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분석

        정은희,구정완,Jeong, Eun-Hee,Koo, Jung­Wan 대한인간공학회 2006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5 No.3

        Severiti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MSDs) have been recognized at the regular work such as manufacturing but incidence of MSDs are increasing also at the atypical work. The examples of those are health medical workers, offic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etc. Nurses among health medical workers are accomplishing to manage and recover the patients' health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they are exposed to very stressful work conditions during caring the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MSDs, analyze and prevent MSDs. We surveyed risk factors for ward, intensive care unit, delivery room, newborn room, operation room, function test room and central supply room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It was executed for 2 months as the field study that was composed of simulation, real measurement, work motion assessment and subjective assess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to ergonomics techniques. Work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by the Ministry of Labor were scrub in operation room and heart ultrasonic function test. And a lot of works that need attention and management were also detected. So it should be required the educ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s of MSDs for nurses.

      • KCI등재

        사파이어 기판에 펄스 레이저 증착법으로 성장된 AlN 박막의 특성

        정은희,정준기,정래영,김성진,박상엽,Jeong, Eun-Hee,Chung, Jun-Ki,Jung, Rae-Young,Kim, Sung-Jin,Park, Sang-Yeup 한국세라믹학회 201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0 No.6

        AlN films with c-axis orient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were deposited by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and the films wer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deposition condition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 heat sinking plane AlN thin film. Epitaxial AlN films were deposited on sapphire ($c-Al_2O_3$) single crystals by pulsed laser deposition (PLD) with an AlN target. AlN films were deposited at a fixed pressure of $2{\times}10^{-5}$ Torr, while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varied from 500 to $700^{\circ}C$.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growth temperature of the thin film, AlN thin films were confirmed with a highly c-axis orientation, maximum grain size,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at $650^{\circ}C$.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lN thin film was found to increase compared to bulk AlN near the band gap value of 6.2 eV.

      • SCOPUSKCI등재

        한국산 팥꽃나무과 잎과 엽병의 해부 및 분류학적인 검토

        정은희,홍석표,Jung, Eun-Hee,Hong, Suk-Pyo 한국식물분류학회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2

        한국산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5속 9종(팥꽃나무속: 4종, 아마풀속: 1종, 삼지닥나무속: 1종, 피뿌리풀속: 1종, 산닥나무속: 2종)의 잎의 해부학적인 두 가지 형질(중륵 횡단면, 엽병 횡단면)을 광학현미경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잎의 중륵의 외형은 3개의 유형 즉, 주맥부의 돌출 양상에 따라 상측이 '평평한 유형', '함몰된 유형', 혹은 '돌출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엽병횡당면의 윤곽은 대부분은 반달형이거나 원형으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고, 날개가 뚜렷하거나 미약하게 발달한 유형, 혹은 날개가 없는 유형으로 구별되었다. 유관속조직, 표피상납질, 결정체, 탄닌 등, 추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였다. 끝으로 조사된 잎의 해부학적 형질이 한국산 팥꽃나무과 분류군의 동정에 유용한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wo anatomical features of leaves, transverse section of midribs and petioles, were examined for nine species of five genera of Thymelaeaceae, Daphne L. -4 spp., Diarthron Turcz. -1 sp., Edgeworthia Meisn. -1 sp., Stellera L. -1 sp., Wikstroemia Endl. -2 sp., using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terms of shape of upper side, three types were observed, i.e., flattened, depressed, and raised. Outline of petioles is mostly semi-circular or circular in transverse section, with two distinct wings/weakly developed wings or without wings. Other characters besides anatomical features of leaves such as vascular bundle tissues, crystal, tannin are also described in details. Finally, we briefly discussed the systematic significanc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leaves for identification of Korean Thymelaeaceae.

