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개발

        추상희,장연수,여기선,안지현,김두리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course entitle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handling clinical trials. Methods: The goals and content of the existing current education program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such as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and clinical research associate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ore educational concept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ssential competency levels for the professionals who were to begin their career in the area of clinical trials after graduating from the college of nursing. Through these initial processes, we identified the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and the related course content. Goals and objectives based on the specified four competencies were set and confirmed by expertise review. Results: We developed a new course entitle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a 16-week elective subject consisting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four core competencies: basic knowledge on clinical trials, communication, risk management, and eth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evant to clinical tria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1세기 관현악 관련 연구의 현황과 과제

        추상희,최진호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국·내외 관현악 음악관련 출간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한국의 관현악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국회전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학술DB를 통해 산출된 논문들과 해외 논문검색 엔진인PROQUEST, 세계음악교육학회(ISME)와 미국의 음악교육자협회(NAfME), 그리고 미국음악대학협회의 공식저널에 출간된 논문들을 연구대상(N=14,289)으로 삼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년간 출간된 관현악 음악과 관련한 국내 논문은 총 259편으로 관현악 음악분석과 연주법관련논문이 128편(49.4%)으로 가장 많은 반면, 음악교육이나 진로·정책 분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현악 관련 논문들의 연구대상 중 성인이나 유아, 그리고 노년층은 1% 미만인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급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해외의 관현악 논문들은 양적연구(60% 이상)를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문헌연구(76%)가 가장 많고 양적연구(20%)는 매우적은 것으로 나타나, 양적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내에는 관현악 관련 논문들을전문으로 다루는 저널이 없어 다양한 저널들에 출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0년간 출간된 국내의 전체 관현악 전공 관련 논문 수(N=259)는 해외의 하나의 저널이 출간한 수의 절반정도에 불과해 관현악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orchestral music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published papers related to orchestral music at Korea and abroad over the past 10 years. The samples(N=14,289) from 2012 to 2022 for this study were produced through search engines of academic databases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Electronic Library of US Congress, PROQUEST. Also,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official journal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MAfM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Education (ISME), and the Colleges of Music Society were used as research subject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259 research papers on orchestral music published over the past decade in Korea, with 128 papers (49.4%) related to orchestral music analysis and performance methods, while research on music education or career and policy is relatively weak. Second, less than 1% of the research subjects of orchestral-related papers were adults, infants, and the elderly, confirming that research on them is urgent. Third, while orchestral research papers abroad conducted the most quantitative research (60% or more), Korea has the most literature research (76%), and there are very few quantitative studies, confirming that quantitative research needs to be activated. Fourth, there is no journal in Korea that specializes in orchestral-related papers, so it is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Finally, the total number of papers related to orchestral music majors (N=259)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decade is only about half the number published by a single journal abroad, indicating that orchestral research needs to be activated.

      • KCI우수등재

        성인 음악교육의 관현악 악기교육현황 및 만족도 조사

        추상희,최진호 한국음악교육학회 2023 음악교육연구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현악 악기를 배우고 있는 성인 학습자(n=250)를 대상으로 성인 악기교육의 현황과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학원과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후 모아진 양적자료는 t-test와 ANOVA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질적자료는 코딩작업을 통해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성인 관현악 학습자들이 악기교육을받는 방식은 1:1 개인레슨이 가장 많았으며, 성인 관현악 학습자들이 배우는 악기는 바이올린과 플루트가 가장많았다. 둘째, 성인 관현악 교육에서 강사의 전문성은 기악교육 학습자의 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 관현악 학습자의 주관적 만족도가 실제 측정된 만족도보다 높았다. 셋째, 관현악 음악교육학습자들이 악기교육을 통해 가장 만족하는 요인은 ‘정서적 안정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가넓어짐’, ‘취미생활’, ‘문화생활’, ‘자아실현’, ‘삶의 질 개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 관현악 악기교육 학습자들이 느끼는 관현악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악기연습시간 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for adult learners(n=250).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rivate music institutes and amateur orchestras in Seoul and Gyeonggi-do. Quantitative data collected after the survey were analyzed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t-test and ANOVA, and qualitative data were presented through cod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1 private lesson was the most popular way to receive orchestral instrument education for adults, and violin and flute were most common instruments learned by adults. Second, the instructors' expertis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learners, and adult orchestra learners' subjectiv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actually measured satisfaction. Third, the most satisfactory factor for adult learner was 'emotional stability', followed by 'extens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ing hobbies', 'cultural life', 'self-realization', and 'life quality improvement'. Fourth, the highest challenge to adult learners was ‘securing time to practice instruments.’

