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otavirus 감염의 연도별 유행시기의 변동양상 및 기후요소와 PM10과의 관계

        임혜라,전인상,차한,임정수,류일,선용한,조강호,임호준,이광훈,이학수,강윤정,노의근,Im, Hae-Ra,Jeon, In-Sang,Tchah, Hann,Im, Jeong-Soo,Ryoo, Eell,Sun, Yong-Han,Cho, Kang-Ho,Im, Ho-Joon,Lee, Gwang-Hoon,Lee, Hak-Soo,Kang, Yune-Jeung,Noh, Yi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최근 들어 저자들은 로타바이러스의 유행시기가 점점 초봄으로 바뀌는 양상을 경험하던 중, 이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기후요소와 관련이 많다는 점에서 기후요소들의 변동이 그 원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로타바이러스의 발생분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알아보는 한편 로타바이러스의 월별 발생분포의 변동양상이 월평균 온도, 습도, 강수량 및 PM10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등 중요한 기후요소들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이하의 환아 중 입원기간 중에 로타바이러스 검사상 양성으로 확인된 1,4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검사는 효소면역법(EIA), latex 응집법 및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등으로 시행하였다. 기후요소로는 인천기상대에서 보고한 월평균 온도, 습도, 강수량 및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조사된 PM10을 사용하였다. 월별 로타바이러스 발생 환자를 예측하는 모델은 포아송회귀분석에 적합한 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을 이용하였으며 GAM 분석은 S-plus 2000을 사용하였다. 결 과: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2002년에 309명(20.9%)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95년에는 5월에 27.3%, 96년에는 12월에 23.4%로 가장 많았다. 97년에는 3월에 19.6%, 98년에는 5월에 16.7%으로 가장 많았고 99년에는 2월이 23.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2000년에는 3월에 20.3%, 2001년에는 4월에 20.0%, 2002년에는 3월에 18.8%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 2002년 12월에 11.0%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3년에는 4월까지 계속 월별 절대 환자수는 증가하였다. 월별 로타바이러스 평균 환자수는 4월에 18.3%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월(17.3%), 2월(16.8%), 1월(12.5%), 12월(11.5%) 순이었다. 로타바이러스 환자수와 기온(RR=0.9423, CI=0.933424~0.951163), 강수량(RR=1.0024, CI=1.001523~1.003228)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로타바이러스 환자수와 PM10 (RR=1.0123, CI=1.009385~1.015248)도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헌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시기가 늦가을과 겨울로 보고된 바와 달리 최근 들어 봄철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월평균 온도 및 강수량 등 기후요소의 변동과 함께 특히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미세먼지(PM10)의 증가가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해 역학적, 생물학적, 대기과학적인 면들에서 심도 깊은 연구가 더욱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Purpose: Recently, while the authors were experiencing that the epidemic period of rotaviral infection happened more in the early spring,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outbreaks of rotaviral infection are changing in detail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 since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climate factors and PM10. Methods: Fourteen hundreds seventy nine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positive to rotavirus were chosen among children less than 5 years old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3. Among various climate factors, monthly average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PM10 were selected. Results: Rotaviral infection was most active in 2002 as 309 (20.9%) patients. It has been the spring that is the most active period of rotaviral infection since 2000. The temperature (RR=0.9423, CI=0.933424~0.951163), rainfall (RR=1.0024, CI=1.001523~1.003228) and PM10 (RR=1.0123, CI=1.009385~1.01524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onthly distribution of rotaviral infec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the epidemic period of rotaviral infection is changed to spr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sual seasonal periods such as late fall or winter as reported in previous articles. As increased PM10 which could give serious influence to the human body, and changing pattern of climate factors such as monthly average temperature and rainfall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rotaviral infection, we suppose that further study concerning this result is required in the aspects of epidemiology, biology and atmospheric science.

