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 초피와 산초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 고당으로 유도된 뇌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추출물의 보호 효과

        한혜주,박선경,김민지,안준우,이세진,강진용,김종민,허호진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in vitro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along with neuroprotection against high glucose-induced cytotoxicity,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Zanthoxylum piperitum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was measured in the 40% ethanolic extracts of Zanthoxylum piperitum (EZP)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EZS). The in vitro EZP antioxidant activity showed a relatively higher ABTS/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alondialdehyde inhibitory effect than that of EZS. The EZP inhibited carbohydrate hydrolysis (α-glucosidase and α-amylase) more efficiently than EZS in anti-diabetic tests. However, EZS showed a more efficient inhibi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formation than EZP. In addition, both EZP and EZS effectively protected human-derived neuronal cells from high glucose-induced cytotoxicity. Finally, the physiological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UPLC IMS-QTOF/MSE, and the main EZP (quercetin-3-O-glucoside and 3- caffeoylquinic acid) and EZS (5-caffeoylquinic aci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phenolic compounds.

      • KCI등재

        기업의 혁신개방성 이미지와 사회 공헌 활동에서의 내집단 강조가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혜주,박혜원,박수진,이경미 한국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연구 Vol.37 No.3

        최근 ESG 경영 기조 아래, 기업을 경영함에 있어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기업은 급변하는 환경에서 혁신의 주체로서 미래를 선도하는 역할을 이행하도록 기대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과 혁신개방성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시하고, 혁신개방성 이미지와 내집단 메시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두 번의 행동 실험을 통해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실험 1에서는 기업이 소비자들에게 사회 공헌 활동을 전달할 때 “우리”라는 내집단을 강조할 경우, 혁신개방성 가치를 표방하는 기업이 더 호의적인 소비자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혁신개방성 이미지의 기업이 사회 공헌 메시지에서 그들의 활동이 내집단을 지향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보여줄 때 소비자들에게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실험 2에서는 이상의 사회 공헌 활동에서의 내집단 강조와 혁신개방성 기업 이미지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소비자가 기업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발생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내집단을 강조하는 것의 효과는 소비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기업 이미지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임을 보임으로써 관련 문헌에 공헌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전략을 가속화하며 대(對)사회 소통에 힘쓰는 시대에,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소통을 할 경우 기업이 표상하는 가치가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지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사의 평가 경험을 통한 초등 영어 성취도 평가의 방향 탐색

        한혜주,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explores future tasks and challenges of the school-based English achievement test in elementary schools.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teaching for over five years and teaching English for over two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dures and the usefulness of the school-based English achievement test by means of a survey and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 som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est: loss of assessment purpose, lack of convenience in item development, and an absence of feedback after the test. In terms of test usefulness, the teachers mostly thought that the school-based achievement test was valid, but the results were not reliable. Both the authenticity and practicality of the achievement test were considered low because, according to the teachers, it did not reflect the goal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because, in teachers’ opinions,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develop and conduct the test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 backwash effects were controversial. Some teachers thought the achievement test provided a positive effect such as an increase in student motivation and an improvement in learning attitude. Others, however, thought that it could make students fear and be less interested in English. Last, the teachers had not received any training or been provided with educational programs for testing in English education; they felt that there were no training or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to learn about what to test and how to develop the tes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hievement test needs to b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with variable methods, and there should be instructions for teachers with respect to how to provide students with appropriate feedback. It is also important to give teachers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testing in English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평가 경험을 통한 초등학교 교내 영어 성취도 평가의 분석을 통해 실제 초등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성취도 평가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초등영어 성취도 평가의 과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 및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교내 영어 성취도 평가의 시행절차에서는 평가의 목적 상실, 편의주의적 문항 제작, 평가 시행 후 피드백 부재와 같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또한 타당성과 신뢰성의 측면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성취도 평가는 타당하다고 인식하였으나 평가 결과는 신뢰롭지 못하며,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 때문에 성취도 평가는 진정성이 낮다고 응답하였고, 평가의 실용성에 대해는 성취도 평가의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요 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간다고 지적하였다. 성취도 평가가 학생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역류 효과로는 학습동기유발과 학습태도 개선 등이 있다고 보았으나, 부정적인 역류 효과로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두려움 및 흥미저하 등이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영어 평가 관련 연수 및 교육 경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재 영어 평가와 관련하여 수강가능한 연수가 없기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 성취도 평가는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 수준의 도달 여부뿐 아니라 수행평가나 포트폴리오 평가 같은 수시평가를 통해서는 평가할 수 없는 전체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성취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내 영어 성취도 평가의 방법을 다양화하는 방향과 더불어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마련해야 하며, 영어 평가와 관련한 연수기회 제공 및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 3, 4학년 영어수업에서 교사의 거시적·미시적 스캐폴딩 탐색

