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트누그달의 환시』에 나타난 중세 저승 세계 -저지대 지방의 두 사본을 중심으로-

        주나미 한국프랑스사학회 2022 프랑스사연구 Vol.- No.47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is an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showing how people in the Middle Ages imagined and perceived the world after dea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various imaginations of the afterlife in the medieval Christian world by studying Tnugdal’s journey to the afterlife. Furthermore, by comparing two manuscripts of Vision of Tnugdal which made in the same region and at different tim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differences. ‘저승 여행담’은 중세의 사람들이 죽음 이후의 세계를 어떻게 상상하고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논문에서는 트누그달의 저승 여행담을 통해 중세 기독교 세계의 사후세계에 대한 상상이 다양한 지역과 민족에 뿌리를 둔 전통적 문화의 영향을 받아 매우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습을 띠고 있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동일한 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만들어진 두 개의 트누그달의 환시 필사본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나타난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려고 한다.

      • KCI등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역사적 해석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3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system and symbol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o examine its mean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The message, that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were trying to deliver by dramaticall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is not limited to the didactic dimension. The first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c change of the main character’s status’. In both stories, the protagonist's initial status in this world is ‘a nobleman and a knight’. Afterwards, those who went to the underworld and stood before God’s judgment were not noblemen, but mere ‘sinners’. However, unlike Tnugdal, who remains a sinner throughout his journey to the underworld, Owein, who entered the purgatory pit of St. Patrick, becomes a ‘knight of Christ’. Behind this is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The second reason why the story could function as a political propaganda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Tnugdal’s Journey is a ‘Journey of Repentance’ that enumerates the sins committed by living humans and reflects on them one by one. However, Demons do not tell Owein why he must be tortured. So his pain feels more like a torture to test his faith or a hardship to overcome than a punishment. This shows that Owein’s journey is not in repentance but in ‘Conquest’. The third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sm of the background of the story’. Purgatory of Owain the Knight is a ‘real space’ managed by an Irish monastery, and at the same time a ‘virtual space’ revealed by Christ for St. Patrick. By the way, the white plains, a symbol of heaven in the Celtic tradition, have changed to the black plains of hell, and the emphasis on Ireland's savagery and insufficient Christianization shows that Hell, where Owein confronts the devil, actually symbolizes Ireland itself. Even, Gerald Wales, a servant of King Henry II, inserted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mong his works related to his political journey in Ireland and Wales.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by the symbolic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he works of Gerald Wales surrounding it suggest that the story of Owein's journey to the underworld played a political role in England in the late 12th and early 13th centuries. Just as Owein conquered Purgatory, English monarchs and priests wanted to conquer Ireland, Wales and Jerusalem. This shows that purgatory in the Middle Ages was not only a didactic space where punishment(fear) and purification(hope) coexisted, but also a real space where the political desires of the ruling powers were realized or frustrated. 자크 르 고프는 중세 사람들의 머릿속에 연옥이라는 공간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트누그달의 환시』와 함께 맡았던 역할을 중시했다. 그러나 중세 저승 여행담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극적으로 넘나들면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교훈적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이야기의 가치체계와 상징체계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당대의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첫 번째 실마리는 ‘주인공 신분의 상징적 변동’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환시』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모두에서 주인공의 이승에서의 최초 신분은 ‘귀족이자 기사’이다. 그러나 저승으로 넘어가 신의 심판대에서 이들은 고귀한 나리님이 아니라 한낱 ‘속세의 죄인’일 뿐이다. 그런데 저승 여행 내내 속세의 죄인으로 남는 트누그달과 달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구덩이로 들어간 오웨인은 용맹한 기사가 된다. 그는 자신의 죄를 정화하고 회개하는 것보다는 ‘그리스도의 기사’로 거듭나 색다르고 범상치 않은 무훈을 발휘하는 데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 이러한 오웨인의 모습 뒤에는 살라딘의 예루살렘 정복과 3차 십자군 모집이라는 현실이 있다.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정치적 선전물로 기능할 수 있었던 두 번째 이유는 ‘저승 여정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지옥 여정은 살아 있는 인간들이 저지르는 죄들이 나열되고, 그 하나하나를 반성하는 ‘회개의 여정’이다. 그러나 오웨인의 연옥에는 죄인은 있지만 ‘죄목’은 없다. 악마들은 오웨인에게 왜 고문을 당해야 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고통은 형벌이라기보다 믿음을 시험하는 고문이나 극복해야 하는 고난처럼 느껴진다. 죄목이 없으니 반성도 없고, 오로지 악마들의 고문을 이겨내고 승리하라는 소명만 남을 뿐이다. 기사가 회유에 흔들리지 않고 고문을 통과할 때마다 악마들은 힘을 잃고 물러난다. 이것은 오웨인의 여정이 회개가 아닌 ‘정복’에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실마리는 ‘이야기의 배경이 지닌 상징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세 여행담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 안에서나 밖에서나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흐릿하다는 것이다. 오웨인의 모험이 펼쳐지는 연옥은 아일랜드 수도원이 관리하는 ‘현실의 공간’인 동시에, 그리스도가 성 파트리키우스를 위해 드러낸 ‘가상의 공간’이다. 아울러 켈트 전통에서 천국의 상징인 하얀 평원이 지옥의 검은 평원으로 변한 것과 아일랜드의 야만성과 미흡한 기독교화가 강조되고 있는 부분은 오웨인이 악마와 대결을 벌이는 공간이 실상 아일랜드 자체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헨리 2세의 신하인 제럴드 웨일스는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행한 자신의 정치적 여정과 관련된 저작들 사이에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을 끼워 넣기까지 한다. 요컨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상징체계가 드러내 보이는 특징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제럴드 웨일스의 저작들은 오웨인의 저승 여행 이야기가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정치적인 역할을 맡고 기능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오웨인이 연옥을 정복하듯 잉글랜드 군주와 성직자들은 아일랜드, 웨일스,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싶었던 것이다. 중세의 연옥은 처벌(두려움)과 정화(희망)가 공존하는 교훈적...