      • KCI등재

        한국 중년여성 신체활동 조사연구: 인구비례 확률추출법

        추상희,최은진,제갈윤석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PA) among middle-aged women. Nationwide population-based (metropolitan area, 37.8%; city area, 31.6%; rural area, 30.6%) 1,304 Korean women (Age, 50.24±7.18 years) were randomly recruited, and face-to-face interview was administered to measure PA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Median value of total PA was 42.86 min/week, and 41.9% participated in PA excluding walking. Woman who lived in metropolitan area was 2.25time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A than woman who lived in rural area. Woman aged 40s wa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A,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strength exercise than woman aged 60s. The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nd living are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 habits. The current study concluded that age, living area,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are significant correlates of PA habits among Korean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한국 중년여성의 신체활동 참여시간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단위 인구비례(대도시 37.8%, 중소도시 31.6%, 읍면 30.6%)로 1,304명 중년여성(연령, 50.24±7.18세)을 무작위로 선정하였고, 국제신체활동 설문지를 사용하여 여가시간 신체활동을 대면조사 하였다. 신체활동 중위값은 42.86분/주 여가시간 신체활동을 수행하였고, 41.9%가 걷기시간을 제외한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대도시 거주 여성은 읍면 거주 여성과 비교하였을 때,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도가 2.25배 높았다. 40대 여성은 60대 여성과 비교하였을 때, 여가시간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활동, 근력운동에 참여도가 높았다. 가정소득, 거주지역이 신체활동 참여와 유의하게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령, 거주지역, 학력수준, 가정소득 등이 중년여성의 신체활동 참여의 중요한 상관요인임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관현악 전공생들의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수준 분석

        추상희,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barriers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of musical instrumental majors in order to provide the useful advice for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ers and freshmen of colleg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for the musical instrumentalists, but that of the career decision tended to reduce as years go by. Secondly, the musical instrumentalists who decided their career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an that of others who were undecided. Lastly, the qualitative data indicated that the musical instrumentalists, even successful musicians, tended to be undecidable or gave their goals up as musical instrumentalist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job opportunities as musicians.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현악 전공생(예고, 대학생,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장벽요인,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여 관현악 전공생들에게 졸업 후 진로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현악 전공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한 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1학년까지의 진로결정수준에는 변화가 없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가 결정된 관현악 전공생들이 미결정된 전공생들보다, 진로준비행동 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현악 전공생들의 진로장벽과 관련한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현악 전공생들은 연주자로 성공하기 어려운 현실과 직업의 불안정성으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거나 진로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오케스트라에 단원으로 활동하거나 유학 후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경우도 진로에 대한 고민을 심각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성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 영향요인

        추상희,고일선,이원희,유지수,강석민,정하윤,김두리,안지현,이윤주 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3

        심부전은 안정 시나 운동 시에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혈액을 심장이 펌프 할 수 없는 상태로 성인기 이후의 대상자들에게 있어 유병률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주요 심장질환 중 하나이다(Kashani et al., 2004). 만성 심부전 환자들은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신체적으로 피로, 허약감, 호흡곤란, 전신부종 등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직장생활 및 사회활동의 참여는 물론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에도 장애를 초래한다. 심리적으로도 불안이나 우울, 자존감 저하 등으로 본인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삶의 질에도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Clark et al., 2009; Riegel et al., 2009; Stewart, MacIntyre, Capewell, & McMurray, 2003). 또한 이러한 질병과정에서 발생하는 재입원이나 집중 치료 등은 환자 및 가족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전체 의료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다(Van der Wal et al., 2006; Wu et al., 2008b).

