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몰약이 Monosodium Urate로 유발된 백서의 통풍에 미치는 영향

        정대호,장선규,조충식,김철중,Jung, Dae-Ho,Chang, Sun-Kyu,Cho, Chung-Sik,Kim, Cheol-J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7 No.3

        Objective : To identify the inhibitory effects of Commiphora Myrrha (CM) on monosodium urate (MSU)-induced gout model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pretreatment with CM-I (125mg/kg) or CM-II (50mg/kg) for 7 days followed by ones injection of MSU solution. the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gout were measured on hematological and serum level including joint inflammation, Also, it was studied whether FBM directly inhibits th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in vitro.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CM didn't show cytotoxicity in Jurkat cells, but it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in vitro. CM slightly inhibited joint inflammation induced by MSU though no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M partially decreased MSU-induced albumin, globulin, AST, ALT, BUN, creatinine. WBC, platelet count and ESR leve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MSU-induced uric acid in seru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 has therapeutic effects that are applicabl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out, and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SCIESCOPUSKCI등재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sub>2</sub> 농도 변화 및 균형 분석

        정대호,김찬교,오경훈,이동현,김민수,신종화,손정익,Jung, Dae Ho,Kim, Chan Kyo,Oh, Kyung Hun,Lee, Dong-Hyeon,Kim, Minsu,Shin, Jong Hwa,Son, Jung Ee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_2$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_2$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_2$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circ}C$, $22^{\circ}C$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times}0.8m{\times}0.5m$)에서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 $340{\mu}mol{\cdot}m^{-2}{\cdot}s^{-1}$의 광도와 EC $1.2dS{\cdot}m^{-1}$의 양액에서 재배하였고, 다이아프램(diaphragm) 펌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섯 챔버와 상추 챔버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버섯의 $CO_2$ 발생 속도는 균 긁기 후 15일차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생육 온도가 높아질수록 $CO_2$ 발생 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솎음 처리에 의해 버섯의 자실체 생체중 당 $CO_2$ 발생 속도가 약 3.1배 증가하였다. $CO_2$ 균형 관점에서 보면, 균 긁기 후 9, 12, 14일차 버섯 1병(950mL)의 $CO_2$ 발생 속도는, 정식 후 7, 10, 12일인 상추 3, 4.5, 5.5 개체 $CO_2$ 흡수 속도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작물의 적합한 재배 비율의 설정을 통하여 밀폐형 혼합 식물생산시스템 내 $CO_2$ 농도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large amount of $CO_2$ emitted from mushrooms during incubation an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utilized in plant production systems as a $CO_2$ sour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_2$ emission and absorption rates of mushroom and lettuce,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 $CO_2$ concentrations at various ratios of mushroom and lettuce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The $CO_2$ emission rate of k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eryngii ( DC.) Qu$\acute{e}$l) and $CO_2$ absorption rate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were measured by using two closed acryl chambers ($1.0m{\times}0.8m{\times}0.5m$) in which indoor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8^{\circ}C$ and $22^{\circ}C$, respectively. The lettuce was grown at a light intensity of PPF $340mol{\cdot}m^{-2}{\cdot}s^{-1}$ an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2dS{\cdot}m^{-1}$. The air was periodically circulated between the two chambers using a diaphragm pump. The $CO_2$ emission rate of the mushroom increased until the $15^{th}$ day after scratching (DAS) and then decreased. The rat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_2$ emission rate per fresh weight of fruit body increased by about 3.1 times after thinning compared to before thinning. In terms of $CO_2$ balance, the $CO_2$ emission rates from a bottle (950 mL) of the mushroom at 9, 12, and 14 DA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3, 4.5, and 5.5 lettuce plants at 7, 10, and 12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is work shows that balance in $CO_2$ concentration could be achieved us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two crops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nopy Photosynthetic Rate Model of Lettuce Using Light Intensity, CO<sub>2</sub> Concentration, and Day after Transplanting in a Plant Factory

