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Ojeoksan[Herbal Medicine] Meal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

        Moon, Gye-Bong,Kim, Sung-Bok,Cha, Sang-Woo,Lee, Bong-Duk,Cho, Sung-Kyung,Lee, Soo-Ki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7 농업과학연구 Vol.34 No.1

        당밀의 첨가가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품질 및 한국재래산양에 대한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I 에서는 오적산박에 당밀을 0, 0.5 및 1.0%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고, 실험 Ⅱ에서는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9두의 우리나라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당밀 첨가수준별 및 옥수수 사일리지와의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I에서는 당밀의 첨가에 의하여 젖산함량이 유의하게 많아지고. pH와 낙산은 낮게 나타났다. 당밀의 첨가로 사일리지액의 유산균배지 배양시험에 있어 총균수는 증가하였고, 곰팡이 균주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당밀의 첨가에 따라 체외 건물 소실율이 증가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당말의 첨가가 사일리지 건물섭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으며, 오적산박 사일러지는 옥수수 사일리지에 비하여 기호성이 좋았다. 결론적으로 오적산박 사일리지에 대한 당밀의 첨가수준은 1% 정도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외 소화율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복,문계봉,이봉덕,오홍록,배형철,이수기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6 농업과학연구 Vol.33 No.1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 ensiling Galgeuntang (herbal medicine) meal on the quality of silage, and its palata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In experiment Ⅰ, molasses was added at the levels of 0, 0.5, and 1.0% to Galgeuntang meal with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In experiment Ⅱ, three 1.5-yr-old Korean native goats were used to measure palatability. In experiment Ⅰ, lactic acid contents in molasses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and pH and butyric acid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non-molasses treatment. In addition, molasses treatment increased total microbial cell counts in MRS medium for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otal microbial cell counts in PDA medium for fungi.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creased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Molasses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silage intake in Korean native goat (experiment Ⅱ),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0.05). It is concluded that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 ensiling herbal medicine meal could improve its preservability and palatability, the higher the better.

      • 1995년도 무균성 뇌막염 환아에서 원인바이러스 동정

        강완복,윤재득,김동수,김문보,김기순,서순덕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4

        목 적 : 뇌막염은 뇌막의 염증성 반응으로 여러 가지 병원균에 의해서 올 수 있다. 특히 소아에서는 무균성 뇌막염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중 대다수가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특히 장바이러스가 무균성 뇌막염의 약 85 % 를 차지하고 있다. 1993년도 우리 나라에서는 echovirus 9, 30 에 의한 뇌막염의 전국적인 대유행이 있었고 1994년도에는 echovirus 3 에 의하여 뇌막염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뇌막염의 원인 바이러스는 매년 달라질 수 있으므로 1995년도 봄철에 뇌막염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의 원인 바이러스를 동정하여 보는 바이다. 방 법 : 1995년도 5월과 6월에 걸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19 례 를 대상으로 임상적 관찰 및 바이러스동정을 시행하였다. 가검물은 환아의 뇌척수액과 대변을 동시에 채취하여 배양된 RD 세포와 HEp-2 세포에 접종하여 세포병변을 관찰한 후 enterovirus serum pool 에 의한 중화시험을 하였다. Piore 와 Nicoletta 의 방법에 의하여 세포배양액에서 RNA 를 추출하고 PCR 에 의하여 oligonucleotide 를 합성하였다. 그 후 noncoding RNA PCR 에 의하여 DNA 를 합성하고 전기영동을 거쳐 확인하였다. 결 과 : 1) 임상양상 및 경과는 전형적인 무균성 뇌막염의 양상을 보였다. 2) 총 19 례 중에서 8 례 에서 enterovirus 가 자랐으며, 이 중 5례 에서는 coxsackie B3 가 동정되었으며 3 례 에서는 echovirus 7 이 1 례 에서는 echovirus 3 이 동정되었다. 이중 1 례 에서는 coxsackie B3 와 echovirus7 이 동시에 동정되었다. 3) PCR product도 전형적인 장 바이러스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1995년도 봄철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입원한 환자의 원인바이러스는 coxsackie B3 와 echovirus 7 에 의한 감염이었다. Background : Aseptic meningitis is a common illness during childhood. Although the etiologic agent is not always identified, viruses are the usual responsible agents. Enterovirus especially causes approximately 85% of all cases of aseptic meningtis. In 1993, there was a nationwide epidemic of aseptic meningitis by echovirus 9 and 30. And we reported that the cause of aseptic meningitis in 1994 was echovirus 3. This study was done to detect the causative virus of aseptic meningitis in 1995. Methods : To isolate the causative viruses, stool and cerebrospinal fluid specimens from the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in 1995, were collected. Cultured RD cells and HEp-2 cells were inoculated with specimens to see the cytopathic effects. Neutralizing antibody tests using enterovirus serum pool were done on the specimens with the cytopathic effects. RNA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d supernatants of the infected cells by Piore and Nicoletta method. Oligonucleotide was synthesized by PCR, which was run on polyacrylamide gel after purification with HPLC. After running the DNA produced by using Geneamp RNA PCR Kit, electrophoresis was done. Results : Enterovirus was isolated from 8 out of 19 patients. Among these eight, Coxsackie B3 was isolated in 5 patients. Echovirus 7 was isolated in 3 patients. In one of these patients, Coxsackie B3 and echovirus 7 was isolated simultaneously. Echovirus 20 was isolated in one patient. PCR product from these viruses showed a 154 bp band on gel electrophoresis, which was the same PCR product from echovirus 3 supplied from ATCC. Conclusion : The causative viruses of aseptic meningitis in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spring season of 1995 were Coxsackie B3 and echovirus 7.

