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의 대량주조법과 주형토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실험연구

        이승철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following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test for the soil of mold in lost-wax casting method (published in June 2006), analyzed the method of mass production for casting metal movable types using beeswax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sting materials.It is too early to argue that the method of lost-wax casting is successfully restored, even though we find the casting materials. For instance, there are some questions to be answered regarding how much beeswax was required, and whether it is indeed economical to make types using beeswax. Even though the beeswax was easily available and used commonly for casting in those days, the huge amount of beeswax could have been needed for casting tens or dozens of thousands letters. Moreover, we have to find out the way for casting more movable metal types simultaneously rather than the casting method as presented in the previous experiments.In order to make the conditions of casting the types more objective, theorize the findings, and build the data more practically, all the conditions of the experiments such as the process of extracting beeswax and its required quantities, the quantity of types to be cast at once, the form of mold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sting materials etc. are recorded and analyzed in this experiment.The condition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① Letter types: more than 100 letters selected from Jikji ② Materials for making the mother letters & type-setting: natural beeswax ③ Mold materials: clay mixed with soft stone + yellow clay + sand ④ Metal materials: mixture-materials with bronze, tartar, lead ⑤ Used fuel: charcoal & boneblack ⑥ Experimental temperature and humidity: 20-30℃/40-70% ⑦ Place of experiment: Goesan-gun, Yeonpung-myeon. 본 연구는 이미 발표된 <밀랍주조법의 주물토에 관한 실험연구>(이승철, 서지학회, 2006.6.)에 이은 후속 실험연구로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의 대량주조 방법과 주형재료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주형재료를 찾아낸 것만으로 밀랍주조법의 성공과 복원을 설명하기엔 아직 이르다. 예를 들면, 밀랍을 이용해 활자를 만들 때 밀랍의 소요량 정도와 그것이 과연 경제적이었냐 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당시 밀랍을 쉽게 구할 수 있고 밀랍을 이용한 주물이 일반적이었다 하더라도 수만에서 수십만 자를 주조하기 위해 사용된 밀랍의 양은 엄청났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책을 찍어내는 데 필요한 수십만 자의 활자를 주조하려면 기왕의 실험에서 제시한 주조법보다는 한 번에 더 많은 수의 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방법도 찾아져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밀랍을 이용한 활자주조 조건을 보다 객관적이고 실제적으로 이론 및 자료화하기 위하여 밀랍추출 과정과 추출 및 소요량, 한 번에 주조 가능한 활자의 수량과 주형의 형태, 주형재료의 물리적 특성 등 각각의 조건들을 실험 과정별로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실험 환경과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글자본: 직지에서 선정한 100여 字 ② 어미자 및 조판재료: 천연밀랍 ③ 주형재료: 석비레(이암)+황토+모래 ④ 금속재료: 청동, 주석, 납 등을 혼합한 母合金 ⑤ 사용연료: 숯 및 돌탄(곡수) ⑥ 실험온도 및 습도: 20-30℃/40-70% ⑦ 실험장소: 괴산군 연풍(임인호 작업실).

      • Radical의 性質에 관한 硏究

        李承哲 三陟大學校 2000 論文集 Vol.33 No.3

        本 論文은 유한생성되는 R-module의 眞部分加群들이 갖고있는 性質 중에서 radical 과의 관계를 공부하였다. 주요내용은 유한생성 R-module K에서 眞部分加群 H의 K-radical과 minimal prime submodule의 관계를 공부하였다.

      • KCI등재

        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석회석 분진의 국소배기 특성

        이승철,옥윤용,유성곤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5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bout the performance of dust-collecting hood by a model device. The target is canopy hood collecting dust at a turning point of the conveyor belt to move limestone in a local exhaust system. With three variables of control distance, control ventilation velocity and rubber curtains stat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bout dust collection characteristics and flow properties.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f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n the local exhaust system is the presence of the rubber curtain. When confirming the collected dust size in 0.5 m/s(control ventilation velocity) and 0.3 m(control distance), many particles over 20 ㎛ were collected because control distance is short. They will drop the whole work efficiency.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experiments. The flow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s were similar overall.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을 이동시키는 벨트컨베이어 전환점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캐노피 후드를 설치한 국소배기 시스템을 대상으로 모형장치를 제작하여 후드 포집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3가지 변수인 제어거리, 제어풍속 및 고무커튼의 유・무를 변화시키며 포집특성과 유동특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 국소배기시스템의 포집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고무 커튼의 사용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집된 입자크기 확인 결과, 제어속도 0.5 m/s이고 제어거리 0.3 m일 때, 짧은 제어거리로 인해 20 ㎛ 이상의 입자가 상당수 포집되었고 이것은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실험과 동일조건에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유동특성이 유사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승철,김태영,윤지현,강성주,김진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1

        Maker movement is emerging as one of the key area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cent years. The maker movement is to create and share what users need using a variety of inexpensive production tools such as open source software and hardware, 3D printers and laser cutters. We think that the effect would be enhanced if design thinking is appli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12)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and to apply it to classroom for clarify th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udents in the 5th-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a controlled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general lecture maker class was applied in the controlled group, and our developed design thinking-based maker class was simultaneously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using statistical t-tes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영역 중 하나로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 떠오르고 있다. 메이커 운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3D 프린터, 레이저 커팅기 등 다양하고 저렴한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직접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메이커 교육을 초․중등(K-12) 수업에 적용할 때 디자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다면 그 효과가 증진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강의식 메이커 수업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디자인 사고 기반의 메이커 수업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고, 통계적 t-검정을 이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초음파 밀링 공정을 이용한 텅스텐 중합금 나노복합분말의 제조

        이승철,이창우,정성수,차범하,이재성,Lee, Seung-Chul,Lee, Chang-Woo,Jung, Sung-Soo,Cha, Berm-Ha,Lee, Jai-Sung 한국분말야금학회 2007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4 No.2

        Ultrasonic-milling of metal oxide nanopowders for the preparation of tungsten heavy alloys was investigated. Milling time was selected as a major process variable. XRD results of metal oxide nanopowders ultrasonic-milled for 50 h and 100 h showed that agglomerate size reduced with increasing milling time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contamination or change of composition by impurities. It was found that nanocomposite powders reduced at $800^{\circ}C$ in a hydrogen atmosphere showed a chemical composition of 93.1W-4.9Ni-2.0Fe from EDS analysis. Hardness of sintered part using 50 h and 100 h powder samples was 399 Hv and 463 Hv, respectively, which is higher than the that of commercial products (330-340 H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