      • SCOPUSKCI등재

        3세 소아에서 발생한 Gastric Volvulus 1례

        이진태,김화중,김희섭,차한,박호진,김한선,Lee, Jin-Tae,Kim, Hwa-Jung,Kim, Hee-Sup,Tchah, Hann,Park, Ho-Jin,Kim, Han-S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1

        위 염전증은 소아에서 드믈지만 응급을 요하는 질환으로 최근 비사출성, 비담즙성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3세 환아에서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gastric volvulus is uncommon but surgically emergent. Normally, the stomach is held in position by four ligaments: gastrophrenic, gastrohepatic, gastrosplenic, and gastrocolic. In addition, relative fixation of the pylorus and esophagus provides further anchorage. A normal diaphragm also helps to prevent abnormal displacement of abdominal viscera and development of gastric volvulus. Volvulus may be organoaxial, mesenteroaxial, or a combination of both. Organoaxial volvulus is the rotation of the stomach around an axis extending from the hiatus of the diaphragm to the pylorus. Mesenteroaxial volvulus is the rotation of the stomach around an axis transecting the lesser and greater curvatures of the stomach. The symptoms of gastric volvulus depend on its type, the extent and degree of rotation and obstruction, and associated defects. Classic clinical features of acute gastric volvulus, as by Borchardt in 1904, include unproductive retching, acute, localized epigastric distention, and the inability to pass a NG tub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these features depend on the degree of gastric obstruction of both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and pyloric outlet. It may be suspected on plain abdominal radiographs and usually confirmed by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Acute volvulus requires immediate surgical repair, fixation to avoid recurrence, and correction of any underlying anatomic abnormality. Any associate defect should be repaired and the stomach must be fixed.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n 3-year-old girl who had a mesenterioaxial gastric volvulus.

      • KCI등재후보

        국내 소아의 표준 식도 길이; 내시경으로 측정한 식도 길이와 신장의 상관관계

        조강호,류일,홍희주,손동우,차한,Cho, Kang Ho,Ryoo, Eeell,Hong, Hee Ju,Son, Dong Woo,Tchah, 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하는 방법은 많지 않으며 연령을 기준으로 한 이전의 공식은 같은 나이라도 신장과 체중이 다양하여 식도 길이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치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내시경 검사로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신장, 체중을 측정했던 환아 중 식도 열공탈장, 발육 부전, 골격계의 이상, 선천적 기형, 수술을 시행했던 환아를 제외한 262명을 결 과: 1) 전체 262명 소아의 평균 연령은 $9.0{\pm}3.6$세로 생후 2일부터 16세까지였으며, 남아는 130명, 여아는 132명이었다. 2) 대상 소아의 평균 신장은 $132.89{\pm}23.49cm$였고,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는 평균 $33.34{\pm}5.42cm$였다.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연령, 신장, 체중과의 상관관계 중 신장이 가장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correlation=0.944). 3) 이를 바탕으로 식도 길이의 예측 공식으로 [식도 길이=4.419+($0.218{\times}$신장)]을 산출하였다(p=0.000, $R^2=0.891$). 결 론: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는 신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예측치가 가장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re have been a few data about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previous data are improper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height and weight of each the individuals especially in children, measurable external parameters are needed. Methods: We measured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using a flexible endoscope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age, height and weight in 262 children who underwen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sults: The mean age was $9.0{\pm}3.6year$ (from 2 days to 16 year of age), mean height was $132.89{\pm}23.49cm$ and mean length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was $33.34{\pm}5.42cm$.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and height was the mostly predictable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earson correlation=0.944). We propose a formula [Esophageal length=4.419+($0.218{\times}height$)] as a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0.000, $R^2=0.891$). Conclusion: The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can be reliably predicted by using the height.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Clostridium difficile 관련 질환의 역학과 임상양상: 지역사회감염과 원내감염의 비교

        조혜정,류일,선용한,조강호,손동우,차한,Cho, Hye-Jung,Ryoo, Eell,Sun, Yong-Han,Cho, Kang-Ho,Son, Dong-Woo,Tchah, Han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2

