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 종사자의 근로조건: 무엇이 변화되고 그 경험은 어떠한가?

        조상미,정희수,한예선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3

        This study explores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settings and social workers’ experiences due to the amendment to the Labor Standards Act.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organizing 9 managers affiliated to facilities for service use only, residential facilities and small subsidized facilities in Seoul into three groups.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is study are: 1) What changes occurred in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following the amendment of the Labor Standards Act? 2) What changes and differences exist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Results noted that working hours ‘must be changed and improved despite challenges.’ In terms of wage structure, interviewees pointed out that ‘it is far from all-embracing and shows gap’. The theme derived in terms of working environment was ‘ongoing vicious cycle of complex difficul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and identified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and social worker’s experiences. 본 연구는「근로기준법」개정으로 인한 사회복지 현장의 변화를 탐색하여, 종사자의 처우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서울시 이용시설, 생활시설, 소규모 이용시설의 중간관리자 및 운영자 등 9명을 3집단으로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질문은 첫째,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른 종사자 근로조건의 변화, 둘째, 사회복지 조직유형에 따른 변화와 차이이다. 첫째, 근로조건의 변화에 대해서는 근로시간은 ‘힘들지만 변화를 위해 바뀌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수렴되었고, 임금구조는 ‘모두를 아우르지 못하고 벌어지는 격차’가 지적되었으며, 근무환경은 ‘복합적 어려움, 여전히 악순환’이라는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복지 조직유형에 따른 변화 중 이용시설에 대해서는 ‘근로시간 준수를위한 고민’, ‘더딘 호봉 상승’, ‘과하다 싶을 정도의 육아지원’ 등이 강조되었다. 이에 비해 생활시설 종사자들은 교대제와 대체인력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수당의 변화와 지급문제’, ‘안전, 인권에 대한 창구가 없음’을 지적하였다. 소규모 이용시설은 ‘근로기준법은 뜬구름 같은 소리’, ‘인건비 가이드라인으로 통일’과 ‘상처받고 힘을 때 휴식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사회복지 현장의 근로조건의변화를 탐색하여 종사자 처우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적이며 실천적인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 Induces Alteration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Angiopoietin-2 Levels in the Rat Hippocampus

        김민수,최보령,이용우,김동희,한예선,전원경,한정수 한국뇌신경과학회 2018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7 No.4

        Angiogenic factors contribute to cerebral angiogenesis following cerebral hypoperfusion, and understanding these temporal changes is essential to developing effective treatm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emporal alterations in angiogenesis-relat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nd angiopoietin-2 (ANG-2)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BCCAo). Male Wistar rats (12 weeks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sham-operated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s, and expression levels of MMP-9 and ANG-2 were assessed after BCCAo (1 week, 4 weeks, and 8 weeks), using western blotting. Protein expression increased 1 week after BCCAo and returned to control levels at 4 and 8 weeks. In additio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demonstrated that the MMP-9- and ANG-2-positive signals were primarily observed in the NeuN-positive neurons with very little labeling in non-neuronal cells and no labeling in endothelial cells. In addition, these cellular locations of MMP-9- and ANG-2-positive signals were not altered over time following BCCAo. Other angiogenic factor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ypoxia-inducible factor did not differ from controls at 1 week; however, expression of both factors increased at 4 and 8 weeks in the BCCAo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ur findings increase understanding of alterations in angiogenic factors during the progression of cerebral angiogenesis and are relevant to developing effective temporally based therapeutic strategies for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associated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vascular dementia.

      • KCI등재

        조직문화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정희수,유수형,한예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2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의 조직문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직문화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조직문화는 조직 비전과 미션의 기반이 되며, 조직의 생존과 혁신의 기초 토양이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구성원의 조직행동 및 태도에 영향을 미쳐 성과지향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직무소진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을 보인다. 이와 같은 조직문화와 소진의 영향관계에서 특히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조직 내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교환관계의 긍정적인 효과가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2019 서울시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및 개선의견조사”의 자료 중 1,083명의 응답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지향적이고 신축적인 집단문화가 강할수록 직무소진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부지향적이며 신축성을 지닌 개발문화도 직무소진을 낮추었다. 반면에 효율과 과업중심적인 합리문화가 강할수록 직무소진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개발문화와 위계문화에 대해서 직무소진을 조절하였다. 특히 위계문화는 직무소진과 직접효과는 없었지만 상호작용과 소통의 LMX 조절효과를 통해 직무소진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직무소진을 완화할 사회복지 조직의 조직문화 개선에 대해 유연한 조직문화 조성,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멘토링을 통한 협력적인 문화 함양, 체계적인 인적자원 개발, 합리적인 평가와 지원제도, 리더십 교육과 직급에 따른 다양한 교육, 지속성장하는 학습조직의 문화정착을 통해 직무소진을 해소하며, 사회복지 조직에 합리문화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적 폭력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 ( Cho¸ Sangmi ),정희수 ( Chung¸ Hee Soo ),한예선 ( Han¸ Yae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경험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이는 조직 행동 및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 연구는 폭력과 개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들이 다수였고, 정신적 폭력과 조직행동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사회복지 종사자 1,051명의 응답자료를 Mplus를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소진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등 부정적인 심리·정서적 영향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조직문화의 확립, 개방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통한 사전 예방체계 구축,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 폭력예방 매뉴얼의 구체화, 사후대응 체제 마련, 직장 내 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슈퍼비전 활동 등 정신적인 폭력을 예방하고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출 조직 관리의 함의를 모색하였다.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violence have negative impa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Existing studies on violence have mainly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violence on individual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ntal violence, which occurs most frequently on a daily basis, on turnover intention. In this study,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how does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within the workplace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do burnout and job stress mediate the influence of mental viol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analyzing the response data of 1,051 social workers in Seoul, adop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Mplus program. First,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in the workplace had no direc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mental violence by client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mental violence in workplace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burnout.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prevent mental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and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A Fluorophore-labeled Peptide of Human Ribosomal Protein S3 for the Detection of the 8-Oxoguanine within the Cells

        한세희,함수현,An Hue Vy Tran,박진우,정지형,박근태,한예선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10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8-oxo-7,8-dihydroguanine (8-oxoG) within cells are important for the study of the molecular mechanisms in cancer. Human ribosomal protein S3 (hRpS3), which involved in DNA repair, has high binding affinity to 8-oxoG. We developed an imaging probe to detect 8-oxoG using a specific peptide of hRpS3. Sequ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8-oxoG-specific binding region of hRpS3, and three truncated mutants, D1 (amino acids 1–85), D2 (amino acids 86–159), and D3 (amino acids 160–242), were constructed. Both wild-type-hRpS3 and D2 were able to bind 8-oxoG,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report on the role of K134 in Drosophila melanogaster RpS3. We synthesized a specific peptide and covalently linked with a fluorophore (FPR-552, similar to Cy3) to generate an 8-oxoG imaging probe. Our 8-oxoG S3-probe successfully detected the presence of 8-oxoG in damaged cells. Furthermore, this probe has threefold higher sensitivity than 8-oxoG DNA lesion antibo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