        정대호,김태영,조영열,손정익,Jung, Dae Ho,Kim, Tae Young,Cho, Young-Yeol,Son, Jung Eek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The photosynthetic rate is an indicator of the growth state and growth rate of crops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constructing efficient production syst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nopy photosynthetic rate model of romaine lettuce using the three variables of $CO_2$ concentration, light intensity, and growth stage.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ettuce were measured at five different $CO_2$ concentrations ($600-2,200{\mu}mol{\cdot}mol^{-1}$), five light intensities ($60-340{\mu}mol{\cdot}m^{-2}{\cdot}s^{-1}$), and four growth stages (5-2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three closed acrylic chambers ($1.0{\times}0.8{\times}0.5m$). A simple multiplication model expressed by multiplying three single-variable models and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including photochemical efficiency, carboxylation conductance, and dark respiration, which vary with growth stage, were also considered. In validation, the $R^2$ value was 0.923 in the simple multiplication model, while it was 0.941 in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appeare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simple multiplication model in expressing canopy photosynthetic rates.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termination of an optimal $CO_2$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with the growth stage of lettuce in plant factories. 작물의 생산량은 광합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광합성 속도는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광합성 속도는 작물의 생육 상태나 생육 속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작물 재배 시설을 구축하는 데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도, $CO_2$ 농도 및 생육 단계에 의해 변화하는 로메인 상추의 군락 광합성 속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군락 광합성 속도는 정식 후 5, 10, 15, 20 일차에서 5단계의 $CO_2$ 농도($600-2,200{\mu}mol{\cdot}mol^{-1}$)와 5단계의 광조건($60-340{\mu}mol{\cdot}m^{-2}{\cdot}s^{-1}$)이 처리된 3개의 밀폐 아크릴 챔버($1.0{\times}0.8{\times}0.5m$) 내에서 측정하였다. 먼저 세 가지 환경 요인을 사용하는 식들을 곱하여 만든 단순곱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와 동시에 생육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광화학 이용효율과 카르복실화 컨덕턴스,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속도를 포함하는 수정 직각쌍곡선 모델을 구성하여 단순곱 모델과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단순곱 모델의 $R^2$는 0.923이었으며, 수정 직각쌍곡선 모델의 $R^2$는 0.941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정 직각쌍곡선 모델이 광도, $CO_2$ 농도, 생육 단계의 3 변수에 따른 군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데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군락 광합성 모델은 식물공장에서 상추 재배를 위해 생육 단계별로 설정해야 할 최적의 광도와 $CO_2$ 농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제4분과 : 야생동물 ; 지리산국립공원 방사 반달가슴곰 동면장소 특성연구(5)

        정대호 ( Dae Ho Jung ),강병선 ( Byeong Sun Kahng ),이승훈 ( Seung Hoon Lee ),김정진 ( Jeong Jin Kim ),채승훈 ( Seung Hoon Chae ),이배근 ( Bae Ke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곰은 겨울철 혹독한 기후 조건, 먹이 부족 및 적을 피하기 위해 동면이라는 생리·생태적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동면장소는 곰의 중요한 서식지이자 은신처이다. 반달가슴곰(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ussuricus)의 겨울철 최적서식지인 동면장소의 특성 연구는 2004년 반달가슴곰복원사업 이후 지속적인 연구중에 있으며, 서식지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 복원(Re-inforcement)을 위해 러시아 연해주, 북한 등에서 도입한 개체들 대상으로 2007년 12월부터 2013년 4월까지 21개체(♂:11, ♀:10) 55개 동면장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 개체를 대상으로 한 동면장소 유형은 바위굴(n=32, 58%)>나무굴(n=14, 25%)>탱이(n=7, 13%)>토굴(n=2, 4%)의 순으로 4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암컷 대상 동면장소유형은 바위굴(n=19, 66%)>나무굴(n=5, 17%)>탱이(n=3, 10%)>토굴(n=2, 7%)의 순이며, 수컷은 바위굴(n=13, 50%)>나무굴(n=9, 35%)>탱이(n=3, 15%) 순으로 나타났다. 바위굴은 여러 개의 큰 바위들이 모여 자연적으로 공간이 형성되었거나, 큰 암벽지대에 자연적으로 공간이 형성된 바위틈 모양에 가까운 바위굴 형태를 취하였다. 나무굴은 나무구멍(동공)이 존재하는 흉고직경 1m 이상의 나무와 안쪽 공간이 존재하는 고사목의 형태를 취하였고, 수종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와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두 종이었으며, 나무비율은 신갈나무(n=13, 92. 9%) > 찰피나무(n=1, 7. 1%)순으로 나타났다. 탱이는 조릿대(Sasa bore alis)와 주변 나뭇가지와 낙엽을 이용해서 만든 새둥지 모양의 유형이었고, 토굴은 쓰러진 나무 밑이나, 조릿대 밑 흙을파서 공간을 확보한 형태였다. 동면장소 환경은 사면방향, 고도, 경사도 및 주변식생을 조사하였다. 전 개체 사면방향은 동향(n=20, 36%)>남향(n=19, 35%)>서향(n=10, 18%)>북향(n=6, 11%) 순으로 나타났다. 암컷 경우는 동향(n=13 , 49%)>남향(n=9, 31%)>서향(n=5, 17%)>북향(n=2, 13%) 순으로 나타났고, 수컷은 남향(n=10 , 38%)>동향(n=7, 27%)>서향(n=5, 19%)>북향(n=4, 15%) 순으로 나타났다. 전 개체 고도는 평균고도 1, 025±229m, 범위 494m∼1, 605m이었으며, 암컷은 평균고도 940± 187m, 범위 494∼1460m이었고, 수컷 경우에는 평균고도 1120± 233m, 범위는 798∼1605m로 나타났다. 전 개체경사도는 평균 44± 15°였으며, 암컷 42± 13°, 수컷 46± 16°로 나타났다. 동면장소 주변식생은 2007∼2009년 동안 13개체 27개 장소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신갈나무-조릿대군락(Sasa borea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n=11, 41. 7%), 혼합림(mixed forest, n=11, 41. 7%) > 신갈나무-생강나무군락(Lindera obtusiloba - Q. mongolica community, n=2, 7. 4%) >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Q. serreta -Q. mongolica community, n=1, 3. 7%), 서어나무-신갈나무군락(Q. mongolica -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n=1, 3. 7%), 서어나무-조릿대군락(S. borealis - C. laxiflora community, n=1, 3. 7%)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이 동면기간 동안 혹독한 추위와 많은 위협요인을 피할 수 있는 동면장소를 선택하는 기준에 대한 서식환경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반달가슴곰의 동면 생태 기작을 밝히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바이다.

