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육과정 기술 영역에서 표준 교육의 내용 체계와 체험활동 개발

        이상봉,곽유림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표준 교육 내용 체계와 체험활동을 개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표준 교육의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함으로써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맞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중학교 표준 교육 내용 체계는 ‘표준의 정의’, ‘생활 속 표준’, ‘제품 개발과 표준’으로 구성하였으며, 관련 체험활동 과제로 ‘표준화된 벽돌을 이용하여 집을 지어요’, ‘나만의 스마트폰 UI’,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언제든, 어디서든 부딪히지 않아요’, ‘진짜 한우가 맞을까?’라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표준 교육 내용 체계는 ‘표준의 특성’과 ‘지식재산권’으로 구성하였으며, 관련 체험활동 과제로 ‘높이가 달라도 옮길 수 있어요’라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체험활동 과제는 문제의 인식, 연구와 개발, 실현, 평가의 설계 과정으로 구성하였으며, 중학교 기술․가정 과목 및 고등학교 공학 기술 과목의 실습, 방과후 학교, 발명반 등에서 가르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for standardization education and its hands-on activities for the Technology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09 Revision Curriculum. The standardization education conceptual framework was set by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s of standardization and hands-on activitie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the conceptual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that was consist of ‘The definition of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in my life’, ‘Developing products and standardizatio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Characters of standardization’, ‘Intellectual property’. The theme and/or title of the hands-on activities were ‘Build the structures using the standardized blocks’, ‘My only UI’, ‘Plug that can be used anywhere’, ‘You don’t bump at anytime, anywhere’, ‘Is it a real Korean native cattle?’, ‘Design the conveyor system’.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ies were involved in design process. And they can be used in practice of the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or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class of invention and so on.

      • KCI등재

        「關雎」의 수용 양상과 주요 논의에 관하여 –조선시대 문집과 실록을 중심으로–

        이상봉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6 No.-

        <The Book of Odes(詩經)> is a representative scripture of Confucianism, so Ju hi(朱熹) wrote <Shigeongjibjeon(詩經集傳)> and most Joseon writers who supported Ju hi(朱熹)’s theory understood that 「Guanjeo(關雎)」 refers to ‘virtue of queen’ or ‘edification of royal family’. Today, many people view 「Guanjeo(關雎)」 as simple love songs and wedding songs, so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such a logic.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literary works varies depending on the period, and the contents of 「Guanjeo(關雎)」 are recognized as ‘virtue of queen’ or ‘edification of royal family’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So 「Guanjeo(關雎)」 was used in Gyomyeongmun(敎命文)·Pyomun(表文)·Jeonmun(箋文)·sangsomun(上疏文), etc. In addition, even in the place where the king and high-ranking officials were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Guanjeo(關雎)」 was deeply utilized between Joseon’s royal family and the high class, so that they could use the contents of 「Guanjeo (關雎) as a metaphor to talk. Among the discussions by Joseon writers on 「Guanjeo(關雎)」, the most prominent is the interpretation of ‘樂而不淫, 哀而不傷(nagibuleum, aeibulsang)’ the words of Gongja(Confucius) and ‘who is the speaker of 「Guanjeo(關雎)?’ Yi Ik(이익) thought it was ‘樂而不淫(nagibuleum)’ to restrain body and mind from sexual desire by using a ancient harp and lute(琴瑟) playing in the room. Jeong Yak-yong insisted that ‘哀而不傷(aeibulsang)’ refers to the cherish for ancestor because ‘荇菜流芼(haengchaeyumo)’ is related to the ancestral ritual. In the case of Yi Ik(이익), it seems that he thought ‘樂而不淫(nagibuleum)’ is related to ‘music’ because he was too obsessed with ‘琴瑟友之(geumseul-uji)’. If ‘琴瑟(geumseul)’ is likened to ‘harmony of husband and wife’ with ‘harmony of melody’, it is correct to understand ‘樂而不淫(nagibuleum)’ as ‘expression of restrained love’. In Jeong Yak-yong’s and Lee samhwan’s debate on ‘哀而不傷(aeibulsang)’, It seems that Jeong Yak-yong’s argument based on the fact that ‘荇菜流芼(haengchaeyumo)’ was related to rituals is more reliable. If, as Lee samhwan said, 「Guanjeo(關雎)」 refers to the whole 「Junam(周南)」, or the whole <The Book of Odes(詩經)>, What expression should you use when you want to refer to only 「Guanjeo(關雎)」 with 「Guanjeo(關雎)」? This is the problem. Regarding the speaker of 「Guanjeo(關雎)」, most bureaucrats and kings pointed to a court lady, some pointed to King Moon(周文王), and Ahn Jung-Bok said it was difficult to know. According to <Ilseonglog(日省錄)>, King Yeongjo considered the author of 「Guanjeo(關雎)」 to be a poet(詩人) or a court lady(侍人). When the author cannot be identified, it seems that it is a better judgment to just say a poet(詩人) or a court lady(侍人) rather than stipulating authors on a lean basis. <시경>은 유학의 대표적인 경전이기에 주자는 시경집전을 남겼고, 주자의 학설에 경도된 대부분의 조선 문인들은 「관저」를 ‘후비의 덕’이나 ‘왕실의 교화’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었다. 오늘날에는 「관저」를 단순한 사랑의 노래나 축혼가로 보는 견해도 많기 때문에 이런 논리가 성립되기 어렵다. 하지만 시대에 따라 개별 문학작품에 대한 해석은 달라지기 마련이어서, 고려말과 조선시대에는 「관저」의 내용을 ‘후비의 덕’이나 ‘왕실의 교화’로 인식하면서 敎命文·表文·箋文·상소문 등에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임금과 대신들이 함께한 자리에서도 「관저」의 내용을 비유로 삼아 대화를 나눌 정도로 「관저」는 조선의 왕실과 고위층 사이에 깊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저」에 대한 조선문인들의 논의 중 두드러진 것은 공자가 말한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의 해석문제와 「관저」의 화자가 누구인지의 문제였다. 이익은 ‘樂而不淫’을 방안에서 연주하는 琴瑟을 이용해서 성욕으로부터 몸과 마음을 절제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았고, 정약용은 ‘荇菜流芼’가 제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哀而不傷’은 바로 이 점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이익의 경우 ‘琴瑟友之’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樂而不淫’을 ‘음악’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한 것 같다. ‘琴瑟’이 ‘음악’이 아니라 ‘음률의 조화로움’으로 ‘부부의 화목함’을 비유하는 것이라고 본다면, ‘樂而不淫’은 지나치지 않고 ‘절제된 사랑의 표현’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哀而不傷’에 대한 정약용과 이삼환의 논쟁에서는 ‘荇菜流芼’가 제사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제시한 정약용의 주장이 더욱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이삼환의 말처럼 「관저」를 가지고 「주남」 전체, 또는 시경 전편을 지칭한다면, 「관저」만을 가리키고 싶을 때는 어떤 표현을 써야 되는지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관저」의 화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문인과 왕들이 궁인을 지목했는데, 더러는 문왕을 지목하기도 했고, 안정복은 알기 어렵다고 말하기도 했다. 일성록의 기록에 따르면 영조의 경우 「관저」의 작자를 詩人(侍人)이라고 했는데, 작자를 밝혀낼 수 없는 상황에서 희박한 근거를 내세우며 작자를 단정하기 보다는 그냥 詩人(侍人)이라고 하는 것이 오히려 나은 판단인 듯하다.

