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준상관 행렬도와 군집분석을 응용한 KLPGA 선수의 기술과 경기성적요인에 대한 연관성 분석

        최태훈,최용석,Choi, Tae-Hoon,Choi, Yong-Seok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3

        정준상관 행렬도(canonical correlation biplot)는 정준상관분석에서 두 변수 집단에 의해서 측정된 다변량 자료에서 변수 집단 간의 관계와 개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2차원 그림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최용석 (2006, 1장)의 한 변수 집단에 의한 행렬자료에 대한 일반적인 행렬도를 두 변수 집단에 의한 행렬자료로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 Choi와 Kim (2008)은 개체들이 많은 대용량 자료에서 행렬도의 해석상 힘든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군집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행렬도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자료에 대한문제는 정준상관 행렬도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도 KLPGA 선수 중 상금 순위 상위 50명을 대상으로 정준상관 행렬도를 통해 기술요인변수군(평균 퍼팅수. 그린 적중율, 파 세이브율, 파 브레이크율)과 경기성적요인변수군(상금, 평균 타수)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각 선수들의 군집을 시도하려한다.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is 2-dimensional plot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ets of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rvations and variables i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graphically. In general, biplot is useful for giving a graphical description of the data. However, this general biplot and also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do not give some concise interpretations between variables and observations when the number of observations are large. Recently, for overcoming this problem, Choi and Kim (2008) suggested a method to interpret the biplot analysis by applying the K-means clustering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apply their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and competition score factors of KLPGA players using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and cluster analysis.

      • KCI등재

        트랩식물로써 토마토에 대한 가지의 담배가루이 유인효과

        최용석,서정학,황인수,김경제,최병렬,정태우,Choi, Yong-Seok,Seo, Jeong-Hak,Whang, In-Su,Kim, Gyung-Je,Choi, Byeong-Ryeol,Jeong, Tae-W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potential of egg plant for use as a trap plant to attract Bemisia tabaci adults compared to that of tomato. Choice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preference of B. tabaci adults to horseweed, egg-plant, cucumber, and tomato. B. tabaci adults were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visual cues than to odor cues, and they preferred the egg-plant and cucumber to horseweed. The attraction rates of the egg-plant and cucumber to B. tabaci adults were 82.3% and 82.5%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tomato. Because egg-plants are easier to manage compared to cucumber, we excluded cucumber from subsequent experiment. The attraction rate of egg-plant to B. tabaci adults was >90% when the height of egg-plant was equal or more than that of the tomato plant. 본 연구는 토마토에 대하여 가지가 트랩식물로써 담배가루이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큰망초, 가지, 오이, 토마토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선호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택성 조사가 수행되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후각적인 자극보다는 시각적인 자극에 더 민감함을 보여주었고 큰망초보다는 오이와 가지를 더 선호하였다. 가지와 오이의 담배가루이 유인률은 각각 82.3%와 82.5% 였다. 가지는 오이보다 관리측면에서 더 쉽기 때문에 우리는 본 실험에서 오이를 제외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가지의 유인률은 토마토의 초장과 같거나 더 클 때 90% 이상 이었다.

      • KCI등재

        트랩식물과 침투이행성 살충제를 이용한 토마토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효과

        최용석,황인수,이경주,김경재,Choi, Yong-Seok,Hwang, In-Su,Lee, Gyung-Joo,Kim, Gyung-J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2

        우리는 시설토마토에서 4가지 침투이행성약제가 사용된 가지를 트랩식물로 활용하여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침투이행성약제가 추천된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dinotefuran SG 50% 방제효과는 80%로 방제효과가 각각 51.0%, 12.4%, 11.0%인 cyantraniliprole, pyridaben, clothianidin 보다 높았다. 살충효과가 뛰어난 dinotefura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00 ppm에서 살충률이 88.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Dinotefuran의 방제효과는 가지에 적용된 약 9일까지 지속되었고 그 이후 담배가루이 밀도는 증가하였다. 포장실험에서 가지 트랩식물로부터 0, 15, 20 m 떨어진 토마토 신초에서의 담배가루이 밀도가 가장 높았고 5 m와 10 m에서 가장 낮았다.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낮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10 m 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하우스 내부보다는 측면에서 밀도가 더 높았고 가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밀도가 높았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5 m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지는 시설토마토 재배시 담배가루이 성충을 유인하는데 효과적인 트랩식물이며 dinotefuran SG 50% 과 함께 사용한다면 담배가루이 밀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We investigated the control of Bemisia tabaci adults in tomato greenhouses using the eggplant as a trap plant with 4 systemic chemicals. The control effect of dinotefuran SG 50% on tobacco whitefly adults was 80% mortality, the highest than that cyantraniliprole, pyridaben and clothianidin, 51.0%, 12.4% and 11.0% respectively when all chemicals with recommended doses were used. Dinotefuran was applied at various doses and was observed to be most effective above 200ppm (88.4%)t. The control effect of dinotefuran lasted for appromimately nine 9 days and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dults increased there after. In field tests, the densities of tobacco whitefly adults on tomato shoots were highest at points 0, 15 and 20 m from the eggplant traps and lowest at 5 and 10 m. When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was low and the eggplants with dinotefuran SG 50% were placed in the tomato greenhouse at 10 m intervals, the overall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dults was lower. In addition, densities were higher at the side of the greenhouse than in the interior and further away from the eggplant. When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was high and the eggplants with dinotefuran were placed at 5 m intervals,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t each 5 m point decreased. Theses results confirm that the eggplant is an effective trap plant for attracting tobacco whitefly audlts and combined with dinotefuran SG 50% decreases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in tomato greenhouses.

