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심리적 요인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

        박영숙,표미자,김정선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5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8 No.4

        In order to avdance understaning of the complex social process of individual drinking behavior, this cross-cultural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drinking behaviors among Koreans, Korean-Chinese and Chineas.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from lune, 1994 to April, 1995 both in Korea and Yanbian, China, we tested the hypothesisthat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ould lead differnt drinking behavior among Koreans,Korean-Chinese and Chinese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ubjects were206 Koreans,211 Korean-Chines and 204 Chines, total 621 subjects. The results are : 1) The averag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and of blood level is highest in Koreans. 2) In terms of drinking motivation, the effect of blind drunkeness and group solidarity factors are higher for Koreans than others, whereas business purpose and controlling drinkingbehavior are higher among Korean-Chinese and Chinese. 3)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motivation, while emotional motivation ishigher among Chinese for the individual motivation. 4) Age and emotional motivation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total amount of alcoholintake and the drinking frequency among Koreans. Group solidarity and blind drunkeness alsotend to lead the frequent drinking event for them. The factors of blind drunkeness and groupsolidarity also has causal effects on the frequencies of drinking for Korean-Chinese in Yanabian,while higher emotional motivaiotn as a psychological factors tends to lead a more frequentdrinking among Chinese. 5)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drinking behaviors due to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Korean-Chinese and Chinese especially in the frequencies of drinking rather than the total amount of alcohol intake.

      • KCI등재

        주정중독집단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횡문화적 연구

        박영숙,표미자,이근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6

        본 연구는 한국인 주중중독집단에 있어서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을 밝혀보고자 서울 및 중국 연변 지역을 중심으로 1995년 12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진행되었고, 조사대상자는 한국 주정중독자 114명, 중국조선족 주정중독자 105명 중국漢族 주정중독자 129명으로 전체 3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목적에 따라 고안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주정중독집단은 조선족과 한족 주정중독집단에 비해 1회 음주 량이 많았고, 일회알콜 체내 흡수량에서도 높았다. 2) 주변 사람들의 음주관행의 사회적 요인을 살펴볼 때 한국 주정중독집단은 음주절제 및 업무 목적으로 술을 마시는 경우가 조선족 주정중독집단과 중국 한족 집단에 비해 낮았고, 집단결 속적 음주행동은 중국한족 주정중독집단에 비해 낮았다. 3) 음주동기를 보면 한국 주정중독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정서적 음주동기는 높고 사회적응적 음주동기는 낮았다. 음주반응을 보면 한국 주정중독집단은 불괘반응이나 유쾌반응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낮았다. 4) 음주 량을 예견해주는 요인을 보면 한국 주정중독집단의 경우 사회적, 심리적 요인 모두 예견 요인이 되지 못하였고, 조선족 주정중독집단의 경우 연령, 정서적 동기, 사회적응적 동기가 음주 량을 예견해주었고 중국 한족 주정중독집단의 경우 연령이 예견요인이었다. 5) 음주 빈도를 예견해주는 요인을 보면 한국 주정중독집단, 조선족 주정중독집단, 중국한족 주 정중독집단 모두 예견요인이 발견되지 못하였다. 6) 이러한 결과는 한국 주정중독집단은 사회적, 심리적 요인이 음주 량이나 음주빈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신체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Objectives : For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drinking behaviors among Korean, Korean-Chinese and Chinese Alcohol Abuse group. Methods : The authors developed the questionnare and 114 Korean, 105 Korean-Chinese, 129 Chinese Alcohol Abuse patients were examined by this questionnare. Results : 1) The average amount of Alcohol comsumption and the absorbed amount of Alcohol into body were the highest in Korean Alcohol Abuse group(p<0.001). 2) In terms of social drinking behavior, the effect of blind drunkenness and group solidarity factors were lower for Korean Alcohol Abuse group than others(p<0.05) and business purpose and controlling drinking behavior is also lower for Korean Alcohol Abuse group(p<0.001).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inking motivations that the emotional motivation was higher for Korean Alcohol Abuse group than the others(p<0.001), while social adjustment motivation was lower for Korean group Than Chinese group(p<0.001). The unpleasant(p<0.05) and the pleasnat response of drinking(p<0.001) were lower for Korean Alcohol Abuse group than others. 4) Neither social factors nor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ed the average amount of alcohol comsumption for Koran Alcohol Abuse group, while the age(p<0.001), emotional motivation(p<0.004) and social adjustment motivation(p<0.04) predicted the average amount of alcohol comsumption for Korean-Chinese Alcohol Abuse group and age for Chinese group(p<0.04). 5) Any variables could not predict the frequency of drinking for Korean, Korean-Chinese and Chinese Alcohol Abuse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cial factor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have not so much the effects as physical variables on the average amount of alcohol cunsumption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for Koran Alcohol Abuse group.