      • KCI등재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에 나타난 가치체계의 변화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8

        중세 아일랜드의 항해기인 ‘임람’에는 성서 문화와 이교 문화가 충돌하고 뒤섞이고 융합하여 중세 기독교 문화의 다층적인 구조를 형성해가는 과정이 역동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영웅 모험담인 ‘에흐트라’와의 비교를 통해서 뚜렷이 확인된다. 에흐트라와 임람의 주인공들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모험에 나선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동기와 목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에흐트라의 영웅들은 위반된 금기를 회복하기 위해, 신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세속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여행에 나선다. 하지만 임람의 주인공들은 그리스도의 낙원을 찾기 위해, 회개와 순례를 위해 항해에 나선다. 그리고 에흐트라 영웅들은 초자연적인 세계로 들어가 신화적인 경험을 하지만, 임람 주인공들은 바다 위의 여러 섬들을 떠돌면서 기독교적 믿음을 향해 나아가는 영혼의 여정을 겪는다. 그 과정에서 이교도 신들의 낙원은 하느님의 천국으로 바뀌어 가고, 다른 세계로 건너가는 열쇠와 같은 구실을 하던 여인의 자리는 종말과 심판을 경고하는 은둔 수도사가 차지해간다. 이러한 두 장르의 차이는 ‘기독교 전파’와 ‘바이킹의 침략’이란 두 사건이 바꿔놓은 중세 아일랜드의 풍경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켈트 문화에서 기독교 문화로의 심성의 변화는 장르 내부에서도 드러난다. 주인공인 전사는 사제로, 조언자인 드루이드는 거룩한 성인으로, 항해를 준비하는 과정은 미사처럼 바뀐다. 더불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임람 문헌들은 유사한 상징들을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데, 이것은 주인공들이 겪는 온갖 시련의 의미 변화, 시련과 함께 얻게 되는 기쁨의 의미 변화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주인공들이 극복해야 할 과제처럼 등장하던 괴물들과 악마들은 지옥의 혹독함을 간접적으로 체험케 하고 신의 영험함을 드러내는 존재로 바뀐다. 다른 세계에서 들려오던 감미로운 노래는 성가대와 천사들의 합창으로, 엠네의 사과나무는 성체성사의 포도주로 대체된다. 그러나 이교 문화의 전통은 사라지지 않고, 고유한 흔적을 남기며 성서 문화와 결합해 독특한 상상과 상징의 체계를 만들어낸다. 다른 세계의 존재가 새들로 변신한다는 신화 속 믿음은 기독교적 사고 안에서 새롭게 자리를 찾는다. 이교도의 신이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가 하면, 다른 세계에서 가져온 은이나 수정이 신의 신비를 증언하거나 수도원이나 교회의 명성을 드높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는 이교 문화가 기독교 문화로 대체되는 과정이 일방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합해가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Immrama’, medieval Irish voyage tales, show u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medieval Christian culture. Especially, this is well-confirmed by comparing Immrama to ‘Echtrai’, Irish traditional heroic adventure stories. The protagonists of Echtra and Immram are similar in that they embark on an adventure into an unknown world, but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motives and purposes. Echtra’s heroes go on a journey to recover from taboo violations, to keep their promises to God, and to satisfy their worldly desires. However, Immram’s protagonists leave on a voyage to find the paradise of Christ, for repentance and pilgrimage. And while Echtra’s heroes enter the supernatural world and have mythical experiences, Immram’s protagonists wander through the islands on the sea and undergo a soul journey toward Christian faith. In the process, the paradise of the pagan gods is transformed into the heaven of God, and the place of the woman who played the role of a key to another world is taken over by a hermit monk who warns of the Doomsda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enres shows the landscape of medieval Ireland that was changed by the two events,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the Viking raids’. These changes of mentality and value system are also revealed among Immrama. A warrior hero turns into a priest, a druid adviser turns into a saint,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voyage gradually turns into something like a Mass. In addition, each Immram uses similar symbols but interprets them in different ways.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all kinds of trials and joys experienced by the protagonists. However, the traditions of pagan culture do not disappear, leaving unique traces, creating unique systems of imagination and symbols. The Irish traditional beliefs find a new place in Christian thinking. Pagan god transmits Christian doctrines, and silver or crystal from other worlds is used to testify to the mysteries of the gods or to enhance the prestige of monasteries and churches. In this regard, Immrama show that the process of replacing Pagan culture with Christian culture was not one-sided, rather it appeared in a way that influenced and fused with each other.

      • Perceived Leadership Style of Korean Dietitians: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주나미,윤지영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5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nsformational or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Korean dietitians. The study was completed with Korean dietitians(n = 268, 67% response) using mail survey. The leadership styles were divided into transformational(including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transactional(contin-gent reward, management by exception) leadership found in the several literature. Overall, the score of Korean dietitian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p < .05). Among thre sub-dimension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the score of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higher than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Betwen two sub-dimensions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Korean dietitians used more ma-nagement-by-exception than contingent reward. ANOVA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more likely to be used by the younger dietitians, whil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more likely to be used by the older dietitians(p < .05) - 6 year dietetic experience used m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other experienced dietitians(p < .05). It was also found that the Korean dietitians leadership styles were influen-ced by the type of dietic practice area. Data showed that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contingent reward were more likely to be used by Korean dietitians from schol than by dietitians from health care and industry(p < .05).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ietitians to guide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leadership style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raction as well as organiz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