮으므로 다양한 법적 · 제도적 정비를 통해 진문 인력 양성과 과학적 소양인 및 외부 인력자원의 활용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사이버 과학관 운영에 있어 진시자료에 대한 평면적인 자료 제시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 및 연구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양방향적이고 과학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이버 과학관을 확충 ·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ction plans for activating the local science museum through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cience museums in Busan area. The research was done to know the local museums ar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First, most of local science museums are managed with the old-fashioned and vague goal of the promotion of science education. Besides, the accessibility is very low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transportation. So the small-scale specific science museum which has regional character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space for exhibition is not enough and mostly there are plane displays not solid one. It should be designed to have high utilization of the place and children can have experiences with the displays in that place. Third, generally the local science museums are shortag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science class for the public. They don't connect with school education very well for that reason they have few achievements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y should lead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to the science and develop the various and interest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th, the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at the science museums is less educated professional staff and worse use of volunteers through various legal and systemical consolidation it should carry out educating professional staffs and best use of volunteers. Firth, to manage the cyber-science museum, not only exhibiting plane data but also computerizing data it should operate the cyber-science museums for improving the science learning ability opportunity.

      • KCI등재

        공통과학 전공 과목의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 실험` 대비 가능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손정우 ( Son Jeongw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4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현행 공통과학전공 과목의 대비 가능성이 중요하다. 이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 G 국립대학교의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았다. 둘째, 대학에서 배운 내용으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교수 가능성은 학과마다 달랐다. 셋째, 과학적 태도와 핵심역량을 평가하는 것과 프로젝트 평가와 동료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마주할 어려움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 유도와 타 학문 분야 내용 지도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유기화학, 물리연습, 화학연습, 분자생물학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현행 공통과학 전공 과목들은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대비하기 위해 일부 과목의 교체나 학습 내용 및 수준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통합과학`을 구현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이 포함될 수 있게 과학교육학 과목의 내용을 수정하고, 적절한 수준의 내용학 과목의 변경이 필요하다. In order to implement the 2015 science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successfully, the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the current common science majors`s preparat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eparation, questionnaires given to 100 students from physics education, chemistry education, biology education at G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higher the grades achieved and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2015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possibility of teaching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in the contents learned at university was different for each department. Thir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difficulty assessing the scientific attitude and core competence in order to apply the method of project 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Fourt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aced the most difficulties in school when it came to leading class participation when teaching the contents of other majors. Fifth, the need for improvement in organic chemistry, physics exercise, chemical exercise, molecular biology is required.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urrent common science majors are needed the replacement of some subjects and the change of the content and level in order to implement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content of science education includ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evaluation method for realiz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nd to change the content of subjects appropriate level.