      • KCI등재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Ojeoksan(Herbal Medicine) Meal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

        Gye-Bong Moon(문계봉),Sung-Bok Kim(김성복),Sang-Woo Cha(차상우),Bong-Duk Lee(이봉덕),Sung-Kyung Cho(조성경),Soo-Kee Lee(이수기)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7 농업과학연구 Vol.34 No.1

        당밀의 첨가가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품질 및 한국재래산양에 대한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오적산박에 당밀을 0, 0.5 및 1.0%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고, 실험 Ⅱ에서는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9두의 우리나라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당밀 첨가수준별 및 옥수수 사일리지와의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당밀의 첨가에 의하여 젖산함량이 유의하게 많아지고, pH와 낙산은 낮게 나타났다. 당밀의 첨가로 사일리지액의 유산균배지 배양시험에 있어 총균수는 증가하였고, 곰팡이 균주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당밀의 첨가에 따라 체외 건물 소실율이 증가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당밀의 첨가가 사일리지 건물섭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으며, 오적산박 사일리지는 옥수수 사일리지에 비하여 기호성이 좋았다. 결론적으로 오적산박 사일리지에 대한 당밀의 첨가수준은 1% 정도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외 소화율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SCOPUSSCIEKCI등재

        생쥐 내뇌 소교세포의 분리 배양 및 동정

        전창덕,이복수,김봉석,김혜정,정헌택,김종문 대한신경외과학회 199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1 No.4

        신생 생쥐의 대뇌에서 신경교세포를 취하고 배양 14일 후에 소교세포를 분리하여 복강대식세포와 비교하면서 단핵탐식세포계의 세포 특성들을 조사하여 결과를 얻었다. 1) 신생 생쥐의 대뇌에서 분리한 소교세포는 복강대식세포와 같이 탐식능력이 있었다. 2) 신생 생쥐의 대뇌에서 분리한 소교세포는 복강대식세포와 같이 protein kinase C를 자극하는 formyl methionyl-leucyl-phenylalanine(f-MLP)로 자극할 시 세포내 유리 칼시움을 증가시켰다. 3) 신생 생쥐 대뇌에서 분리한 소교세포는 복강대식세포와 같이 PMA와 f-MLP로 자극될 때 superoxide나 hydrogen peroxide와 같은 반응산소중간물질(reactive oxygen intermediate)들을 생성할 수 있었다. 4) 신생 생쥐 대뇌에서 분리한 소교세포는 복강대식세포와 같이 gamma-interferon과 LPS에 의해 자극될 시 nitric oxide(NO)와 같은 반응질소중간물질(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을 생성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 소교세포는 단핵탐식세포계(mononuclear phagocytic system)에 속하는 세포들의 특성을 소유하므로 대뇌에서 비특이적 방어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Even though the brain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munologically privileged organ, recent reports showed that certain cells of the brain may be involved in immunological process in the brain. For example, some cells of the brain can present antigen to T-lymphocytes, to express class Ⅱ major histocompativility antigen, and secrete interleukin-1 and -3 molecules. In addition, they are capable to phagocytose particles and possess receptors for the Fc portion on IgG. In this study, the authors tried to isolate the microglial cells from new born mice and characterize them. The isolated cells could produce such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ROIs) as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that were measured by luminometer after amplification by lucigenin and luminol respectively and could secrete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RNIs), when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r-IFN plus LPS. The cells could also ingest fluorescent particles and raise intracellular calcium after stimulation with agonists when measured by flow cytometer. Our data showed that the microglial cells of the brain may belong to a member of mononuclear phagocytic system(MPS) of the body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host defence against invading microorganisms.