      • KCI등재

        스케치 질의를 통한 웹기반 영상 검색과 분류 시스템

        이상봉,고병철,변혜란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8

        With the explosive growth in the numbers and sizes of imaging technologies,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has been attracted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digital libraries, image processing, and database systems.In general, in the case of query-by-image, the user has to select an image from database to query, even though it is not his completely desired one. However, since query-by-sketch approach draws a query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 it can provide more high-level searching interface to the user compared to the query-by-image. As a result, query-by-sketch has been widely used.In this paper, we propose a Java-based image retrieval system that consists of sketch query and image classification. We use two features such as color histogram and Haar wavelets coefficients to search similar images. Then the Leave-One-Out method is used to classify database images. The categories of classification are photo & painting, city & nature, and sub-classification of nature image. By using the sketch query and image classification, we can offer convenient image retrieval interface to user and we can also reduce the searching time.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대중화에 더불어 영상데이타의 생산과 교환이 더 자유로워짐에 따라 디지털 도서관, 영상처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과 같은 연구분야에서 내용기반 영상검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에 의한 질의'의 경우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영상이 없더라도 반듯이 질의 영상을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선택해야 하지만, '스케치에 의한 질의'는 사용자의 생각에 따라 영상을 그림으로 표현 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질의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치 질의와 영상 분류 방법을 이용하는 자바 기반의 영상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유사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 영상으로부터 색상 히스토그램과 Haar-웨이블릿 계수를 사용하고, leave-one-out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그림, 자연-도시 등의 영상 분류를 통해 영상의 의미정보를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질의 영상을 분류하여, 질의 영상이 갖고 있는 의미 공간으로 검색 공간을 축소하여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율성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민국가의 공간적 변용과 탈근대적 재구성: 공간정치의 관점에서

        이상봉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3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specific time and space in which they exist. Therefore, if we pay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we can grasp the change in the existence of humans and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interest in space was overlooked because the modern order was form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as ‘the primacy of time over space.’ However, since the mid-1990s, with the so-called ‘spatial turn’ as an opportunity, a tendency to newly pay attention to ‘space’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social theory is spreading. In other words, with the prevalence of so-called ‘space discourse’, various social phenomena related to space, such as ‘space politics’, ‘politics of place’, and ‘politics of scale’, are being dealt with under the name of politic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space in the field of politics that deals with political phenomena. In accordance with these concern,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the nation-state in the late modern era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politics’. Specifically, first,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re considered, paying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co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bility and its meaning are analyzed. Third, it is considered how the modern order institutionalized by ‘representative democracy’, ‘citizenship’, and ‘national publicness’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spatial transformation. 인간은 자신이 존재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기 힘들다는 점에서, 시・공간의 구성이나 인식의 변화에 주목하면 인간과 사회 존재양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근대적 질서는 ‘공간에 대한 시간의 우위’라는 시・공간 인식을 토대로 형성되었기에 공간에 대한 관심은 소홀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른바 ‘공간적 전환(spacial turn)’을 계기로, 사회이론분야에서 ‘공간’에 새롭게 주목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즉, 이른바 ‘공간담론’이 성행하면서 ‘공간정치’, ‘장소의 정치’, ‘스케일의 정치’ 등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현상들이 ‘정치’라는 이름으로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정치현상을 다루는 정치학분야에서는 공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에서는 ‘공간정치’의 관점에서 후기근대에 들어 나타나고 있는 국민국가의 변용에 대해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모빌리티의 증대에 주목하여 국민국가의 공간적 변용을 초래한 원인과 양상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모빌리티의 증대에 따른 시・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과 그 의미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대의민주주의’, ‘시민권’, ‘국가적 공공성’ 등으로 제도화되었던 근대적 질서들이 공간적 변용에 따라 어떻게 재구성되는가에 대해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