        목 적: 최근 소아에서의 지역사회 획득 Clostridium difficile 관련질환(CDAD)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아직 소아에서 발생한 CDAD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아 CDAD환자에서 지역사회감염(CA-CDAD)과 병원감염(HA-CDAD)의 역학과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C. difficile 독소 A, B 또는 C. difficile 배양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CDAD로 진단하였다. 결 과: 총 61명(남 32, 여 29)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연령은 3.79${\pm}$4.54세였으며, 1세 미만이 22명(36.1%)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중 23명(37.7%)의 환자만이 증상 발현 3개월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 받은 적이있었다. 총 61명의 환자 중 CA-CDAD군이 41명, HA-CDAD군이 20명이었고, 나이, 성별, 증상, 검사실소견, 회복기간, 합병증 발생 및 재발률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생제 노출 여부는 HACDAD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외래에 내원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항생제 노출력이 없는 CA-CDAD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신속하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요구된다. Purpos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ommunity-acquired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CA-CDAD) among children. There is an overall lack of information on CA-CDAD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between CA-CDAD and hospital-acquired C. difficile-associated disease (HA-CDAD) in childr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 difficile-associated disease (CDAD) at Gil Hospital between April 2008 and March 2009. The diagnosis of CDAD was made whe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had positive results for C. difficile toxins A and B assay or stool culture. Results: Sixty-one (male, 32 and female, 29)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3.79${\pm}$4.54 years. Of the 61 patients, 22 (36.1%) were <1 year of age. Twenty-three patients (37.7%) had a history of antibiotic exposure in the previous 3 months. Forty-one patients (67.2%) were diagnosed with CA-CDA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symptoms, laboratory findings, recovery period,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between the CA-CDAD and HA-CDAD groups. On the other hand, exposure to antibiotics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mong patients in the HA-CDAD group (p=0.0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ccurrence of CA-CDAD is increasing in the pediatric population,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with no history of exposure to antibiotics and in outpatients. Awareness of the increasing incidence of CA-CDAD and prompt investigation of C. difficile in susceptible patients is needed to avoid misdiagnosis and for appropriate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장중첩증에서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 도중 발생한 장천공

        김용국,임혜라,이광훈,한수진,선용한,류일,조강호,차한,이학수,Kim, Yong Kuk,Im, Hae Ra,Lee, Gwang Hoon,Han, Soo Jin,Sun, Yong Han,Ryoo, Eell,Cho, Kang Ho,Tchah, Hann,Lee, Hak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장중첩증의 진단 및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인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발생한 장천공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에 대한 위험인자 및 수술 합병증, 예후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장중첩증으로 입원하였던 환아 중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장천공이 발생하였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를 통하여 성별 및 연령 분포, 주요 임상 증상, 증상 발현후 내원까지의 경과 시간, 장중첩증의 유형, 장중첩증의 천공 부위와 수술소견, 병리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였던 657명의 환아 중에서 596명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어 정복율은 90.7%였고, 장천공은 모두 12례에서 발생하여 천공율은 1.83%였다. 공기 주입 정복술 도중 천공된 환아들 중 남아는 11명(91.7%), 여아는 1명(8.3%)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pm}2.7$개월이었다. 2) 천공된 장중첩증의 내원 당시 임상 증상을 살펴볼 때 구토 는 11명(91.7%), 주기적 보챔이 9명(75.0%), 혈변은 9명(75.0%)에서 발생하였고, 복부종괴는 5명(41.7%)에서 촉진되었다. 천공된 장중첩증 환아의 내원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은 $44.7{\pm}23.7$시간이었다. 3) 천공된 장중첩증의 유형은 상대적으로 회장맹장(ileocecal) 형과 회장회장결장(ileoileocolic)형이 많았다. 수술로 확인된 장천공 부위는 상행 결장이 6명(50%), 횡횡 결장이 6명(50%)으로 모두 중첩된 장의 근위부에 발생하였고, 단발성 천공이 10명(83.3%)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4) 장천공이 발생한 부위의 병리 조직 소견은 대부분에서 장천공 주변부위의 점막이 출혈성 괴사와 장막열상 소견을 보였다. 천공된 장중첩증의 합병증으로는 긴장성 기복이 7례(58.3%)에서 발생하여 즉각적인 복부 감압이 필요하였고, 1례에서는 수술 18개월 후 유착성 장 폐쇄(adhesive band)가 발생하였다. 결 론 :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도중 장천공의 발생은 6개월이하에서 방사선 소견상 소장 폐색 증상이 있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증상 발현 시간이 오래될수록, 공기 주입 압력이 높을수록 잘 생기므로 이런 경우 정복시 환아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lthough air enema reduction has been known as a good method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tussusception, it could develop colon perfor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is complication. So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in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 Methods : We reviewed the charts of 12 colon perforation patients during air enema reduction of intussusception, who were admitted to Gil Medical Center from Jan. 1990 to Dec. 2001. Their age, sex, major symptoms, length of time till hospital visit, types of intussusception, operative findings and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Results : Among 657 cases, 596 patients(90.7%) were successfully treated, but 12 patients(1.83%) failed in air enema reduction and had colon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colon perforation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 1, and average age was 5.3 months. The most common symptom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was vomiting(91.7%). Cyclic irritability(75.0%), bloody stool(75.0%) and abdominal mass(41.7%) were also noted. The average length of time between symptom onset and hospital visit was 44.7 hours. Types of intussusception were predominantly ileocolic, ileocecal, and ileoileocolic. The site of perforation was most commonly found at the proximal part of intussusception including ascending colon(50%) and transverse colon(50%). Most cases were uncomplicated, and had a single perforation. Pathologic reports showed hemorrhagic necrosis and mesenteric laceration at the site of colon perforation. Complications of colon perforation were tension pneumoperitonium(58.3%), requiring immediate decompression. Conclusion : The chance of 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increases in cases with small bowel obstruction on simple abdominal x-ray of a patient younger than 6 months, delay in time till hospital visit and higher air pressure during reduction. Therefore more careful investigation is needed in these cases.