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서혜애 ( Hae Ae Seo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계발의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과학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05년 기준 중학교과학교사로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교육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은 과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지식, 실생활 관련 과학지식, 과학사 및 과학관 지식, 일반 상식이었다. 그 다음 요인은 과학교육학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탐구 능력교수방법 지식, 과학실험수행능력이었다. 셋째 요인은 과학영재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지식으로 하위요인은 창의성 교수방법 지식, 영재교수?학습방법 지식이었다. 넷째 요인은 교육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으로 학생에 대한 이해이며, 다섯째 요인은 교사전문성 계발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연수 이수 필요성 인식, 전문가와 네트워크 구축, 교과연구회 등 연구단체 활동, 인터넷 활용, 팀티칭?공개 수업, 영재교육 학위추구이었다. 여섯째, 교사 성격적 특성으로 리더십, 적극적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to their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middle school levels. Eighteen teacher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for a qualitati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 science gifted education include knowledge of science, knowledge of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general pedagogy, and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science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need to develop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maintain a high qualit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Furthermore, inservice program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uld reflect a balanc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 교과와 과학 교과 간 연계성 분석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 내용 구성 제안

        권유지,이효녕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과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와 과학 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서 추가할 필요가 있는 과학 내용 요소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와 과학 교과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였고, 교육과정 연계성 지표를 활용하여 두 과목 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 전공자 및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타당성,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 내용 체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2022 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내용 구성에 대한 전문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와 과학 교과 간에 생명, 우주와 지구 영역은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개념의 계속성이 유지되고 학습 내용과 개념이 확장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운동과 에너지 영역, 물질 영역, 통합 영역에서는 계속성과 계열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 내용 구성에서 과학 내용 요소를 추가하여 제안하였지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므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슬기로운 생활 교과와 과학 교과의 유기적 연관성과 교과의 정체성을 인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 신 교육과정의 고등학과 과학Ⅰ(상)과 구 교육과정의 생물Ⅰ 교과서에 대한 비교 연구

        조운복,최병태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0 科學敎育硏究報 Vol.17 No.-

        새 교육과정의 의해 개편된 고등학교 과학Ⅰ(상)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생물Ⅰ교과서의 내용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구 교육과정의 내용을 보면 구 교육과정보다 한 단원이 줄어든 5개 단원으로 구성되며 구 교육과정의 생물의 다양성이 제외되고 생물의 향상성이 새로이 첨가되며, 생식과 발생, 유전등은 생명의 연속성으로 한 단원으로 축소시켰고 사람의 영양을 생물의 영양으로 그 범위를 확대시켰다. 2. 신·구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 보면 구 교육과정의 분량이 267.8면에 비해 신 교육과정은 215.3면으로 그 분량이 축소되었으며 단원 수도 1단원이 줄었다. 또한 실험, 관찰, 단원별 항목은 구 교육과정의 1.96항목보다 2.14항목으로 늘었으며, 그림 및 사진은 1면당 평균 0.75, 0.77장으로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었고, 고찰, 물음, 탐구는 신 교육과정에서 각각 10.6, 20.6, 2.4회로 구 교육과정의 7.8, 11.8, 0.6회에 비해 더 많았으며, 단원 요약도 신 교육과정이 8.1회 구 교육과정이 3.6회였다. 또한 신 교육과정에서는 전 교과서에서 읽을 거리를 다양하게 싣고 있었다. 3. 교과서의 내용중 수준을 보면 각 교육과정에서 조직과 기관(26.8%), 세포(23.5%), 개체(15.4%), 분자(13.2%), 생물권(11.5%)순으로 강조되었고, 구 교육과정은 개체(40.2%), 개체군(16.7%) 조직과 기관 (14.2%), 생물권(11.9%), 세포(10.6%)순으로 신 교육과정에서 개체수준의 강조도가 약화되고 조직과 기관 세포, 분자 수준이 강화되었다. 주제로는 신 교육과정에 유전적 연속성(24.4%), 구조와 기능(23.3%)이 가장 강조되었고 다음으로 생물과 환경(21.6%), 조절과 향상성(21.1%),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5.6%)순이었으며 구 교육과정은 유전적 연속성(28.4%), 생물과 환경(26.6%), 다양성과 단일성(15.9%)순으로 신 교육과정에서는 진화, 다양성과 단일성이 전혀 다루지 않은 반면 구 교육과정에 없던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가 강조되었다. 4. 실험과 관찰은 신 교육과정이 평균 10.7항목, 구 교육과정이 11.8항목이나, 단원별 실험수는 신·구 교육과정이 각각 2.14항목, 1.96항목으로 신 교육과정이 더 많았으며, 실험주제도 구 교육과정에 비해 신 교육과정이 교과서별로 더욱 다양하였다. 공통적으로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세포의 관찰, 소화효소의 작용, 혈액형의 판정과 관찰, 체세포 분열, 침샘염색체의 관찰등이었다. 5. 재료생물은 신 교육과정에서 총 36종 117회, 구 교육과정에서 40종 80회를 사용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재료는 신 교육과정에서 사람(25회), 개구리(18회), 양파(11회), 초파리(8회), 잡초, 집시니벌레(7회)순이며, 구 교육과정에서 사람(13회), 개구리(9회), 양파(6회), 초파리(5회)순이었다. 6. 사용약품은 신 교육과정에서 총 47종 189회, 구 교육과정에서 50종 123회이며, 신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약품은 아세트산카아만(24회), 알코올(15회), 염산(13회), 아세트산(12회), 녹말품(9회)순이었으며 구 교육과정에서는 아세트산카아만(16회), 염산(13회), 녹말풀, B형 표준혈청, 아라비아 고무, 알코올, A형 표준혈청, 젤라틴용액, 증류수 등(4회)순이었다. 7. 