      • KCI등재

        아카시나무에서 미국선녀벌레 알의 조사방법

        최용석,황인수,이경주,나미숙,박덕기,서화영,Choi, Yong-Seok,Whang, In-Su,Lee, Gyung-Ju,Na, Mi-Suk,Park, Deog-Kee,Seo, Hwa-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We surveyed branches of acacia trees distributed nationally in Korea to establish a common survey method that can be used by investigators to monitor for over-wintering Metcalfa pruinosa eggs. A total of 189 samples was examined, and the number of eggs on the surfaces of the branches, bases of thorns and bases of twigs was recored. When including samples in which no eggs were found at all investigation sites, none of the data followed the normal distribution. However, when samples in which no eggs were found at all sites were exclued, the density of eggs investigated at the thorn bases and twig bases followed the normal distribution. When the density of eggs was sorted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branches on which they were found, these data did not follow the normal distribution. The density of M. pruinosa eggs at the thorn bases and twig b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n the branch surfac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ranches of different thicknesses. Therefore, monitoring for M. pruinosa eggs at the thorn bases and twig bases of the nationally distributed acacia tree, irrespective of the thickness of the branche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precision with which the density of this insect's eggs could be estimated. It is thus expected that this method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methods to better characterize the distribution and predict the occurrence of this. 우리는 미국선녀벌레의 월동알 조사를 하는데 있어 조사자의 공통된 조사방법을 제시하고자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아카시나무의 가지를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총 표본수는 189개 샘플이었고 가지는 가시밑둥, 잔가지밑둥, 가지표면 세부분으로 나누어 알을 조사하였다. 모든 부위에서 알이 존재하지 않는 샘플을 포함했을 때는 모두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았으나 알이 존재하지 않는 샘플을 제외했을 때는 가지밑둥과 잔가지밑둥에서 조사된 알은 정규분포를 따랐다. 가지의 굵기에 대한 정규성 정도는 없었다. 가지밑둥과 잔가지밑둥에서의 미국선녀벌레 알의 밀도는 가지표면에서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밀도를 보여주었고 가지의 굵기별 조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미국선녀벌레가 주로 산란하는 아카시나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수종으로 아카시나무 가지의 굵기와 상관없이 가시밑둥과 잔가지밑둥에서 미국선녀벌레 알을 조사하는 것이 밀도 추정의 정밀도를 높여 정확한 한반도 분포 특성과 발생예측을 위한 조사방법으로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과수의 신종해충인 날개매미충 일종의 산란특성

        최용석,황인수,강태주,임주락,최광렬,Choi, Yong-Seok,Hwang, In-Soo,Kang, Tae-Ju,Lim, Ju-Rak,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2010년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사과원과 예산군 덕산면 블루베리 과원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름 모를 날개매미충 일종은 대략 4-5년 전부터 과원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급속도로 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날개매미충이 발견된 식물은 26종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블루베리, 포도, 복숭아, 옻, 두릅, 대추, 키위, 복분자, 사과, 살구, 자두, 밤 이었다. 날개매미충의 산란은 주로 1년생 가지에서 이루어졌다. 사과와 자두의 1년생 가지에 산란된 난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8.7개와 15.3개였다. 또한 산란된 난괴의 평균길이는 각각 12.35 mm와 11.45 mm였다. 알의 평균크기는 길이가 1.2 mm 폭은 0.5 mm였다. 사과와 자두에 산란된 난괴내 알 간의 평균간격은 각각 1.3 mm와 1.5 mm로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한 난괴 길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7.1개와 13.3개로 차이를 보였다. An unknown planthopper was discovered in 2010 in an apple orchard in Sinpoong-myun, Gongju-si and in a blueberry orchard in Deogsan-myun, Yesan-gun. This pest have arrived 4 or 5 years ago and the population density then rapidly increased. It was identified as Ricania sp. by Dr. Murray J. Fletcher. Adult Ricania sp. was found on 26 plants including blueberry, grape, peach, sumac, japanese angelica, jujube, kiwi, Rubus coreanus, apple, apricot, plum and chestnut. Females lay eggs on 1-year-old branches. The mean number of eggs laid on apple and plum were 18.7 and 15.3, respectively. The mean length of egg masses on apple and plum were 12.35 and 11.45 mm,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eggs laid on apple and plum branchs were 1.3 and 1.5 mm,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eggs in the same length of egg mass on apple and plum branchs were 17.1 and 13.3, respectively.