      • KCI등재후보

        A Case of 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Associated with the Dandy Walker Complex and Excellent Response of Seizures to Topiramate

        Kang Ho Cho(조강호),Yong Han Sun(선용한),Eel Ryoo(류일),Han Tchah(차한)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2

        신경피부멜라닌증은 피부와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드문 비가족적인 선천성 증후군으로 연수막에 멜라닌세포의 양성이나 악성 증식이 피부에 거대 또는 다수의 멜라닌세포모반과 같이 존재하는 피부 신경증후군으로 배아의 신경외배엽의 형성이상으로 생각된다. Dandy Walker 증후군도 드문 신경 질환이다. 은 두개강의 넓은 뒤오목과 천막이 높아지고 소뇌중 앙이 무형성되거나 형성이 저하되며 제4뇌실이 낭성 확장하는 소뇌의 형성 이상이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상 이 두 가지가 동반된 아주 드문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두피와 등에 많은 검은색 모반이 출생 시부터 있었으며 생후 6개월에 하루 수회의 잦은 부분 발작으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고 T1 강조 영상상 멜라닌 침착에 해당하는 고신호 강도가 편도, 깊은핵, 소뇌 잎새, 교뇌에 보였고, 소뇌중심의 아래가 형성이 부전하며 넓은 뒤오목을 보였다. 환자는 oxcarbazepine에 반응하지않았고 Valproic acid 투여 후 구토와 혈액검사 상 간기능 검사의 약간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경련은 계속되었다. Topiramate 투여 후 경련횟수가 줄고 다른 항경련제는 중단하였다. Topiramate 를 체중 당 5 mg사용 후 20개월간 경련이 없었으나 이후 드문 경련이 있어 체중 당 13 mg까지 증량하였으며 이후 15개월간 더 이상의 사용 후 경련은 4년간 잘 조절되었다. Neurocutaneous melanosis is a rare non-familial congenital neurocutaneous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large or multiple congenital melanocytic nevi in association with benign or malignant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in the leptomeninges. It is believed to be an embryonic neuroectodermal dysplasia. The Dandy Walker complex is an uncommon disorder of the CNS, also. refers to a condition with a broad posterior fossa and high tentorium insertion, hypoplasia or aplasia of the cerebellar vermis and cystic dilation of the fourth ventricle communication with the posterior fossa. We report a patient with NCM associated with the DWC that was diagnosed by MRI. The patient had multiple, small to medium-sized melanocytic nevi on the scalp and back, presenting at birth. At 6 months of age, frequent daily attacks of partial seizures were noted. T1 weighted MR images showed multiple high signal lesions in the amygdala, cerebellar folia, deep nuclei, and basis pontis, compatible with intraparenchymal melanin deposits. In addition, hypoplasia of the inferior vermis and a broad posterior fossa were identified. The patient failed to respond to oxcarbazepine. The seizure frequency did not decrease for the first three months. Vomiting and mild elevation of the liver enzymes were observed after adding valproic acid. However, after topiramate was started the frequency of the seizures decreased, and the oxcarbazepine and valproic acid were discontinued. With 5 mg/kg of topiramate treatment, the patient became seizure free for 20 months; however, infrequent seizures recurred thereafter. The dosage of topiramate was increased to 13 mg/kg, and for the following 15 months, there have been no seizures. Seizures were well controlled by topiramate for four years.