사용된 기구는 신교육과정에서 83종 499회, 구 교육과정에서 68종 344회이며 신·구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된 기구는 슬라이드 글라스(신60, 구43), 현미경(신56, 구42), 커버 글라스(신46, 구37), 스포이드(신21, 구14), 핀셋(신20, 구17)순이었다. 8. 그림 및 사진은 신·구 교육과정에서 각각 평균 162장, 205장이며 면당 평균 0.75, 0.76으로 유사하였으며, 내용별로는 신·구 교육과정 모두 생물학적 법칙 및 작용에 관한 모식도에 대한 그림 및 사진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신 교육과정에서는 생물의 내부구조에 대한 그림 및 사진, 내부구조 및 모식도에 대한 그림 사진 실험방법에 대한 그림 및 사진순이었으며 구 교육과정은 생물의 내부구조에 대한 그림 및 사진, 외부구조에 대한 그림 및 사진, 실험방법 및 관찰에 대한 그림 및 사진 순이었다.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former edition of korea high school textbook(science 1 and biology 1)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In the regard to the contents, 5 large unit is allocated in the science 1(vol.1) and 6 large unit in the biology 1. Science 1 newly contained homeostasis of organism instead of diversity of organism and reproduction, development and heredity merged into one large unit as continuity of life in this subject. The large unit of nutrition of man has been changed to nutrition of organism. 2. The comparison of the contents ; an average page of science 1 and biology 1 was 215.3 and 267.8 page respectively. An average page of science 1 showed a decrease of 53 page compared with to biology 1. The number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per large unit was increased in the science 1, being 2.14 times compare to 1.96 times in the biology 1. Investigation, question and inquiry of science 1 were 10.6, 20.6 and 2.4 times and these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biology 1 which contains 7.8, 11.8, and 0.6 times. Reading material was contained in all textbook of the science 1. 3. Over the level of the contents of the science 1 ; the tissue and organ(26.7%), was mostly emphaised, and cell(23.5%), individual(15.4%), molecule(13.2%) and biosphere(11.5%) in order. Level of the contents of biology 1 was stressed on individual(40.2%), population(16.3%), tissue and organ(14.2%), biosphere(11.9%) and cell(10.6%). Tissue and organ, cell and molecule were more emphasised and individual was less done than in the biology 1. The themes of science 1 were stressed on genetic continuity (24.4%) structure and function (23.3%) organism and environment(21.6%), and regulation and homeostasis(21.1%), and biology 1 stressed on genetic continuity(28.4%) organism and environment(22.6%) and diversity and unit(15.9%). Evolution and diversity and unit in biology 1 were exempted in the science 1. 4. In the view of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science 1 have 2.14 times per large unit,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to 1.93 of the former one. The common subject for experiment were observation of cell, function of digestive enzyme, observation of blood cell and a blood test, mitosis and observation salivary gland chromosome. 5. The kinds of organism which are used in experiment and observation were total 36 kinds with 117 times in the science 1 and 40 kinds with 80 times in the biology 1. In the science 1, the kinds of material organism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application were man(25 times), frog(18 times), onion(11times), drosophila(8 times), herb and paramecium(7 times) and in the biology 1, the using frequency order of the material organism was man(13 times), frog(9 times), onion(6 times) and drosophila(5 times). 6. In the science 1, there were total 47 kinds with 1.89 times of chemicals in using frequency. A common used chemicals were acetocarmine(24 times), alcohol(15 times), hydrochloric acid(13 times), acetic acid(12 times) and starch(9 times). The kinds of chemicals were 50 kinds with 1.23 times in biology 1, the using tregnency orderv of chemical was acetocarmine(16 times), hydrochloric acid(13 times), starch, anti-A, B-typing serum, arabia gum, alcohol, gellation solution and distilled water(4 times). 7. There were total 83 kinds with 499 times of instruments in the science 1 and 68 kinds with 344 times in the biology 1. The using frequncy order of the instruments were slide glass(sci.60, bio.43), microscope(sci56, bio.42), cover glass(sci.46, bio.37), spoid(sci.21, bio.14) and forcep(sci.20, bio.17). 8.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science 1 were decraesed compared to the biology 1 but the number of illustration and picture per one page was similiar to that of biology 1. In view of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the most in number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about drawing and picture of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was followed by drawing and picture of living organism's internal structure an external structure etc. In the science 1,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biology 1 in which the most in number was drawing and picture of living organism's external structure.