      • KCI등재

        화물 수송의 최적화를 위한 ITMS(Intelligent Transport Monitoring System) 설계

        정은희,이병관,정이나,Jeong, EunHee,Lee, ByungKwan,Jung, INa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 교통관리센터,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화물의 이동 경로, 컨테이너의 화물 보관 상태를 관리하는 지능형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인 ITMS(Intelligent Transport Monitoring System)을 제안한다. ITMS는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화물 차량의 위치 정보를 ITMS 서버에 전송하는 CIMS(Container Inner Monitoring System), 화물 차량의 위치정보로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여 CIMS에게 전달하는 TMM(Transport Management Module), 수집한 컨테이너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화물의 신선도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FMM(Freight Management Module), 그리고 CIMS, TMM, FMM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로 컨테이너 하역 장소를 선정하고, 화물에 대한 정보를 RFID 라벨로 출력하여 컨테이너에 부착하는 SMM(Stevedoring Management Module)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ITMS는 CIMS를 이용하여 화물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뿐만 아니라, RFID 라벨로 빠르게 화물의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the ITMS(Intelligent Transport Monitoring System) which manages the route and state of freight by using the Meteorological Office, the Transportation Management Center, GPS and Sensors, etc. The ITMS consists of the CIMS(Container Inner Monitoring System) transmitting the inne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tainer, the TMM(Transport Management Module) computing an estimated time of arrival with Freigh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IMS, the FMM(Freight Management Module) checking and managing the freight freshness by u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collected containers, and the SMM(Stevedoring Management Module) selecting the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places wit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IMS, the TMM, and the FMM and attaching the freight formation to containers using an RFID label. The ITMS not only checks the freight condition at intervals but also acquires and manages the freight information with RFID labels rapidly and accurately.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귀주성(貴州省) 준의(遵义) 차문화 고찰

