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취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봉독의 성분 분석

        한상미,윤형주,백하주,Han, Sang-Mi,Yoon, Hyung-Joo,Baek, Ha-J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서양종 꿀벌 독의 채집시기와 지역에 따른 봉독의 성분 변화 및 약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채집시기는 5월부터 9월까지, 채집지역은 전국 35개 지역으로부터 채취한 봉독을 대상으로 2010년과 2011년 2년에 걸쳐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봉독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봉독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멜리틴과 아파민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의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채집시기와 지역에 따른 성분에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One way-ANOVA, Duncan's test (${\alpha}$=0.05)). 봉독의 성분은 채집시기와 지역에 관계없이 멜리틴 $55.2{\pm}2.07%$, 아파민 $2.57{\pm}0.103%$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는 $12.51{\pm}0.37%$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봉독은 채취시기에 따른 주요 성분은 차이를 갖고 있지 않았으며, 이는 꿀벌의 먹이, 사육온도 등 외부 환경이 봉독 분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geographical variation affects the antibacterial component propertie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 Korea. Honeybee veno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during 2010 and 2011, from 35 different sites, and were analyzed for major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were determined by a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mmonium formate, acetonitrile, trifluoracetic acid. On average,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were determined $55.2{\pm}2.07%$, $22.57{\pm}0.103%$, and $12.51{\pm}0.37%$,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major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flower or temperature during collections (One way-ANOVA, Duncan's test (${\alpha}$=0.05)).

      • KCI등재

        국산 프로폴리스의 Helicobacter pyrori 억제효과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장재선,Han, Sang Mi,Hong, In Phyo,Woo, Soon Ok,Kim, Se Gun,Jang, Hye Ri,Jang, Jae Se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1

        Propolis possesse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aesthet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eight propolis ethanolic extracts form different region in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ight Korean propolis was investicated by absorption spectrophotomety and UHPLC. Total p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ranged between $21{\pm}1.5$ and $31{\pm}1.8$ gallic acid g/100 g and $7.2{\pm}0.9$ and $24.4{\pm}1.9$ quercetin g/100 g, respectively. The p-coumaric acid as standard components content ranged between $0.29{\pm}0.00$ and $2.34{\pm}0.02mg/g$ using UHPLC. Cinnamic acid content between $0.43{\pm}0.00$ and $1.33{\pm}0.01mg/g$. 80% ethanolic extract of propolis against H. pylori was evaluated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Ethanol was used as a control. Mean diameters of H. pylori growth inhibition using $10{\mu}g/mL$, $50{\mu}g/mL$ or $100{\mu}g/mL$ ethanol propolis per disc were 0, ranging from 0.9 to 2.1 mm and from 1.9 to 3.5 mm, respectively. In conclusion,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propolis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eferred regional plants visited by honeybees. Also Korean propolis possesses considerab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There was not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the chemical composion contens and anti-H. pylori effect. The potential of propolis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is worth further extensive evaluation.

      • KCI등재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탐색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윤형주,김미애,김원태,백하주,Han, Sang-Mi,Lee, Kwang-Gill,Yeo, Joo-Hong,Kweon, Hae-Yong,Woo, Soon-Ok,Yoon, Hyung-Joo,Kim, Me-Ae,Kim, Won-Tae,Baek, Ha-Ju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성분분석과 암세포 생육 저해 효능,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이차원단백질 분석을 통해 호박별의 일벌독은 63개의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함량을 보이는 3개의 단백질을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호박벌 일벌독의 암세포 (간암; Hep3B, 폐암; A549, 유방암; BT-20, 위암; AGS)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00ng/ml에서 간암세포 (Hep3B)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55%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에 E. faecium 과 S. sonnei에 대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모두 각각 0.256ug/ml 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피검균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은 다른 벌의 독성분과는 차이를 보이며, 그 생리활성에 있어 약리학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Pure Bombus ignitus venom samples were submitted to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 total of 64 excised spots were analyzed by mass spectrometry. Three main protein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have not been described in other bee venoms before. Dose-dependence against human carcinoma (Hep3B, BT-20, A549 and AGS) were observed from 1ng/ml to 100ng/ml. Expecially, the treatment of 100ng/ml B. ignitus venoms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with 55%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The B. ignitus venom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nterococcus faecium and Shigella sonnei, and practicall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other microorganisms test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E. faecium and S. sonnei, were 0.256ug/ml, respectively.

      • KCI등재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추출물에 의한 BV-2 세포주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한상미,이상한,윤치영,강석우,이광길,김익수,윤은영,이평재,김선여,황재삼,Han Sang-Mi,Lee Sang-Han,Yun Chi-Young,Kang Seok-Woo,Lee Kyung-Gill,Kim Ik-Soo,Yun Eun-Young,Lee Pyeong-Jae,Kim Sun-Yeou,Hwang Jae-S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1