      • KCI등재

        광도, 온도, 생육 시기에 따른 식물공장 모듈 재배 로메인 상추의 3 변수 군락 광합성 모델 개발

        정대호(Dae Ho Jung),윤효인(Hyo In Yoon),손정익(Jung Eek S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광도와 온도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광합성 속도가 변화하기도 하며, 생육 시기에 따른 광합성 효율의 변화가 수반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흑로메인 상추(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를 이용하여 광도와 온도, 생육 시기에 따른 군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두 모델을 구축하고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군락 광합성은 정식 후 4, 7, 14, 21, 28 일차 상추를 아크릴 챔버(1.0 × 0.8 × 0.5m)에 넣어 측정하였으며, 이 때 챔버내부의 온도는 19℃에서 28℃까지 변화시켰고 광원은 LED를 이용하여 50에서 500μmol·m<SUP>-2</SUP>·s<SUP>-1</SUP>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챔버 내부의 초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2,000μmol·mol<SUP>-1</SUP>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군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였다. 각 환경요인을 표현하는 3개 식을 곱하여 만든 단순곱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와 동시에 온도와 생육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광화학 이용효율과 카르복실화 컨덕턴스,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속도를 포함하는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을 구성하여 단순곱 모델과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단순곱 모델은 0.849의 R²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은 0.861의 R² 값을 나타내었다.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이 단순곱 모델에 비해 환경 요인(광도, 온도), 생육 요인(생육 시기)에 따른 군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데 더욱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photosynthetic rates of crops depend on growth environment factors, such as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and their photosynthetic efficiencies vary with growth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different models expressing canopy photosynthetic rates of romaine lettuce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using three variables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growth stage.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s of the plants were measured 4, 7, 14, 21, and 28 days after transplanting at closed acrylic chambers (1.0 × 0.8 × 0.5 m) using light-emitting diodes, in which indoor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were designed to change from 19 to 28? and 50 to 500 μmol·m<SUP>-2</SUP>·s<SUP>-1</SUP>, respectively. At an initial CO₂ concentration of 2,000 μmol·mol<SUP>-1</SUP>,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 began to be calculated with CO₂ decrement over time. A simple multiplication model expressed by simply multiplying three single-variable models and a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were compared.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additionally included photochemical efficiency, carboxylation conductance, and dark respiration which vary with temperature and growth stage. In validation, R² value was 0.849 in the simple multiplication model, while it increased to 0.861 in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It was found that the modified rectangular hyperbola model was more suitable than the simple multiplication model in expressing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and growth factor (growth stage) in plant factory modules.