      • 신·구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중 생물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김영,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0 科學敎育硏究報 Vol.17 No.-

        새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중학교 과학 2의 5종 교과서 중 생물영역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과학 2 교과서의 내용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포괄적인 총괄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다시 영역별로 도달목표를 세분하였으며, 구 교육과정에서는 4개 항목이었으나, 신 교육과정에서는 5개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2. 신·구 교육과정은 모두 학년당 5개 항목으로 목표가 세분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구 교육과정에서 생물체내의 물질대사과정의 이해로 된 생물영역의 목표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로 바뀐 것을 제외한 나머지 4개 항목에서는 거의 유사했다. 3. 신·구 교육과정 모두 지구과학, 생물, 물리, 화학의 4영역으로 구분이 명확하며, 물리영역을 제외한 3영역의 대단명이 바뀌었다. 4. 실험목표를 분석해 본 결과 신·구 교과서 모두 원리와 법칙응용을 목적으로 한 실험이 가장 많았고, 과학적 창조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험은 전혀 없었다. 5. 신·구 과학과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비교를 보면 구 교육과정에 있던 환경의 중요성 인식과 인구문제와 성에 대한 도덕적 가치항목은 신 교육과정에서 빠졌으며, 신 교육과정에서는 구 교육과정에 없던 과학에 관련된 학습내용 개발항목이 새로이 제시되어 있었다. 평가상의 유의점은 신·구 교육과정 모두 2항목으로 내용이 같았으며, 평가방법은 구 교육과정에서는 3항목, 시 교육과정에서는 4항목으로 앞의 3항목은 구 교육과정과 내용이 유사하였다. 6. 영역별 강조도를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물리영역이 가장 강조되었으나, 신 교과서 5종에서는 A교과서(물리영역강조)를 제외한 B,C,D와 E 교과서에서 생물영역을 가장 강조하였다. 실험, 관찰을 영역별로 보아도 신·구 교과서 모두 생물영역의 실험, 관찰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구 교과서에서는 생물영역이 13회로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 5종 중 B, C와 D교과서에서도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생물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읽을 거리, 익힘문제 등은 신·구 교과서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며, 종합문제는 신·구 모두 각 영역별로 1편씩 평균 4편이었다. 그림과 사진은 구 교과서 321편에 비해 신 교과서 5종 모두 증가하였으며, 표는 신·구 교과서에서 평균 19편, 21편으로 거의 유사했다. 물음은 구 교과서에서는 없었으나, 신 교과서에서 보완되었다. 생물역역에 대한 신·구 교과서의 총면수는 신 교과서 B에서 가장 많았고, C에서 가장 적었으며, 5종 모두 구 교과서 보다 늘었으며, 실험도 10회인 구 교과서에 비해 신 교과서에서는 11.8회로 더 많았고, 구 교과서에 없던 부록은 신 교과서 A와 C를 제외한 B,D,E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생물영역의 단원구성을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대단원 1개와 소단원 3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신 교과서에서는 소단원이 1단원 줄어 2개로 되어 있었다. 7. 교과서 내용면을 볼 때 수준으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조직과 기관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신 교과서 A, B, C에서는 세포수준을 다루었으나, 신 교과서 D와 E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신·구 교과서 모두 분자, 개체군, 군집, 생물권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주제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구조와 기능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신 교과서 A, C, D와 E에서 다루었던 생물 개념의 역사 주제는 B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신교과서에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구조와 기능이 덜 강조되고, 조절과 항상성이 더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에 있던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과 환경주제는 빠져 있었다. 8. 실험과 관찰은 신 교과서 D는 14항목, A와 B는 13항목, E는 12항목으로 10항목인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으나, 신 교과서 C는 7항목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험주제는 신·구 교과서가 거의 같은 내용이었다. 9. 재료 생물은 6종 10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A,D와 E교과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B와 C교과서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는 없었다. 10. 약품 사용은 7종 7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B와 D에서 증가하였으나, A, C, E교과서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신·구 교과서 5종 평균은 7.8종으로 구 교과서와 거의 유사했다. BTB 및 녹말용액은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기구 사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다. 11. 그림 및 사진은 신 교과서 A, C와 D에서는 88편, 91편, 83편으로 구 교과서보다 늘었으나 B와 E교과서에서는 74편, 61편으로 80편이 실린 구 교과서보다 오히려 줄었다. 그림과 사진의 내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에서 생물의 내부구조에 관한 그림 및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 기타 순으로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이 가장 많았던 구 교과서와 차이가 있었다.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the former edi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arget of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presents all-inclusive omnibus goals, and subdivides the reaching goals in each domains. It presents 4 items in former curriculum, but 5 in the new one. 2. The targets in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s are subdivided into 5 items in each school year. In view of the contents, 4 items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1 item in which the target of biology area has changed from understanding the metabolism process of living organism in the new curriculum. 3.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were clearly divided into 4 areas of earth science, biology, physics and chemistry. And the large unit name of 3 areas except physics were changed. 4. An outcome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purpose shows that the most experiment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was aimed to apply principles and rules, but there was not an experiment aimed to achieve the extension of the scientific creative abilites. 5. The comparison of guide and tips on appreciation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science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environment, the population problem and the moral value for sex were exempted in the new curriculum and development item for studying material concerned with science was newly presented in the new curriculum.