      • KCI등재

        경제특구 입주 외국인투자기업의 성과 분석

        최용석,송영관,Choi, Yong-Seok,Song, Yeongkwan 한국개발연구원 2015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7 No.-

        To attract more FDI inflows,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several special economic zones (SEZs), offering various advantages and support to the FDI. There is, however, a shared acknowledgement that those efforts have gained little reward. In this regard,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company-level performances of labor productivity, operating profit ratio, propensity to invest and innovate, etc. and then conducts regression analysis and PSM analysis to see whether these performances a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foreign-invested firm and domestic firm and between foreign-invested firm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s of labor productivity and operating profit ratio, no empirical evidence was found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foreign-invested firm outperforms domestic firm in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Second, in the aspects of propensity to invest, foreign-invested firms in foreign investment zones outperformed domestic firms. Third, in the aspect of R&D investment, overall, foreign-invested firms showed a stronger propensity to invest than domestic firm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high propensity to invest was driven by the policy on special economic zones. In the aspect of investment in educational training, empirical evidences were found that the role of foreign-invested firms outside the special zones turned out to be the strongest and that among firms inside special zones, it was those in the free economic zone that outperformed domestic firms. Lastly, foreign-invested firms showed a stronger propensity to employ than domestic firm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high propensity to employ was driven by the policy on special economic zones. 한국정부는 FDI 국내 유치를 위해 외국인투자에 특례와 지원을 제공하는 경제특구를 도입하였으나 성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노동생산성, 영업이익률, 투자성향, 혁신성향, 고용성향 등의 기업단위 성과가 경제특구에 입주한 외국인투자기업과 국내기업 간에, 그리고 외국인투자기업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회귀분석과 PSM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생산성 및 영업이익률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외국인투자기업들이 국내기업들에 비해 효율성 및 수익성에 있어 더 높은 성과를 나타낸다는 가설을 지지할 실증적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투자성향에 있어서는 외국인투자지역에 분포한 외국인투자기업들이 국내기업들에 비해 높은 투자성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개발투자 측면에 있어 외국인투자기업 전체적으로는 국내기업에 비해 높은 투자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나 이것이 경제특구정책에 의한 것임을 나타내는 실증적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훈련투자에 있어서는 비특구 외국인투자기업의 역할이 가장 크며, 특구지역 중에서는 경제자유구역에 위치한 기업들의 교육훈련투자가 국내기업들보다 더 높다는 실증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고용성향에 있어서는 외국인투자기업들의 성과가 더 높았으나 이것이 경제특구정책에 의한 것임을 나타내는 실증적 증거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 SCOPUSKCI등재

        비정질 ${Tb_{45.7}}{Fe_{54.3-x}}{Co_x}$ 및 ${Tb_{50.2}}{Fe_{49.8-x}}{Co_x}$ (0$\leqq$x$\leqq$9.6) 합금박막의 자기변형 및 자기적 특성

        최용석,조성수,윤기갑,이완수,이영,김종오,Choi, Y.S.,Cho, S.S.,Yoon, G.G.,Lee, W.S.,Li, Ying,Kim, C.O.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8

        비정질 $Tb_{45.7}$ $Fe_{54.3-x}$ /$Co_{x}$ 및 $Tb_{50.2}$ /$_{Fe}$ 49.8-x/$Co_{x}$ (0$\leq$$x\leq$9.6) 합금박막의 자기적 특성 및 자기변형특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박막제조는 Fe 타게트에 Tb, Co 소편으로 구성된 복합타겟 방식의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XRD 조사에의 한 박막의 미세구조는 잘 발달된 비정질 구조를 나타내었다. $Tb_{45.7}$ $Fe_{54.3-x}$ $Co_{x}$ (x=2~4)에서 우수한 고유자기변형특성 및 저자기장자기변형특성을 얻었다. 즉, 100 Oe의 저자장에서 130ppm의 자기변형을 나타내었으며 고유자기변형 (인가 자기장, 5 kOe)은 330ppm에서 400ppm으로 증가하였다. The magnetic and magnetostrictive properties of amorphous Tb/sub 45.7/Fe/sub 54.3-x/Co/sub x/ and Tb/sub 50.2/Fe/sub 49.8-x/Co/sub x/ (0≤x≤9.6) thin films have systematically been investigated. The films were fabrica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using a composite target which consists of a Fe plate and Tb, Co chips. The microstructure mainly consists of an amorphous phase. Excellent intrinsic and low magnetic-field-magnetostrictive properties were achieved in Tb/sub 45.7/Fe/sub 54.3-x/Co/sub x/ and Tb/sub 50.2/Fe/sub 49.8-x/Co/sub x/ (0≤x≤9.6). The magnetostriction of 130 ppm was obtained with low field of 100 Oe. The intrinsic magnetostriction(applied field, 5 kOe) were increased from 330ppm to 400ppm.