      • KCI등재

        염증장병 환아의 혈액학적 소견

        권창규,남유니,선용한,류일,손동우,차한,전인상,Kwon, Chang-Gyu,Nam, Yoo-Nee,Sun, Yong-Han,Ryoo, Eell,Son, Dong-Woo,Tchah, Hann,Jeon, In-Sa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최근 우리나라 소아에서 염증장병이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나 이들의 혈액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국내 염증장병 환아들의 장기간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혈액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보았다. 방 법: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2002년 9월부터 2008년 9월 사이에 대장경과 생검으로 확진된 염증장병 환자 중 18세 이하인 25명의 염증장병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당시의 혈색소, 적혈구용적률,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 혈색소량을 조사했다. 환아의 빈혈 빈도, 혈색소와 질병 이환기간과의 관계, 혈색소와 활동도지수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 과: 빈혈은 전체적으로 76% (19/25)에서 있었으며, 크론병 환아에서는 88% (14/16), 궤양결장염 환아에서는 56% (5/9)였다. 백혈구증가와 혈소판증가는 크론병 환아에서만 있었으며 빈도는 각각 56% (9/16), 25% (4/16)였다. 증상의 이환기간과 혈색소치는 크론병과 궤양결장염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활동도지수와 혈색소치도 크론병과 궤양결장염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염증장병 환아의 혈액학적 소견은 외국 문헌의 보고 내용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빈혈의 빈도가 높았으며 질병의 이환기간 또는 활동도지수와 빈혈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염증장병환아를 장기간 관리하는 동안 빈혈에 대한 관리 역시 포함해야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백혈구증가와 혈소판증가는 크론병에서만 관찰되어 궤양성장염과 감별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ematologic features in Korean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n order to determine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omplete blood count (CBC) profiles and assessed the incidence of anemia in 25 children with IBD (Crohn disease, 16; and ulcerative colitis, 9). The correlation between hemoglobin (Hb) and duration of illness and the activity index of IBD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anemia was 76% in IBD, 88% in Crohn disease, and 56% in ulcerative colitis. Leukocytosis and thrombocytosis were only found in Crohn disease (56% and 25%,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b and duration of illness in Crohn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or between Hb and the activity index in Crohn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nemia found in this study was slightly higher than in previous reports. Addition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Hb and the duration of illness or the activity index. Therefore, even if the duration of illness is short, or the activity index is low, appropriate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BD should include careful evaluation for anemia.

      • SCOPUSKCI등재

        소아의 단순성 비만증에 의한 지방간의 진단: ALT치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이성희,김화중,오재철,한혜정,김희섭,차한,박호진,신미경,이민진,이상천,Lee, Seong-Hee,Kim, Hwa-Jung,Oh, Jae-Cheol,Han, Hae-Jeong,Kim, Hee-Sup,Tchah, Hann,Park, Ho-Jin,Shin, Mi-Keong,Lee, Min-Jin,Lee, Sang-Ch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2