        퇴행성 뇌질환은 뇌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인 소교세포의 염증반응이 발병 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속자동화시스템(high throughput screening: HTS)을 이용하여 약용곤충추출물로부터 항산화와 항염증 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무당벌레 추출물로부터 염증발생인자인 nitric oxide의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소교세포인 BV-2세포에 대한 무당벌레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물과 메탄올, DMSO 추출물에서는 100 ng/ml 까지는 거의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1 ng/ml에서도 세포독성이 있었다. 물과 메탄을 추출물(50 ng/ml)은 LPS로 활성화된 BV-2세포에서 $TNF-{\alpha}$와 $IL-1{\beta}$의 발생을 35-60% 가량 억제 하였다.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은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각각 55%, 76% 억제되었다. 또한, MeOH 추출물을 처리했을 경우 LPS에 의한 iNOS 발현 정도를 단백질 수준과 mRNA 수준에서 현저하게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Inflammation in the brain ha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 various neurologiacal diseases. The hallmark of neuro-inflammation is the activation of microglia, brain macrophage. Pro-inflammatory compounds including nitric oxide(NO) are the main cause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In the study, we examined whether Harmonia axyridis extracts inhibit the NO production by a direct method using Griess reagent, western blotting and by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in) the gen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Distilled water$(H_2O)$ and methanol(MeOH) extracts of H. axyridis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NF-a(Tumor Necrosis Factor) and IL-6(Interleukin) in LPS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BV-2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00 ng/ml. Incubation of BV-2 cells with the extracts of $H_2O$ of MeOH inhibited the LPS induced NO and iNOS protein. And this inhibition of iNOS protein is concordant with the inhibition of iNOS mRNA express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H. axyridis extracts may play a crucial role in inhibiting the NO production.

      • KCI등재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상미 ( Sang Mee Han ),김제열 ( Je Yeol Kim ),전지인 ( Jee In Chun ),이수민 ( Su Min Lee ),최유경 ( Yoo Kyung Choi ),김종인 ( Jong In Kim ),김성진 ( Seong Jin Kim ),김지현 ( Chee Hyun Kim ),김미혜 ( Mi Hye Kim ),김지원 ( Ji Won K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7 No.-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Korean Curriculum.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7, 411~448. This is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Korean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KLI), Yonsei Universit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s comprising the KLI online Korean program and the principle of LMS development. In chapter two, we examined the concepts of e-learning, e-learning 2.0 and smart-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three,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online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by holistically examining the content composition along with a model unit. In chapter four, the principles of LMS development were demonstrated and plans for program implementation were suggested. Finally, in chapter five, we summarized our study and established and explained its significa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비교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 3-6세 아동학습 및 발달지침 중심으로

        한상미 ( Han Sang Mi ),양옥정 ( Yang Yu ting ),서현아 ( Seo Hy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이 지향하는 유아교육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향후 유아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중국의 3-6세 아동학습 및 발달지침이며 교육과정 구성체계, 목적 및 목표, 영역별 내용 범주와 내용, 교육과정 특징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의 교육과정은 각국의 독자적인 특성을 반영한 유사한 구성체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누리과정의 목적은 올바른 인성과 민주 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있으며, 발달지침의 목적은 소양 교육과 전인 발달에 강조를 두고 있다. 셋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의 영역별 내용은 각국의 5개 영역별 명칭은 다르나 의미와 내용은 영역별로 매칭되는 특성을 보였다. 넷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 교육과정 특징은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다양성, 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의 가치 추구, 5개 영역별 내용이 통합적 운영,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4가지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o measu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e futur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in South Korea and the Guideline to the Learning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3-6 in China. The comparisons were made in the aspects of composition system, aims and objectives, content category, and specific content in various fields and education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educational curricula have similar compositional systems that reflect each country’s own characteristics. Second, the purpose of the Nuri curriculu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per person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while the purpose of the Guideline is to emphasize quality education and the all-arou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rd, although the names and contents of the five fields in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are different, the meanings and contents of each field are matched by fields. Fourth,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are reflected in the following 4 aspects: commonness and diversity at the national level,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value pursuit, comprehensive operation of five fields, and joint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적응과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

        한상미 ( Han Sang-mi ),서현아 ( Seo Hyun-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적응과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직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B시, G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교직적응, 직업정체성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통하여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정체성과 교직적응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업정체성은 교직적응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직적응과 직업정체성을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업정체성은 교직적응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적응과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정체성을 부분 매개하여 교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높여줌으로써 교직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ways of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relationships between those teachers’ job stress and adjustment to that prof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structed of 386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employing scales respectively for job stress,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Data from the surveyed teachers’ responses was analyzed throug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professional identity or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contrast, negative correlations existed betwee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in case of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job stress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hrough a partial medi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ways to redu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foster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hich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중등 가정과 교원양성을 위한 의생활 영역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상미(Han Sang Mi),김경민(Kim, Kyungmin),이윤정(Lee,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평가원(2008)에서 제시하는 가정과 의생활 분야 임용시험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가 교원양성기관에서 시행하는 의생활 분야의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적절한지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사범대학 및 일반/교육 대학원의 의생활 분야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우선, 27명의 전문가 집단에게의생활 분야 임용시험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의 적절성 및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다시 한 번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전 국 교원양성기관의 의생활 분야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실태와 평가기준 반영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평가원(2008)에서 제시하는 가정과 의생활 분야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평가하 기에 적절하고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생활분야 교육과정 운영실태를 살펴본 결과 사범대학에서는 의류학 분야 전공과목이 다수 운영되고 있으며 그 중 1~2개의 과목을 전공필수로 지정하고 있었지만, 교육대학원의 경우 전공필수로 1개과목만을 이수하도록 구성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각 평가내용요소를 다양한 과목을 통해 다루고 있으나, 일부 학교에서는 의복과 환경에 관련 된 교과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othing life’ curriculum o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 and contents on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irst, we examined propriety of the evaluation standard and contents on clothing life by survey of 27 home economics experts. Also, we compared the evaluation standard and contents on clothing life with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we investigated ‘clothing life’ curriculum o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Most college of education offered mandatory subjects relating clothing life, however, a few subject was administered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most institutions ‘clothing lif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standard and contents was high overall, except on ‘clothing and environment’. Suggestions for the ‘clothing life’ curriculum o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