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have 2 items of the tips on appreciation and the contents were same. The former curriculum has 3 items and the new one has 4 in the appreciation method and the first 3 items of the new curriculu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ormer one. 6. Upon noticing the emphasizing degree of each area, the physics area was most emphasized in the former textbook. But B, C, D and E except A in the new textbooks emphasized the area of biology. Both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have the most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area of the biology. And B and E textbook competed in the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among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The investigation was presented 13 times in the biology area of the former textbook. B, C and D among new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the biology. The reading material and the practice don't hav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re were 4 pieces of general question in average with one piece of each area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former one which contains 321 pieces. There were 19 pieces of tablet in average in the new textbooks and 21 pieces in the former one, thus being similar to each other. There were no inquiries in the former textbook but supplemented in the new ones. The most in number of the total page of the biology area was the new textbook B and the least was the textbook C. All of the new textbooks preceded the former one. The experiment was also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s, being 11.8 times compared to 10 times in the former one. The appendix which was not contained in the former texbook was also not treated in the new texbook B, D and E except A and C. Upon noticing the structure of unit, the former textbook consisted of one large unit and 3 small units. But the new one had 1 less of small units. 7. Over the level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tissue and organ was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And the new textbook A, B, C treated the level of cell as the former textbook did so ut the new textbook D and E didn't. The molecule, population, colony and biosphere were not treated both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In view of the subject, the stucture and function were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history of biological concept which was treat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 A, C, D, E was not treated in the new textbook B. The structure and funcion was less emphasized and the regulation and homeostasis was more done so in the new textbooks than the former textbook. The biological basis of action and the living organism and environment in the former textbook were exempted in the new one. 8. In view of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e new textbook D had 14 items, A and B has 13 items and E had 12 items,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to 10 items of them in the former one. But those of the new textbook C was decreased to 7 items. The subject for experiment had the same contents in both of them. 9. The living organisms for material which was used 10 items with 6 kinds in the former one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A, D, E, but decreased in B, C. There were no commonly used material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s. 10. The use of chemicals which was used 7 times with 7 kinds in the former textbook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B, D. But decreased in the A, C and E books. The average of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were 7.8kinds, thus being similar to that of the former one. BTB and starch liquid were commonly us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The use of appliances in the new textbooks was increased than the former one. 11.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 A(88 pieces), C(91 pieces) and D(83 piec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extbook(80 pieces). But the new textbook B(74 pieces), E(61 pieces) were decreased. In view of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the most in number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about the living organism's internal structure was follwed by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and etc. in the 5 kinds of kinds textbooks,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in which the most in number was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 Shin Cheol Song ),이치하 ( Chi Ha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 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 KCI등재후보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 및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윤석진 ( Suk Jin Yun ),박현주 ( Hyun Ju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1

        이 연구는 과학교육학부 4학년 학생 39명을 대상으로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와 예비과학교사가 인지한 교육관련 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교육실습 과정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중 과학교수의 결과기대감에 대한 변화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과학교사가 인지한 교육관련 문제는 학생, 교사, 교육환경, 예비교사, 교사양성기관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비과학교사의 교수 기술, 교사로서의 준비, 시간조절 능력 등의 부족은 예비과학교사로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SSCS과학과 교육실습 적용과 그 과정에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은 교육실습을 재조명하고 교육실습을 포함한 대학의 교사양성교육과정의 반성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기여할 것이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recognition of science education issues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of SSCS. A model of SSCS stands for search, solve, create, and share. A total of 39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eported science education issues which could be called ``problem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improved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of SSCS, but there was little change on their science outcome expect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recognition of science education issues as students, teachers, school environment and culture, pre-service teacher`s underpreparation for teaching science, and teacher`s certification program. In teacher education, field experiences are critical steps in raising professional teachers. Student teaching especially, which culminates field experiences, should be the integral capstone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