        목 적: 소아비만의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인 지방간을 진단함에 있어 ALT치와 CT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선별검사로서 ALT치의 유용성과 확진검사로서 CT 및 간생검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단순비만으로 진단 받은 78명 중 지방간 진단을 위해 CT를 실시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화학검사 중 지방간의 선별검사로서 보다 특이성이 높은 ALT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비만도가 심한 비만아들 중 15례에서 간생검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ALT치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별로 신체계측지수, CT 및 간생검상 지방침착도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ALT치와 신체계측지수간의 상관관계: 대상 비만아 26례 중 ALT치는 17례(63.4%)에서 이상 상승(>30 IU/L)되었으나, ALT치의 상승과 신체계측지수들(비만도, RI, BMI, 체지방률)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2) CT상 지방침착도와 ALT치 및 신체계측지수 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3례(50%)에서 CT상 정상이었고, 나머지 13례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간음영이 증가된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CT상 지방간의 정도와 ALT치의 상승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1), 신체계측지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3)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와 비만도, ALT치와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간 생검을 실시한 결과, 1례에서 정상이었고 나머지 14례에서 모두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간 생검상 정상인 1례는 고도비만이었으나 ALT치는 정상치였고, 중등도의 지방간 소견 보인 3례 중 1례는 고도비만이었음에도 ALT치는 정상이었으며 2례는 ALT치가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 심한 지방간 소견 보인 9례 중 1례는 경한 비만이었으나 ALT는 158 IU/L로 심한 상승을 보였다. 간 생검상 지방간인 14례를 지방침착도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와 ALT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간 생검 소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ALT치와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4) CT와 간 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CT와 간 생검 모두를 시행한 결과, CT상 6례는 정상이었고, CT상 지방간 소견 보인 9례에서는 간의 지방침착도에 따른 음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한 CT소견과 간 생검상 지방침착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6094). 결 론: 최근 소아비만이 급증 추세에 있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합병증들은 물론 성인비만으로 이행될 수 있으므로 학교보건 등을 통해 경각심을 높이도록 해야 하며, 특히 비만에 따른 지방간을 진단하기 위한 선별검사인 ALT치 등 생화학적인 간 기능 검사로는 간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이며 비침습적인 초음파검사를 적극 활용토록 하고 선별검사 등으로 선정된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간 생검을 통해 간 손상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iagnostic methods of fatty liver by childhood simple obesity and to provide correlation between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for screening test and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liver biopsy for confirmative diagnostic methods of fatty liver. Methods: Among 78 obese childrens who visited our hospital, CT was carried out in 26 childrens. Of these, liver biopsy was carried out in 15 childrens who had high obesity index or severe elevated ALT. Based on the level of serum ALT, 26 case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nd compared with physical measurements and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CT and liver biopsy. Results: 1) Correlation between ALT and physical measurements: Of 26 obese children, ALT was abnormally elevated (>30 IU/L) in 17 cases (67.4%)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T and physical measurements (p>0.05). 2)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CT and ALT: Of 26 cases, 13 cases (50%) revealed fatty liver on CT. The degree of fatty liver on C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levation of ALT (p<0.05). 3)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liver biopsy and ALT: Liver biopsy was performed in 15 cases of which 14 cases revealed fatty liver. But one case had normal hepatic histology with severe obesity and normal ALT. Fourteen fatty liver cases on liver biopsy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by the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and analysed with obesity index and ALT. The histologic hepatic steatosi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besity index (p>0.05),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T (p<0.05). 4) Correlation between CT and liver biopsy finding: Both CT and liver biopsy were performed in 15 cases of which 6 cases revealed normal finding on CT and 9 cases manifested fatty live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T and liver biopsy findings (r=0.6094).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bdominal CT and liver biopsy are useful and accurate methods of estimating fatty liver in the childhood obesity. But biochemical abnormalities of routine liver function tests dot not correlate well with severity of the fatty liver and liver injury.

      • 인천 지역에서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 실태

        김정선 ( Jung Sun Kim ),인두교 ( Doo Kyo In ),선용한 ( Yong Han Sun ),홍희주 ( Hee Joo Hong ),조강호 ( Kang Ho Cho ),손동우 ( Dong Woo Son ),전인상 ( In Sang Je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기에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이지만 치료에 있어 임상적 효과가 있다고 확실하게 입증된 약물 요법이 없다. 본 조사를 통해 인천 지역에서 소아과 의사의 급성 세기관지염에 대한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국과 국내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의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천의 소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에서 약제 사용을 빈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131명 중 80명(61%)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흡입 기관지 확장제는 90%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41%는 항상, 43%는 간헐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스테로이드는 93%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65%는 간헐적으로, 23%는 항상 사용하고 있었다. 타국가 비교시, 약물 요법을 진료 지침이 시행되고 있는 호주에 비해서 많이, 그렇지 않은 스위스에 비해서 비슷하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인천 지역 소아과 의사는 급성 세기관지염 치료에 약물 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비용과 효과를 고려하여 급성 세기관지염에서 약물 요법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있는데 국내의 치료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Purpose : Although acute bronchiolitis is the most common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the use of pharmaceutical agents has been deb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and to compare this with management internationally. Methods : We sent postal questionnaires to all pediatricians in Incheon to assess their current practice for treating acute bronchiolit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bronchodilators, steroids, xanthines us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management. Results : Of a total 131 questionnaires, 80(61 percent) were returned. Ninety percent of pediatricians used bronchodilator inhalation, either routinely(41 percent) or occasionally(43 percent). Steroid were used by 93 percent of the respondents, always(23 percent) or sometimes (65 percent). Pediatricians in Incheon tended to use pharmaceutical agents more frequently than Australian pediatricians who have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and as frequently as Swiss pediatricians who do not. Conclusion : Pharmaceutical agents are frequently used in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Better therapeu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bronchiolitis car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50-16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