      • KCI등재
      • KCI등재

        동시최적화 설계기법을 이용한 항만용 크레인의 흔들림 제어계 설계

        김영복(YOUNG-BOK KIM),문덕홍(DUK-HONG MOON),양주호(JOO-HO YANG),채규훈(GYU-HOON CHAE) 한국해양공학회 2005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9 No.3

        The sway motion control problem of a container hanging on the trolley is considered in this paper. In the container crane control problem, the main issue involves suppressing the residual swing motion of the container at the end of acceleration, during deceleration, or for an unexpected disturbance input. For this problem, in general, many trolley motion control strategies are introduced and appli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d synthesize a swing motion control system, in which a small auxiliary mass is installed on the spreader. In this control system, the actuator reacting against the auxiliary mass applies inertial control forces to the container to reduce the swing motion in the desired manner. In many studies, the controllers used to suppress the vibration have been synthesized for the given mathematical model of plants. In many cases, the designers have not been able to utilize the degree of freedom to adjust the structural parameters for the control object. To overcome this problem, so called "Structure/Control Simultaneous Method" is used. From this, in this paper the simultaneous design method is used to achieve optimal system performance. An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control strategy is useful, to the case of that the controlled system is exposed to the uncertainties and, robust to disturbances like wind.

      • Expression of the Caspase-3 mRNA in Rat Hippocampal CA1 Neurons Following Global Hypoxia

        Jung, Yong-Wook,Moon, Il-Soo,Lee, Dong-Seok,Ahn, Jae-Hong,Kim, Duk-Kyu,Ko, Bok-Hyun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저산소증 이 후 지연성으로 초래되는 신경세포의 사망은 부분적으로자연사를 조절하는 유전자 부산물의 유도에 의하여 매개된다. Caspase-3 유전자는 새로이 밝혀진 포유동물의 cystein성 단백질 분해효소로 저산소증 이 후 신경세포의 자연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저산소증으로 초래되는 신경세포의 자연사에 대한 caspase-3의 역할을 알기 위하여 (1) 흰쥐 해마 CA1 신경세포에서의 caspase-3 mRNA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고 (2)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DNA 분절에 대한 caspase-3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산소증 이 후 30시간까지 caspase-3 mRNA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며 이 후 6일 까지 더욱더 증가된 발현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TUNEL 양성반응의 대부분은 caspase-3 mRNA의 발현이 전 시간대(저산소증 이 후 30시간가지)에 비해 증가된 3일에서 6일 사이에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해마 CA1 신경세포의 자연사 유도에는 caspase-3 유전자의 일정 수준이상의 발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Delayed neuronal death after global hypoxia may be mediated, in part,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regulatory gene products. Caspase-3 is a newly characterized mammalian cysteine protease that promotes cell death after global hypoxia. To determine whether caspase-3 serves to regulate neuronal apoptosis after global hypoxia, we have (1) examined the expression caspase-3 mRNA in the rat hippocampal CA1 neuron (2) studied the effect of caspase-3 expression on DNA fragmentation (TUNEL method). Caspase-3 mRNA was slightly increased at 0 to 30 hours after global hypoxia and sustained more increased level 3 to 6 days. Interestingly, however, most of strong TUNEL-positive reaction was detected for 3 days to 6 days after global hypox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uction of apoptosis in hippocampal CA1 neuron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caspase-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