      • SCIESCOPUSKCI등재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₂ 농도 변화 및 균형 분석

        정대호(Dae Ho Jung),김찬교(Chan Kyo Kim),오경훈(Kyung Hun Oh),이동현(Dong-Hyeon Lee),김민수(Minsu Kim),신종화(Jong Hwa Shin),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The large amount of CO₂ emitted from mushrooms during incubation an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utilized in plant production systems as a CO₂ sour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₂ emission and absorption rates of mushroom and lettuce,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 CO₂ concentrations at various ratios of mushroom and lettuce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The CO₂ emission rate of k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eryngii (DC.) Quel) and CO₂ absorption rate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were measured by using two closed acryl chambers (1.0 m × 0.8 m × 0.5 m) in which indoor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8℃ and 22℃, respectively. The lettuce was grown at a light intensity of PPF 340 ㏖·m<SUP>-2</SUP>·s<SUP>-1</SUP> an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2 dS·m<SUP>-1</SUP>. The air was periodically circulated between the two chambers using a diaphragm pump. The CO₂ emission rate of the mushroom increased until the 15<SUP>th</SUP> day after scratching (DAS) and then decreased. The rat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₂ emission rate per fresh weight of fruit body increased by about 3.1 times after thinning compared to before thinning. In terms of CO₂ balance, the CO₂ emission rates from a bottle (950 mL) of the mushroom at 9, 12, and 14 DA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3, 4.5, and 5.5 lettuce plants at 7, 10, and 12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is work shows that balance in CO₂ concentration could be achieved us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two crops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온실재배 어윈 망고의 위치 별 2변수 엽 광합성 모델 개발

        정대호(Dae Ho Jung),신종화(Jong Hwa Shin),조영열(Young Yeol Cho),손정익(Jung Eek S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가온 온실에서 재배하는 망고의 생육에 적합한 광도와 CO₂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위치 별 엽의 광합성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윈망고(Mangifera indica L. cv. Irwin)의 위치 별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여 광도와 CO₂ 농도의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엽의 위치에 따른 엽 광합성속도 측정은 LI-6400 광합성 분석 장치를 사용하였다. 광도 0, 50, 100, 200, 300, 400, 600, 800μ㏖·m<SUP>-2</SUP>·s<SUP>-1</SUP>, CO₂ 농도 100, 400, 800, 1200, 1600μ㏖·mol<SUP>-1</SUP>의 조합 조건에 해당하는 엽 광합성속도를 위치 별로 측정하였다. 광도와 CO₂ 농도에 대하여 Negative exponential 함수로 표현된 엽 광합성속도 모델을 곱하여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을 구축하였다. 상단부 엽의 경우 엽 광합성 속도는 광도 400μ㏖·m<SUP>-2</SUP>·s<SUP>-1</SUP>, 중단부와 하단부 엽은 200μ㏖·m<SUP>-2</SUP>·s<SUP>-1</SUP>에서 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₂ 농도 1600㏖·㏖<SUP>-1</SUP>에서도 엽 광합성속도가 증가하여 포화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의 검증 결과, 중단부에 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엽에 대해서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위치 별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을 활용하여 어윈 망고의 온실 재배 시 광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광도와 CO₂ 농도 조건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To determine the adequate levels of light intensity and CO₂ concentration for mango grown in greenhouses,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photosynthetic rates at various leaf positions in the tree are requi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wo-variable leaf photosynthetic models of Irwin mango (Mangifera indica L. cv. Irwin) using light intensity and CO₂ concentration at different leaf positions. Leaf photosynthetic rates at different positions (top, middle, and bottom) were measured by a leaf photosynthesis analyzer at light intensities (0, 50, 100, 200, 300, 400, 600, and 800μ㏖·m<SUP>-2</SUP>·s<SUP>-1</SUP>) with CO₂ concentrations (100, 400, 800, 1200, and 1600μ㏖·㏖<SUP>-1</SUP>). The two-variable model consisted of the two leaf photosynthetic models expressed as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s for light intensity and CO₂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rates of top leaves were saturated at a light intensity of 400μ㏖·m<SUP>-2</SUP>·s<SUP>-1</SUP>, while those of middle and bottom leaves saturated at 200μ㏖·m<SUP>-2</SUP>·s<SUP>-1</SUP>. The leaf photosynthetic rates did not reach the saturation point at a CO₂ concentration of 1600 i㏖㏖-1. In validation of the model, the estimated photosynthetic rates at top and bottom leaves showed better agreements with the measured ones than the middle leaves. It is expect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of light intensity and CO₂ concentration can be determined for maximizing photosynthetic rates of Irwin mango grown in greenhouses by using the two-variable model.