        한혜주,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nalyzed scaffolding types and their meaning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English lesson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irteen award-winning lessons from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classroom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macro- and micro-level scaffolding standards. As a result, the specific types of scaffolding strategies that were used by most of the teachers of these lessons were found.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English teachers planned their lessons using macro-level scaffolding strategies, and those are ‘understanding the objectives of the lesson and specifying’, ‘balancing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with the language level’, ‘using a variety of media’, and ‘making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personal lives’. Second, the English teachers applied micro-level scaffolding strategies while they were teaching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y used distinct strategies during certain periods of the unit. This study illustrates what teachers attempt to accomplish in each lesson, and that the teaching circumstances affected the teachers' scaffolding strategie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plan their lessons using macro- and micro-level scaffolding strategies, and not just focus on the activities and the students' English 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우수 수업에서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교사가 시도하는 거시적․미시적 스캐폴딩 유형을 알아보고 그 의미에 대해서 탐색해 봄으로써 향후 영어 교사들의 보다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및 진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에듀넷에서 우수 수업으로 선정된 3학년 7개, 4학년 6개, 총 13개 수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수업 설계를 하는 동안 거시적인 스캐폴딩을 설정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스캐폴딩 유형은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 목표 설정을 위한 확인과 구체화하기, 학습 방법 설정을 할 때 학생의 인지 수준과 언어 수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도움 마련, 학습 방향 및 내용 구성에 있어서의 다양한 매체의 활용과 학생의 삶과 연관 짓기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시적 스캐폴딩 기준에서 볼 때 각 차시별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캐폴딩 전략 유형이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첫 차시에서는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주요 표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유형들을 중점으로, 중간 차시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정확한 표현의 습득과 발화를 위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마지막 차시에서는 개인화 요구를 통해 목표어와 학생의 삶을 연결 짓는 스캐폴딩 전략 활용이 두드러졌다. 각 교실 상황 및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수업 목표와 활동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볼 때 교사는 수업 중에서만 나타나는 미시적인 스캐폴딩 전략의 활용을 넘어서서, 학생들의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위하여 수업 설계 단계부터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스캐폴딩을 설정하여 수업 목표와 활동을 설계하도록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수업 운영 중에는 미시적 스캐폴딩 전략을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수업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한혜주,전성희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2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와 과정이 더욱 다각화되고 있다. 소비자에게 마케팅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원(endorser) 또한 예외가 아니다. 과거에는 TV 스타와 같은 전통적인 유명인만이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의사소통에서 메신저로 활약하였으나, 소셜미디어가 급부상하면서 일반인 인플루언서가 중요한 마케팅 정보원으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이에 더하여, 최근 인간과 흡사한 모습을 지녔으나 인공지능(AI) 기술에 의해 인공적으로 탄생된 가상 인플루언서(virtual influencer)가 마케팅 정보 전달원으로 새로이 등장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패러다임을 다시 한번 변화시키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 유니클로, 구찌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가상 인플루언서들을 활용하여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고,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라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인플루언서의 효과에 대해 탐구하고, 소비자 특성과 가상 인플루언서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어떤 소비자들이 이러한 가상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마케팅 메시지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을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새로움 추구 경향이 강한 소비자들의 경우 가상 인플루언서들에 대해 일반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는 부정적 인식, 즉 ‘가상 인플루언서들 간의 유사성’ 및 ‘비친근함’ 인식이 낮게 나타남을 증명하였다. 아울러, 가상 인플루언서 간의 유사성 및 비친근함 인식이 낮을수록 소비자들은 가상 인플루언서가 출연하는 광고를 보다 즐겁게 인지함을 알 수 있었고, 나아가 이는 광고 속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함께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문헌에 공헌하며, 어떤 소비자들에게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더 효율적인지를 제안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 또한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