      • KCI등재

        양송이버섯 재배사에서 Steinernema carpocapsae를 이용한 긴수염버섯파리 생물적 방제

        최용석,서화영,황인수,이대홍,Choi, Yong-Seok,Seo, Hwa-Young,Whang, In-Su,Lee, Dae-H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We used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for the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of Lycoriella mali during Agaricus bisporus cultivation. The concentrations of two S. carpocapsae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 were $6{\times}10^4$ and $2.5{\times}10^5m^{-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ensity of A. bisporus larvae in a rice straw medium and soil in an A. bisporus cultivation house, the mean numbers per $30cm^2$ were 0.8 and 22.2, respectively, and A. bisporus larvae were detected mainly in the soil. The control effects after once spraying S. carpocapsae at $6{\times}10^4$ and $2.5{\times}10^5m^{-2}$ was higher at the 14th day than at the 7th day.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ontrol effect after twice spraying of $6{\times}10^4$ and $2.5{\times}10^5m^{-2}$ at the 14th day. The control effects after this spraying were 51.9% and 96.8%,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effect of spraying at $2.5{\times}10^5m^{-2}$ was better than at $6{\times}10^4m^{-2}$. The control effect of diflubenzuron WP was lower than 50%. 양송이 버섯재배 시 발생하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mali)의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를 이용하였다.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두 제품의 농도는 각각 $m^2$ 당 $6{\times}10^4$과 $2.5{\times}10^5$이었다. 양송이 버섯시설 내 버섯배지와 상토에서의 긴수염버섯파리 유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30cm^2$ 내 평균 마리 수는 0.8마리와 22.2마리로 상토에서 주로 서식하였다. S. carpocapsae 1회 처리 후 방제효과는 처리 14일 후에 가장 높았다. S. carpocapsae $6{\times}10^4$ 농도 제품의 2회 처리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 방제효과는 51.9%였으며 $2.5{\times}10^5$ 농도 제품의 2회 처리 후 방제효과는 96.8%로서 $2.5{\times}10^5$ 농도가 $6{\times}10^4$ 농도 보다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살충제인 diflubenzuron 수화제의 방제효과는 50%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 KCI등재

        시설잎들깨 들깨잎말이명나방(Pyrausta panopealis)의 경제적 피해수준 및 요방제 수준

        최용석,박덕기,윤여욱,황인수,신선미,최광렬,Choi, Yong-Seok,Park, Deok-Gi,Yun, Yeo-Uk,Hwang, In-Su,Shin, Sun-Mee,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들깨잎말이명나방(Pyrausta panopealis)은 잎들깨의 주요해충이다. 피해양상은 유충이 들깨신초 부위에서 거미줄을 치고 가해하는 양상을 보이며 심할 경우 대를 끊어 놓아 더 이상 수확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들깨잎말이명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 평가를 시설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다른 해충들의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망사케이지를 이용하여 시험구를 격리시켰다.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접종밀도는 발생초기 100개의 잎들깨를 처리구로하여 100주당 $1{\sim}20$주에 주당 2마리씩 6월 13일에 접종하였다. 6월 23일까지 피해주율, 피해엽수은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6월 23일 이후에는 증가하였다. 수확량 또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시장가격에 대한 나방 방제비용의 비율로 계산된 경제적 손실 시점은 4.0%였다. 이때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100주당 유충 5.1마리였으며, 경제적 피해수준은 80% 수준에서 설정된 요방제 수준은 100주당 유충 4.1마리였다. Pyrausta panopealis is the major pest in green perilla. The larva weaves a web on the shoot of green perilla and damages. In case of extreme, The larva cuts the main branch of green perilla and the leaf of green perilla isn't harvested anymore.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for P. panopealis injuring green perilla in green-houses. Different densities of P. panopealis ranged from 1 to 20 crops (2 units per crop) per 100 crops on 13. June, early inoculation. The number of injured leaf and the rate of injured crop were increased by 23. June, on the other hand were decreased after that day. Also, the amount of yield sow the same result above. The economic loss time calculated by the ratio of cost managing this moth to market price (C/V) (C: cost managing a moth, V: Market price) was 4.0%.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1 larval per 100 crops.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as 4.1 larval per 100 crop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