        정은희(Eun-hee Jung)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6 No.-

        중국 귀주성 준의시는 깊은 역사 속에 다채로운 차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준의의 자연과 인문환경을 고찰하고, 차문화를 시대별, 지역별로 분석하여 차문화 특성을 분석한다. 첫째, 준의의 차문화는 자연문화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에서 자란 준의는 국가급 우량 차 산지로서 독특한 향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소수민족의 문화이다. 준의에 살고 있는 30여 민족들은 그들의 일상식과 의례·사교 등 생활 속에 차가 함께 하며 다채로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해독(解毒)문화다. 든든하면서도 소화하기 쉬운 유차는 아편 해독과 치료에 도움을 주었다. 넷째, 다방문화이다. 고진에는 차를 거래하고 보관하는 다방(茶帮), 차를 저장한 다고(茶庫)가 설치되었고, 상인들이 잠시 쉬거나 거래를 위한 찻집이 흥성하였다. 다섯째, 풍류문화이다. 황정견, 막우지 등 선인들은 준의의 차를 마시며 계절과 산수의 아름다움, 그리움 등을 읊은 아회를 즐겼다. 여섯째, 준의의 차문화에는 시대적 특징이 담겨있다. 중국의 서남 변방에 위치한 준의는 차마고도, 염다고도와 연관된 차문화가 발달했으며, 현대에도 차 산지 생태관광, 레저와 건강을 위한 차 여행지로 알려져 있다. 깊은 역사만큼이나 차문화가 풍부한 준의는 과거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문화로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차문화를 전승하고 있다. The city of Zuny possesses colorful tea culture with its deeply rooted tea hist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of Zuny by touching both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and sub-regional traits. Firstly Zuny’s tea culture is natural culture. Blessed by heaven with a wonderful natural environment, Zyny produces best quality tea. Secondly, with more than 30 ethnicities Zuny is characterized by ethnic tea culture. Zuny’s long history of tea rooms and tea storage has contributed current tea room culture. Fifthly, Zuny’s art tasting culture combined with naturally endowed landscapes is still thriving. Lastly, with the legacy of ancient tea route, Zuny is famous for eco-tourism, tea-based healing tourism, and the best place for leisure and health. Zuny is tea producing and value-creating place through rich tea history, tea sharing culture, and transmitting tea culture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특성 연구 -국내 인증건축물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희 ( Jung E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1996년 친환경건축의 개념이 국내에 도입되어 지속적고 신속한 제도적 발전을 이루었다, 2025년까지 건축 분야에서도 제로에너지 의무화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 측면의 기술적 수준이 매우 높아져 있다. 그러나 초기에는 다양한 가치의 친화경건축의 시도와 달리 인증제도의 빠른 정착과 성장에 반해 제도 자체가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로만 인식되면서 지속가능성 개념의 친환경적 요소들을 다양하게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 인증제도인 G-SEED의 업무용건축물에 대한 분야별 항목을 2001년 가이와 파머가 논문을 통해 제시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6가지 조건을 근거로 분석 평가하여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토교통부시행령이 개정된 2016년 9월 G-SEED의 기준이 개정된 이후 2020년 7월까지 동일한 인증기관에서 최우수와 우수 등급을 획득한 20개 친환경 업무용건축물 사례를 대상으로 20개 건축물의 인증결과를 가이와 파머가 2001년 제시한 지속가능한 건축의 6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분석 평가하여 G-SEED 인증을 획득한 국내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Eco-technic(생태기술성) 76%, Eco-medical(생태건강성) 74%, Eco-centric(생태중심성) 35%, Eco-cultural(생태문화성) 55%, Eco-social(생태사회성) 66%, Eco-aesthetic(생태심미성) 55%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값은 60%로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때 중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생태기술성이 76%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생태심미성이 35%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생태기술성, 생태중심성, 생태건강성은 평균을 상회하였고, 생태심미성과 생태문화성, 생태사회성은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인증 항목중 생태심미성과 생태문화성, 생태사회성에 해당하는 항목의 배점이 각각 16점, 37점, 37점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분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례분석 결과에서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현재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경향이 에너지 기술이나 인간의 쾌적성과 건강에 관한 부분, 지역 환경의 보존을 위한 과학적, 기술적인 부분에서 우수하지만 생태적 개념을 문화적으로 반영하여 인간과 환경이 정주(dwell)하는 방법이나 개인과 공동체, 인간과 생태환경의 비계층적이고 유기적인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결합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생태심미성은 6가지 항목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주어 심미적 관점에서의 조형적 접근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국내에 친환경건축의 경향이 점차 ‘인증’ 자체를 목적으로 기술적 요소의 만족만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것에서 그 방향성을 다양한 지속가능성을 반영한 건축으로 전환하기 위해 새롭게 변화된 생태학적 지식의 관점에서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의식을 보편적으로 재구성하고 변화시켜 친환경건축의 다양한 지속가능한 가치를 균형적으로 구현하는데 본 논문이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eco-friendly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Korea in 1996, where it achieved continuous and rapid institutional development. By 2025, the technical level of energy efficiency is going to be very high due to the mandatory zero energy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 the beginning, however, unlike attempts to build an eco-friendly architecture of various values, the system itself was perceived as a procedure for certification, contrary to the rapid settlement and growth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us it does not tend to satisfy various eco-friendly elements of sustainability.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stainabl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co-friendly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items by sector considering the G-SEED work-use building, which is a domestic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six condition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presented in a 2001 paper by Guy and Farmer. (Method) Since the revision of the G-SEED standards in September 2016, the results of certification of 20 buildings were analyz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six condition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proposed by Guy and Farmer in 2001 to assess sustainabl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uildings that obtained G-SEED certific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76% of eco-technic, 74% eco-medical, 35% eco-centric, 55% eco-cultural, 66% eco-social, and 55% eco-aesthetic works in Korea. By item, eco-technic was the highest at 76%, and eco-aesthetic was the lowest at 35%. In addition, eco-technic, eco-centric, and eco-medical were above the average, while eco-aesthetic, eco-cultural, and eco-social were below. Although the item scores corresponding to eco-aesthetic, eco-cultural, and eco-social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tems, the cas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current trends in the sustainability of eco-friendly buildings in Korea are low in terms of energy technology or human comfort and health, and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preserve the local environment, but they reflect cultur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eco-aesthetic showed the lowest level among the six categories, indicating a very poor formative approach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balanced implementation of various sustainable value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by universally reconstructing and changing our consciousness of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ewly changed ecological knowledge to shift the direction from the trend of eco-friendly architecture to the direction of pursuing only the satisfaction of technical elements for the purpose of “certification” itself.