      • KCI등재

        중국 연변지구 한족과 조선민족 아동행동문제 비교분석

        김봉진,김철구,표미자,최순,Kim, Pong-Chin,Kim, Chul-Koo,Pyo, Mi-Ja,Choi, Soon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199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 No.1

        연빈지구에 거주하는 한족과 조선민족아동들의 문제행동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2학년 사이의 한족아동 500명과 조선민족아동 512명을 부모보고형 CBCL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Social withdrawal, depressed, somatic complaints, aggressive 등의 행동문제는 연변지구의 두 민족 아동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행동문제이었으며, 미국이나 상해아동과 비교할 때 연변지구의 아동들이 social withdrawal 문제는 더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aggressive 행동문제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를 보였다. 한족과 조선민족 아동들을 비교하였을 때 uncommunicative, 분열성, 강박, 불안등의 내향성문제행동은 한족아동에게서 더 빈번히 나타났으나, 활동과다, 잔폭한 행위등은 조선족 아동들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 1012 Yunbyun children (500 of chinese and 512 of Korean ancestry) in kindergarten through sophomore in highschool were assessed using CBCL parental form and their data were compared to study differences in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of korean and chinese ancestry in Yunbyu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withdrawal, depressive, somatic complaints and aggressive syndromes were fairey common among Yunbyun children of both korean and chinese ancestry and that compared to children in the u. s. and shanghai. Yunbyun children showed more social withdrawal but less aggressive behaviors. Internalizing syndromes such as uncommunicative, schizoid, obsessive and anxious syndromes were more prevalent among children of chinese ancestry, while hyperactive and aggressive syndromes were more prevalent among children of korean ancestry.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상 발달에 대한 횡문화적 비교 연구

        홍강의,신민섭,표미자,우종인,조수철,정도언,하규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목 적: 문화적이거나 민족적인 요인이 청소년들의 자아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청소년들과 조선족, 한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횡문화적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서울과 충주에 위치한 중,고등학생 1576명(남 891, 여 685)과, 중국 연변 룡정시에 위치한 한족 중,고등학생 634명 (남 305.·여 329). 그리고 조선족 중.고등학생 665명(남 317.여 348)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세 집단의 연령범위는 중1에서 고3까지 13∼18세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판 Offer 자아상 척도(KOSIQ-R)가 사용되었다 한국 청소년들에게는 본 연구자가 학급별로 KOSIQ-R을 실시하였고. 조선족과 한족 청소년들에게는 연변에 거주하는 조선족 정신과의사가 KOSIQ-R을 중국어로 번안한 후 학급별로 실시하였다. 변량분석방법을 사용하여 KOSIQ-R의 12개 하위척도점수와 전체 자아상점수의 평균치상에서 각 민족 집단간의 차이를 성별과 연령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2개 하위척도 점수와 전체 자아 상 점수에서 민족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변인에 상관없이 성 척도를 제오한 모든 척도 점수에서 한국 청소년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한족과 조선족 집단간에는 신체상과 정신건강 척도를 제외한 10개 하위척도와 잔체 자아상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조선족 청소년들은 윤리적 가치, 이타성, 가족기능, 사회적 기능, 충동 조절, 자신감 척도와 전체 자아상점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한족 청소년 들은 정서상태, 성, 직업에 대한 태도, 자기-신뢰척도에서 조선족 청소년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 청소년들의 자아상 발달에 민족적인 요인(한민족-한족)과 문화적인 요인(민주주의-사회주의)이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족 청소년들은 여러 하위척도에서 한국과 한족 청소년들의 중간 점수를 보여, 중국과 한국문화사이에서 이중적응을 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이려는 측면에서는 한국청소년들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조선족 청소년들이 비록 다른 문화권에서 성장했다할 지라도 사회적인 관계에서 예절과 체면, 도덕성을 강조하는 한민족 전통의 가치관이 가정내에서 학습되어 내제화되었음을 시사해주었다.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al and ethnic differences on the development of self-image, we conducted a cross-cultural study on Korean, Korean-Chinese and Chinese adolescents. Methods : A total of 1576 Korean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choongju, 665 Korean-Chinese students and 634 Chinese students living in Yunbyun, Chin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Offer Self-Imag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Korean students, and the Chinese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Korean-chinese and Chinese students. The data obtained from all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thnicity and age variable through AN0VA. Results :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ethnicity was found in the 12 subscales and the total self-image score of OSIQ-R Korean adolescent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ll of the 11 subscales except the sexuality subscale than Korean-Chinese and Chinese adolescents. Korean-Chinese adolescent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ethical value, idealism, family functioning, social functioning, impulse control, self-confidence and total self-image scores than Chinese adolescents, whereas Chinese adolescent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tores in the subscales of emotional tone, sexuality, vocational attitudes, and self-reliance than Korean - Chinese adolescents .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ce in ethnicity(Korean versus Chinese), the tradition associated with earth ethnic group, and the cultural-political factor (democracy versus socialism) significant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self-image in adolescents. Although Korean-Chinese adolescents seemed to show cultural pluralism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they were similar to Korean adolescents in their tendency to respond in socially desirable ways, which suggests that although raised under the different cultural systems, traditional Korean ethical values were learned and internalized within the family.