      • KCI등재

        와파린 복용 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인식과 약물복용 이행

        추상희,강석민,김두리,이윤주 기초간호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1

        항응고요법은 심장판막 질환이나 심방세동, 심장인공판막을 삽입한 환자에서 혈액응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된다. 항응고요법 중 경구용 항응고제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유발되는 혈전증의 장기적인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쿠마딘(coumadin)계 유도체인 와파린(warfarin)이다(Im, 1998). 와파린은 비타민 K의 길항제로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여러 응고 인자 중 비타민 K를 필요로 하는 응고인자인 Ⅱ, Ⅶ, Ⅸ, Ⅹ과 단백질 C, S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응고 작용을 나타낸다. 경구로 투여 시 95% 이상이 흡수되며, 약효가 장시간 지속되고, 간의 효소에 의해 대사된 대사물은 약물학적 활성이 거의 없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항응고작용에 주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Moran, Fitzgerald, Pope, Madden, & Vaughan, 2011).

      • KCI등재

        윤이상의 ‘가락’(Garak für Flöte und Klavier, 1963)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음악적 특징 및 플루트 연주법

        추상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ditional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Garak für Flöte und Klavier’(Garak für Flöte und Klavier) and to help various performers, including flute players, understand and play Isang Yun’s works. After comparing traditional Korean musical features related to Isang Yun’s work ‘Garak’ with Western music, th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of Korea and the flute techniques used to express them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Isang Yun’s works used unique composing techniques such as major sounds, tone compositions, decorative bypass and Nonghyeon techniques. It also expresses traditional Korean musical sounds through modern flute techniques such as Flutter Tonguing and Pitch Bending, and uses variable, rapid dynamics and divided rhythms to give dynamism and vitality to the work. I hope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performers who want to play Isang Yun’s work, ‘Garak.’ 본 연구의 목적은 윤이상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가락’(Garak für Flöte und Klavier)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음악적 특징과 작품에 사용된 플루트 현대 연주법을 분석하여 플루트 연주자를 비롯한 다양한 연주자들이 윤이상 작품을 이해하고 연주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윤이상의 작품 ‘가락’과 관련한 한국의 전통 음악적 특징들을 서양음악과 비교한 후, 작품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적 음악적 요소와 이를 표현하기 위한 플루트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윤이상의 작품에는 주요음, 음색작곡, 장식적 우회 및 농현 기법과 같은 윤이상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라터 텅잉과 피치밴딩과 같은 플루트 현대주법을 통해 한국의 전통음악적인 음향을 표현하였으며 변박, 급격한 다이내믹 및 분할된 리듬을 사용하여 작품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윤이상의 작품 ‘가락’을 연주하고자 하는 연주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윤이상의 <플루트 독주를 위한 연습곡, 1974> 작품분석 및 연주법 제안

        추상희,최진호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3 음악교수법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Isang Yun’s work <Etüden für Flöte(n) solo>(1974) in order to help flutists who want to play this piece effectively. To this end, we investigated Yun’s life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Isang Yun’s work <Etüden für Flöte(n) solo>(1974) for flute performe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Yun’s work <Etüden für Flöte(n) solo>(1974) represents an original modern performance technique that can be embodied in the tone of the flute, a Western instrument, by applying the ideas 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in the framework of Western music. Second, Yun’s work <Etüden für Flöte(n) solo>(1974) includes the oriental principles of Yin and Yang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of oriental “Jung Joong-dong”, one of Yun’s most important mus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five pieces of music in this work are composed to practice various flute instruments by applying flute, alto flute, piccolo, and bass flut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ongs are organized differently so that the instruments corresponding to each practice song can be properly expressed through quick and slow contr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