      • KCI등재후보

        『閨閤叢書』에 나타난 차의 실용적 기능과 역할

        정은희(Eunhee Jung) 한국차학회 2010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pragmatic function and role of tea in the 19th century according to “Gyuhapchongseo (閨閤叢書)”, written by Bingheogak Lee (憑虛閣 李氏). Besides drinking tea for social communication and self-meditation, she found various ways to utilize tea in everyday life. Tea was used for relieving hangovers, dyeing clothes reddish brown, as a good-luck charm to prevent misfortune and insects, as well as for inscribing characters on amethyst china. Furthermore, Lee dicussed the best tea-making water and tea-producing regions in Korea. Bingheogak Lee was one of the prominent “Silhak (實學)” scholars and broadened the usage of tea in everyday life. She found new and creative ways to deepen and broaden the value of tea: expanding the limit of tea culture and developing new avenues for the tea industry during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상호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정은희 ( Jung Eun H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5 No.-

        본 연구는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자료(2006-2009년)를 활용하여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을 측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분석(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상호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갈등수준이 가구주의 우울수준에, 가구주의 우울수준이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단일방향의 회귀계수는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갈등수준과 가구주 우울수준은 4년 동안 자기회귀계수와 교차지연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체계이론에서 제시하는 가족문제의 상호 순환론적 인과관계가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관계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부정적 상호 순환 관계를 차단하기 위해 개인과 가족에 대한 동시적 접근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level of household head.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of 2006-2009, the study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o test the hypothe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single direction of the impact of family conflict on a head of household`s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vise vers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higher level of family conflict in 2006 caused an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of household head in 2009, controlling gender, age and depression level in 2006. Also,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of household head in 2006 increased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in 2009 fixed with same control variables. The autoregressive and cross-lagged coefficients of family conflict and a head of household`s levels of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4 years. The findings support the family system theory, indicating that there ar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whole family conflict and individual depression level. The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should thus aim to decrease individual`s levels of depression and improve positive family function simultaneously to break the vicious circle.

      • KCI등재후보

        삶의 총체적 변화로 이어지는 평생학습 - 성인대학원생들의 학습과 변화를 중심으로 -

        정은희(Jung Eun-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과연 학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평생 학습의 의미를 어떻게 부여해 가는지에 대한 사실적 접근을 통해 평생교육관점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실제 평생교육의 장면으로 선택한 곳은 대학원이고, 수업 참여 및 학습자와의 면접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평생교육을 ‘삶의 총체적 변화를 추구하는 학습’의 관점으로 제시하게 되었다. 성인대학원생들은 대학원학습을 통해 각자 다양한 삶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는데, 그 과정은 지각의 단계, 반성적 탐색 단계, 실천 단계로 구분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각 변화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촉진 혹은 방해의 요소들을 만나게 된다. 이렇게 성인대학원생들은 대학원에서의 학습을 통해 스스로 변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변화를 위한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기도 하였다. 이것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새롭게 부여해가고 삶의 태도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결국, 학습자들의 증언을 통해 학습이 삶의 총체적 변화를 경험하도록 하는 중요한 통로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ow learners who received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learning and how much they found lifelong learning meaningful in an effort to see lifelong education in a new ligh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graduate students who took lifelong education, and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by attending their classes and interviewing them. As a result, lifelong education was defined as learning in pursuit of holistic change in life. The adult graduate students investigated underwent a change in their lives by taking the graduate course. Their change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perceiving, reflective exploring and acting, and there were both facilitative and interruptive factors they faced in the course of changing. Thus, receiving graduate school education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feel the need for a change, to have a will to seek it, and to actually change themselves. That experience enabled the learners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ir lives from a new angle and to take a new attitude toward life. 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learning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riggering holistic lif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