      • 중국거주 조선족 여성의 영적 안녕정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박순재,주열,염형욱,김승원,김구묘,안영록,황대홍,표미자,조창열,정태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2

        자아초월 정신의학이 체계화되면서 영성(spirituality)은 인성의 한 부분이라는 이론이 대두되었는데 이 영성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인간의 성향 중 영적 안녕 정도를 파악하여 그 정도가 정신건강 중 허위성 경향, 정신병적 경향 및 불안과 우울 경향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영적 안녕척도를 사용하여 영적 안녕정도를 파악하였다.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과 이 척도의 2개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척도 양자로 평가한 성적이 불안-우울통합척도와 정신분열증 척도 및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적 안녕척도로 평가한 조선족 여성의 총점은 68.29로 한국의 기독교 여성이 평가한 100.65보다 훨씬 낮은 점수였다. 2) 불안·우울통합척도로 평가한 총점은 44.88로 연변노인이 평가한 점수와 일개지역의 한국농촌주민이 평가한 점수와 비슷한 결과였다. 3)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은 평균 74.57로 70점 이상이 86%(344명)이었으나 영적 안녕 성적과 허위성 성적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4) 영적 안녕총점은 정신분열증 척도로 평가한 정신병적 경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종교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높여준데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낮게 해주었다. 5)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 및 두 하위척도인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은 불안과 우울에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영적 안녕총점이 높을수록 불안·우울 총점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 종교적 안녕 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종교적 안녕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을 각각 다소 유의하게 높여주었으며 이에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실존적 안녕정도가 높을수록 불안 및 우울점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성적을 미루어볼 때 연변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이 평가한 영적 안녕정도는 정신병적 경향과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면 이 척도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존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실존적 안녕은 긍정적인 가치관으로 평가되는 반면 종교적 안녕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해 주었다고 하겠다. Background: Spirituality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s believed to have a larg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because it has been systematiz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spiritual disposition on human beings along with its effects on one's ment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targeted 400 women residing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which is a district of the Cho-Sun tribe in China. Their spiritual well-being was studied using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Korean Version.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consists of 2 sub-scales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tudy was evaluated using a lie scale, psychotic trend, and a combined anxiety-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factors of one's mental heal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each tendency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ho-Sun tribal women according to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68.29 which was much less than the 100.65 of Korean Christi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Lie trend. However, it was found that 86%(344) of Cho-Sun tribal women scored above 70 in the Lie trend with a mean score of 74.57 which is higher than normal population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tic tre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the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depression level was somewhat significantly high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a person's mental health among Cho-Sun tribal women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P.R. of China. The results found that the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scale of spiritual well-being, had negative effects while the existential well-be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These results proved that a person's religious disposit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in a communitar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