      • KCI등재후보

        급성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의 경색 관련 동맥 완전 폐색 예측인자

        정대호 ( Dae Ho Jung ),정명호 ( Myung Ho Jeong ),김계훈 ( Kye Hun Kim ),이우석 ( Woo Seok Lee ),이기홍 ( Ki Hong Lee ),윤현주 ( Hyun Joo Yoon ),윤남식 ( Nam Sik Yoon ),문재연 ( Jae Youn Moon ),홍영준 ( Young Joon Hong ),박형욱 ( H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Background/Aims: Some patients with 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have total occlusion of the infarct related artery (IRA) and may benefit from early invasive treatm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NSTEMI before coronary angiography. Methods: A total of 205 consecutive patients with NSTEMI (63.3±10.5 years, 123 males) who were admitted and underwent coronary angiogram from April 2005 to December 2006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total occlusion of IRA: n=62, 61.1±13.3 years, 42 males) and group II (patent IRA: n=143, 64.2±11.3 years, 81 males). Clinical, biochemical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on admiss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NSTEMI was observed in 62 (30.2%) patients most frequently in the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The predictive factors for total occlusion,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were prolonged duration of continuous chest pain (OR:9.67, 95% CI:1.59~80.6, p=0.03), a higher level of the creatine kinase-MB fraction (CK-MB) (OR:5.35, 95% CI:1.31~90.0, p=0.035) and fibrinogen (OR:6.73, 95% CI:1.48~50.2, p=0.043), and multiple leads with ST depression on the ECG (OR:4.78, 95% CI:1.22~41.9, p=0.048). Conclusions: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acute NSEMI is associated with a long duration of chest pain, high levels of CK-MB and fibrinogen, and ST changes in multiple ECG leads. (Korean J Med 74:271-280, 2008)

      • 간척지 재배 사탕무의 염 처리에 따른 생육과 양분 함량 분석

        정대호 ( Dae Ho Jung ),이평호 ( Pyoung Ho Yi ),이인복 ( In-bog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새만금 간척지는 약 261km<sup>2</sup>의 면적으로 20년 이상 숙전화가 진행되었으나, 강우와 가뭄에 따라 지하수위가 변동하여 작토층 지하에서 염류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염에 의한 피해를 입은 작물은 광합성과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고 영양 성분의 불균형과 같은 피해 증상을 보인다. 사탕무는 염 피해에 강한 작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간척지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작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환경 하에서 염 농도가 다른 관개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재배한 사탕무의 생육과 양분 함량을 확인하고 사탕무의 염 농도에 대한 적응성을 평가하였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여섯 품종(‘Turkey’, ‘Toleranza’ ‘Maximella’ ‘Gregoria’ ‘Bomita’, ‘Recordina’ )의 사탕무를 재배하였다. 새만금 간척지 작토층 면적 중 95% 이상이 염 농도 4dS/m 이하이므로,이에 따라 식염을 이용하여 관개수의 염 농도를 처리구별로 각각 0, 2, 4Ds/m로 공급하였다. 재배 전후 토양의 화학성, 사탕무의 발아율과, 생육 지표, 수량, 양분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Bornita’ 품종에 0dS/m 처리한 경우 발아율이 46.7%로 나타난 결과를 제외하고 모든 품종과 염 농도 처리구에서 73.3%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여섯 품종의 사탕무 중에 지하부 생체중이 가장 높았던 품종은 ‘Bornita’로 나타났다. ‘Tuikey’ 와 ‘Maximella’, ‘Gregoria’ 품종은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하부 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oleienza’ 와 ‘Bornita’ 품종은 염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Recordina’ 품종은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하부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사탕무 품종에서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잎 부위의 Na 이온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ukey’ 와 ‘Maximella’, ‘Gregoria’ 품종에서는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와 칼륨 함량이 감소하고 인 함량이 증가하였다. 모든 사탕무 품종에서 염 농도가 증가 할수록 뿌리 부위의 Na 이온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urkey’ 와 ‘Maximella’, ‘Gregoria’ 품종에서는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뿌리의 질소 와 칼륨 함량이 감소하고 인 함량이 증가하였다. Fe와 Mn, Cu, Zn 이온과 같은 미량 원소들은 품종마다 염 농도 변화에 따른 반응이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urkey’ 와 ‘Maximella’ , ‘Gregoria’ 품종은 염 농도에 대한 반응이 서로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수확된 뿌리의 생체중을 기준으로 품종의 생산성이 가장 좋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추가적으로 간척지 재배 사탕무의 형태가 규칙적이며, 상품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